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260B1 -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260B1
KR102166260B1 KR1020190100101A KR20190100101A KR102166260B1 KR 102166260 B1 KR102166260 B1 KR 102166260B1 KR 1020190100101 A KR1020190100101 A KR 1020190100101A KR 20190100101 A KR20190100101 A KR 20190100101A KR 102166260 B1 KR102166260 B1 KR 10216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jig
jig hole
wire
cathe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민
유우석
고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노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노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노메디컬
Priority to KR102019010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5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08Methods for making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 안내선의 끝단부에 반구형 비드를 형성하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테터 안내선의 코일 직경을 가지는 지그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그 홀에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장입 고정시키는 지그; 상기 지그 홀 상측에서 상기 지그 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코어 와이어, 리본 와이어, 코일을 용접시키는 용접기의 용접봉; 상기 용접봉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홀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가스 분사장치; 및 상기 용접봉의 구동 및 가스 분사장치의 가스 분사량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에 장입된 코일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Forming device for end point of catheter guidewire}
본 발명은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 안내선의 끝단부에 반구형 비드를 형성하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란 인체의 강, 관, 혈관에 삽입되어 배액, 액체, 기체를 투여하거나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접근할때 사용되고, 혈관조영술, 혈관성형술 등에 활용되어 협착부위에 진입하는 수술도구로서 혈관계 치료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인체삽입형 의료기기이다.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의료용 소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만든 얇은 관으로 형성되어 인체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혈관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진다.
이때, 인체내부에 발생한 병변부위에 카테터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와이어를 카테터 안내선이라고 한다.
그리고, 카테터 안내선에 이용되는 부품으로 스프링 코일, 코어 와이어 그리고 리본 와이어가 있으며, 스프링 코일 내측에 코어 와이어, 리본 와이어를 삽입하여 양 끝 단의 용접 혹은 납땜식 접합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이 기재된 관련문헌으로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15260호(가이드 와이어)와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918358호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15260호(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와이어의 선단 부분에 코일이 외부 삽입되어 장착되는 가이드 와이어에서, 코일의 단부와 코어 와이어에 대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외주면 상에 불규칙도를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일본등록특허공보 제4918358호(장척형 재공을 가지는 의료기구)는, 와이어의 형상 및 와이어 구성 재료, 코어부재의 형상, 코일부재의 형상 등을 기재하여 장척형 의료기구의 구조 및 어셈블리의 설계, 재료 및 이를 활용한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코일과 코어와이어의 접합부에 단부를 형성하여 첨단부를 배제함으로써 혈관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의 단부가 균일한 반구형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단부 가공 관련 기술 및 장치의 개발이 미비하여 코일과 코어와이어가 결합되는 공정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는, 카테터 안내선에 이용되는 코일과 코어 와이어의 접합부를 균일한 반구형으로 가공할 수 있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균일한 반구형을 형성하기 위해 비드의 형상을 성형하는 가스 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테터 안내선의 코일 직경을 가지는 지그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그 홀에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장입 고정시키는 지그; 상기 지그 홀 상측에서 상기 지그 홀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코어 와이어, 리본 와이어, 코일을 용접시키는 용접기의 용접봉; 상기 용접봉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홀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가스 분사장치; 및 상기 용접봉의 구동 및 가스 분사장치의 가스 분사량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에 장입된 코일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카테터 안내선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지그 홀이 형성되며,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 및 코일을 수용하되, 상기 코일의 단부 외측으로 상기 코어 와이어 및 리본 와이어가 노출된 상태로 상기 지그 홀 외측에서 돌출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의 지그 홀 상측에서 상기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 및 코일을 용융시켜 상기 지그 홀 내부에서 용접 비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용접봉; 상기 용접봉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홀 내부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장치; 및 상기 용접봉의 구동 및 가스 분사장치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를 통한 공급 전류 및 토출 가스량과 상기 지그를 이용한 돌출 높이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그 홀 내부에서 용접 비드가 반구형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 홀은 상기 용접봉이 삽입되는 상측 입구가 깔대기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 홀 내부로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지그 홀의 깔대기형입구로 분사되어, 상기 지그 홀 내부 기압이 정압 조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지그에서 지그 홀 입구에 돌출되게 장입 고정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지그 홀에 용접기의 용접봉을 구동 삽입시키면서, 상기 코어 와이어, 리본 와이어, 코일을 용접시켜, 코일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를 형성시키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지그 홀에 가스를 분사하여 상기 지그 홀 내부에서 비드의 형상을 성형시키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그는 구리 재질의 바이트형 지그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계에서 용접 전 상기 코어 와이어와 리본 와이어, 코일을 상기 지그 홀에서 장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코일의 외경이 0.88mm±0.05mm로 형성되어 용접출력은 10~20암페어로 설정하고, 펄스타임은 20~25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일과 코어 와이어의 접합부에 균일한 형상의 비드를 형성할 수 있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스 분사장치로부터 가스가 분사되어 용접 시 비드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 코일 및 코어와이어와 리본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서 코일 및 코어와이어와 리본와이어가 용접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서 깔대기형으로 형성된 지그 홀에 가스가 분사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코일 및 코어와이어와 리본와이어가 지그 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는 과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가스 분사장치 및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과 와이어를 용접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 코일, 코어 와이어 및 리본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서 코일, 코어와이어 및 리본와이어가 용접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에서 깔대기형으로 형성된 지그 홀에 가스 분사장치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가스 분사장치 및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는 크게 지그(10), 용접봉(20), 가스 분사장치(300), 제어장치(400)로 구성되어 있다.
지그(10)는, 카테터 안내선의 코일 직경을 가지는 지그 홀(11)이 형성되어, 지그 홀(11)에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100)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장입 고정시킨다.
이때, 지그(10)를 지지하는 지지체는 금속을 베이스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와 코일(100)이 접합되는 지그(10)의 재질은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그(10)에서, 지그 홀(11)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형성되어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및 코일(100)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 홀(11)에 삽입되는 코일(100)의 내부에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가 삽입되며, 코일(100)의 상단면보다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의 상단면이 높게 배치되어 노출된 상태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와이어(110)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본 와이어(120)는 플랫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그 홀(11)에 삽입되는 코일(100)과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를 삽입시키는 삽입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삽입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코일(100)에 삽입되는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용접봉(20)은 용접기(200)에 배치되어 지그 홀(11)의 상측에서 지그 홀(1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용접시킨다.
이때, 용접봉(20)은 지그 홀(11)과 동일축 선상에 배치되며, 승하강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접봉(20)의 승하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승하강모듈이 용접기(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용접기(200)는, 용접기(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주행레일(미도시)상에 부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에 사용되는 용접봉(20)은 비소모성 텅스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부 주위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며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TIG 용접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가스 분사장치(300)는 용접봉(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지그 홀(11)의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킨다.
이때, 가스 분사장치(300)로부터 지그 홀(11) 내부로 분사되는 가스는 아르곤 가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기 언급되는 제어장치(400)를 통해 가스 분사장치(300)에서 분사되는 가스량을 조절하여 지그 홀(11) 내부에서 형성되는 비드(130)의 형상을 성형시킬 수 있다.
이때, 용접 시 사용되는 아르곤 가스(30)의 유량은 5Mpa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장치(400)는, 용접봉(20)의 구동 및 가스 분사장치(400)의 가스 분사량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장치(400)는 위치검출부, 구동부, 설정부, 제어부, 표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접봉(20)의 용접출력, 펄스타임과 가스 분사장치(300)의 가스량 등을 설정하여 용접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용접 전원에 고주파를 유도 시켜주는 공심 리액터와 고주파 발진 증폭용 고용량 트랜지스터, 고압 콘덴서, 아르곤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가스밸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장치(400)는 용접봉(20)의 측부에 배치되는 가스 분사장치(300)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양, 분사압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지그(10)에 삽입된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를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로 용접할 경우, 용접되는 코일(100)의 외경에 따라 설정되는 용접출력, 펄스타임, 아르곤가스의 제어값이 제어장치(400)로부터 전달되어 가스 분사장치(300) 및 용접기(200)가 구동된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를 이용하여 카테터 안내선 단부를 성형하는 과정으로서, 카테터 안내선의 코일 직경을 가지는 지그 홀(11)의 상단부로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 및 코일(100)을 노출되도록 배치하여 고정시킨 후,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용접시킬 수 있다.
지그 홀(11)의 상단부로 노출된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 및 코일(100)은, 용접봉(20)에 의해 녹아내림으로써 지그 홀(11)의 내부에서 비드(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그로부터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이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용접의 외경이 가변적일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는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이 지그(1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길이가 길수록, 비드(130)의 외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경이 0.88mm±0.05mm인 코일(100)을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로 용접할 경우, 지그(10)의 상부면으로부터 용접봉(20) 방향으로 노출되는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는 노출되는 길이에 따라 용접량이 달라지므로,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가 지그(10)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길이는 15mm±0.5mm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를 참조하면, 지그 홀(11)은 용접봉(20)이 삽입되는 상측 입구가 깔대기형으로 형성되고, 지그 홀(11) 내부로 분사되는 가스가 지그 홀(11)의 깔대기형 입구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지그 홀(11)의 상측 입구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모따기되어 홀테이퍼(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테이퍼(12)에 가스 분사장치(400)로부터 가스가 분사될 수 있다.
경사진 면에 가스가 분사되면, 지그 홀(11)의 내부 기압이 정압 조정되어 용접되는 비드(130)의 형상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1000)를 이용하여 카테터 안내선 단부를 성형하는 방법은,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100)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지그 홀(11)에 장입 고정시키는 제1 단계(S100)와, 지그 홀(11)에 용접기(200)의 용접봉(20)을 구동 삽입시키면서,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용접시켜, 코일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130)를 형성시키는 제2 단계(S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단계(S200)는, 지그 홀(11)에 가스(30)를 분사하여 지그 홀(11) 내부에서 형성되는 비드(130)의 형상을 성형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그(10)가 구리 재질의 바이트형 지그로 형성되어 제1 단계(S100)에서 용접 전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지그 홀(11)에서 장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용접하였을 때, 용접기의 암페어, 펄스타임 및 와이어 노출길이 조건 등을 조절하여 생성되는 비드를 비교한 상태도이고, 하기 표 1은 외경이 0.88mm±0.05mm인 코일(100)과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를 용접할 때 용접출력에 따라 형성되는 비드의 외경을 측정한 실험 데이터이고, 표 2는 펄스타임에 따른 용접 깊이를 측정한 실험 데이터이다.
용접출력(Ampere) 1 10 20 30
외경(mm) 0.60±0.05 0.88±0.33 0.95±0.05 1.00±0.05
펄스타임 1 10 20 30
깊이(mm) 파단 0.5 1.0 1.0 이상
도 6과,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를 용접할 때 사용 가능한 용접출력 조건을 높게 할 수록 코일(100)과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가 녹는 양이 많아져 비드(130)의 외경이 코일(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 및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200)의 암페어 및 펄스타임의 수치가 낮게 형성되었을 때 코일(100)과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를 용접하였을 때 비드의 형상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0.88mm±0.05mm인 코일(100)을 10암페어의 용접출력으로 용접하였을 경우, 비드(130)의 외경이 코일(10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용접출력이 높을수록 비드(130)의 외경이 커짐으로써 코일(100)의 외경보다 비드(130)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펄스타임이 높을수록 용접되는 깊이가 깊어져 코일(100)과 와이어 내외측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펄스타임이 낮을 경우 와이어 간의 용접량이 적어져 코일(100) 및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의 용접부가 파단될 수 있다.
즉, 외경이 0.88mm±0.05mm인 코일(100)의 경우, 용접출력은 10~20암페어로 설정하고, 펄스타임은 20~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지그
11 : 지그 홀
20 : 용접봉
30 : 가스
100 : 코일
110 : 코어 와이어
120 : 리본 와이어
130 : 비드
200 : 용접기
1000 :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Claims (7)

  1. 카테터 안내선의 코일 직경을 가지는 지그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 홀(11) 내측에 코어와이어(110), 리본와이어(120), 코일(100)이 장입 배치되는 지그(10);
    상기 지그 홀(11) 상측에서 상기 지그 홀(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코어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용접시키는 용접기(200)의 용접봉(20);
    상기 용접봉(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 홀(11)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가스 분사장치(300); 및
    상기 용접봉(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코일(100)의 용융량을 조절하고, 상기 가스 분사장치(300)의 가스 분사량를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10)에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가,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진 코일(100)의 단부에 노출된 상태로 장입 고정되고,
    상기 지그(10) 내부로 용접봉을 삽입 용융시켜, 장입된 코일(100)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130)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는,
    상기 지그 홀(11)에 장입된 상태로 단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지그(10)의 상단부로부터 15mm±0.5mm 범위 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용접 시 돌출 배치된 코일(100), 코어 와이어(110) 및 리본 와이어(120)가 상기 지그 홀(11) 내부로 용융되면서 용접 비드(130)를 반구형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홀(11)은 상기 용접봉(20)이 삽입되는 상측 입구가 깔대기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 홀(11) 내부로 분사되는 가스는 상기 지그 홀(11)의 깔대기형 입구로 분사되어,
    상기 지그 홀(11) 내부 기이 정압 조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4.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를 동일 스테인레스 소재의 코일(100) 단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의 지그 홀(11)에 장입 고정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지그 홀(11)에 용접기(200)의 용접봉(20)을 구동 삽입시키면서, 상기 코어 와이어(110),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용접시켜, 코일 단부에 코일 직경의 반구형 비드(130)를 형성시키는 제2 단계(S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지그 홀(11)에 가스(30)를 분사하여 상기 지그 홀(11) 내부에서 비드(130)의 형상을 성형시키는 제3 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10)는
    구리 재질의 바이트형 지그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용접 전 상기 코어 와이어(110)와 리본 와이어(120), 코일(100)을 상기 지그 홀(11)에서 장입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S200)는,
    코일(100)의 외경이 0.88mm±0.05mm로 형성되어
    용접출력은 10~20암페어로 설정하고, 펄스타임은 20~25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방법.
KR1020190100101A 2019-08-16 2019-08-16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KR10216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1A KR102166260B1 (ko) 2019-08-16 2019-08-16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01A KR102166260B1 (ko) 2019-08-16 2019-08-16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260B1 true KR102166260B1 (ko) 2020-10-15

Family

ID=7288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01A KR102166260B1 (ko) 2019-08-16 2019-08-16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2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765A1 (ja) * 2009-11-04 2011-05-12 株式会社安川電機 非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JP2013202876A (ja) * 2012-03-28 2013-10-07 Seidensha Electronics Co Ltd レーザ溶着方法、レーザ溶着装置、レーザ溶着した樹脂材、及びレーザ溶着したカニュー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765A1 (ja) * 2009-11-04 2011-05-12 株式会社安川電機 非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JP2013202876A (ja) * 2012-03-28 2013-10-07 Seidensha Electronics Co Ltd レーザ溶着方法、レーザ溶着装置、レーザ溶着した樹脂材、及びレーザ溶着したカニュー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727B1 (ko) 주사바늘 조립체 및 이것의 제조방법
US4861520A (en) Capsule for radioactive source
EP1485166B1 (en) X-ray apparatus with field emission current control and method
US5616114A (en) Intravascular radiotherapy employing a liquid-suspended source
KR102166260B1 (ko) 카테터 안내선 단부 성형 장치
US9795769B2 (en) Balloon catheter, balloon catheter manufacturing device, balloon catheter manufacturing method, catheter connection device, catheter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ed catheter
JP2011240390A (ja) レーザ溶接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接合されるパイプ接合体。
US20040122472A1 (en) Method of selectively annealing a needle
US1021361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eedthrough
WO2021121293A1 (zh) 导丝、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3397638A (zh) 一种弹簧丝电凝装置
CN109664022A (zh) 一种血管内镍钛合金导丝及其焊接方法
JP3495762B2 (ja) 使用済み注射針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880428A (zh) 一种可吸收支架系统及方法
CN208713101U (zh) 自动tig焊机钨极自松脱装置
JP2010227947A (ja) アーク溶接装置、溶接ロボット及びアーク溶接方法
KR102577664B1 (ko) 질병 치료를 위한 교류 자기장 발생 장치 및 시스템
WO2014178242A1 (ja) 針付き外筒およびその製造方法
Ely et al. Microwelding methods in medical components and devices
JP4785170B2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その成形方法
US11586229B2 (en) Weld shi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by controlling shielding gas timing relative to welding
TW201720569A (zh) 醫療導線銲接裝置
US6485405B1 (en) Method of making a sourcewire with integral capsule
CN212037607U (zh) 一种用于肩关节球囊的输送系统
KR20010083557A (ko) 레이저 절단을 이용한 스텐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