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83B1 -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83B1
KR102166683B1 KR1020200029758A KR20200029758A KR102166683B1 KR 102166683 B1 KR102166683 B1 KR 102166683B1 KR 1020200029758 A KR1020200029758 A KR 1020200029758A KR 20200029758 A KR20200029758 A KR 20200029758A KR 102166683 B1 KR102166683 B1 KR 10216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facility
drone
signal
navigation
fligh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석
강영수
채지웅
이재학
김문수
이승희
김강섭
신교진
오오열
이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테크
Priority to KR102020002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가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비행 경로 산출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는 비행 경로 송신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는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NALSING NAVAID SIGNAL}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기착륙시스템(Instrument Landing System, 이하 ILS)은 지상에 설치된 장치가 접근이나 착륙을 위해 진입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지향성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항공기가 활주로로 진입하는 방향 및 각도를 알려준다.
종래의 항공기의 정밀 접근 및 착륙을 위한 신호측정기술로, ILS는 활주로 중심선의 정보를 제공하는 로컬라이저(Localizer), 활공각 정보를 제공하는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마커비콘(Marker Beac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칼라이저는 활주로 정지말단에서 300m 떨어진 거리에 활주로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로칼라이저 송신기가 108~112MHz 의 반송파 주파수를 90Hz 및 150Hz 저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면, 90Hz 와 150Hz변조신호의 세기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점이 착륙 시 수평진입경로가 되게 함으로써,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활주로 중심선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글라이드 패스는 활주로 진입말단 근처에 설치하며, 로칼라이저와 유사하게 90Hz 와 150Hz변조신호의 세기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지점이 착륙 시 3도 수직진입경로가 되게 함으로써,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에게 활공각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커비콘은 항공기가 계기접근비행 중에 직진입 접근로 또는 선회로의 특정지점 통과를 조종사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ILS의 신호특성은 여러 개의 배열안테나에서 개별적으로 송신된 신호가 공간상에서 공간변조 되어 생성하고자 하는 신호를 형성한다.
형성된 신호가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 항공기의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실제 괌에서 발생된 대한항공 추락사고는 비정상적인 ILS신호를 수신하여 발생한 사고이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된 장치에서 발생시키는 ILS의 신호가 정상적인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271호(2020.01.06. 등록)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항공분야 전파 및 영상분석 방법, 및 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이 측정한 ILS, VOR등의 항행시설 전파신호 품질을 관리자가 분석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론이 측정한 항행시설 신호를 관리자가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가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비행 경로 산출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는 비행 경로 송신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는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에 의하면 드론이 측정한 항행시설 신호를 관리자가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의 개략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이 전자장치에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의 개략 구성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가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비행 경로 산출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는 비행 경로 송신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는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비행 경로 산출 단계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는 비행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며,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실제 경로 및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는 상기 실제 경로를 중요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전자장치로서,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구비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통신부는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며, 상기 비행 경로로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이 전자장치에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드론(D)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상기 드론(D)과 아래에서 설명된 외부 서버(S)와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전자장치(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활주로에는 비행기의 접근 및/또는 착륙을 유도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신호 종류에 따라 로컬라이저(Localizer),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 마커비콘(Marker Beacon), 전방향무선표지시설(VOR), 전술항법장치(TACAN) 및/또는 거리측정시설(DM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론(D)은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도록 활주로 주변을 비행하면서 상기 신호 발생기가 송출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전자장치(10)가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외부 서버(S)로부터 획득하는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D)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비행 경로 산출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드론(D)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는 비행 경로 송신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드론(D)으로부터 상기 드론(D)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는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은 상기 전자장치(10)가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3은 상기 전자장치(10)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S10)는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 서버(S)는 국토교통부 항공정보서비스(AIS) 서버일 수 있으며, 공항에 대한 활주로의 위치, 길이, 로컬라이저 위치 등 상기 신호 발생기의 설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S10)에 의해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장치(10)는 정석 비행장, 김포 공항 등에 대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I1)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행 경로 산출 단계(S20)는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드론(D)이 비행해야 하는 상기 비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론(D)이 비행해야 하는 상기 비행 경로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에 포함된 활주로의 위치, 길이, 로컬라이저의 위치 등 상기 신호 발생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연산식으로 상기 비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자장치(10)를 이용하여 정석 비행장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10)는 정석 비행장에 대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드론(D)이 비행해야 할 비행 경로(I2)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행 경로 산출 단계(S20)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동시에 지도 상에 상기 비행 경로 및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장치(10)는 로컬라이저의 위치인 제1 포인트(P1)와, 마커비콘의 위치인 제2 포인트(P2)를 표시할 수 있으며, 드론(D)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측정해야 하는 시작점(P3)과 끝점(P4) 및 비행 경로(C1)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관리자는 상기 전자장치(10)를 통해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상기 비행 경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에 의해 산출된 상기 비행 경로는 상기 드론(D)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은 입력된 상기 비행 경로에 대응하여 비행을 하며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론(D)은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수신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분석하는 FPGA,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기,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S40)에서,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드론(D)으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S40)는 상기 전자장치(10)가 비행하는 상기 드론(D)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항행시설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드론(D)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드론(D)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상기 드론(D)이 위치하는 정보인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6 내지 도 8은 로컬라이저에 대한 신호 분석의 일 예를도시한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S50)에서는, 상기 전자장치(10)가 상기 드론(D)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S50)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상기 드론(D)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실제 경로 및 상기 드론(D)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제1 포인트(P1), 상기 제2 포인트(P2)뿐만 아니라, 드론(D)이 실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측정한 시작점(P3)과 끝점(P4) 및 상기 드론(D)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상기 실제 경로(C2)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제 경로 상에는 드론(D)이 위치하는 제3 포인트(DP)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3 포인트(DP)가 상대적으로 시작점(P3)에 가까이 있을 때, 도 7은 상기 제3 포인트(DP)가 시작점(P3)과 끝점(P4)의 중간에 있을 때, 도 8은 상기 제3 포인트(DP)가 상대적으로 끝점(P4)에 가까이 있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제3 포인트(DP)의 위치에서 측정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장치(1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는 DDM(Difference In Depth of Modulation), Power(Power of main career), M90(modulation depth of 90Hz signal), M150(modulation depth of 150Hz signal) 및 SDM(sum of modulation depth)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관리자는 상기 전자장치(10)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의 상기 제1 포인트(P1), 상기 제2 포인트(P2), 드론(D)이 실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측정한 시작점(P3)과 끝점(P4), 상기 드론(D)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상기 실제 경로 및 상기 제3 포인트(DP)를 통해 쉽게 현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보다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S50)는 상기 실제 경로를 중요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도는 측정된 상기 항행시설 신호의 값을 중요하게 모니터링 해야하는 구간과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모니터링 해야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간의 구분은 앞서 설명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10)가 연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장치(10)는 상기 실제 경로를 중요도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대적으로 중요한 구간은 붉은색 라인(C2-2)으로,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구간은 오렌지색 라인(C2-1)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상기 관리장치가 표시하는 지도 상에서 상기 제3 포인트(DP) 움직이게 스크롤, 드래그 등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포인트(DP)가 상기 실제 경로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3 포인트(DP)가 위치하는 곳에서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관리장치가 표시하는 지도 상에서 붉은색 라인(C2-2)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관리장치는 붉은색 라인(C2-2)에 해당하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의 구성도로서, 상기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앞서 설명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 상기 전자장치(10)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구비하는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0)는 상기 드론(D)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며, 상기 비행 경로로 이동하는 상기 드론(D)으로부터 상기 드론(D)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통신부(2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S) 및 상기 드론(D)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D)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산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산출부(1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데이터의 연산, 산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로부터 상기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전자장치
S: 외부 서버
D: 드론

Claims (5)

  1.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항행시설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비행 경로 산출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는 비행 경로 송신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비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는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행 경로 산출 단계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표시하며,
    상기 항행시설 신호 획득 단계는,
    비행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며,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실제 경로 및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항행시설 신호 표시 단계는,
    상기 실제 경로를 중요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드론을 이용하여 항행시설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에 있어서,
    활주로의 위치,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항행시설 정보를 구비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항행시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드론이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수신하는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통신부는,
    상기 드론으로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송신하며,
    상기 비행 경로로 이동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산출한 상기 비행 경로를 표시하며,
    상기 통신부는,
    비행하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상에 상기 항행시설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로부터 도출된 실제 경로 및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항행시설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제 경로를 중요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장치.
KR1020200029758A 2020-03-10 2020-03-10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16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58A KR102166683B1 (ko) 2020-03-10 2020-03-10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58A KR102166683B1 (ko) 2020-03-10 2020-03-10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83B1 true KR102166683B1 (ko) 2020-10-19

Family

ID=7304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58A KR102166683B1 (ko) 2020-03-10 2020-03-10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16B1 (ko) 2022-03-17 2022-08-04 우리항행기술(주) 근거리에서 비행하는 비행체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의 전파 품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76B1 (ko) * 2012-12-24 2014-07-22 한국공항공사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항행안전무선신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93327B1 (ko) * 2018-11-05 2019-06-27 주식회사 씨엔테크 통합 신호분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576B1 (ko) * 2012-12-24 2014-07-22 한국공항공사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항행안전무선신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93327B1 (ko) * 2018-11-05 2019-06-27 주식회사 씨엔테크 통합 신호분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16B1 (ko) 2022-03-17 2022-08-04 우리항행기술(주) 근거리에서 비행하는 비행체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의 전파 품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6869A (ko) 2022-03-17 2023-09-27 우리항행기술(주) 전파 품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5784A1 (en) Aircraft wake vortex predictor and visualizer
US10127821B2 (en)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airport traffic management
US20180308298A1 (en) Semi-automated drone for avionics navigation signal verification and methods of operation and use thereof
Sathaye et al. Wireless attacks on aircraft landing systems
KR101827351B1 (ko) 드론을 이용한 계기착륙 신호 분석 시스템
US9260199B2 (en) Aircraft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system
EP2975595B1 (en) Scalar product based spacing calculation
US10281586B2 (en) Transmission data for flight check
KR101449640B1 (ko) Ils전파 측정을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0987025A (zh) 对甚高频全向信标进行无人机飞行校验用的显示装置
KR102166683B1 (ko) 드론을 이용한 항행시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CA2136570A1 (en) Hybrid synthetic aircraft landing system
US3392390A (en) Aircraft radio landing aid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aircraft in space relative to a predetermined glidepath
US8249806B1 (en) System, module, and method for varying the intensity of a visual aid depicted on an aircraft display unit
KR101515203B1 (ko) 항공기의 공항 par 정밀 접근 정보가 항공기 조종석에 시각적으로 전시되는 시각적 par 관제 자동화 시스템
US105439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information for vehicle multi-function display electronics
RU2501031C2 (ru) Способ летных проверок наземных средств ради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полетов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932836B1 (ko) 항행안전무선시설의 테스트 베드 시스템
KR20090011476A (ko) 전자파 간섭원의 공간위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RU121386U1 (ru) Система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посадки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KR102065271B1 (ko) 드론을 이용한 항공분야 전파 및 영상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428516B1 (ko) 근거리에서 비행하는 비행체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의 전파 품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RU29901U1 (ru) Летно-тренир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с группового обучения
Smelyakov et al. Short-Range Navigation Radio System Simulator.
Barott et al. Passive radar for terminal area surveillance: performance feasibilit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