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47B1 -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47B1
KR102165847B1 KR1020190052825A KR20190052825A KR102165847B1 KR 102165847 B1 KR102165847 B1 KR 102165847B1 KR 1020190052825 A KR1020190052825 A KR 1020190052825A KR 20190052825 A KR20190052825 A KR 20190052825A KR 102165847 B1 KR102165847 B1 KR 10216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ivated carbon
pollutants
senso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오
한문조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5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15Beds i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은,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하우징,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3 하우징, 상기 입자상 필터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 상기 송풍팬의 소비 전력, 풍량 및 가동시간을 센싱하기 위한 제3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을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본 발명은 배기 내의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특히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현장, 예컨대, 자동자 도장시설 등의 작업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도록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각장, 발전소, 제철소, 식품제조공장, 도장시설, 또는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배기(exhaust air)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포함한 각종 오염 물질, 유해 물질, 악취 유발 물질(이하, 편의상 이들을 '오염 물질' 또는 대기 오염 물질'로 통칭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정화시키고자 흡착탑의 형태로 배기 정화 장치가 작업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배기 내에 포함되는 오염 물질은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입자상 오염 물질과,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스상 물질(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로 구분될 수 있다. 가스상 물질의 흡착을 위해 활성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탑의 경우, 활성탄을 분말형, 입자상 또는 섬유상 등의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데, 분말형의 경우에는 활성탄의 뭉침 문제가 발생하고, 입자상의 경우에는 자루 또는 입자상으로 충적하고 사용 후 수거하며, 마찰에 의한 미분이 많이 발생하며, 섬유상의 경우에는 카트리지 형태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밀도가 낮으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활성탄 흡착탑에 사용되고 있는 활성탄은 일정기간 동안 사용후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활성탄의 교체시에는 활성탄 흡착탑의 운전을 중지하여야 하고, 잦은 활성탄 교체나 활성탄 교체 작업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흡착탑에 사용되는 활성탄 카트리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배기 내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 후 가스상 오염 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타입의 활성탄 흡착탑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현장, 예컨대, 설치 장소의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거나 설치 장소의 높이가 낮아서 기존 타입의 활성탄 흡착탑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존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배기 정화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 장소에 따라서 적절히 설치 형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기 정화 장치 내에 사용되는 각종 필터들의 적절한 교체 수명을 알려주고, 배기 정화 장치 내부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거나 가동시간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기존 타입의 활성탄 흡착탑을 그대로 적용하기에 어려운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이 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입자상 오염 물질과 가스상 오염 물질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필터링함으로써, 활성탄 카트리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고, 압력이나 가동 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종래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에서 활성탄의 교체 작업에 있어서 불편함이나 조립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배기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A1),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하우징(A2), 및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3 하우징(A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수직 방향 - 상기 수직 방향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방향임 - 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수평 방향 - 상기 수평 방향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타측에 위치하는 방향임 - 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수직 방향 배열 및 수평 방향 배열로 배열 변경 가능하며, 상기 수직 방향 배열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 방향 배열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타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제1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111)을 포함하는 내부망(11)과, 상기 내부망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내부망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는 외부망(12) - 상기 내부망의 측면과 상기 외부망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활성탄 채움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됨 - 과,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지는 활성탄과,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13) -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내부망의 제1 중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중공을 가짐 - 와,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여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진 상기 활성탄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 커버 부재(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차단판(11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14)는, 상기 제1 볼트 타입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1141)와, 상기 제1 파트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볼트 타입 체결부에 더 결합되는 제2 파트(114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차단판과 상기 외부망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14)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 각각이 관통하도록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 각각이 상기 관통홀들을 통과한 후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 파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자상 필터부(F1)는, 부직포 재료로 구성된 제1 입자상 필터부, 부직포 재료로 구성되되 콘 형상인 포켓 필터인 제2 입자상 필터부, 헤파 필터인 제3 입자상 필터부, 및 카본 필터인 제4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은,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A1),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하우징(A2),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3 하우징(A3), 상기 입자상 필터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P1),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P2), 상기 송풍팬의 소비 전력, 풍량 및 가동시간을 센싱하기 위한 제3 센서(P3), 그리고,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을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CM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수직 방향 - 상기 수직 방향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방향임 - 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수평 방향 - 상기 수평 방향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타측에 위치하는 방향임 - 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풍 팬의 전원을 관리자 컴퓨터 또는 관리자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오염물질 농도 센서, 및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이후의 공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오염물질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측으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버 측으로 제공된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 그리고 상기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 변화 관련 정보를 관리자가 상기 서버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확인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 장소에 따라 배열 전환이 가능한 개선된 배기 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타입의 활성탄 흡착탑을 설치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적용가능하며,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하우징과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하우징을 구분함으로써, 활성탄 카트리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으며, 개선된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배기 정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에서 활성탄의 교체 작업에 있어서 불편함이나 조립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배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배기 정화 시스템 내의 각종 필터들이나 송풍 팬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를 수직 방향 배열로 전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 및 3b은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를 수평 방향 배열로 전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에서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에서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정화 장치는, 자동차 도장 시설 등과 같이 분진이 특히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 적용할 시, 적절히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을 전환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가스상 오염 물질의 필터링을 위해 제2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에서 활성탄의 교체 작업시 불편함이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하부 커버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를 수직 방향 배열로 전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 및 3b는 도 1의 배기 정화 장치를 수평 방향 배열로 전환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정화 장치는,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으로 구별되고,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된다.
제1 하우징(A1)은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IN)와, 가스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자인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F1)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A1)의 유입구(IN)는 제2 하우징(A2)에 연결되는 면(즉, 도 1의 제1 하우징(A1) 구조에서 상측 면)의 반대 측(즉, 도 1의 제1 하우징(A1) 구조에서 입자상 필터부(F1)의 하부)으로부터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 유입되어 입자상 필터부(F1)에 의해 입자상 오염 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도록 유입구(IN)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A1) 내의 입자상 필터부(F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자상 필터부(F1)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IN)에서부터 차례대로 제1 입자상 필터부(F11), 제2 입자상 필터부(F12), 제3 입자상 필터부(F13) 및 제4 입자상 필터부(F14)를 포함하며, 제1 입자상 필터부(F11)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입자상 오염 물질들을 필터링하며, 제4 입자상 필터부(F14)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입자상 오염 물질들을 필터링한다.
제1 입자상 필터부(F11)는 부직포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입자상 필터부(F12)는 부직포 재료로 구성되되 콘 형상인 포켓 필터일 수 있고, 제3 입자상 필터부(F13)는 헤파 필터일 수 있고, 제4 입자상 필터부(F14)는 카본 필터일 수 있다. 하지만, 배기 내 입자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러한 제1 하우징(A1) 내의 입자상 필터부(F1)의 구성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고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제2 하우징(A2)은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A2)은 제1 하우징(A1)의 후단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A1)과 제2 하우징(A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므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언제든지 분리하여 재배열할 수 있다.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 내로 입자상 오염 물질이 필터링된 이후의 배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후에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에서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입자상 오염 물질이 필터링된 이후의 배기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직하가 아니라 측부에서 유입된 후 내부의 활성탄에 의한 가스상 물질들의 흡착으로 정화되어 상측으로 배출된 후 제3 하우징(A3) 측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직하는 차단되어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제2 하우징(A2) 내에 삽입되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개수는 3개로 도시되어 있어나, 그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제3 하우징(A3)은 배기 내에서 오염 물질을 필터링 한 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OUT), 그리고 제1 하우징(A1)과 제2 하우징(A2)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즉 유입구(IN)를 통해 배기가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제1 하우징(A1) 및 제2 하우징(A2)을 거쳐 오염 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흐름을 제공하는 송풍 팬(FAN)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하우징(A3)은 제2 하우징(A2)의 후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3 하우징(A3) 역시 제2 하우징(A2)과는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언제든지 분리하여 재배열할 수 있다.
하우징들(A1 ~ A3)의 배열 순서는 차례대로 제1 하우징(A1), 제2 하우징(A2) 및 제3 하우징(A3)으로 되므로, 제3 하우징(A3) 내의 송풍 팬(FAN)이 작동하여 흐름이 생기게 되면, 배기는 제1 하우징(A1)의 유입구(IN)를 통해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입자상 오염 물질이 먼저 필터링 된 후, 그 다음의 제2 하우징(A2) 측으로 제공된다. 제2 하우징(A2)에서는 입자상 오염 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된 이후의 배기 가스를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들(10)을 통과하도록 하여 배기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 한후, 제3 하우징(A3) 측으로 내보내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한 상태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을 위해 하부에 롤러(W1)를 구비한 프레임 구조물(B1) 내에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배기 정화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구조로서, 제1 하우징(A1), 제2 하우징(A2) 및 제3 하우징(A3)이 차례대로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 방향으로의 배열 전환에서 제1 하우징 내지 제3 하우징(A1 ~ A3) 사이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제1 하우징(A1)은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A3)은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상측에 위치한다. 배기의 흐름은 도 2a 및 도 2b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이러한 배기의 흐름은 제3 하우징(A3) 내의 송풍 팬(FAN)에 의해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은 도 1에 도시된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한 상태이다.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와 다르게 배기 정화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에 부족한 높이나 장소에 적용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을 위해 하부에 롤러(W2)를 구비한 프레임 구조물(B2) 내에 세 개의 하우징(A1, A2, A3)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구조에서는 제1 하우징(A1), 제2 하우징(A2) 및 제3 하우징(A3)이 차례대로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 방향으로의 배열 전환에서, 제1 하우징 내지 제3 하우징(A1 ~ A3) 사이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제1 하우징(A1)은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일측(도 3a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제3 하우징(A3)은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타측(도 3a에서 우측)에 위치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배기의 흐름은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이러한 배기의 흐름은 마찬가지로 제3 하우징(A3) 내의 송풍 팬(FAN)에 의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 정화 장치는 세 개의 하우징들(A1, A2, A3)을 분리가능하게 제작하여, 설치 장소에 따라서 세 개의 하우징들을 제1 하우징(A1), 제2 하우징(A2) 및 제3 하우징(A3)의 순서로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 정화 장치의 설치 장소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 정화 장치에서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에서, 먼저 내부망(11)은, 제1 중공(IH)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H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111)을 포함한다.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시, 전단의 제1 하우징(A1; 도 2a 또는 도 3a 참조)에 의해 1차적으로 입자상 오염 물질이 필터링된 이후 유입되는 배기는 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망홀들(H1)에 의해 외부망(12)의 외측에서 유입되어 활성탄에 의해 흡착된 후 제1 중공(IH)을 통해 그 다음 단인 제3 하우징(A3; 도 2a 또는 도 3a 참조)으로 나갈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들을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생하는 경우, 제1 중공(IH)을 통해 들어오는 스팀이나 기체가 하부로 바로 나가지 않도록 차단판(111)이 차단하여, 내부망(11) 측면의 망홀들(H1)을 통해 활성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외부망(12)은 사이에 활성탄을 채울 수 있도록 활성탄 채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망(1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내부망(11)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된다.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부 커버 부재(13)와 하부 커버 부재(14)에 의해 커버링된다.
상부 커버 부재(13)는 내부망(11)과 외부망(12)의 상부에 결합되어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상부를 커버한다. 상부 커버 부재(13)는 내부망(11)의 제1 중공(IH)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중공(참조부호 미표기)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 커버 부재(13)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상부에서 내부망(11)의 제1 중공(IH) 부분만 개방시키고 그 나머지를 모두 커버링한다. 도 5에서 C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망(11)의 상단은 외부망(12)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부 커버 부재(13)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 부재(13)의 직경은 외부망(1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 커버 부재(13)는 정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내부망(11)의 상단, 외부망(12)의 상단, 및 상부 커버 부재(13)의 이러한 특징들은, 이후 탈착 장치(미도시)를 이용한 카트리지 재생 시스템을 통하여 카트리지 재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탈착 장치 내에 복수 개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들을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하부 커버 부재(14)는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커버하여 활성탄 채움 영역(115)에 채워진 활성탄이 활성탄 채움 영역(115)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망(11)과 외부망(1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된다. 도 4의 (b)는 차단판(11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의 특징을 상세히 보이기 위해 도 4의 (a)에서 내부망(11)과 외부망(12)의 하단이 보이도록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는 차단판(111)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커버 부재(14)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망(11)과 외부망(12)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준다. 하부 커버 부재(14)는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나사 결합되어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1141)와, 제1 파트(1141)의 하부에서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더 결합되는 제2 파트(1142)를 포함한다. 제1 파트(1141)와 제2 파트(1142)가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결합되어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커버하고 있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활성탄 채움 영역(115) 내에는 활성탄이 위치하게 되나, 도 5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하부 커버 부재(14)의 제1 파트(1141)는 제1 수직부(1141b), 제2 수직부(1141c), 및 수평부(1141a)를 포함한다. 수평부(1141a)가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직접적으로 커버하고, 제1 수직부(1141b)는 외부망(12)의 외측면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 수직부(1141c)는 하부 커버 부재(14)가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결합될 때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의 외주면의 일정 구간을 감싸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수직부(1141c)의 내면에는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파트(1142)는 제1 파트(1141)의 하부에서 제1 파트(1141)가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서 헐거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배기 정화 장치의 제2 하우징(A2)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 내에 활성탄을 교체하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 불량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기 정화 장치의 제2 하우징(A2) 내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10)의 예에서 내부망(11), 외부망(12), 및 상부 커버 부재(13)의 특징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4 및 도 5에 관한 해당 부분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하부 커버 부재(14)는,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커버하여 활성탄 채움 영역(115)에 채워진 활성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하부 커버 부재(14)는, 내부망(11)과 외부망(12)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며,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차단판(111)과 외부망(12)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하방으로(도 5의 (b)에서는 상방향이나 이는 도 5의 (a)를 뒤집어서 나타낸 것이므로 도 5의 (a)에 있어서는 하방향임)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을 더 포함한다. 하부 커버 부재(14)는,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 각각이 관통하도록 관통홀들(2142)이 형성되며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2141)와,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 각각이 관통홀들(2142)을 관통한 후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 각각에 나사 결합되어 제1 파트(2141)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파트(2143)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탄 채움 영역(115)의 하부에 하부 커버 부재(14)가 결합됨으로써, 내부망(11)과 외부망(12) 사이에 채워진 활성탄(미도시)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배기 정화 장치의 제2 하우징(A2)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 내에 활성탄을 교체하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조립 불량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도 1 참조)의 효율적인 관리 또는 운용을 위한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정화 장치, 즉,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A1),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하우징(A2),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3 하우징(A3)을 포함하는 배기 정화 장치, 그리고 이에 더하여, Io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제1 센서(P1), 제2 센서(P2), 제3 센서 및 통신 모듈(CM1)을 포함한다.
제1 센서(P1)는 입자상 필터부의 압력을 센싱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이며, 제2 센서(P2)는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압력을 센싱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이며, 제3 센서(P3)는 송풍 팬(FAN)의 소비 전력, 풍량 및 가동 시간을 센싱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A1), 제2 하우징(A2) 및 제3 하우징(A3)의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필터의 수명이나 교체 주기를 서버 측으로 보내어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 측에서는 통신 모듈(CM1)을 통해 전송된 제1 하우징 내지 제3 하우징 내의 센서들(P1, P2, P3)에 의해 센싱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압력 등의 변화나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센서(P3)는 송풍 팬의 소비 전력 측정을 위한 전력량계, 풍량 측정을 위한 풍량계, 압력 측정을 위한 차압계를 모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내의 필터들의 교체 주기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설정된 교체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이를 통신 모듈(CM1)을 통해 서버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IoT 기반의 배기 정화 시스템에서,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제3 하우징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기 정화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송풍 팬(FAN)의 전원을 관리자 컴퓨터 또는 관리자용 모바일 기기(도 8에 직접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통합환경관리자 또는 사업장 관리자의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로서, 서버 측과 통신으로 연결가능함)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기 정화 장치의 유입구 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의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오염물질 농도 센서(미도시),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이후의 공기의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오염물질 농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통신 모듈(CM1)을 통해 서버 측으로 더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측으로 제공된 제1 센서(P1), 제2 센서(P2) 및 제3 센서(P3)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 그리고 제1 오염물질 농도 센서 및 제2 오염물질 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 변화 관련 정보를 관리자가 서버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방향 배열 또는 수평 방향 배열로 배열 방향 전환이 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을 총망라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서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A1 : 제1 하우징
A2 : 제2 하우징
A3 : 제3 하우징
10 :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
11 : 내부망
12 : 외부망
13 : 상부 커버 부재
14 : 하부 커버 부재
111 : 차단판

Claims (14)

  1.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로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A1);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A2); 및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3 하우징(A3) -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 측면 또는 상부면이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연통되도록 통기홀이 형성됨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위치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면이 접하도록 연결된 결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와,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일 측면이 접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반대편 측면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연결된 결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배열 변경 가능하고,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제1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111)을 포함하는 내부망(11)과, 상기 내부망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내부망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는 외부망(12) - 상기 내부망의 측면과 상기 외부망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활성탄 채움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됨 - 과,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지는 활성탄과,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13) -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내부망의 제1 중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중공을 가짐 - 와,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여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진 상기 활성탄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 커버 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 모두에서,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 커버 부재가 상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차례대로 상기 외부망의 망홀들, 상기 활성탄 및 상기 내부망의 망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중공으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정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차단판(11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볼트 타입 체결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14)는, 상기 제1 볼트 타입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1141)와, 상기 제1 파트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볼트 타입 체결부에 더 결합되는 제2 파트(1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정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차단판과 상기 외부망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14)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 각각이 관통하도록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2 볼트 타입 체결부들 각각이 상기 관통홀들을 통과한 후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정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필터부(F1)는,
    부직포 재료로 구성된 제1 입자상 필터부, 부직포 재료로 구성되되 콘 형상인 포켓 필터인 제2 입자상 필터부, 헤파 필터인 제3 입자상 필터부, 및 카본 필터인 제4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정화 장치.
  9.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순환시켜 배기 내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정화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으로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입자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입자상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A1);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인 가스상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하우징(A2);
    상부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통과하여 정화된 이후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 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3 하우징(A3) -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 측면 또는 상부면이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연통되도록 통기홀이 형성됨 -
    상기 입자상 필터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1 센서(P1);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제2 센서(P2);
    상기 송풍팬의 소비 전력, 풍량 및 가동시간을 센싱하기 위한 제3 센서(P3); 및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을 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CM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위치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의 하부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면이 접하도록 연결된 결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와, 상기 제3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일 측면이 접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반대편 측면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연결된 결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배열 변경 가능하고,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제1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111)을 포함하는 내부망(11)과,
    상기 내부망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내부망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측면에 복수 개의 망홀들이 형성되는 외부망(12) - 상기 내부망의 측면과 상기 외부망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활성탄 채움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됨 - 과,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지는 활성탄과,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 부재(13) -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내부망의 제1 중공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제2 중공을 가짐 - 와,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의 하부를 커버하여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에 채워진 상기 활성탄이 상기 활성탄 채움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망과 상기 외부망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 커버 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 상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 내지 상기 제3 하우징의 배열 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상태 모두에서, 상기 환상형 활성탄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 커버 부재가 상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하부 커버 부재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차례대로 상기 외부망의 망홀들, 상기 활성탄 및 상기 내부망의 망홀들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중공으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의 전원을 관리자 컴퓨터 또는 관리자용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오염물질 농도 센서; 및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이후의 공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오염물질 농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측으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버 측으로 제공된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 그리고 상기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 변화 관련 정보를 관리자가 상기 서버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KR1020190052825A 2019-05-07 2019-05-07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KR10216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25A KR102165847B1 (ko) 2019-05-07 2019-05-07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25A KR102165847B1 (ko) 2019-05-07 2019-05-07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47B1 true KR102165847B1 (ko) 2020-10-14

Family

ID=7284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25A KR102165847B1 (ko) 2019-05-07 2019-05-07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657A (ko) * 2021-10-05 2023-04-12 이재훈 집진 용량 조절이 용이한 레이저 가공용 집진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165A (ja) * 2002-10-29 2004-05-27 Seikow Chemical Engineering & Machinery Ltd 脱臭用フィルター
KR100603810B1 (ko) * 2005-07-23 2006-07-24 (주)티알이엔씨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10015114A (ko) * 2009-08-07 2011-02-15 원영희 광촉매 손 살균기
JP2011072718A (ja) * 2009-10-01 2011-04-14 Sefutekku:Kk 空気浄化装置
KR101529225B1 (ko) * 2014-07-09 2015-06-16 주식회사 인터제로 시스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KR20150070671A (ko) * 2013-12-17 2015-06-25 (주)유성엔비텍 필러타입 회전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KR20180079951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서호엔텍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165A (ja) * 2002-10-29 2004-05-27 Seikow Chemical Engineering & Machinery Ltd 脱臭用フィルター
KR100603810B1 (ko) * 2005-07-23 2006-07-24 (주)티알이엔씨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10015114A (ko) * 2009-08-07 2011-02-15 원영희 광촉매 손 살균기
JP2011072718A (ja) * 2009-10-01 2011-04-14 Sefutekku:Kk 空気浄化装置
KR20150070671A (ko) * 2013-12-17 2015-06-25 (주)유성엔비텍 필러타입 회전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KR101529225B1 (ko) * 2014-07-09 2015-06-16 주식회사 인터제로 시스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KR20180079951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서호엔텍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657A (ko) * 2021-10-05 2023-04-12 이재훈 집진 용량 조절이 용이한 레이저 가공용 집진기
KR102591039B1 (ko) * 2021-10-05 2023-10-17 이재훈 집진 용량 조절이 용이한 레이저 가공용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6698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перераспыла лака
CN102740948B (zh) 用于过滤系统的空气污染控制过滤元件
US20030041572A1 (en) Incubator having combined HEPA and VOC filter
US7632325B2 (en) Filter assembly
CN102281935B (zh) 组合式过滤器
KR101284893B1 (ko) 지하철 객실용 공기정화장치
US4969936A (en) Filtration apparatus
CN206094337U (zh) 一种圆筒式光催化室内空气净化器
KR102165847B1 (ko)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 전환가능한 배기 정화 장치 및 IoT 기반 배기 정화 시스템
CN203484015U (zh) 新型旋流喷淋式水雾过滤器
KR20230074669A (ko) 아스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필터링 시스템
CN206086282U (zh) 一种圆筒式光催化车载空气净化器
CN210584318U (zh) 一种VOCs废气处理系统
CN209967953U (zh) 一种复合滤芯及挥发性有机物净化装置
KR200440683Y1 (ko) 주방용 탈유탈취장치
KR20170019884A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휘발성 유해가스 처리장치
JP2002048367A (ja) 空気または排気浄化の方法と装置
CN208742222U (zh) 一种颗粒活性炭空气净化装置
KR102344485B1 (ko) 조립형 활성탄흡착탑
CN208186703U (zh) 新风换气机
KR100792766B1 (ko) 탈취장치
CN209060827U (zh) 一种废气处理用活性炭吸附装置
JP3171920U (ja) 粉塵除去フィルタ
CN209406057U (zh) 一种多功能大气污染催化装置
EP3643389B1 (en) Dust collection device with local exhaust ventilation function, and dust collection and exhaust ventilation system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