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531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531B1
KR102166531B1 KR1020180133925A KR20180133925A KR102166531B1 KR 102166531 B1 KR102166531 B1 KR 102166531B1 KR 1020180133925 A KR1020180133925 A KR 1020180133925A KR 20180133925 A KR20180133925 A KR 20180133925A KR 102166531 B1 KR102166531 B1 KR 10216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housing
conductor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110A (ko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3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5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삽입구를 복수 개 형성한 단위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유닛, 단위하우징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접하는 단위캡으로 이루어진 캡유닛, 및 대응되는 상기 단위하우징 각각의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위캡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단위하우징에 단위캡을 각각 조립하고, 이웃한 단위캡끼리 회로 패터닝을 설정함에 따라, 차종에 따라 회로의 확장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TERMINAL}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하우징에 단위캡을 각각 조립하고, 이웃한 단위캡끼리 회로 패터닝을 설정함에 따라, 차종에 맞게 회로의 확장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불용핀을 삭제하는 설계 변경이 용이한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내부에 복수개의 단자 핀들이 연결된 버스바가 구비되어 하나의 회로에서 복수의 회로로 전류를 분기하거나 반대로 복수개의 회로에서 하나의 회로로 전류를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인트 커넥터는 회로 구성에 따라서 단자 핀들의 개수가 설정되어 있어, 회로가 늘어나면 늘어난 수만큼의 회로로 구성된 다른 형태의 조인트 커넥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16핀 커넥터를 사용 중에 회로가 부족하면 30핀 커넥터를 개발하고, 다시 부족하거나 남으면 이에 맞는 커넥터를 개발하는 과정이 반복되고 있다.
회로수에 맞추어 개발된 조인트 커넥터는 연결이 용이하고 단자 핀들의 개수가 정확히 일치하게 때문에 일체감을 주는 등의 장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3255호(공개일: 2017.06.08., 발명의 명칭 : 커넥터 장치)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조인트 커넥터는 단자 핀 수에 따라 개발해야 하는 커넥터의 종류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 불량의 원인을 제공하며, 개발된 커넥터별로 품질을 확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위하우징에 단위캡을 각각 조립하고, 이웃한 단위캡끼리 회로 패터닝을 설정함에 따라, 차종에 맞게 회로의 확장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불용핀을 삭제하는 설계 변경이 용이하도록 한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삽입구를 복수 개 형성한 단위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유닛; 상기 단위하우징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접하는 단위캡으로 이루어진 캡유닛; 및 대응되는 상기 단위하우징 각각의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위캡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도전체를 포함한다.
동일한 상기 단위캡의 대응되는 각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도전체끼리는 접촉되지 않으며, 이웃한 상기 단위캡끼리의 대응되는 상기 도전체끼리는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캡은, 일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기준단위캡, 상기 기준단위캡에 직렬로 하나 이상 연결되는 연결단위캡, 및 상기 연결단위캡에 연결된 채 타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마감단위캡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단위캡과 상기 마감단위캡은 상기 도전체를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로만 연장 형성하며, 상기 연결단위캡은 상기 도전체를 하측면에서 양측 테두리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단위캡은 일측 테두리에 기준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마감단위캡은 타측 테두리에 마감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연결단위캡은 타측 테두리에 연결홈부를 함몰 형성하며, 일측 테두리에 연결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캡은, 상기 단위하우징의 일측을 막고,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도전체를 하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대응되는 단위하우징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에서 대응되는 단위하우징 측으로 절곡되는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하우징은 대응되는 상기 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양측에 결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단위하우징에 단위캡을 각각 조립하고, 이웃한 단위캡끼리 회로 패터닝을 설정함에 따라, 차종에 맞게 회로의 확장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불용핀을 삭제하는 설계 변경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단위하우징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분리된 단위캡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단위하우징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분리된 단위캡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단위하우징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분리된 단위캡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유닛(100), 캡유닛(200) 및 도전체(312,314,332,334)를 포함한다.
하우징유닛(100)은 복수 개의 단위하우징(110,120)을 나란하게 배치하고,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단위하우징(110,120)은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확장이 자유롭게 허용된다.
편의상, 하우징유닛(100)은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둘레면끼리 슬라이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제 1단위하우징(110)은 둘레면에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를 구비하고, 제 2단위하우징(120)은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를 구비한다.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와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가 상호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와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로킹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단위하우징(110)은 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1일측삽입구(112)와 제 1타측삽입구(114)를 형성한다. 이때, 제 1일측삽입구(112)와 제 1타측삽입구(114)는 나란하게 배치된다. 물론, 제 1단위하우징(110)은 하나 이상의 제 1일측삽입구(112)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 1타측삽입구(1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한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제 1단위하우징(110)의 일측에서 제 1일측삽입구(112)로 삽입되고, 다른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제 1타측삽입구(114)로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제 2단위하우징(120)은 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를 형성한다. 이때,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는 나란하게 배치된다. 물론, 제 2단위하우징(120)은 하나 이상의 제 2일측삽입구(122)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 2타측삽입구(12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는 대응되는 단자(도시하지 않음)의 삽입을 허용한다.
또한, 캡유닛(200)은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을 덮은 채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캡(210,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위캡(210,230)은 단위하우징(110,120)의 개수에 맞게 확장이 가능하다.
편의상, 단위캡(210,230)은 제 1단위하우징(110)의 일측을 덮는 기준단위캡(21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의 일측을 덮는 마감단위캡(2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단위캡(210,230)은, 일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기준단위캡(210), 타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마감단위캡(230)을 포함한다. 단위캡(210,230)은 절연재질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기준단위캡(210)과 마감단위캡(230)은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접하게 된다.
한편, 도전체(312,314,332,334)는 제 1단위하우징(110)의 제 1일측삽입구(112)에 삽입된 단자와, 제 2단위하우징(120)의 제 2일측삽입구(122)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 1단위하우징(110)의 제 1타측삽입구(114)에 삽입된 단자와, 제 2단위하우징(120)의 제 2타측삽입구(124)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전체(312,314,332,334)는 기준단위캡(210)에 구비되어 제 1일측삽입구(112)에 삽입되는 기준일측도전체(312), 기준단위캡(210)에 구비되어 제 1타측삽입구(114)에 삽입되는 기준타측도전체(314), 마감단위캡(230)에 구비되어 제 2일측삽입구(122)에 삽입되는 마감일측도전체(332), 및 마감단위캡(230)에 구비되어 제 2타측삽입구(124)에 삽입되는 마감타측도전체(334)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기준단위캡(210)은 기준일측도전체(312)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기준단위캡(210)은 기준타측도전체(314)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이때,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기준단위캡(210)에 본딩이나 이중 사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도체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기준단위캡(21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마감단위캡(230)은 마감일측도전체(332)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타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마감단위캡(230)은 마감타측도전체(334)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타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이때,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마감단위캡(230)에 본딩이나 이중 사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도체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마감단위캡(23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준단위캡(210)이 제 1일측삽입구(112)와 제 1타측삽입구(114)를 막도록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감단위캡(230)이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를 막도록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기준단위캡(210)의 일측 테두리와 마감단위캡(230)의 타측 테두리가 접하거나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기준일측도전체(312)와 마감일측도전체(332)가 접촉됨과 동시에 기준타측도전체(314)와 마감타측도전체(334)가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제 1단위하우징(110), 제 2단위하우징(120), 기준단위캡(210), 마감단위캡(230) 및 도전체(312,314,332,334)의 배열을 통해, 기본적인 통전 회로가 패터닝된다.
한편, 기준단위캡(210)과 마감단위캡(230)은 조립시 통전을 위해 방향성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예로서, 기준단위캡(210)은 일측 테두리에 기준돌부(216)를 돌출 형성하고, 마감단위캡(230)은 타측 테두리에 마감홈부(236)를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기준단위캡(210)이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단위캡(230)이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기준단위캡(210)의 기준돌부(216)가 마감단위캡(230)의 마감홈부(236)에 수용됨으로써, 통전 회로 패터닝을 위한 방향성 설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준단위캡(210) 및 마감단위캡(23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기준단위캡(210) 및 마감단위캡(230)은 각각 어퍼플레이트(242), 사이드플레이트(244) 및 리브(246)를 포함한다.
어퍼플레이트(242)는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을 막아 제 1일측삽입구(112), 제 1타측삽입구(114), 제 2일측삽입구(122) 및 제 2타측삽입구(124)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각 삽입구(112,114,122,124)로 삽입되어 대응되는 단자와 접촉되는 도전체(312,314,332,334)를 하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물론, 어퍼플레이트(2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사이드플레이트(244)는 각 어퍼플레이트(24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의 양측면과 제 2단위하우징(120)의 양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사이드플레이트(244)는 어퍼플레이트(242)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고,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물론, 사이드플레이트(2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리브(246)는 사이드플레이트(244) 각각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거나 내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물론, 리브(2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대응되는 리브(246)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결속구(256)를 형성한다.
리브(246)가 대응되는 결속구(256)에 수용됨으로써, 기준단위캡(210)은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감단위캡(230)은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기준돌부(216)까지 연장되고,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마감홈부(236)까지 연장된다. 그래서, 기준일측도전체(312)와 마감일측도전체(332)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기준타측도전체(314)와 마감타측도전체(334)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충분한 전류량이 확보된다.
아울러,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호환을 위해 각각 양측에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와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은 호환 및 연장 가능하도록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단위하우징을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서 분리된 단위캡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하우징유닛(100), 캡유닛(200) 및 도전체(312,314,322a,322b,324a,324b,332,334)를 포함한다.
하우징유닛(100)은 제 1단위하우징(110),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을 순서대로 배치한다.
이때, 제 1단위하우징(110),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로서, 제 1단위하우징(110)은 둘레면에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를 구비하고, 제 3단위하우징(130)은 일측 둘레면과 타측 둘레면에 제 3슬라이드결합부재(136)를 구비하며, 제 2단위하우징(120)은 둘레면에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를 구비한다. 그래서,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와 대응되는 제 3슬라이드결합부재(136)가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와 대응되는 제 3슬라이드결합부재(136)가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제 3단위하우징(13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 및 제 3슬라이드결합부재(136)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제 3단위하우징(130)은 설정된 회로 패터닝을 위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는데, 편의상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 3단위하우징(130)의 배치 개수에 따라, 회로 패터닝은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 1단위하우징(110)은 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1일측삽입구(112)와 제 1타측삽입구(114)를 형성한다. 제 3단위하우징(130)은 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3일측삽입구(132)와 제 3타측삽입구(134)를 형성한다. 제 2단위하우징(120)은 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를 형성한다.
이때, 단자는 회로 패터닝을 위해 제 1일측삽입구(112), 제 1타측삽입구(114), 제 3일측삽입구(132), 제 3타측삽입구(134), 제 2일측삽입구(122) 및 제 2타측삽입구(124)에 각각 삽입된다. 특히, 설정된 회로 패터닝을 위해, 제 3단위하우징(130)의 배열 개수는 정해진다.
물론, 제 1단위하우징(110), 제 2단위하우징(120) 및 제 3단위하우징(130)은 다양한 형상 및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유닛(200)은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 및 제 3단위하우징(130)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을 덮은 채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2단위하우징(120) 및 제 3단위하우징(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위캡(210,220,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위캡(210,220,230)은 단위하우징(110,130,120)의 개수에 맞게 확장이 가능하다.
상세히, 단위캡(210,220,230)은 제 1단위하우징(110)의 일측을 덮는 기준단위캡(210), 제 3단위하우징(130)의 일측을 덮는 연결단위캡(22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의 일측을 덮는 마감단위캡(2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단위캡(210,220,230)은, 일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기준단위캡(210), 타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마감단위캡(230) 및 기준단위캡(210)과 마감단위캡(23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단위캡(220)을 포함한다. 단위캡(210,220,230)은 절연재질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기준단위캡(210)과 연결단위캡(220)은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 3단위하우징(13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단위캡(220)과 마감단위캡(230)은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접하게 된다.
한편, 도전체(312,314,322a,322b,324a,324b,332,334)는 제 1단위하우징(110)의 제 1일측삽입구(112)에 삽입된 단자와 제 3단위하우징(130)의 제 3일측삽입구(132)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 1단위하우징(110)의 제 1타측삽입구(114)에 삽입된 단자와 제 3단위하우징(130)의 제 3타측삽입구(134)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3단위하우징(130)의 제 3일측삽입구(132)에 삽입된 단자와 제 2단위하우징(120)의 제 2일측삽입구(122)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 3단위하우징(130)의 제 3타측삽입구(134)에 삽입된 단자와 제 2단위하우징(120)의 제 2타측삽입구(124)에 삽입된 단자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전체(312,314,322a,333b,324a,324b,332,334)는 기준단위캡(210)에 구비되어 제 1일측삽입구(112)에 삽입되는 기준일측도전체(312), 기준단위캡(210)에 구비되어 제 1타측삽입구(114)에 삽입되는 기준타측도전체(314), 연결단위캡(220)에 구비되어 제 3일측삽입구(132)에 삽입되는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 및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 연결단위캡(220)에 구비되어 제 3타측삽입구(134)에 삽입되는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 및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 마감단위캡(230)에 구비되어 제 2일측삽입구(122)에 삽입되는 마감일측도전체(332), 및 마감단위캡(230)에 구비되어 제 2타측삽입구(124)에 삽입되는 마감타측도전체(334)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기준단위캡(210)은 기준일측도전체(312)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기준단위캡(210)은 기준타측도전체(314)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단위캡(220)은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 및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 즉 양측 테두리에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연결단위캡(220)은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와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 즉 양측 테두리에 걸쳐 구비된다. 특히,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 및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는 동일 연결단위캡(220)에서 서로 연결되고,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와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는 동일 연결단위캡(220)에서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마감단위캡(230)은 마감일측도전체(332)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타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마감단위캡(230)은 마감타측도전체(334)를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고, 하측면에서 타측 테두리면에 걸쳐 구비된다.
특히,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기준단위캡(21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와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는 연결단위캡(22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며,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와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는 연결단위캡(22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마감단위캡(23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때, 기준일측도전체(312), 기준타측도전체(314), 연결일측도전체(322a,322b), 연결타측도전체(324a,324b), 마감일측도전체(332) 및 마감타측도전체(334)는 대응되는 기준단위캡(210), 연결단위캡(220) 및 마감단위캡(230)에 본딩이나 이중 사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준단위캡(210)이 제 1일측삽입구(112)와 제 1타측삽입구(114)를 막도록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단위캡(220)이 제 3일측삽입구(132)와 제 3타측삽입구(134)를 막도록 제 3단위하우징(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기준단위캡(210)의 일측 테두리와 연결단위캡(220)의 타측 테두리가 접하거나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기준일측도전체(312)와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가 접촉됨과 동시에 기준타측도전체(314)와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가 접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3단위하우징(130)과 제 2단위하우징(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단위캡(220)이 제 3일측삽입구(132)와 제 3타측삽입구(134)를 막도록 제 3단위하우징(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감단위캡(230)이 제 2일측삽입구(122)와 제 2타측삽입구(124)를 막도록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연결단위캡(220)의 일측 테두리와 마감단위캡(230)의 타측 테두리가 접하거나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와 마감일측도전체(332)가 접촉됨과 동시에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와 마감타측도전체(334)가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단위하우징(110), 제 3단위하우징(130), 제 2단위하우징(120), 기준단위캡(210), 연결단위캡(220), 마감단위캡(230) 및 도전체(312,314,322a,322b,324a,324b,332,334)의 배열을 통해, 통전 회로 패터닝이 확장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준단위캡(210)과 연결단위캡(220) 및 마감단위캡(230)은 조립시 통전을 위해 방향성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예로서, 기준단위캡(210)은 일측 테두리에 기준돌부(216)를 돌출 형성하고, 연결단위캡(220)은 타측 테두리에 연결홈부(226)를 함몰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 테두리에 연결돌부(228)를 돌출 형성하며, 마감단위캡(230)은 타측 테두리에 마감홈부(236)를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기준단위캡(210)이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단위캡(220)이 제 3단위하우징(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감단위캡(230)이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기준단위캡(210)의 기준돌부(216)가 연결단위캡(220)의 연결홈부(226)에 수용되고, 연결단위캡(220)의 연결돌부(228)가 마감단위캡(230)의 마감홈부(236)에 수용됨으로써, 통전 회로 패터닝을 위한 방향성 설정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준단위캡(210), 연결단위캡(220) 및 마감단위캡(23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기준단위캡(210), 연결단위캡(220) 및 마감단위캡(230)은 각각 어퍼플레이트(242), 사이드플레이트(244) 및 리브(246)를 포함한다.
어퍼플레이트(242)는 제 1단위하우징(110),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의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을 막아 제 1일측삽입구(112), 제 1타측삽입구(114), 제 3일측삽입구(132), 제 3타측삽입구(134), 제 2일측삽입구(122) 및 제 2타측삽입구(124)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각 삽입구(112,114,132,134,122,124)로 삽입되어 대응되는 단자와 접촉되는 도전체(312,314,322a,322b,324a,324b,332,334)를 하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사이드플레이트(244)는 각 어퍼플레이트(242)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대응되는 제 1단위하우징(110)의 양측면과 제 3단위하우징(130)의 양측면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의 양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사이드플레이트(244)는 어퍼플레이트(242)에서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아울러, 리브(246)는 사이드플레이트(244) 각각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거나 내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물론, 리브(2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단위하우징(110),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은 대응되는 리브(246)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결속구(256)를 형성한다.
리브(246)가 대응되는 결속구(256)에 수용됨으로써, 기준단위캡(210)은 제 1단위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단위캡(220)은 제 3단위하우징(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감단위캡(230)은 제 2단위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기준일측도전체(312)와 기준타측도전체(314)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기준돌부(216)까지 연장되고, 제 1연결일측도전체(322a)와 제 2연결일측도전체(322b)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연결홈부(226)까지 연장되며, 제 1연결타측도전체(324a)와 제 2연결타측도전체(324b)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연결돌부(228)까지 연장되고, 마감일측도전체(332)와 마감타측도전체(334)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마감홈부(236)까지 연장된다. 그래서, 대응되는 도전체(312,314,322a,322b,324a,324b,332,334)끼리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충분한 전류량이 확보된다.
아울러,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은 호환을 위해 각각 양측에 제 1슬라이드결합부재(116)와 제 3슬라이드결합부재(136) 및 제 2슬라이드결합부재(1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단위하우징(110)과 제 3단위하우징(130) 및 제 2단위하우징(120)은 호환 및 연장 가능하도록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유닛 110: 제 1단위하우징
120: 제 2단위하우징 130: 제 3단위하우징
200: 캡유닛 210: 기준단위캡
220: 연결단위캡 230: 마감단위캡
312,314,322a,322b,324a,324b,332,334: 도전체

Claims (4)

  1. 하우징유닛; 상기 하우징유닛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유닛; 및 상기 캡유닛에 구비되는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유닛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1일측삽입구와 제 1타측삽입구를 형성한 제 1단위하우징,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2일측삽입구와 제 2타측삽입구를 형성한 제 2단위하우징, 선택적으로 상기 제 1단위하우징과 상기 제 2단위하우징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 3일측삽입구와 제 3타측삽입구를 형성한 제 3단위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단위하우징과 상기 제 2단위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제 1단위하우징과 상기 제 3단위하우징과 상기 제 2단위하우징을 상호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캡유닛은, 상기 제 1단위하우징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결합되는 상기 제 2단위하우징 또는 상기 제 3단위하우징 측으로 돌출되는 기준돌부를 형성하는 기준단위캡; 상기 제 2단위하우징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결합되는 상기 제 1단위하우징 또는 상기 제 3단위하우징 측으로 함몰되는 마감홈부를 형성하는 마감단위캡; 및 상기 제 3단위하우징 각각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기준돌부 측으로 함몰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감홈부 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돌부를 형성하는 연결단위캡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체는, 상기 기준단위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일측삽입구와 상기 제 1타측삽입구에 일대일 삽입되는 기준일측도전체와 기준타측도전체; 상기 마감단위캡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일측삽입구와 상기 제 2타측삽입구에 일대일 삽입되는 마감일측도전체와 마감타측도전체; 및 상기 연결단위캡 각각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제 3일측삽입구와 제 3타측삽입구에 일대일 삽입되는 연결일측도전체와 연결타측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일측도전체와 상기 기준타측도전체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기준돌부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감일측도전체와 상기 마감타측도전체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홈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마감일측도전체와 상기 마감타측도전체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연결돌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준일측도전체와 상기 마감일측도전체 및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일측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타측도전체와 상기 마감타측도전체 및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타측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캡은, 상기 단위하우징의 일측을 막고, 대응되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도전체를 하측면에서 돌출되게 구비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대응되는 단위하우징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에서 대응되는 단위하우징 측으로 절곡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하우징은 대응되는 상기 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양측에 결속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180133925A 2018-11-02 2018-11-02 조인트 커넥터 KR10216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25A KR102166531B1 (ko) 2018-11-02 2018-11-02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25A KR102166531B1 (ko) 2018-11-02 2018-11-02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10A KR20200051110A (ko) 2020-05-13
KR102166531B1 true KR102166531B1 (ko) 2020-10-16

Family

ID=7073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925A KR102166531B1 (ko) 2018-11-02 2018-11-02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5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39B1 (ko) * 2015-06-23 2017-03-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버스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648813B1 (ko) * 2016-12-20 202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10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813B1 (ko) 조인트 커넥터 조립체
KR100818015B1 (ko)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US3042895A (en) Interlocked electrical connectors
JP3040622U (ja) 差込みピンパネルを交換することができるコンバータ装置
JP2006202070A (ja)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CN104983142B (zh) 手表及其表带组件
US20190109404A1 (en) Patchboard
US7316590B2 (en) Data connector with changeable connector ke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66531B1 (ko) 조인트 커넥터
US4579412A (en) Coded transfer plug system
JPH1140242A (ja) ブロックコネクタ
US20040018775A1 (en) Installation couplers
RU227725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кловолокон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EP0954068A1 (en) A connector mold and a connector molding method
JP2009123565A (ja) ヒューズの取付構造及びその装着ケースの形成方法
CN101485050A (zh) 电连接器
TWM582140U (zh) Combined fiber optic adapter
KR101859732B1 (ko)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28B1 (ko) 분리형 멀티퓨즈
DE69222165T2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sicherung
KR200406416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의 개량구조
JPH07230864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10101812A1 (de) Optischer Steckverbinder
KR100715533B1 (ko) 파티션용 멀티탭
KR100614615B1 (ko) 키패드 제조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