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93B1 -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93B1
KR102166693B1 KR1020190027727A KR20190027727A KR102166693B1 KR 102166693 B1 KR102166693 B1 KR 102166693B1 KR 1020190027727 A KR1020190027727 A KR 1020190027727A KR 20190027727 A KR20190027727 A KR 20190027727A KR 102166693 B1 KR102166693 B1 KR 10216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seat
rotation shaf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708A (ko
Inventor
김근묵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가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운전 조작을 위한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에 모션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운송 수단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며, washout 알고리즘 없이 이를 구현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빙 시뮬레이터{DRIVING SIMULATOR}
본 발명은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에 모션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운송 수단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며, washout 알고리즘 없이 이를 구현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운송 수단을 실제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에 앉은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하는 것과 동일한 현장감을 전달하여 주는 장비이다.
이러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조작 수단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의 운송 수단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화면이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을 하는 것과 동일한 경험을 제공한다.
상기한 종래의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체험 효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환경과는 사뭇 다른 운전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에 모션을 구현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으나, 시트에 모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washout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이를 구현할 고가의 모션 플랫폼이 필수적이어서 상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5-01147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에 모션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운송 수단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며, washout 알고리즘 없이 이를 구현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가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운전 조작을 위한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프레임의 양 측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앙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3 회전축에 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축 단부는 제4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 제3 회전축 및 제4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5 회전축에 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축 단부는 제6 회전축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전축, 제5 회전축 및 제6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에 모션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운송 수단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며, washout 알고리즘 없이 이를 구현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조작 프레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200), 회전 프레임(200)에 제1 회전축(210)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축(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310)가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300), 시트 프레임(300)에 결합되며 운전 조작을 위한 조작 수단(410)이 설치되는 조작 프레임(400), 회전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조작 수단(410)의 조작에 따라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500) 및 시트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조작 수단(410)의 조작에 따라 시트 프레임(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600)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여러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근간이 되는 구성 요소로서, 복수 개의 스틸 바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메인 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스틸 바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지면에 닿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방 측(도 4의 좌측)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로 세워져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메인 프레임(100)이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결합된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여러 구성 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회전 프레임(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틸 바가 결합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한 회전 프레임(200)은 중앙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수직 프레임 상단에 제1 회전축(21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회전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 측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100)과의 회전 결합에 의해 회전 프레임(200)의 양 측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 프레임(200)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부가 메인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양 측이 상호 대칭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
시트 프레임(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틸 바가 결합되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회전 프레임(200)의 전방 측(도 4의 우측)에 제2 회전축(32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시트 프레임(300)의 가로 방향(도 3의 수평 방향) 길이는 회전 프레임(200)의 전방 측(도 4의 우측) 사이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200)의 전방 측 사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며, 제2 회전축(320)에 의해 시트 프레임(300)의 양 측이 회전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시트 프레임(300)의 내부에는 시트(310)가 고정 설치되어 시트 프레임(300)의 회전에 따라 시트(3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320)은 제1 회전축(210)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설치된다.
조작 프레임(400)은,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시트(3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이때, 조작 프레임(400)에는 록킹 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시트 프레임(300)과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 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수단(미도시)은 조작 프레임(400)이 회전되어 시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작동되는 것으로 시트 프레임(300)과 조작 프레임(400)을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한 조작 프레임(400)에는 운송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410)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용 조작 수단인 스티어링 휠,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및 기어 박스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송 수단의 종류에 따라 항공기나 선박의 조작 수단이 조작 프레임(4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부(510) 및 제1 연결부(510)에 설치되는 제3 회전축(511)에 본체(52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조작 수단(410)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522)의 단부가 회전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제1 액추에이터(5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5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부재를 제3 회전축(510)이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연결부(510)의 한 쌍의 부재 사이에 제1 액추에이터(520)의 본체(521)가 삽입되고, 제3 회전축(510)이 제1 연결부(510) 및 본체(52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제1 액추에이터(520)의 본체(521)가 제1 연결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제1 액추에이터(520)는 일반적인 유압 실린더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액추에이터(520)의 구동축(522) 단부는 회전 프레임(200)의 하부에 연결되는데, 제4 회전축(52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회전축(210), 제3 회전축(511) 및 제4 회전축(523)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제1 액추에이터(520)의 작동에 따라 구동축(522)이 상하로 구동되어 이와 연결된 회전 프레임(20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액추에이터(520)의 구동에 따라 회전 프레임(200)의 회전 각도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200)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300) 또한 횡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횡 가속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610) 및 제2 연결부(610)에 설치되는 제5 회전축(611)에 본체(62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조작 수단(410)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622)의 단부가 시트 프레임(300)에 연결되는 제2 액추에이터(620)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610)는 회전 프레임(200)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부재를 제5 회전축(611)이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2 연결부(610)의 한 쌍의 부재 사이에 제2 액추에이터(620)의 본체(621)가 삽입되고, 제5 회전축(611)이 제2 연결부(610) 및 본체(62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제2 액추에이터(620)의 본체(621)가 제2 연결부(6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제2 액추에이터(620)는 일반적인 유압 실린더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액추에이터(620)의 구동축(622) 단부는 시트 프레임(300)의 하부에 연결되는데, 제6 회전축(62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제2 회전축(320), 제5 회전축(611) 및 제6 회전축(623)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제2 액추에이터(620)의 작동에 따라 구동축(622)이 수평 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와 연결된 시트 프레임(300)이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2 액추에이터(620)의 구동에 따라 시트 프레임(300)의 회전 각도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시트 프레임(300)이 종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종 가속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5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초기 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상태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전 또는 착석한 직후의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 수단(410)의 스티어링 휠을 왼쪽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액추에이터(520)가 구동되어 구동축(522)이 상부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522)에 연결된 회전 프레임(200)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실제 좌회전을 하는 것과 유사한 횡 가속 체험을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 수단(410)의 스티어링 휠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액추에이터(520)가 구동되어 구동축(522)이 하부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522)에 연결된 회전 프레임(200)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실제 우회전을 하는 것과 유사한 횡 가속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6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초기 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상태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전 또는 착석한 직후의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조작 수단(410)의 가속 페달을 밟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액추에이터(620)가 구동되어 구동축(622)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622)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30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실제 가속을 하는 것과 유사한 종 가속 체험을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 수단(410)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경우,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액추에이터(620)가 구동되어 구동축(622)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축(622)에 연결된 시트 프레임(300)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31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실제 감속을 하는 것과 유사한 종 가속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500) 및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6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310)에 모션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운송 수단을 운전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며, washout 알고리즘 없이 이를 구현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사용자에게 실제 운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회전 프레임
210: 제1 회전축 300: 시트 프레임
310: 시트 320: 제2 회전축
400: 조작 프레임 410: 조작 수단
500: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510: 제1 연결부
511: 제3 회전축 520: 제1 엑추에이터
521: 본체 522: 구동축
523: 제4 회전축 600: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
610: 제2 연결부 611: 제5 회전축
620: 제2 엑추에이터 621: 본체
622: 구동축 623: 제6 회전축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가 배치되는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며, 운전 조작을 위한 조작 수단이 설치되는 조작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 및
    상기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트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종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은,
    상기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5 회전축에 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양 측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의 중앙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 가속 체험 제공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3 회전축에 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축의 단부가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구동축 단부는 제4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제3 회전축 및 제4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구동축 단부는 제6 회전축에 의해 상기 시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 제5 회전축 및 제6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KR1020190027727A 2019-03-11 2019-03-11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KR10216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27A KR102166693B1 (ko) 2019-03-11 2019-03-11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27A KR102166693B1 (ko) 2019-03-11 2019-03-11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08A KR20200108708A (ko) 2020-09-21
KR102166693B1 true KR102166693B1 (ko) 2020-10-16

Family

ID=7270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27A KR102166693B1 (ko) 2019-03-11 2019-03-11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4806A (zh) * 2021-01-11 2021-06-04 穆特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六自由度并联机器人洗出算法参数调节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5B1 (ko)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787A (ko) * 2006-11-20 2007-03-16 페르난도 스미트 컴퓨터 시뮬레이션 컨트롤 시스템
KR101487984B1 (ko) * 2013-04-02 2015-02-09 주식회사 제이와이디 게임시뮬레이터
KR102186271B1 (ko) 2014-04-02 2020-12-03 한국자동차연구원 드라이빙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976375B1 (ko) * 2017-02-01 2019-06-1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5B1 (ko)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모션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08A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455B1 (de) Gerät zum ausführen von bewegungen durch schwerpunktverlagerung und/oder muskelbetätigung eines menschlichen körpers
US20150030999A1 (en) Motion simulator
KR102166693B1 (ko)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CN206133992U (zh) 汽车模拟驾驶系统
EP29948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2013187A (zh) 具有持续性过载模拟能力的飞行模拟器系统
KR101695947B1 (ko) 모션 시뮬레이터
CN104637364A (zh) 一种旋转飞行模拟器
EP3147012A1 (en) Circulating dynamic vehicle viewing system
KR20210065287A (ko) 몰입형 가상 현실 기반 중장비 훈련 장치
US20110124413A1 (en) Haptic-simulation home-video game
CN212161017U (zh) 一种虚拟仿真操作台
KR20130035967A (ko) 가상현실 체감용 의자의 지지구조
KR101976375B1 (ko)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
EP3262624A1 (en) Immersive vehicle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GB2535729A (en) Immersive vehicle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CN202816250U (zh) 具有升降装置实现的二自由度平台的推土机模拟操作系统
KR20180047466A (ko) 모터사이클 시뮬레이션 게임시스템
CN206584581U (zh) 沉浸式虚拟现实实景驾驶系统
EP3804826A1 (en) Virtual simulation device
KR200434822Y1 (ko) 고소작업대 교육용 시뮬레이터
KR20170069626A (ko) 무한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굴삭기 시뮬레이터
KR102022723B1 (ko)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
US11931662B2 (en) Motion simulation apparatus
CN206584580U (zh) 沉浸式虚拟现实实景驾驶指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