KR102167656B1 -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 Google Patents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656B1
KR102167656B1 KR1020190160112A KR20190160112A KR102167656B1 KR 102167656 B1 KR102167656 B1 KR 102167656B1 KR 1020190160112 A KR1020190160112 A KR 1020190160112A KR 20190160112 A KR20190160112 A KR 20190160112A KR 102167656 B1 KR102167656 B1 KR 10216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groove
detachable
graver
stora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곽태이
Original Assignee
박찬웅
곽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웅, 곽태이 filed Critical 박찬웅
Priority to KR102019016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8Instruments or appliances for wax-shaping or wax-remo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각팁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여러 종류의 조각팁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탈착홈에 대응되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탈착홈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는 조각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치과기공용 조각도; 및 적어도 하나의 조각팁이 끼워지는 거치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이 폭 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면이 일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은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거치대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지게끔 거치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Graver set for dental technician}
본 발명은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각팁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할 수 있고, 조각팁의 신속한 변경이 가능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기공사는 상실된 치아 또는 주위조직의 기능과 외관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치과에서 보내온 개개의 인상체나 경석고 모형을 이용하여 구강 내에 장착될 보철물들을 제작하며, 상기 보철물은 금니, 세라믹 치아, 부분틀니, 전체틀니, 임플란트 맞춤지대주, 교정장치 등이 있다.
치과기공사는 상기와 같은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데, 그 중 하나가 치과기공용 조각도이다. 그러나, 기존의 조각도들은 조각팁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교체가 불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더라도 스크류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신속한 교체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 여러 종류의 조각팁이 구비된 각각의 치과기공용 조각도를 마련해야했기에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치과기공용 조각도를 번갈아 사용해야 하는 상황시, 작업대 위에 이를 늘어놓고 사용하고 있는바 필요한 치과기공용 조각도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정리정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7680호 '멸균기능을 갖는 치과용 의료기구 보관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각팁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여러 종류의 조각팁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할 수 있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는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탈착홈에 대응되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탈착홈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는 조각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치과기공용 조각도; 및 적어도 하나의 조각팁이 끼워지는 거치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이 폭 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면이 일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은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거치대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지게끔 거치홈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조각팁은 탈착홈과 탈착돌기의 결합시 탈착홈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둘레를 따라 링 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크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로부터 일단을 연결하는 중앙부가 상기 디스크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거치홈은 거치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의 중앙부와 디스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가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깊게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타측면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타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상기 거치대가 구비되는 보관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길이방향이 보관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구비되면서 보관본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본체의 하부에는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전개가능하면서 내측에 상기 바디부를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형태를 이루며 보관본체의 가장자리마다 접혀져 보관본체의 일측, 상측 및 타측을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거치대에 거치된 조각팁의 탈착돌기와 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포함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는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바디부; 및 일단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탈착홈에 대응되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탈착홈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는 조각팁;을 포함하되, 상기 조각팁은 탈착돌기의 끝단이 탈착홈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상기 탈착홈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측으로 끼움홈이 함입형성되고 끼움홈의 내측에 자석이 수용되는 파지관과, 파지관의 끼움홈에 결합되고 탈착홈이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의 상면에 형성된 거치홈에 조각팁이 끼워져 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조각팁을 거치한 상태에서 바디부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조각팁은 바디부를 결합시키기에 편안하게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거치되므로 조각팁의 신속한 변경과 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보관본체와 커버를 통해 거치대에 거치된 조각팁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는 동안 조각팁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휴대하는 과정에서 조각팁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각팁은 바디부에 자력으로 결합됨에 있어 자석과 조각팁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자석이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각팁을 달구어 사용시 자석이 퀴리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의 각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거치대에 조각팁이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거치대에 조각팁이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보관본체로부터 거치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보관본체에 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보관본체에 서랍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커버가 보관본체를 감싼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일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조각팁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 여러 종류의 조각팁을 용이하게 거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탈착홈에 대응되는 탈착돌기가 형성되어 탈착홈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는 조각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치과기공용 조각도; 및 적어도 하나의 조각팁이 끼워지는 거치홈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이 폭 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는 상면이 일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은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거치대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지게끔 거치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를 제안한다.
삭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는 치과기공용 조각도(100)와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먼저,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포함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인 바디부(110)와, 적어도 바디부(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조각팁(1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치과기공용 조각도(100)는 조각팁(120)이 바디부(110)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바디부(110)는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참홈(111)이 함입형성되고 탈착홈(111)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10)이 구비된다. 조각팁(120)은 일단이 소정의 형태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보철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조각팁(120)은 각각이 다른 형태를 이루는 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각팁(120)은 타단에 탈착홈(111)에 대응되는 탈착돌기(121)가 형성되어 탈착홈(111)에 끼워진 후 바디부(110)에 구비된 자석(10)의 자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자력에 의해 바디부(110)로부터 탈착되는 조각팁(120)으로 인해, 치과기공용 조각도(100)는 보철물 가공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조각팁(120)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탈착홈(111)은 각형을 이루면서 바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끔 테이퍼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탈착돌기(121)도 이러한 탈착홈(111)에 대응되게끔 각형을 이루면서 끝단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탈착돌기(121)가 탈착홈(111)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조각팁(120)은 탈착돌기(121)가 탈착홈(111)에 끼워짐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돌기(121)의 끝단이 탈착홈(111)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돌기(121)와 탈착홈(111)의 바닥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는바, 조각팁(120)은 상기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자석(10)의 자력에 의해 바디부(110)와 결합된다.
상기 공기층은 충격에 취약한 자석(10)이 조각팁(120)이 탈착되는 과정에서 조각팁(120)에 의해 직접 타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각팁(120)을 불에 달구어 사용시 열이 직접 자석(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자석(10)이 퀴리온도에 도달하여 자성을 잃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기층은 공기층이 형성되는 공간, 즉 탈착홈(111)의 바닥으로 미량의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조각팁(120)이 자석(10)에 의해 탈착되는데 무리가 없게끔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조각팁(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홈(111)과 탈착돌기(121)의 결합시 탈착홈(111)의 외측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둘레를 따라 링 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122)는 후술할 거치대(200)에 조각팁(1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불에 의해 달구어진 조각팁(120)을 분리시킴에 있어 분리시키는데 사용되는 파지부재가 디스크(122)를 감싸며 조각팁(12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122)는 탈착돌기(121)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조각팁(120)은 디스크(122)로부터 일단을 연결하는 중앙부가 디스크(122)보다 작은 폭(직경)을 가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측으로 끼움홈(112)이 함입형성되고 끼움홈(112)의 내측에 자석(10)이 수용되는 파지관(110a)과, 파지관(110a)의 끼움홈(112)에 결합되고 탈착홈(111)이 형성된 커넥터(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관(110a)과 커넥터(110b)로 분리구성된 바디부(110)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0)이 훼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치과기공용 조각도(100)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에 적용되는 거치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조각팁(120)이 끼워지는 거치홈(210)이 상면에 형성되어, 조각팁(120)이 거치대(200)의 폭 방향을 따라 거치된다. 거치대(200)의 상면은 일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바, 조각팁(120)은 타단, 즉 탈착돌기(121)이 형성된 단부가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거치대(20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지게끔 거치홈(210)에 끼워진다.
여기서의 거치홈(210)은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조각팁(120)의 중앙부와 디스크(122)를 수용할 수 있으며, 디스크(122)가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깊게 함입형성될 수 있다. 즉, 조각팁(120)의 중앙부와 탈착돌기(121)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크(122)가 거치홈(210)에 끼워지고, 조각팁(120)의 중앙부가 거치홈(210)에 일부가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 예로, 탈착돌기(121)이 거치대(200)로부터 돌출되고 상측에 위치하도록 거치대(200)에 끼워진 조각팁(120)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석(10)이 구비된 바디부(110)를 파지하여 조각팁(120)의 탈착돌기(121)가 끼워질 탈착홈(111)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기울인 상태로 탈착돌기(121)가 탈착홈(111) 내에 수용되도록 끼움으로써 자석(10)의 자력에 의해 바디부(110)와 조각팁(120)이 손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바디부(110)와 결합된 조각팁(120)에 대하여, 사용자는 조각팁(120)이 거치대(200)의 상면에 형성된 거치홈(210)에 끼워지도록 하고, 바디부(110)를 상향하는 대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디부(110)를 분리시켜 조각팁(120)이 손쉽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는 거치대(200)를 통해 조각팁(120)은 바디부(110)를 결합시키거나 바디부(110)를 분리시키기에 편안하게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거치되므로 조각팁(120)의 신속한 변경과 거치가 가능하며, 뿐만 아니라 거치대(200)에 복수 개의 거치홈(210)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조각팁(120)을 거치한 상태에서 바디부(11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복수 개의 조각팁(120)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거치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00)는 타측면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타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대(200)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폭이 확장됨에 있어 타측을 향해서만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거치대(200)의 타측면의 상측에는 탈착돌기(121)가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는 오목한 타측면에 바디부(110)를 파지한 손가락을 안착하면서 안정적으로 바디부(110)와 조각팁(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가 결합되어 거치대(200)에 거치된 조각팁(120)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본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본체(300)는 일 예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종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대(200)는 보관본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세워진 측벽 사이, 즉 보관본체(3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00)는 길이방향이 보관본체(30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조각팁(120)의 전체가 보관본체(3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대(200)는 보관본체(3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대(200)를 보관본체(300)와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본체(300)로부터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관본체(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전개가능하면서 내측에 바디부(110) 또는/및 조각팁(120)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3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주로 사용하는 조각팁(120)들을 거치대(200)에 거치하고, 사용빈도가 적거나 여유분으로 준비해둔 조각팁(120), 그리고 조각팁(120)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부(110)를 서랍(310)에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보관본체(300)의 가장자리마다 접혀져 보관본체(300)의 일측, 상측 및 타측을 감싸는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0)는 일 예로, 보관본체(300)의 일측편으로 펼쳐지도록 보관본체(30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보관본체(300)를 감싸게 되면 보관본체(300)의 타측을 감싸는 커버(400) 부분과 보관본체(300)의 타측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커버(300)가 보관본체(300)를 감쌀 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에 거치된 조각팁(120)의 탈착돌기(121)는 커버(300)의 내측과 접할 수 있다. 보관본체(300)을 감싼 커버(300)가 탈착돌기(121)를 살포시 누르게 됨으로써 커버(300)로 감싸진 보관본체(300) 내에서 조각팁(120)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를 이용하여 조각팁(120)을 휴대하더라도 휴대하는 과정에서 조각팁(120)이 거치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펼쳐지도록 하여 조각팁(1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조각팁(120)을 바디부(110)에 끼움에 있어 지면에 펼쳐진 커버(400)에 바디부(110)를 파지한 손을 얹을 수 있는바, 조각팁(120)이 바디부(110)와 결합되는 과정, 그리고 바디부(110)와 결합된 조각팁(120)을 거치홈(2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 흔들림없이 수행될 수 있다.
10 : 자석
100 : 치과기공용 조각도 110 : 바디부
110a : 파지관 110b : 커넥터
111 : 탈착홈 112 : 끼움홈
120 : 조각팁 121 : 탈착돌기
122 : 디스크
200 : 거치대 210 : 거치홈
300 : 보관본체 310 : 서랍
400 : 커버

Claims (8)

  1.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에 탈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홈(111)과 인접한 내부에 자석(10)이 구비되는 바디부(110)와, 일단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고 타단에 상기 탈착홈(111)에 대응되는 탈착돌기(121)가 형성되어 탈착홈(111)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석(10)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는 조각팁(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치과기공용 조각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조각팁(120)이 끼워지는 거치홈(210)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각팁(120)이 폭 방향을 따라 거치되는 거치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200)는 상면이 일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타측면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면서 타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거치대(200)의 타측면에 바디부(110)를 파지한 손가락을 안착한 상태로 조각팁(120)을 탈착할 수 있으며, 상기 조각팁(120)은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면서 거치대(20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지게끔 거치홈(210)에 끼워지는 한편,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이 상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상기 거치대(200)가 구비되는 보관본체(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200)는 길이방향이 보관본체(30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구비되면서 보관본체(3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팁(120)은 탈착홈(111)과 탈착돌기(121)의 결합시 탈착홈(111)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둘레를 따라 링 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크(122)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122)로부터 일단을 연결하는 중앙부가 상기 디스크(122)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거치홈(210)은 거치대(20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함입형성되어 상기 조각팁(120)의 중앙부와 디스크(122)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122)가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깊게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본체(30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전개가능하면서 내측에 상기 바디부(110)를 보관할 수 있는 서랍(3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판 형태를 이루며 보관본체(300)의 가장자리마다 접혀져 보관본체(300)의 일측, 상측 및 타측을 감싸는 커버(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400)는 거치대(200)에 거치된 조각팁(120)의 탈착돌기(121)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팁(120)은 탈착돌기(121)의 끝단이 탈착홈(111)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상기 탈착홈(11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는 관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내측으로 끼움홈(112)이 함입형성되고 끼움홈(112)의 내측에 자석(10)이 수용되는 파지관(110a)과, 파지관(110a)의 끼움홈(112)에 결합되고 탈착홈(111)이 형성된 커넥터(1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7. 삭제
  8. 삭제
KR1020190160112A 2019-12-04 2019-12-04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KR10216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12A KR102167656B1 (ko) 2019-12-04 2019-12-04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112A KR102167656B1 (ko) 2019-12-04 2019-12-04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656B1 true KR102167656B1 (ko) 2020-10-19

Family

ID=7304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112A KR102167656B1 (ko) 2019-12-04 2019-12-04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6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77Y1 (ko) * 2002-03-21 2002-06-22 김성일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치과 기공용 조각도
KR20080075404A (ko) * 2007-02-12 2008-08-18 차종대 용융 가공물용 전열 조각장치
KR101507680B1 (ko) 2014-02-12 2015-03-31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멸균기능을 갖는 치과용 의료기구 보관함
KR20180048511A (ko) * 2018-04-26 2018-05-10 박찬웅 자석을 이용한 탈착형 조각팁을 구비한 조각도
KR101861557B1 (ko) * 2017-02-03 2018-05-2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기공용 전열 조각장치
KR20190097434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공구 팁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77Y1 (ko) * 2002-03-21 2002-06-22 김성일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치과 기공용 조각도
KR20080075404A (ko) * 2007-02-12 2008-08-18 차종대 용융 가공물용 전열 조각장치
KR101507680B1 (ko) 2014-02-12 2015-03-31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멸균기능을 갖는 치과용 의료기구 보관함
KR101861557B1 (ko) * 2017-02-03 2018-05-2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기공용 전열 조각장치
KR20190097434A (ko) * 2018-02-12 2019-08-21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공구 팁 보호장치
KR20180048511A (ko) * 2018-04-26 2018-05-10 박찬웅 자석을 이용한 탈착형 조각팁을 구비한 조각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444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の型取りキャップ
JP2002191625A (ja) 歯科用器具
MY139264A (en) Insertion tool for ocular implan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60204920A1 (en) Dental articul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CA2733855C (en) Cover for a dental tool hanger and method for use thereof
AU6209298A (en) Teeth-cleaning device with a handle
KR102167656B1 (ko) 치과기공용 조각도 세트
USD437090S1 (en) Flosser tip holding cartridge for interproximal flossing tips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JP6793024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手術器具
US5820372A (en) Dental impression tray
USD957043S1 (en) Holder for vaping pod system
KR102390589B1 (ko) 치과 치료용 드라이버 홀더
USD993537S1 (en) Handle of the dental floss holder
JPH04288161A (ja) 歯科用医療装置
US10500018B2 (en) Multi-functional dental tool
CN215994396U (zh) 一种陶瓷内衬取出器
CN214318180U (zh) 一种带有保护套的义齿
KR101224278B1 (ko) 오랄팁 체결 보조 기구
JP6080296B2 (ja) 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ーのインスツルメント保持具及びインスツルメント保持具を用いた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ー並びにテーブル
KR20090000310A (ko) 치과용 분리형 드릴
KR200401044Y1 (ko) 치간 칫솔
JP2552531Y2 (ja) 歯科用ミラー装置
JP2005130997A (ja) 義歯用維持具および義歯維持装置
JPS6251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