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382B1 -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 Google Patents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382B1
KR102166382B1 KR1020190151417A KR20190151417A KR102166382B1 KR 102166382 B1 KR102166382 B1 KR 102166382B1 KR 1020190151417 A KR1020190151417 A KR 1020190151417A KR 20190151417 A KR20190151417 A KR 20190151417A KR 102166382 B1 KR102166382 B1 KR 10216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b
pier
buoyancy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령피앤씨
Priority to KR102019015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pier connected with a buoyancy body, which connects a floating pier to the sh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pier connected with a buoyancy body, which is a buoyancy body installed in an accommodating space of a floating pier having a floating pier body of a truss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accommodating space, comprises: a joint frame connected to a floating pier body; a plurality of buoyant material boards stacked and bonded having a joint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oating layer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and bonded buoyant material boards. The floating pier connected with a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tacking and bonding the buoyant material boards by having the joint frame,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pi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n, coat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and bonded buoyant material boards with a synthetic resin agent. Also, the floating pier connected with a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to the floating pier of a truss shape, can be simply manufactured, can be manufactured to adjust buoyancy by a buoyant material, and can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buoyancy body and also, the stiffness of the floating pier body during installation.

Description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본 발명은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잔교와 해안을 연결하는,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body is connected to a floating p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oyant body is connected to a floating pier that connects the shore and the floating pier.

일반적으로 부잔교는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사람이 타고 내리거나 하역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부잔교는 물에 부상 가능한 부력체를 구비하며, 부력체의 위에 일정면적의 상판이 설치된다.In general, a floating pier is a floating structure that moves freely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and is used for people to get on and off or to unload. The floating pier is provided with a buoyant body that can float on water, and a top plate of a certain area is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이러한 부잔교는 물에 접해 있는 부력체에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부력체를 수용하는 부분을 밀폐한다. 이와 같이 밀폐구조로 부잔교를 형성하는 경우 파도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므로, 부잔교에 충격이 가해지며 부잔교가 흔들려 전체적인 안정성이 떨어진다.Such a floating pier seals the part containing the buoyant body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buoyant body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case of forming a sub-pier with a clos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an impact is applied by waves or the like,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ub-pier and the sub-pier is shaken, resulting in poor overall stability.

또한 부잔교의 전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FRP와 같은 소재를 사용해서 부잔교를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하며, 부력체를 수용하는 부분을 밀폐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weight of the floating pier, a material such as FRP is used to make a floating pier. However, in this case, the overall cost increases, and the problem of sealing the part accommodating the buoyant body cannot be solved.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부잔교 전체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외부 충격 등에 의한 파손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파도와 바람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를 한국특허출원 제2019-0077386호로 출원한 바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led a truss-shaped sub-pier, which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sub-pier and prevent damage and shake due to external impacts, and minimize the vibration caused by waves and wind, a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9-0077386. I have a ba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277호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4277

본 발명은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제작을 간편하게 하며 부력재에 의한 부력을 조정하게 제작할 수 있는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pier with a buoyancy body tha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on a truss-shaped sub-pier, which simplifies manufacturing and can be manufactured to adjust the buoyancy by the buoyant materi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는 복수의 파이프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를 구비하는 부잔교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력체로서, 부잔교 본체에 연결되는 조인트 프레임와, 조인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부력재 보드와,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의 외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로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b-pier to which the buoya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s a buoyant body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ub-pier having a truss-shaped sub-pier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pipes form a receiving space, and connected to the sub-pier It includes a joint frame to be formed,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 boards laminated and bonded with the joint frame therebetween, and a coating layer coated with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and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조인트 프레임은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프레임으로서, 파이프의 끝단에는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에 연결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The joint frame is a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pipes are connected, and has a flange connected to a truss-shaped sub-bridge body at an end of the pipe.

조인트 프레임의 복수의 파이프는 부력체의 평면 중심에서 서로 이어지고, 플랜지는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한다.The plurality of pipes of the joint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and the flanges are stacked and positioned to protrude outside the corners of the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본 발명에 따른 부잔교의 부력체의 제작방법은 복수의 파이프가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를 구비하는 부잔교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력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부잔교 본체에 연결되는 조인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부력재 보드를 적층하여 접합한 다음,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의 외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제로 코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oyancy body of the sub-p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oyancy body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ub-pier, which has a truss-shaped sub-pier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pipes form an accommodation space.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 boards are laminated and bonded with the joint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n the laminated and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is coated with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합성수지제는 폴리우레탄 코팅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ynthetic resin is preferably a polyurethane coating.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에 의하면,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에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제작을 간편하게 하며 부력재에 의한 부력을 조정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부력체 자체의 강성 및 설치시 부잔교 본체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ub-pier to which the buoyant body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a truss-shaped sub-pier,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to adjust the buoyancy by the buoyant material.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보인 전체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부력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부력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3개의 각도로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서로 다른 제1 각도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파이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의 부잔교의 부잔교 본체의 하부 파이프에 앵커용 체인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부잔교의 계선주에 파이프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서로 인접한 두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는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에 결합되는 다른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부력체의 제작방법의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view showing an auxiliary pier to which a buoyancy body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b-pier of FIG. 1.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ub-pier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pipes of the sub-piers body of FIG. 1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uoyancy body of Figure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b-pier body of FIG. 1.
7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ipe reinforcement material is coupled to a pipe in the sub-pier of FIG. 1.
FIG. 8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pipe reinforcement member is coupled to a pipe in the sub pier of FIG. 1.
9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pipe in the sub-pier of FIG. 1.
10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are inserted into the pipe at three angles in the sub-pier of FIG. 1.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are inserted into a pipe to form a first angle and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ub-pier of FIG. 1.
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an anchor chain is coupled to a lower pipe of a main body of an auxiliary pier of FIG. 1.
13 is a view showing that a pipe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mooring column of the sub-pier of FIG. 1.
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b-jetty of FIG. 1 is combined with another sub-jetty.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first connecting pipes of two adjacent sub-pi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14.
1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ub-piers combined with each other in FIG. 14.
1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ub pier of FIG. 1 is coupled to another sub pier.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oyancy body of a sub-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를 보인 전체 도면이고, 도 2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잔교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1 is an overall view showing an auxiliary pier to which a buoyancy body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uxiliary pier of FIG. 1, and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auxiliary pier of FIG.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100)는 부잔교 본체(110), 부잔교 상판(120), 부력체(130), 파이프 보강재(140), 앵커용 체인(150), 조인트 파이프(160), 계선주(17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ub-pier 100 to which the buoyancy body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pier body 110, a sub-pier top 120, a buoyant body 130, and a pipe reinforcement 140 , It may include an anchor chain 150, a joint pipe 160, a mooring column 170.

부잔교 본체(110)는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가 서로 연결되어 트러스 형상을 이루며,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에 의해 복수의 수용 공간(110a)이 형성된다. 파이프(111, 112, 113, 114)는 부식을 방지하도록 SUS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작비용과 무게를 고려하여 적정한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111, 112, 113, 114)는 단면이 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The sub-pier main body 110 forms a truss sha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s 111, 112, 113, and 114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10a are formed by the plurality of pipes 111, 112, 113, and 114 do.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are made of SU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and are preferably manufactured with an appropriate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In this embodiment,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부잔교 본체(110)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 복수의 제1 연결 파이프(113), 복수의 제2 연결 파이프(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파이프(111)와 하부 파이프(11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 연결 파이프(113)는 상부 파이프(111)와 하부 파이프(11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 복수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 의해 부잔교 본체(110)가 육면체 형상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2 연결 파이프(114)는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와 복수의 하부 파이프(112)에 사선으로 결합된다. 부잔교 본체(110)가 제2 연결 파이프(114)를 구비함으로써 트러스 형상인 부잔교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부잔교 본체(110)는 직육면체가 적층된 형태가 될 수 있다.The sub-bridge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pipes 111, a plurality of lower pipes 112,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ipes 113,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ipes 114. The upper pipe 111 and the lower pipe 112 are loca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ipe 113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pipe 111 and the lower pipe 1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piers body 110 has a hexahedral shape by the plurality of upper pipes 111, the plurality of lower pipes 112,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ipes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ipes 114 are diagon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pper pipes 111 and the plurality of lower pipes 112. Since the sub pier body 110 includes the second connection pipe 114, the strength of the sub pier main body 110 having a truss shape can be reinforced. The sub-pierce body 110 may have a form in which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stacked.

본 실시예에서 부잔교(100)가 수상에 설치시, 하부 파이프(112)는 수면(L)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파이프(111)는 수면(L) 위에 위치한다. 부잔교 본체(110)가 직육면체가 적층된 형태인 경우에는 일부 하부 파이프(112)만이 수면(L)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ub-pier 100 is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the lower pipe 112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L and the upper pipe 111 is located above the water surface L. When the sub-bridge body 1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acked form, only some of the lower pipes 112 may be located under the water surface L.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111, 112, 113, 114)가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복수의 파이프(111, 112, 113, 114)를 결합시킨다. 이때 원통 형상인 파이프(111, 112, 113, 114)의 측면에 결합되는 파이프가 유격없이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파이프의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도 4는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ipes 111, 112, 113, and 114 are joined by welding a portion where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are in contac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allow the pipes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cylindrical pipes 111, 112, 113, and 114 to be joined without gap, the ends of the pipes to be joined are rounded inward.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pipes of the sub-piers body of FIG. 1 are coupled to each other.

부잔교 상판(120)은 부잔교 본체(110)의 복수의 상부 파이프(111) 상측에 결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철근콘크리트, 강판, 목재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여객의 승하선, 화물의 적양에 이용될 수 있다. 부잔교 상판(12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121)이 설치될 수 있다.The floating pier top plate 120 is a plate-shaped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upper pipes 111 of the auxiliary pier body 110, and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eel plate, and wood, and can be used for boarding and disembarkation of passengers and loading of cargo. have. A railing 121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upper pier 120.

도 5는 도 1의 부력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부력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buoyancy body of Figure 1,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body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b-piers body of Figure 1;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30)는 부잔교 본체(110)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 공간(110a)에 설치된다. 부력체(13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부력체(130)는 부잔교 본체(110)에 형성된 모든 수용 공간(110a)에 설치될 경우, 부잔교(100)에 유체(파도 및 바람)가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30)는 수용 공간(110a) 중 일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잔교 본체(110)에서 도교(부잔교와 해안을 연결하는 교, 도시안됨)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부력체(130)를 밀집되게 배치하여 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부력이 필요한 부분에는 부력체(130)를 집중하여 배치하고, 외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에는 부력체(130)의 수를 줄임으로써 부잔교(100)의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하다.As shown, the buoyancy body 13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10a formed in the sub-pier body 110. The buoyancy body 130 may be plural. When the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130 are installed in all the receiving spaces 110a formed in the sub-piers body 110, the influence of the fluid (wave and wind) on the sub-piers 100 increase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body 130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o secure a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However, the buoyancy body 130 may be densely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sub-jetty body 110 to which a footbridge (a bridge connecting the sub-jet and the coast, not shown) is connected to reinforce the buoyancy.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130 is concentrated and arranged in a portion requiring buoyancy, and the number of buoyant bodies 130 is reduced in a portion affect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auxiliary pier 100 can be efficiently manufactured.

부력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잔교 본체(110)에 연결되는 조인트 프레임(131)와, 조인트 프레임(131)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부력재 보드(132)와,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132)의 외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로 코팅된 코팅층(13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buoyancy body 130 includes a joint frame 131 connected to the sub-bridge body 110, and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 boards 132 laminated and bonded with the joint frame 131 interposed therebetween. , It includes a coating layer 133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and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132.

조인트 프레임(131)은 복수의 파이프(131-1)가 연결된 프레임으로서, 파이프(131-1)의 끝단에는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110)에 연결되는 플랜지(131-2)를 구비한다. 조인트 프레임(131)의 복수의 파이프(131-1)는 부력체(130)의 평면 중심에서 서로 용접 등으로 이어지고, 플랜지(131-2)는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132)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한다. The joint frame 131 is a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pipes 131-1 are connected, and has a flange 131-2 connected to the truss-shaped sub-bridge body 110 at an end of the pipe 131-1. A plurality of pipes (131-1) of the joint frame (131)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at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130), the flange (131-2) is laminated to the outside of the corner of the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132 It is located protruding.

조인트 프레임(131)은 부력체(1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제작되어 있으나, 중간에 하나의 조인트 프레임만 삽입되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프레임(131)은 파이프(131-1)에 의해 X자 형으로 부력재 보드(132)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하여 안정하게 지지되도록 배치하게 되어 있으나, +형으로 부력재 보드(132)의 측면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부력체의 제작방법은 후술한다.The joint frame 131 is manufactured by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oyancy body 130, but only one joint frame is inserted in the middle to be manufactured. In this embodiment, the joint frame 131 is arranged to be stably supported by protruding out of the corners of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in an X-shape by the pipe 131-1, but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in a +-type It may be arrang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oyancy body will be described later.

부력재 보드(132)는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로 형성된 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발포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재 보드(132)는 수용 공간(110a)의 형상에 따라 육면체 형상이다. 코팅층(133)는 폴리 우레탄으로 코팅된 층이지만, 다양한 합성수지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is a plate formed of expanded polystyrene (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oam materials capable of generating buoyancy may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has a hexahedr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The coating layer 133 is a layer coated with polyurethane, but may be coated with various synthetic resin coating agents.

부력체(130)를 부잔교 본체(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잔교 본체(110)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는 파이프 이음관(115)이 부착된다. 파이프 이음관(115)의 끝단에는 플랜지(115-1)가 형성된다. 부력체(130)가 부잔교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위치하면, 파이프 이음관(115)의 플랜지(115-1)와 조인트 프레임(131)의 플랜지(131-2)가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플랜지(115-1, 131-2)를 볼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In order to couple the buoyancy body 130 to the sub-bridge body 110, as shown in FIG. 6, a pipe connection pipe 115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113 of the sub-bridge body 110. A flange 115-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pe fitting pipe 115. When the buoyancy body 130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of the sub-bridge body 110, the flange 115-1 of the pipe fitting pipe 115 and the flange 131-2 of the joint frame 13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At this time, each of the flanges 115-1 and 131-2 is coupled by bolting or the like.

도 7은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일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는 도 1의 부잔교에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결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은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파이프에 3개의 각도로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는 도 1의 부잔교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가 서로 다른 제1 각도와 제2 각도를 이루도록 파이프에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ipe reinforcement material is coupled to a pipe in the sub pier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pipe reinforcement material is coupled to a pipe in the sub pier of FIG. 1,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are installed in the pipe in the sub-pier of FIG. 1, 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are inserted into the pipe at three angles in the sub-pier of FIG. 1, and FIG. 11 is It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are inserted into the pipe so as to form different first angles and second angles in the sub-piers of

파이프 보강재(140)는 부잔교 본체(110)를 이루는 파이프들(111, 112, 113, 1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파이프(111, 112, 113, 114)에 파이프 보강재(140)가 삽입됨으로써 파이프(111, 112, 113, 114)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부잔교(100)의 본체(110)가 트러스 형상인 경우, 파이프(111, 112, 113, 114)의 강성이 증가되는 것은 중요하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원기둥 형상, 각기둥 형상,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본체(110)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하는 점을 고려하면 파이프 보강재(140)가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 형상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파이프(111, 112, 113, 114)의 직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굽힘 모멘트)에 대한 대항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constituting the sub-bridge body 110. By inserting the pipe reinforcement material 140 into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the rigidity of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increases. In particular, when the main body 110 of the sub-pier 100 has a truss shap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The pipe reinforcement 14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prism shape, and a plate shape. Considering that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110 is to be reinfor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reinforcement 140 has a plate shape. This is because the plate-shaped pipe reinforcement 140 has a greater resistance to a load (bending moment) act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pes 111, 112, 113, and 114.

예로서, 파이프 보강재(140)는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111) 측면의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각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의 슬롯홀에 도달하게 된다.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슬롯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를 용접(W)한다. 용접(W)을 통해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며, 파이프(111)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pipe 111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To this end, slot holes may be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on the side of the pipe 111, respectively.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at the first position P1 to reach the slot hole at the second position P2. When the insertion of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completed, the pipe reinforcement 140 and the pipe 111 are welded (W) in each slot hole.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fixed through welding (W), an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pipe 111.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1) 측면의 제1 위치(P1)에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제2 위치(P2)에는 파이프 보강재(140)가 통과할 수 없는 천공홀이 형성된다. 천공홀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보강재(140)가 천공홀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 보강재(140)는 파이프(111)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롯홀과 천공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를 용접(W)한다. 이와 같이 제2 위치(P2)에 천공홀을 형성하여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면 슬롯홀을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A and 8B, a slot hole is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P1 of the side of the pipe 111, and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formed in the second position P2. A perforated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cannot pass.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may be formed.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of the first position P1 to reach the second position P2. At this time, since the pipe reinforcement 140 cannot pass through the perforated hole, the pipe reinforcement 1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 111. In this state, the pipe reinforcement 140 and the pipe 111 are welded (W) in the slot hole and the perforated hole. When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fixed by forming the perforated hole in the second position P2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to forming the slot hole,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하나의 파이프(111)에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The pipe reinforcement 140 may be plural.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 are inserted into one pipe 111 and fixed while being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111.

이 경우, 파이프 보강재(140)는 서로 이웃하는 파이프 보강재(140)와 파이프(111) 측면에 삽입되는 각도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a, 140b, 140b)가 3개 이상의 각도로 삽입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ipe reinforcement 140 may have different angle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pipe 111 and the pipe reinforcement 140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 are inserted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a, 140b, 140b may be inserted at three or more angles.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제1 파이프 보강재(140a)와 제2 파이프 보강재(140b)가 서로 다른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를 이룰 수 있다. 제2 각도(θ2)가 제1 각도(θ1)보다 작다. 파이프(111)가 가해지는 외력(F)에 대해 보다 강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각도(θ2)가 외력(F)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체(110)는 파이프(111)에 가해지는 외력(F)의 방향을 고려하여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pipe reinforcement 140a and the second pipe reinforcement 140b adjacent to each other may achieve different first angles θ1 and second angles θ2. have. The second angle θ2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θ1. In order to have a stronger rigidity against the external force (F) applied to the pipe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ngle (θ2) faces the external force (F). As such, the main body 110 may determin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ipe reinforcement 140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F applied to the pipe 111.

도 12은 도 1의 부잔교의 부잔교 본체의 하부 파이프에 앵커용 체인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showing that an anchor chain is coupled to a lower pipe of a main body of an auxiliary pier of FIG. 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00)는 하부 파이프(112)에 앵커용 체인(150)이 결합될 수 있다. 부잔교(100)는 고정을 위해 앵커가 필요한데, 앵커는 부잔교(100)와 수중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앵커용 체인은 수면 위로 자주 노출이 되면 빨리 부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앵커용 체인(150)이 수면 아래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부 파이프(112)에 결합된다. 앵커용 체인(150)과 하부 파이프(112)는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in the sub-brid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chor chain 15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ipe 112. The auxiliary pier 100 needs an anchor for fixing, and the anchor needs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auxiliary pier 100 and the underwater bottom surface. These anchor chains corrode quickly when exposed to water frequent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ipe 112 so that the anchor chain 150 can move only under the water surface to solve this problem. The anchor chain 150 and the lower pipe 112 may be joined by welding.

앵커용 체인(150)이 하부 파이프(112)에 결합되면, 하부 파이프(112)에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부 파이프(112)에 파이프 보강재(140)가 설치된다. 파이프 보강재(140)를 구비하는 하부 파이프(112)에는 앵커용 체인(150)이 결합되어도 하중(굽힘 모멘트)에 의해 하부 파이프(112)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즉, 파이프 보강재(140)는 도 12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112)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파이프(112) 측면의 제1 위치(P1)에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제2 위치(P2)에는 파이프 보강재(140)가 통과할 수 없는 복수의 천공홀이 형성된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보강재(140)가 복수의 천공홀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 보강재(140)는 파이프(111)의 내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롯홀과 복수의 천공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하부 파이프(112)를 용접한다. 이와 같이 제2 위치(P2)에 복수의 천공홀을 형성하여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면 슬롯홀을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는 하부 파이프(11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When the anchor chain 150 is coupled to the lower pipe 112,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pipe 112. In order to solve this, a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talled on the lower pipe 112. Even if the anchor chain 150 is coupled to the lower pipe 112 having the pipe reinforcement 140, the lower pipe 112 is not bent or broken by a load (bending moment). That is,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has a slot hole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P1 on the side of the lower pipe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112, as shown in the enlarged portion of FIG. In the second position P2,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through which the pipe reinforcement 140 cannot pass is formed.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of the first position P1 to reach the second position P2. At this time, since the pipe reinforcement 140 cannot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the pipe reinforcement 1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 111. In this state,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and the lower pipe 112 are welded in the slot hole and the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When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fix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in the second position P2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to forming the slot hole,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pipe reinforcement 140 may be plural. The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 are inserted and fixed while being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112.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 파이프(112)의 내부 빈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하부 파이프(112)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하부 파이프(112)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파이프(112)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므로, 부잔교(100)의 무게 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감소하는 등 전체적인 안정성이 증가된다.In another embodiment, concrete may be poured into an empty space inside the lower pipe 112.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lower pipe 112 and cured, the rigidity of the lower pipe 112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lower pipe 112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pier 100 is stably formed, and overall stability is increased, such as a decrease in vibration due to external force.

도 13은 도 1의 부잔교의 계선주에 파이프 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that a pipe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mooring column of the sub-pier of FIG. 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00)는 가장자리의 상부 파이프(111)에 로프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선주(170)가 결합될 수 있다. 계선주(170)는 어느 하나의 상부 파이프(111)와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되는 수직 파이프(171)와, 수직 파이프(171)의 일정 높이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파이프(172)를 포함한다. 이때, 수직 파이프(171)는 유격없이 상부 파이프(111)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수평 파이프(172)는 유격없이 수직 파이프(171)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As shown in FIG. 13, in the sub-p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mooring post 170 to which a rope is connecte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ipe 111 of the edge. The mooring column 170 includes a vertical pipe 171 that is coupled by welding a portion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upper pipes 111, and at least one that extends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pipe 171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nected rope. It includes a horizontal pipe 172. At this time, the vertical pipe 171 is processed to be rounded inward at the end to be joined to be joined to the upper pipe 111 without gap. The horizontal pipe 172 is processed to be rounded inward at the end to be coupled to be joined to the vertical pipe 171 without gap.

계선주(170)의 수직 파이프(171)에는 바람과 파도에 의한 부잔교(100)의 흔들림에 의해 수평 방향의 외력이 집중되므로 내부에 파이프 보강재(140)를 삽입하여 외력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 이를 위해 수직 파이프(171) 측면의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각 슬롯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보강재(140)는 제1 위치(P1)의 슬롯홀로 삽입되어 제2 위치(P2)의 슬롯홀에 도달하게 된다. 파이프 보강재(14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슬롯홀에서 파이프 보강재(140)와 수직 파이프(171)를 용접한다. 용접을 통해 파이프 보강재(140)를 고정하며, 수직 파이프(171)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가 수직 파이프(17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삽입되어 고정된다. Since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ncentrated in the vertical pipe 171 of the mooring column 170 by the shaking of the sub-pier 100 due to wind and waves, a pipe reinforcement 140 is inserted therein to reinforce the rigidity against external force. To this end, slot holes may be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on the side of the vertical pipe 171, respectively. The pipe reinforcement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slot hole at the first position P1 to reach the slot hole at the second position P2. When the insertion of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completed, the pipe reinforcement 140 and the vertical pipe 171 are welded in each slot hole. The pipe reinforcement 140 is fixed through welding, an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vertical pipe 171. The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 may be plural.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 members 140 are inserted and fixed while being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pipe 171.

이외에도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140)를 삽입하여 계선주(170)의 강성을 보강하는 형태는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methods described in FIGS. 8 to 11 may be used as a form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mooring column 170 by inserting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140.

도 14은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서로 인접한 두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에서 서로 결합된 부잔교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b pier of FIG. 1 is coupled to another sub pier,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connecting pipes of two adjacent sub pi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14,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mbined cross section of the combined sub-pier.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인접한 다른 부잔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부잔교의 인접한 부위 즉, 각 부잔교의 제1 연결 파이프(113)에는 조인트 파이프(160)가 각각 수평으로 설치된다. 조인트 파이프(160)는 유격없이 제1 연결 파이프(113)에 접합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끝단을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한다. 서로 인접한 조인트 파이프(160)의 끝단에는 플랜지(161)가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a sub-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other adjacent sub-pier. To this end, joint pipes 160 are installed horizontally at adjacent portions of each sub-pier,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ipe 113 of each sub-pier. The joint pipe 160 is processed to be rounded inward at the end of the joint pipe to be join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113 without gap. Flanges 161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ends of the joint pipes 160 adjacent to each oth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플랜지(161) 결합 부위에는 해상의 파도와 바람에 의해 하중(굽힘 모멘트)이 집중되므로 부잔교(100) 간의 연결구조가 취약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웃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설치한다. Since the load (bending moment) is concentrat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flange 161 of the joint pipes 160 by waves and wind at sea,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ub-piers 100 may become weak. To solve this, a joint pipe reinforcement material 165 is installed inside the neighboring joint pipes 160.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여 연통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조인트 파이프(160)의 끝단을 서로 플랜지(161) 결합함으로써 부잔교 연결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부잔교(100) 간의 연결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5 and 16, after inserting and fixing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material 165 into the joint pipes 160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the ends of the joint pipe 160 are flanged to each other. ) By combining, it is possible to safely mainta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piers 100 by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ub-piers.

이러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는 일정 길이의 제1 플레이트(165-1)와, 제1 플레이트(165-1)와 직교하게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제2 플레이트(165-2)를 구비한다.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는 플랜지(161) 결합부에 외력이 상하좌우 여러 방면으로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단면이 대칭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단면이 십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칭 구조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플레이트 갯수가 2개이나, 3개 이상의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부잔교 연결 부분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ncludes a first plate 165-1 of a certain length and a second plate 165-2 of a certain length that is orthogonally coupled to the first plate 165-1.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preferably formed in a symmetrical cross-section considering that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ange 161 in various direction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cross-sha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plates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two, but it is formed in a coupling structure of three or more to further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ub-bridge connection portion.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조인트 파이프(160)들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서로 결합되어 연통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플레이트(165-1)와 제2 플레이트(165-2)의 폭 방향 양단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홀(160a)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홀(160a)은 조인트 파이프(160)의 단부에서 조인트 파이프(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가이드홀(160a)의 길이는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In order to fix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material 165 inside the joint pipes 160, a first plate 165-1 and a second plate 16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guide holes 160a into which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can be slidingly inserted are form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160a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joint pipe 160 at the end of the joint pipe 160. The length of the guide hole 160a is formed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복수의 가이드홀(160a)을 통해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어느 하나에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가 삽입이 완료되면, 각 가이드홀(160a)에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와 조인트 파이프(160)를 용접(W)한다. 이후,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가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랜지(161)를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 단부에 용접(W)으로 결합한다.When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joint pipes 160 through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160a,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and the joint pipe 160 in each guide hole 160a Weld (W). Thereafter, the flange 161 is coupled to the end of any one of the joint pipes 160 by welding (W) while a part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protrudes to the outside of any one of the joint pipes 160.

각 가이드홀(160a)은 조인트 파이프(16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용접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측에는 복수의 용접홀과 연통되고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를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도시 생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Each guide hole 160a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elding hol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oint pipe 16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not shown)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welding holes and guide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are formed inside the joint pipe 160.

수상에서는 용접이 제한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상에서 부잔교(100) 간의 연결을 위해서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외부로 돌출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를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Welding is limited in water.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one (right) joint pipe 160 for connection between the sub-piers 100 on the water surface is the other (left) joint pipe 160 Insert sliding inside.

이때, 돌출된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일부는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 내벽에 접촉된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의 폭이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의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W)되는 부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인트 파이프 보강재(165)의 전체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서로 결합되는 조인트 파이프(160)들 중 다른 하나(좌측)의 내경이 어느 하나(우측)의 내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art of the protruding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joint pipe 160 of the other (left).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6, the width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left) joint pipe 16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ny one (right) joint pipe 160 and welded (W) It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ortion.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ntire width of the joint pipe reinforcement 165 is formed the sam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ther (left) among the joint pipes 160 coupled to each othe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any one (right). Can be formed.

다른 하나(좌측)의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또 다른 플랜지(161)가 결합되어 있어 이웃하는 조인트 파이프(160)의 플랜지(161)와 볼트 결합됨으로써 두 부잔교가 서로 연결된다.Another flange 161 is coupled to the joint pipe 160 of the other (left side), so that the two sub-bri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bolted to the flange 161 of the neighboring joint pipe 160.

도 17는 도 1의 부잔교가 또 다른 부잔교에 결합되는 다른 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ub pier of FIG. 1 is coupled to another sub pi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우측)의 조인트 파이프(16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3 플레이트(16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관통홀(160b)이 형성된다. 제3 플레이트(166)는 관통홀(160b)을 통해 삽입된 후, 어느 하나의 조인트 파이프(160)에 용접(W)으로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17, a third plate 166 fixed through the joint pipe 160 of any one (right side)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sub-p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a pair of through holes 160b facing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in any one of the joint pipes 160. After the third plate 166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60b, it is fixed to any one of the joint pipes 160 by welding (W).

각 조인트 파이프(160)에는 플랜지(161)가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어 수상에서는 조인트 파이프(160)의 플랜지(161)들과 제3 플레이트(166)를 볼트 체결하여 두 부잔교가 서로 연결된다.Each of the joint pipes 160 is coupled to each other by welding the flanges 161 so that the two sub-pi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olting the flanges 161 of the joint pipe 160 and the third plate 166 in the water.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부력체의 제작방법의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oyancy body of a sub-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부력체(130)는 부잔교 본체(110)에 연결되는 조인트 프레임(131)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부력재 보드(132)를 적층하여 접합한 다음(도 18의 a 및 b),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132)의 외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제로 코팅하면(도 18의 c). 부력체(130)의 제작이 완료된다(도 18의 d).As shown in (a) to (d) of FIG. 18, the buoyancy body 130 shown in FIGS. 5 and 6 is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s with a joint frame 131 connected to the sub-bridge body 110 interposed therebetween. After the board 132 is laminated and bonded (FIG. 18A and B), and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and bonded buoyancy material board 132 (FIG. 18C). Fabrication of the buoyancy body 130 is completed (FIG. 18D).

부력재 보드(132)에서 조인트 프레임(131)이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분에는 조인트 프레임(131)의 형상에 따라 먼저 홈이 형성되게 가공하여, 부력재 보드(132)를 맞추어 적층한다. 부력재 보드(132)의 접합은 다양한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가압 또는 열가압으로 접합될 수 있다.In the portion of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where the joint frame 131 is inserted and contacted, a groove is first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joint frame 131, and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is aligned and stacked. Bonding of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may be bonded with various adhesives or bonded by pressure or thermal pressure.

합성수지제는 폴리우레탄 코팅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양한 합성수지 코팅제로 코팅할 수 있다. 코팅방법도 스프레이 코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할 수 있다.The synthetic resin is preferably a polyurethane coating agent, but can be coated with various synthetic resin coating agents. The coating method can be co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spray coating.

조인트 프레임(131)과 부력재 보드(132) 및 코팅층(133)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130)의 구조 및 세부사항은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details of the buoyancy body 130 comprising the joint frame 131 and the buoyancy material board 132 and the coating layer 133 have been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S. 5 and 6,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부력재 보드(132)를 적층하여 부력체(130)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하면, 부력체(130)의 제작을 간편하게 하며, 부력재의 중간에 상이한 재질의 중간재 또는 부력 중간재 등을 삽입하거나 공간을 두어 부력재에 의한 부력을 조정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체 본체(110)의 수용 공간(110a)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 프레임(131)이 부력체(130)의 중간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력체(13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부력체(130) 자체의 강성을 높이고 부잔교 본체(110)에 설치시 부잔교 본체(110)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oyancy body 130 by stacking the buoyancy material boards 132 in this way, the manufacture of the buoyancy body 130 is simplified, and an intermediate material or an intermediate buoyancy material of a different material is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buoyancy material or It can be manufactured to adjust the buoyancy by the buoyant material. And, since the joint frame 131 for installa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a of the buoyancy body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middle of the buoyancy body 130, while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buoyancy body 130 ,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buoyancy body 130 itself and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sub-jetty body 110 when installed in the sub-jetty body 1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ality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100: 부잔교
110: 부잔교 본체 120: 부잔교 상판
130: 부력체 131: 조인트 프레임
132: 부력재 보드 132: 코팅층
140: 파이프 보강재 150: 앵커용 체인
160: 조인트 파이프 170: 계선주
L: 수면 W: 용접
100: floating pier
110: secondary pier main body 120: secondary pier upper plate
130: buoyancy body 131: joint frame
132: buoyancy material board 132: coating layer
140: pipe reinforcement 150: anchor chain
160: joint pipe 170: mooring column
L: water surface W: welding

Claims (5)

복수의 파이프가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트러스 형상의 부잔교 본체; 상기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부력체; 및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파이프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잔교 본체에 연결되는 조인트 프레임과, 상기 조인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접합되는 복수의 부력재 보드와, 적층되어 접합된 부력재 보드의 외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로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프레임은 복수의 파이프(131-1)가 연결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파이프(131-1)의 끝단에는 상기 부잔교 본체에 연결되는 플랜지(131-2)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프레임의 복수의 파이프(131-1)는 상기 부력체의 평면 중심에서 서로 이어지고, 상기 플랜지(131-2)는 적층되어 접합된 상기 부력재 보드의 모서리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고,
상기 부잔교 본체의 파이프에는 끝단에 플랜지(115-1)가 형성된 파이프 이음관(115)이 부착되어, 상기 부력체가 상기 부잔교 본체의 수용 공간에 위치할 때 상기 파이프 이음관(115)의 플랜지(115-1)와 상기 조인트 프레임의 플랜지(131-2)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A plurality of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A buoyancy body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on spaces of the sub-piers body; And a plurality of pipe reinforcement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t lea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pipes,
The buoyancy body includes a joint frame connected to the sub-bridge body,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 boards laminated and bonded with the joint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oating layer coated with synthetic resin 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buoyancy material board, ,
The joint frame is a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pipes 131-1 are connected, and has a flange 131-2 connected to the sub pier body at an end of the pipe 131-1,
The plurality of pipes (131-1) of the joint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and the flange (131-2) is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dge of the buoyant board laminated and joined,
A pipe fitting pipe 115 having a flange 115-1 formed at its end is attached to the pipe of the sub pier body, and when the buoyancy body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b pier main body, the flange 115 of the pipe fitting tube 115 -1) and the flange (131-2) of the joint frame is connecte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body is connected sub-pi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코팅제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synthetic resin is a floating pier connected to a buoyant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ated with a polyurethane coating agent.
KR1020190151417A 2019-11-22 2019-11-22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KR102166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7A KR102166382B1 (en) 2019-11-22 2019-11-22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17A KR102166382B1 (en) 2019-11-22 2019-11-22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382B1 true KR102166382B1 (en) 2020-10-15

Family

ID=7288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17A KR102166382B1 (en) 2019-11-22 2019-11-22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38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27B1 (en) * 2022-11-22 2024-01-16 주식회사 레미콘웍스 Anti-rolling floating pier
KR102629837B1 (en) 2023-06-23 2024-01-29 주식회사 빌드윈 Height-adjustable floating p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77B1 (en) 2002-11-21 2004-03-22 김임만 Floating pier
KR100692296B1 (en) * 2006-09-29 2007-03-12 이남서 High strength and lightweight floating pier
KR101070242B1 (en) * 2011-02-11 2011-10-06 주식회사 혁신 A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a pontoon storage frame
KR101273537B1 (en) * 2012-02-02 2013-06-17 최연호 A floating marine structure using a pontoon with the reinforcement buoy
KR20150054240A (en) * 2013-11-11 2015-05-20 장경식 Pontoon instal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77B1 (en) 2002-11-21 2004-03-22 김임만 Floating pier
KR100692296B1 (en) * 2006-09-29 2007-03-12 이남서 High strength and lightweight floating pier
KR101070242B1 (en) * 2011-02-11 2011-10-06 주식회사 혁신 A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a pontoon storage frame
KR101273537B1 (en) * 2012-02-02 2013-06-17 최연호 A floating marine structure using a pontoon with the reinforcement buoy
KR20150054240A (en) * 2013-11-11 2015-05-20 장경식 Pontoon install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27B1 (en) * 2022-11-22 2024-01-16 주식회사 레미콘웍스 Anti-rolling floating pier
KR102629837B1 (en) 2023-06-23 2024-01-29 주식회사 빌드윈 Height-adjustable floating p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200B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KR101083025B1 (en) A pontoon using floating pipe of polyethylenr as a floater
KR102166382B1 (en) Floating pier with buoyancy body
RU2452890C2 (en) Tank design
MXPA04007209A (en) Cellular spar apparatus and method of its construction.
FI80747C (en) SJOEBUREN PLATTFORM AV ARMERAD BETONG.
KR101009264B1 (en) Floating assembly for water surface structure
KR102166383B1 (en) Floating Pier connected by Pile Guide
KR100947584B1 (en) Extension structure of Barge and its method
KR101143949B1 (en) Pontoon equipped with a metal frame and floating structure with the same
RU2133690C1 (en) Water craft
KR100486448B1 (en) A floor structure reduced thickness with using H-steel beam and deep deck
KR102064125B1 (en) Floating pier with joint pipe
KR102050997B1 (en) floating structure
KR102105709B1 (en) floating structure
JP2001115416A (en) Connection structure of floating body for floating pier
KR102165949B1 (en) Floating Pier connected to Bridge Assembly
KR102064123B1 (en) Truss shaped floating pier
CN103038561A (en) Extruded elements
KR102605871B1 (en) Lashing bridge
RU2388647C2 (en) Floating structure consisting of several assembled floating elements and method to assemble said structure
US3800721A (en) Barge
CN109989340B (en) Ship collision preventing device with built-in frame structure
KR101510195B1 (en) Floating Pontoon Assembly
KR102605681B1 (en) Lashing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