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23B1 -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23B1
KR102638223B1 KR1020220167651A KR20220167651A KR102638223B1 KR 102638223 B1 KR102638223 B1 KR 102638223B1 KR 1020220167651 A KR1020220167651 A KR 1020220167651A KR 20220167651 A KR20220167651 A KR 20220167651A KR 102638223 B1 KR102638223 B1 KR 10263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ll aircraft
aviation
signal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달주
김훈석
Original Assignee
이달주
김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주, 김훈석 filed Critical 이달주
Priority to KR102022016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08G5/0013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with a groun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 G08G5/025Navigation or guidance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부가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MFORMATION OF URBAN AIR MOBILITY}
본 발명은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항공기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항공 경로를 침범하지 않도록 소형 항공기의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항공 드론들과 같은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및 조종사가 탑승하는 초소형 항공기 등의 소형 항공기들이 상용 및 개인용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업들은 항공 드론들을 사용하여 고객들에게 제품들을 배달하기 시작했고 또는 이를 고려하고 있다.
개인이 특정 제공자로부터의 제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항공 드론이 제품을 개인의 집으로 배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공 드론들의 사용으로 인해 고객들에게 제품을 배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더 빨라지고 있다.
한편, 드론들은 또한 비 상업적인 용도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 사진 촬영과 관련하여 드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위치들 위 그리고 그 주위의 공역(airspace)은 여러 가지 이유들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의 기존의 항공기의 안전한 이륙 및 착륙을 보장하도록 공항 주위의 공역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국가적 스포츠 행사들, 정치 집회들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들과 관련하여 비행 금지 구역이 설정될 수 있다.
소형 항공기들의 조작자들은 일반적으로 현재의 항공 지도를 갖고 있거나 항공 차트들에 완전히 익숙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조작자(또는 조종사)들이 (예를 들어, 정치 집회 또는 유세장에 있는 동안 가동 중일 수 있는) 임시 비행 제한들과 같은 특정 타입들의 공역 제한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 항공기들이 기존이 유인 항공기의 항공 경로에 침범하고, 비행 금지 구역에 침범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존재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52107(2018.05.17. 공개)호에서는 무인 항공기들에 대한 비행 범위 제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항공기의 현재 위치 파악이 매우 중요하나, 단순히 범위 제한 제어 유닛(106)이 소형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포지션 신호를 수신하는 것 만으로는 다양한 환경 내에서 정확한 소형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 항공기가 비행함에 있어서,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 및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정확한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부가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소형 항공기가 비행함에 있어서,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 및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정확한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항공관련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항공관련신호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의 개략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개념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부가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에서 발사하는 계기 착륙 유도 신호, 공항정보방송시설에서 발사하는 공항 정보 신호 및 방송국에서 발사하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공항 정보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발사한 해당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항공관련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서 사용되는 항공관련신호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비행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드론 등의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및/또는 초소형 유인 항공기 등의 소형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현재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 또는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 정보를 관리자 및/또는 소형 항공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기존의 유인 항공기는 이미 설치된 공항에서 이륙, 착륙, 비행을 하는 대형 유인 항공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소형 항공기는 유인, 무인을 불문하고 기존의 공항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이륙, 착륙 장소에서 비행하는 소형 항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소형 항공기는 근래에 발전되고 있는 UAM(Urban Air Mobility)에 포함되는 비행체의 일 종일 수 있다.
우선, 도 1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항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공항 등의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전방향무선표지(VOR: Very High Frequency Omni-directional Radio), 거리측정표지(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등이 설치된 각 공항(인천 공항, 김포 공항, 서울 공항)을 기점으로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항행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공항 및 공항 근처에는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안전한 이륙, 착륙 및 비행을 유도하기 위해 항행정보를 생성하도록 수 많은 항공관련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공항에는 공항정보방송시설(ATIS: Automatic terminal information service)을 갖추고 있으며, 공항정보방송시설은 고유의 공항 정보 신호를 송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에 설치되어 제공되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통해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소형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례로,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기존의 계기착륙시스템(ILS) 등에서 송출하는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는 계기착륙시스템(ILS)에서 송출하는 신호로서 활주로 중심선의 정보를 제공하는 로컬라이저(LLZ: Localizer), 활공각 정보를 제공하는 글라이드 패스(GP: Glide Path), 활주로 진입로 상의 통과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마커비콘(MB: Marker Beacon)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방향무선표지(VOR), 거리측정표지(DME)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는 군용 항공기의 항법 시스템(TACAN: Tactical Air Navigation)에서 송출하는 TACAN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항공기의 위치, 식별부호, 편명, 고도, 속도 등의 정보를 탐지하여 관제사가 모니터를 통하여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레이더(RADAR)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더 신호는 1차 감시레이더(ASR:  Airport Surveillance Radar), 2차 감시레이더(SS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등이 송출하는 RADAR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각 공항에 설치된 공항정보방송시설(ATIS)에서 송출하는 공항 정보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항 정보 신호는 각 공항마다 고유의 신호를 송출하며, 공항의 이름, 식별번호,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공한 정보 신호는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TV, 라디오, DMB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FM, DMB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송 신호는 지상파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GPS 및/또는 GNSS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소형 항공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신호/정보/데이터를 외부 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부(100),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신호/정보/데이터를 처리/연산하는 프로세서(200),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신호/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00),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및/또는 GNSS(400),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500) 및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신호/정보/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소형 항공기에 설치되지 않고, 타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200)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소형 항공기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소형 항공기의 상기 통신부(10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및/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단말기, 데스크탑 등에 구비되어 있어도,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구현되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메모리부(300)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메모리부(300)는 소형 항공기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경로에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경로에 대한 정보인 비행 영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는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 정보뿐만 아니라 비행 금지 구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통신부(100)가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부(100)는 소형 항공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송출하는 외부 장치들로부터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0)가 수신하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레이더 신호, ATIS 신호 및/또는 방송 신호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프로세서(200)가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통신부(100)로부터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연산/처리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현 시점의 소형 항공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레이더 신호, 상기 ATIS 신호, 상기 방송 신호 및/또는 상기 GPS/GNSS 신호를 이용하여 소형 항공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들을 조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프로세서(200)는 실시간으로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레이더 신호, 상기 ATIS 신호, 상기 방송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GPS/GNSS(400)를 통해 상기 GPS/GNSS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ATI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GPS/GNSS 신호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신호들로부터 각각 산출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200)는 복수의 위치 정보들을 조합 및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재 위치 정보로 정의 및 최종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신호만으로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 보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신호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통해 산출한 위치 정보들을 조합하여 보정함으로써 매우 정확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일례로,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획득한 신호가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공항 정보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200)는 이 3개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 후, 복수의 위치 정보들을 조합 및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현재 위치 정보로 정의 및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레이더 신호, 상기 ATIS 신호,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발사한 해당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200)가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200)는 획득한 상기 공항 정보 신호에 포함된 공항 정보 및 식별 정보(식별 번호)를 통해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송출한 공항(공항정보방송시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송출한 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ILS)에서 송출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기초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현 시점에서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김포 공항의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하고, 김포 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ILS)에서 발사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하며, 인천 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ILS)에서 발사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200)는 김포 공항의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함에 따라 인천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김포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200)는 김포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와 상기 GPS/GNSS 신호, 상기 레이더 신호 등을 조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의 송수신 거리에 따른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대적으로 상기 방송 신호에 비해 우선적으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를 모두 획득한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방송 신호와 상기 GPS/GNSS 신호 등을 조합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프로세서(200)가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프로세서(200)는 산출한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서 소형 항공기의 위치와 상기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에 대한 정보 및/또는 비행 금지 구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소형 항공기가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에 침범 했는지 여부, 근접 거리 등에 대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프로세서(200)에 의해 산출되는 정보로서,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했는지 여부,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였다면 탈출 비행 방향에 대한 정보, 소형 항공기의 위치와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간의 근접 거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했을 때, 침범을 경고하는 제1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와 다른, 올바른 비행 위치임을 알리는 제2 피드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0)는 소형 항공기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는 소형 항공기의 이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소형 항공기의 비행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형 항공기의 이동 상태는 크게 이륙 상태, 비행 상태 및 착륙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륙 상태는 소형 항공기가 이륙 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이 고도까지 이륙하여 상승 이동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비행 상태는 상기 이륙 상태 완료 후 위도 및/또는 경도 방향으로 비행 이동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착륙 상태는 상기 비행 상태 완료 후 착륙 지점을 하강 이동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이용하여 소형 항공기의 상기 이동 상태, 즉 상기 이륙 상태인지, 상기 비행 상태인지 및 상기 착륙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00)는 미리 소형 항공기의 이륙 지점, 비행 경로 및 착륙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이용하여 소형 항공기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이륙 지점, 비행 경로 및 착륙 지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소형 항공기가 상기 이륙 상태인지(이륙 범위 내에 있는지), 상기 비행 상태인지(이륙 범위 및 착륙 범위를 벗어 났는지), 상기 착륙 상태인지(착륙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200)는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이용하여 산출한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거나 비행 금지 영역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소형 항공기의 상기 이동 상태가 상기 이륙 상태 및/또는 상기 착륙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소형 항공기의 상기 이동 상태가 상기 비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200)는 단순히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거나 비행 금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소형 항공기의 상기 이동 상태까지 고려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은 상기 통신부(100)가 상기 피드백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통신부(100)는 상기 프로세서(200)가 생성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데스크탑, 스마트폰 등의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S10)에 따르면, 소형 항공기가 비행함에 있어서,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 및 비행 금지 구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정확한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통신부
200: 프로세서
300: 메모리부

Claims (5)

  1.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가 항공관련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항공관련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가 기존의 유인 항공기의 비행 영역을 침범하는지 여부에 대한 소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항공관련신호는,
    공항에 설치된 계기착륙시스템에서 발사하는 계기 착륙 유도 신호, 공항정보방송시설에서 발사하는 공항 정보 신호 및 방송국에서 발사하는 방송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공항 정보 신호를 발사한 해당 공항의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 상기 공항 정보 신호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기 착륙 유도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소형 항공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167651A 2022-12-05 2022-12-05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KR10263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51A KR102638223B1 (ko) 2022-12-05 2022-12-05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51A KR102638223B1 (ko) 2022-12-05 2022-12-05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23B1 true KR102638223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651A KR102638223B1 (ko) 2022-12-05 2022-12-05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041A (ja) * 1997-08-05 1999-02-26 Toyo Commun Equip Co Ltd Gps位置通報システム
KR100819130B1 (ko) * 2007-05-02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항공기 착륙 방법
KR20170014817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드론 관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드론 관제 서버
KR20170060754A (ko) * 2015-11-25 2017-06-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041A (ja) * 1997-08-05 1999-02-26 Toyo Commun Equip Co Ltd Gps位置通報システム
KR100819130B1 (ko) * 2007-05-02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항공기 착륙 방법
KR20170014817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드론 관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과 드론 관제 서버
KR20170060754A (ko) * 2015-11-25 2017-06-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지역보강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29B1 (ko) 근접/편대내 위치결정 충돌 예방 시스템 및 방법
US9830828B2 (en) Systems and method for AIS transponder integration with ILS/VOR receivers
KR100583204B1 (ko) Tcas 디스플레이 및 수직속도계를 구비한 내부편대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JP3162156B2 (ja) 航空機統合誘導システム
US7437225B1 (en) Flight management system
US6473675B2 (en) Aircraft communication frequency nomination
EP3288006B1 (en) Community noise management with aircraft dynamic path variation
US2001004722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line-of-sight communications
EP2975595B1 (en) Scalar product based spacing calculation
WO2003025617A2 (en) Annunciation of the distance to a target position in a gps landing system
US20180096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vehicle travel
US10281586B2 (en) Transmission data for flight check
EP34707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temperature-compensated altitude information
US10026322B2 (en) Integrated controller-pilot datalink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10728341B2 (en) Vehicle defined source transmitter
US99535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ircraft landing guidance
US78984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mulating radio navigation instruments
EP289950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ly displaying intruder incorrect barometric setting
KR102638223B1 (ko) 소형 항공기의 도심항공정보 제공 방법
US20020009994A1 (en) Aircraft frequency identification
US20230095619A1 (en) Radio system for realising a precise landing approach based in microwaves and a method for realising a precise landing approach
RU2609625C2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бортового глонасс/gps-оборудования и gsm/gprs сетей в воздуш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классов c, g
US20190154825A1 (en) Virtualized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radios
EP4290501A1 (en) Approach system selection
Sathaye Towards Secure Autonomous Aerial Vehicle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