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286B1 -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286B1
KR102166286B1 KR1020190024566A KR20190024566A KR102166286B1 KR 102166286 B1 KR102166286 B1 KR 102166286B1 KR 1020190024566 A KR1020190024566 A KR 1020190024566A KR 20190024566 A KR20190024566 A KR 20190024566A KR 102166286 B1 KR102166286 B1 KR 10216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mobile
prepaid
company serve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274A (ko
Inventor
차성열
박현정
조진우
김동진
남상우
김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9002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2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괄 초기화/일괄 복원을 수행할 수 있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Maximum card usage limit restoring method for deferred payment type prepaid card service}
본 발명은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의 사용금액 한도를 복원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불 모바일 카드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내재)된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여, 충전된 금액만큼 물품이나 서비스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카드이며, 이러한 선불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선불 모바일 카드의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는 이러한 선불 모바일 카드의 충전에 따른 결제대금을 추후에 연계되어 있는 신용카드 서비스를 통해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유심에 카드 정보를 저장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산폰과 같이, 유심을 이용한 교통카드 서비스가 불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유심이 파손되거나 고장 또는 도난될 경우에는 거래 정보에 대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선불카드사는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선불카드 결제 기능으로 결제한 총 거래 금액을 전달받아, 이를 취합하여 신용카드사로 전송하였기 때문에, 선불카드사와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의 과도한 통신량이 불가피하였다.
특히,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사용한도 금액을 복원하기 위해서, 종래의 국내등록특허 제10-1851325호("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계 사용금액을 신용결제 방법")에서는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여 선불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한 후, 각각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잔액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한도 금액만큼의 차액을 연산한 후, 해당 차액만큼만 충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과도한 통신량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과도한 연산량이 발생하는 문제점까지 포함하고 있다.
즉,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매입 요청을 진행함에 있어서, 모든 모바일 카드(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재 잔액 정보를 수신받은 후, 사용한도 금액만큼 충전하기 위한 차액을 연산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모바일 카드와의 과도한 통신량과 모든 모바일 카드의 차액을 연산하기 위한 과도한 연산량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51325호(등록일 2018.04.1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아닌 모바일 카드와 결제를 수행한 결제 단말기들을 통합 관리하는 가맹점 중앙 서버들로부터 결제 내역을 통합하여 선불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통합 결제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연산량과 통신량을 동시에 획기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카드가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기들의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가맹점 통합 서버, 선불카드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를 통해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있어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서버로 최초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선승인 요청단계(S1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최초 충전하는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기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기설정된 초기화 금액으로 일괄 초기화하는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추가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 및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초기화 단계(S300)에 의해 일괄 초기화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일괄 복원하는 사용한도 복원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는 상기 초기화 금액을 0원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와 결제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결제단계(600)를 더 수행하며, 상기 결제단계(S600)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 내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에 대한 추가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수동 충전단계(S70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이 기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소정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자동 충전단계(S80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를 수행하기 앞서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자동 충전을 위한 예비 선승인을 요청하는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를 더 수행하며,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상기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예비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예비 선승인 금액 내에서 상기 소정금액을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기설정된 소정주기 동안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적은 경우,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기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이용한 금액에 따라 혜택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혜택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기 앞서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충전이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포인트 정보에 기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하는 포인트 변환단계(S91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결제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를 수행할 때,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에 의해 추가된 사용한도 금액을 선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고 난 후,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한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대한 반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기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상기 포인트 정보로 재변환하는 재예치 단계(S92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괄 초기화/일괄 복원을 수행하고,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승인된 거래내역을 제공받기 때문에, 개별 모바일 단말기의 잔액을 통한 한도금액 복원의 추가 연산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HCE 기법을 기반으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카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의 유심칩이 아닌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유심칩의 유무나 동작 상태와는 무관한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결제에 따른 결제내역의 통합, 청구금액의 산출 및 매입승인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승인된 거래내역을 제공받아 이를 통합하여 결제내역을 제공함으로써,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청구금액의 산출 및 매입승인을 요청하는데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맹점 중앙 서버는 다수의 결제 단말기들과 연결되어 있는 만큼, 이미 신뢰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은 바, 가맹점 중앙 서버를 통해서 통합된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 한도 복원 방법의 추가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의 상세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상세하게는 모바일 카드가 설치(내재)된 모바일 단말기,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기들의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각 가맹점별 가맹점 통합 서버, 선불카드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를 통해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모바일 카드가 내재된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 다수의 가맹점들을 통합 관리하면서 각각의 가맹점에 구비되어 있는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결제내역을 전송받아 통합 관리하는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각각의 가맹점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앙 서버를 포함), 선불카드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를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복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활하게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HCE(Host Card Emulation) 기법을 기반으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유심칩 장착 유무와는 무관하게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HCE 기법이란, 클라우드에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방식으로서, 카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의 유심칩이 아닌 클라우드에 보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결제시마다 활성화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에는 어떠한 카드 정보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도난/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신용카드 정보의 유출이나 부정 사용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장점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유심칩 장착 가능 유무/장착 여부와는 무관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결제내역과는 무관하게 모바일 단말기와의 결제를 수행한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좀 더 자세하게는, 가맹되어 있는 결제 단말기들을 통합 관리하는 각 가맹점별 가맹점 중앙 서버들로부터 결제내역 정보를 전송받음으로써, 종래의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에 비해 결제내역의 통합, 청구금액의 산출 및 매입승인을 요청하는데 발생하는 통신량과 연산량이 획기적으로 감축되어 처리속도의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가맹점 중앙 서버 역시 각 가맹점별로 구비되기 때문에 다수개로 이루어지지만,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단말기들과 그 개수가 적은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통신량과 연산량을 매우 획기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미 신뢰성이 입증된 높은 신뢰성의 가맹점 중앙 서버를 이용하여 매입 산출을 수행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교 연산 과정 또한 필요치 않아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승인 요청단계(S100),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 사용한도 복원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에 앞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가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면서 신용카드 정보, 모바일 카드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이를 전달받아 연계되어 있는 클라우드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는 전달받은 상기 모바일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 모바일 단말기별 가상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카드 정보와 상기 가상 카드정보를 매칭시켜 이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모바일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최초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최초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는 미리 충전되어 있는 사용한도 금액을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되, 결제금액에 대한 청구는 추후에 신용카드사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를 통한 신용카드사를 통한 선승인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신용이 보장되어 상기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에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상기 모바일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카드의 정상여부나 상기 모바일 카드의 신용도 등을 기반으로 상기 선승인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요청하는 선승인 금액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당시, 입력받은 사용한도 금액이거나, 선불카드사 서버와 신용카드사 서버 간의 협의를 통해서 사전에 정해진 사용한도 금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미리 설정된 초기화 금액을 일괄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모바일 카드의 결제내역이나, 현재 잔액(남아있는 사용한도 금액)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미리 설정된 초기화 금액을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각각의 모바일 카드와의 통신을 통해서, 현재 남아있는 잔액을 파악하고 파악한 잔액을 기반으로 부족한 부분만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 경우, 각각의 모바일 카드와의 통신에 의한 불필요한 통신량과 잔액 연산/잔액만큼만의 충전 등의 불필요한 연산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의 경우, 상기 모바일 카드의 현재 남아있는 잔액을 고려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초기화 금액을 일괄 초기화를 진행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량/연산량을 해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모바일 카드의 결제내역이나, 현재 잔액(남아있는 사용한도 금액)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미리 설정된 초기화 금액을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초기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초기화 금액으로 '0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0원'의 일괄 초기화가 가능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제내역을 이용한 청구금액 산출이나, 매입승인 요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개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결제를 수행한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내역을 제공받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연산량을 감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로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결제 사용이 가장 적은 시점으로 1일 반복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0시 ~ 3시 사이로 1일 반복 주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량이 가장 적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데 영향이 미치지 않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상술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일괄 초기화를 통해서, 추후에 상기 모바일 카드의 결제내역을 통한 청구금액을 산출하거나, 매입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를 통한 결제내역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모바일 카드와 결제를 진행한 결제 단말기의 결제내역 정보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청구금액을 산출하거나, 매입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의 연산량을 효과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추가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한도 복원단계(S5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에 의해 일괄 초기화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일괄 복원할 수 있다.
즉, '0원'으로 일괄 초기화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다시 재충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또한 일괄 초기화에 맞춰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를 통한 신용카드사를 통한 선승인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신용이 보장되어 상기 사용한보 복원단계(S500)에서의 사용한도 금액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는 상기 모바일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카드의 정상여부나 상기 모바일 카드의 신용도 등을 기반으로 상기 선승인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요청하는 선승인 금액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당시, 입력받은 사용한도 금액이거나, 선불카드사 서버와 신용카드사 서버 간의 협의를 통해서 사전에 정해진 사용한도 금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최초 충전 금액과 추가 충전(복원) 금액을 동일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1일 반복 주기로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에 대한 일괄 초기화와 일괄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1일 동안 선불 결제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는 평균 금액을 책정하여 선승인 또는 추가 선승인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 또는 상기 사용한도 복원단계(S500)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충전된 상기 모바일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단계(S60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이 부족할 경우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가 돌아오기 전에 추가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단계(S6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결제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단계(S600)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 내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부정사용/불법사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제단계(S6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활성화 상태일 경우, 활성화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면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결제 영수증, 결제 잔액 등을 활성화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미리 설정하여 제공되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이 부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가 지나야만 새롭게 상기 사용한도 금액이 충전되지만,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가 지나기 전에,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위한 요청정보가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위하여 수동 충전단계(S700), 자동 충전단계(S800) 및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정보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에 대한 추가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를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서 필요한 요청금액을 입력할 수 있으며 요청금액이 입력될 경우 이를 포함하여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요청금액만큼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충전금액의 결제가 후청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신용카드사의 선승인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를 수행할 때, 또는,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로 전송될 경우,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요청하는 선승인 외에 만약에 발생할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를 대비한 예비 선승인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는 예비 선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소정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결제단계(S600)에 따른 상기 사용한도 금액의 잔액이 연산되고, 연산한 상기 잔액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이를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소정금액만큼 추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각각의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잔액을 연산하는 것이 아니라, 잔액 연산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하나의 동작에 불과하며, 동작 결과에 따라 상기 잔액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이를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소정금액만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소정금액이란,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입력하거나,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와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미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액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 역시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와 마찬가지로 예비 선승인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자동 충전을 위한 예비 선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는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를 수행할 때,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결과에 따라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로 잔액의 추가 요청이 전송될 경우,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요청하는 선승인 외에 만약에 발생할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를 대비한 예비 선승인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아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임의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불법/악용될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동안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적은 경우에만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이 아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임의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진행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추가 횟수 뿐 아니라,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를 통해서 추가 충전된 사용한도 금액이 미리 설정해놓은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동안의 사용한도 금액 내에서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자면, 하루 사용한도 금액을 15만원으로 설정해놓고, 충전 추가 횟수를 3회로 설정해놓을 경우,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최초 충전된 이후 상기 잔액이 미리 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5만원씩 3회까지만 자동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횟수와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동안(일일)의 사용한도 금액을 고려하여 이들을 초과하는 자동충전을 방지함으로써, 사용한도 금액을 불법/악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후에 과도한 청구가 이루어지는 것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미리 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이용한 금액에 대한 혜택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혜택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는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 자동 충전단계(S800)와는 달리,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와의 직접 통신없이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는 선불카드사와의 통신이 필요치 않아 경우에 따라 상기 선불카드사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간의 통신이 안정적이지 않아, 상기 수동 충전단계(S700)를 요청하거나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일명 '긴급 충전'이다.
이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결제 단말기 간의 통신만을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는 상기 결제 단말기를 통합 관리하는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를 통해서 결제내역을 전송받기 때문에,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결제 불능이나 거래내역 중복 연산, 결제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미리 제공된 포인트 정보란,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카드를 통해서 결제를 이용하는 과정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등을 통해서 제공받은 마일리지, 포인트 등을 의미하며, 이렇게 제공받은 상기 포인트 정보를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위한 금액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 간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에 변환하여 저장하고 있는 금액을 통해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긴급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기 앞서서, 포인트 변환단계(S91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인트 변환단계(S910)는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포인트 정보에 미리 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인트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결제에 따른 보너스 포인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이벤트에 따른 추가 마일리지, 출석 마일리지, 친구추천 마일리지, 특정 가맹점 이용시 더블 적립 보너스 포인트 등)에 따라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의 변환 비율을 상이하게 또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서 제공받은 상기 포인트 정보에 대한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의 변환을 요청할 경우, 상기 포인트 정보에 미리 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만약에 경우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와 모바일 단말기 간의 통신두절 상태에서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하고 있는 변환한 충전 가능한 금액을 긴급 추가 충전하여, 모바일 카드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은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진행되는 일괄 초기화에 따라 '0원'으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일괄 초기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통해서 추가된 금액은 다음 결제시 선사용되도록 결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사용자의 결제 서비스 이용과정에 따라,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통해서 추가 충전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고 난 후, 재예치 단계(S920)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예치 단계(S920)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한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대한 반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미리 설정된 비용을 적용 연산하여, 상기 포인트 정보로 재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되지 않은 변환한 금액을 다시 포인트 정보로 재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포인트 변환단계(S910)를 수행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한 추가 충전한 금액에 대한 반환을 요청할 경우, 해당 금액에 미리 설정된 비율을 다시 적용 재연산하여 상기 포인트 정보로 재변환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결제에 따른 거래내역에 따른 결제금액 산출과정, 매입승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래에 비해 훨씬 적은 통신량과 연산량을 통해서 상기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거래내역을 생성하는 과정으로는,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 가맹되어 있는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결제내역을 전달받아, 이를 통합하여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바일 카드로부터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결제내역 정보를 전달받기 때문에 선불카드사 서버에서의 연산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는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의 결제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 단말기들은 가맹시,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와 가맹 전용 통신망 또는 미리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서 연결되게 되며,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를 통한 결제내역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서, 상기 결제 단말기의 수입이 책정되는 만큼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는 이미 고신뢰도를 갖는 통신망, 통신채널 등의 통신방법과 저장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렇게 각각의 가맹점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 각 가맹점으로 연계되어 있는, 즉, 가맹되어 있는 상기 결제 단말기들로부터 결제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통합하여 해당 가맹점의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래내역 정보란, 하나의 가맹점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소정주기 동안(1일 반복 주기)의 거래내역 정보를 의미하며, 하나의 가맹점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맹점(다수의 결제 단말기)을 각각 통합 관리하는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각 가맹점의 통합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거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소정시점마다 제1 소정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생성한 통합된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단말기들과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는 가맹 당시 이미 신뢰성이 증명된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하나,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 간의 통신의 경우, 그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리 설치된 전용회선을 통해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설치된 전용회선은 유선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자면, 거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 각각으로부터, 즉,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소정시점마다 제1 소정시간 동안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소정시점이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와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선불카드 결제내역을 정산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소정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매 0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소정시점은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결제 단말기들 각각으로부터 결제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통합하여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한 이후의 시점,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맹점 하루 영업이 종료되고 이에 따라 가맹점의 하루 결제내역 정보가 상기 가맹점 중앙 서버로 전부 전송됨에 따라, 이를 통해서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한 시점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가맹점 중앙 서버에서만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각각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각 가맹점의 하루 영업 종료 시점이 상이한 것은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 소정시간이란, 첫 번째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가 수신되면서 마지막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0시부터 9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구금액을 산출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소정시점마다 제2 소정시간동안 제공받은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청구금액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는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다수의 거래내역 정보를 제공받은 후, 각각의 신용카드사 별로 상기 청구금액을 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소정시점이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 각각으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거래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신용카드사 별로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소정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매 12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다수의 가맹점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통합하여 상기 청구금액을 산출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소정시점은 첫 번째 신용카드사의 청구금액 산출에서부터 마지막 신용카드사의 청구금액 산출까지 요구되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12시부터 14시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매입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산출한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제공하여, 매입승인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직접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제공하여 매입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매입승인을 진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청구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하였기 때문에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가 통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그 통신량과 연산량이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종래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결제내역을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청구금액을 산출하기 때문에, 통신 불안정이나 동작 오류로 인해 실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모바일 거래내역이 남을 경우, 고스란히 청구금액의 산출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거래내역 정보와는 무관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결제를 진행한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내역을 전달받아 이를 통해서 통합하여 거래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신용카드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통신량과 연산량이 매우 적어 그 서비스의 효율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모바일 카드가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가맹되어 있는 다수의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기들의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가맹점 통합 서버, 선불카드사 서버 및 신용카드사 서버를 통해서,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한도 복원 방법에 있어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서버로 최초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선승인 요청단계(S1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선승인 요청단계(S1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최초 충전하는 사용한도 충전단계(S2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남아있는 사용한도 금액을 연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기설정된 초기화 금액으로 일괄 초기화하는 사용한도 초기화 단계(S300);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추가 충전을 위한 선승인을 요청하는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 및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추가 선승인 요청단계(S40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소정주기마다 상기 초기화 단계(S300)에 의해 일괄 초기화한 상기 모바일 카드에 대한 사용한도 금액을 일괄 복원하는 사용한도 복원단계(S5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설정된 초기화 금액을 0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와 결제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결제단계(S600);
    를 더 수행하며,
    상기 결제단계(S600)는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 내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에 대한 추가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추가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수동 충전단계(S70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이 기설정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소정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자동 충전단계(S80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를 수행하기 앞서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입력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 자동 충전을 위한 예비 선승인을 요청하는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
    를 더 수행하며,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상기 예비 선승인 요청단계(S810)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사 서버로부터 예비 선승인 결과를 전달받아, 예비 선승인 금액 내에서 상기 소정금액을 설정하여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충전단계(S800)는
    기설정된 소정주기 동안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보다 적은 경우, 사용한도 금액의 추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기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이용한 금액에 따라 혜택충전 요청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혜택충전 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금액만큼 상기 모바일 카드의 사용한도 금액을 추가하는 포인트 충전단계(S90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기 앞서서,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제공된 포인트 정보를 충전이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포인트 정보에 기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충전 가능한 금액으로 변환하는 포인트 변환단계(S91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결제 단말기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결제를 수행할 때,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에 의해 추가된 사용한도 금액을 선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충전단계(S900)를 수행하고 난 후,
    선불카드사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한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대한 반환 요청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충전 가능한 금액에 기설정된 비율을 적용 연산하여, 상기 포인트 정보로 재변환하는 재예치 단계(S92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KR1020190024566A 2019-03-04 2019-03-04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KR10216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66A KR102166286B1 (ko) 2019-03-04 2019-03-04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566A KR102166286B1 (ko) 2019-03-04 2019-03-04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74A KR20200106274A (ko) 2020-09-14
KR102166286B1 true KR102166286B1 (ko) 2020-10-15

Family

ID=7247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566A KR102166286B1 (ko) 2019-03-04 2019-03-04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2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96B1 (ko) * 2002-10-24 2007-03-21 (주)씨파트너스 지정된 가맹점으로 선결제하기 위한 결제 시스템
KR101682888B1 (ko) * 2014-07-30 2016-12-21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모바일 선불카드를 이용한 후불 청구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선불카드사 서버, 후불카드사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1709438B1 (ko) * 2016-03-08 2017-03-08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851325B1 (ko) 2017-06-16 2018-04-2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74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55B1 (en) Method for charging internet services via a mobile telephone
US20030101135A1 (en) Real-time reservation of charges for pre-paid services
CA2596401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credit cards
CN106408294A (zh) 一种ic卡自动充值方法及系统
RU2009117636A (ru) Взимания оплаты в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х сетях
US2003007111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2166286B1 (ko)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사용한도 복원 방법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CN111311124A (zh) 充电服务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2255572B1 (ko) Hce 기법 기반 후불형 선불 모바일 카드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1851325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572860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US20040143544A1 (en) Accou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ums of money and bonus points between account memories in an account management system
KR20150041286A (ko) 소액결제 연동 기반의 선불카드 결제 보조 장치 및 방법
CN112669028A (zh) 一种账单管理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495307B1 (ko) 주기별 결제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그 결제시스템의 서비스프로바이더
CN106570734B (zh) 游戏交易请求处理方法及装置
CN113240415B (zh) 基于区块链的储值卡充值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15601B1 (ko) 연체 통신비 회수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523961B (zh) 资源信息的处理方法及客户端、服务端
KR102501163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요금 결제방법
CN112529587B (zh) 资源担保方法、资源担保方节点和资源供应方节点
KR20110081438A (ko) 전자 화폐 유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정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