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03B1 -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03B1
KR102165803B1 KR1020180065029A KR20180065029A KR102165803B1 KR 102165803 B1 KR102165803 B1 KR 102165803B1 KR 1020180065029 A KR1020180065029 A KR 1020180065029A KR 20180065029 A KR20180065029 A KR 20180065029A KR 102165803 B1 KR102165803 B1 KR 10216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location information
tool
work
ded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96A (ko
Inventor
강일용
Original Assignee
(주)엠트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트로스 filed Critical (주)엠트로스
Priority to KR102018006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조립작업이 정해진 순서 및 방식에 따라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되, 제품 생산을 위해 공정별로 복수의 작업섹터가 설정되는 조립라인에 있어서, 상기 작업섹터의 상측 네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노드; 상기 각 작업섹터 마다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이동노드; 상기 이동노드로부터 제공되는 1차위치정보는 상기 고정노드를 거치면서 생성되는 2차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 수신된 복수의 2차위치정보들을 받아서 상기 2차위치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작업섹터에서의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들의 절대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운영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Tool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assembly line}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립라인에서 다양한 조립작업이 정해진 순서 및 방식에 따라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차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매출액이 1조 달러가 넘고 1천만 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제조업이라 할 수 있는데, 한 대의 자동차가 완성되기 위해서는 대략 2만여개의 부품이 사용된다고 한다.
이처럼 수많은 부품들의 조립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차 생산공정은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고, 만약 일부 부품의 누락 내지 조립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심각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이고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근래 로봇 기술이나 기타 제어기술의 발달로 조립공정에서 자동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공정도 많다.
조립에 요구되는 특정한 전용공구를 이용한 수동 조립 공정의 경우 아무리 신경을 쓴다고 하더라도 작업자의 신체 컨디션에 따라서 조립에 에러가 발생될 개연성이 높다. 특히, 한 작업섹터에서 복수의 조립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순서가 바뀌거나 일부 공정이 누락될 수 있고,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정해진 토크로 조립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6181호의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복수의 공구 각각에 부착된 복수의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복수의 공구를 관리하기 위한 규정을 정의하고, 상기 규정을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규정을 수신하여 상기 공구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규정을 비교하여 상기 규정에 벗어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상기 관리 서버에 알리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규정은 상기 복수의 공구 각각의 위치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복수 공구 각각의 이동 경로의 평균인 표준 이동 경로를 정의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복수의 공구 중 어느 하나의 공구가 상기 표준 이동 경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벗어나는 경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각 공구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고 표준 이동 경로를 정의한 후, 해당 공구가 표준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줌으로써 공구들이 부정확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단지 공구에 부착된 단말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고 하는데, 삼차원 공간상에서 정확한 이동경로를 따라 공구의 위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확인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부족하며, 비록 공구가 표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하더라도 제대로 특정된 작업을 한 것인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6181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립라인에서 요구되는 조립작업시에 사용되는 공구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며, 특정 공구가 정해진 규정에 맞게 제대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조립 불량 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은 공정별로 복수의 작업섹터가 설정되는 조립라인에 있어서, 상기 작업섹터의 상측 네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노드; 상기 각 작업섹터 마다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이동노드; 상기 이동노드로부터 제공되는 1차위치정보는 상기 고정노드를 거치면서 생성되는 2차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 수신된 복수의 2차위치정보들을 받아서 상기 2차위치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작업섹터에서의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들의 절대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운영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섹터들은 고유의 섹터아이디가 부여되며,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도 고유의 공구아이디가 부여되고, 상기 공구아이디에는 상기 섹터아이디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노드는, UWB모듈, 통신모듈 및 MCU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이동노드는, UWB모듈, MEMS IMU 센서 및 M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소프트웨어는, 상기 각 작업섹터 마다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지정되며,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복수개인 경우 작업순서가 지정되고, 상기 각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제대로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에러판단부가 포함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상기 이동노드에는 진동측정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측정센서에 의한 진동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판단부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상기 이동노드에는 알람부가 구비되어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가 오사용되는 경우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립라인을 작업섹터별로 구분하여 각 작업섹터에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조립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불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노드와 이동노드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고정노드의 구성도.
도 5는 이동노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노드와 이동노드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4는 고정노드의 구성도이며, 도 5는 이동노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같은 연속적인 공정이 이어지는 조립라인(L)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조립라인(L)은 공정별로 복수의 작업섹터(S)가 설정된다.
즉, 연속되는 작업섹터(S)는 제1작업섹터, 제2작업섹터, 제3작업섹터, 제N작업섹터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작업섹터(S) 중에는 자동조립공정도 있을 수 있으며, 자동조립공정인 작업섹터에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총 10개의 작업섹터(S)로 구성되는 조립라인(L)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0개의 작업섹터(S)는 제1작업섹터(S1), 제2작업섹터(S2), 제3작업섹터(S3), 제4작업섹터(S4), 제5작업섹터(S5), 제6작업섹터(S6), 제7작업섹터(S7), 제8작업섹터(S8), 제9작업섹터(S9), 제10작업섹터(S10)로 아이디가 부여된다. 10개의 작업섹터 중 자동조립공정이 적용되는 곳이 제1작업섹터(S1), 제4작업섹터(S4), 제8작업섹터(S8), 제10작업섹터(S10)라고 가정한다.
수작업이 요구되는 제2작업섹터(S2), 제3작업섹터(S3), 제5작업섹터(S5), 제6작업섹터(S6), 제7작업섹터(S7), 제9작업섹터(S9)에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이 적용된다.
수작업이 요구되는 특정 작업섹터(S2,S3,S5,S6,S7,S9)들의 상측 네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의 고정노드(100)가 설치된다. 즉, 각 작업섹터 마다 4개씩의 고정노드(100)가 구비되며, 고정노드(100)는 최초 설치 위치에 고정된다.
고정노드(100)는 UWB(Ultra-WideBand)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고정노드(100)는 UWB모듈(110), 통신모듈(120), MCU(130)를 포함하게 된다. 고정노드(100)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절대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하나의 작업섹터에 설치되는 4개의 각 고정노드(100)에는 X,Y,Z로 이루어지는 절대좌표가 주어지게 된다.
고정노드(100)를 구성하는 UWB모듈(110)은 무선통신으로 후술될 이동노드(200)로부터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통신모듈(120)은 WiFi 또는 이더넷으로 이루어져 서버(300)로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MCU(Main Control Unit)(130)는 이동노드(200)로부터 제공되는 1차위치정보를 받아서 고정노드(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2차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MCU(130)는 ARM 계열인 Cortex-M3을 사용하도록 한다.
각 작업섹터(S)에는 섹터별 전용공구(T)들이 구비되는데, 하나의 섹터별 전용공구(T)가 구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섹터별 전용공구(T)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작업섹터(S2)에는 하나의 섹터별 전용공구(T)가 사용되며, 제3작업섹터(S3)에는 2개의 섹터별 전용공구(T)가 사용될 수 있고, 제5작업섹터(S5)에는 4개의 섹터별 전용공구(T)가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다.
각각의 작업섹터(S)에서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T) 각각에는 이동노드(200)가 부착된다. 이동노드(200)는 섹터별 전용공구(T) 각각의 1차위치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동노드(200)는 UWB모듈(210), MEMS IMU 센서(220) 및 MCU(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UWB모듈(210)과 MEMS IMU 센서(220)의 조합에 의해 작업섹터(S) 내에서의 1차위치정보가 생성된다. MEMS IMU 센서(220)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CU(230)는 1차위치정보가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도록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섹터(S)에 구비되는 각각의 섹터별 전용공구(T)에는 고유의 공구아이디가 부여되며, 공구아이디에는 섹터아이디가 포함되게 함으로써 각 섹터별 전용공구(T)에 부착되는 이동노드(200)에 공구아이디와 섹터아이디가 입력되게 한다. 따라서 각 섹터별 전용공구에서 전송되는 1차위치정보 및 기타 데이터 및 신호에는 기본적으로 공구아이디와 섹터아이디가 포함되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든다면, 제2작업섹터에 섹터별 전용공구(T)가 3개 사용된다면, 섹터별 전용공구는 S2-T1, S2-T2, S2-T3와 같은 형태로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고, 각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된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되는 1차위치정보 및 각종 데이터에는 식별을 위해 섹터별 전용공구 아이디가 포함된다.
섹터별 전용공구(T)에 부착된 고유 아이디를 갖는 이동노드(200)로부터 제공되는 1차위치정보는 해당 작업섹터를 담당하는 복수의 고정노드(100)로 전송되며, 1차위치정보를 받은 각 고정노드(100)들은 1차위치정보를 가공하여 2차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각각의 고정노드(100)로 전송된 1차위치정보는 고정노드(100)의 절대좌표와 매칭되면서 2차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2차위치정보들은 서버(300)로 전송된다. 각각의 고정노드(100)들이 서버(300)와 통신이 되게 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고정노드(100)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고정노드로부터 2차위치정보를 받아서 서버(300)로 일괄 전송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서버(300)로 수신된 복수의 2차위치정보는 서버(300)와 연결되는 운영소프트웨어(400)를 갖는 PC로 전달되며, 운영소프트웨어(400)에 의해 특정 작업섹터(S)에 대한 2차위치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해당 작업섹터에서의 특정 섹터별 전용공구(T)에 대한 절대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운영소프트웨어(400)는 작업섹터(S)들이 구분 관리되며, 각 작업섹터(S)에서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T)들이 지정되고, 각 전용공구들이 올바르게 사용될 때의 표준위치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하나의 작업섹터(S)에서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T)가 2개 이상인 복수개인 경우에는 섹터별 전용공구(T)들의 작업순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섹터별 전용공구(T)들이 제대로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에러판단부(4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에러판단부(410)는 두 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1차 에러판단은 해당 섹터별 전용공구가 올바른 작업시의 표준위치정보의 허용범위내에 위치되었는지를 판정한 후, 2차 에러판단은 정해진 위치에서 섹터별 전용공구가 조립작업에 요구되는 적합한 힘(파워, 토크 등 전용공구의 특성에 맞는 동작)으로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섹터별 전용공구(T)가 제대로 사용되는 경우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진동치를 활용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섹터별 전용공구(T)에 부착되는 이동노드(200)에 진동측정센서(240)가 구비되게 한다.
진동측정센서(240)에 의해 측정되는 진동측정값이 운영소프트웨어(400)로 제공되고, 에러판단부(410)가 진동측정값을 이용하여 에러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섹터별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이는 조립공정이라면 올바른 작업이 이루어질 때의 표준 토크가 존재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표준 토크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섹터별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너트를 표준 토크값이 될때까지 조일 때 발생되는 최대 진동값이 또한 미리 설정된다. 따라서 섹터별 전용공구가 사용될 때마다 진동측정센서(240)는 최대 진동측정값을 운영소프트웨어(400)로 제공함으로써 에러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섹터별 전용공구(T)에 부착되는 이동노드(200)에는 알람기능을 위한 알람부(250) 구비되도록 하는데, 알람부(250)는 섹터별 전용공구(T)가 오사용되는 경우 알람이 작동하여 작업자는 물론이고 시스템에서 알려주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 알람부(250)는 LED램프나 소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영소프트웨어(400)에 구비되는 에러판단부(410)에 의해 에러판단 결과에 따라 에러인 경우 알람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섹터별 전용공구(T) 자체에 알람기능이 구비되게 하면, 작업자는 본인이 작업을 한 후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에서의 에러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섹터별 전용공구(T)를 가지고 특정 조립작업을 하였는데 제대로 작업이 되지 않은 경우 에러판단부(410)에 의해 해당 작업은 에러로 판정되며, 이에 따라 이동노드(200)에 구비된 알람부(250)에서 알람이 발생하게 된다. 작업자는 알람부(250)로부터 알람이 발생되면 다시 한번 해당 조립작업에 대한 체크를 할 수 있고, 재작업을 함으로써 제품 불량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은 자동차 생산라인과 같이 연속적인 조립 작업이 필요한 생산공장에서 수작업이 필요한 조립공정에서 규정에 맞는 순서 및 방식으로 조립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을 비롯한 각종 제품의 조립공정에 적용되어 조립불량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L : 조립라인
S : 작업섹터
T : 섹터별 전용공구
100 : 고정노드
110 : UWB모듈 120 : 통신모듈
130 : MCU
200 : 이동노드
210 : UWB모듈 220 : MEMS IMU 센서
230 : MCU 240 : 진동측정센서
250 : 알람부
300 : 서버
400 : 운영소프트웨어
410 : 에러판단부

Claims (6)

  1. 제품 생산을 위해 공정별로 복수의 작업섹터가 설정되는 조립라인에 있어서,
    상기 작업섹터의 상측 네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노드;
    상기 각 작업섹터 마다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이동노드;
    상기 이동노드로부터 제공되는 1차위치정보는 상기 고정노드를 거치면서 생성되는 2차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 수신된 복수의 2차위치정보들을 받아서 상기 2차위치정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작업섹터에서의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들의 절대위치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운영소프트웨어;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섹터들은 고유의 섹터아이디가 부여되며,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도 고유의 공구아이디가 부여되고, 상기 공구아이디에는 상기 섹터아이디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노드는, UWB모듈, 통신모듈 및 MCU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이동노드는, UWB모듈, MEMS IMU 센서 및 MCU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소프트웨어는,
    상기 각 작업섹터 마다 사용되는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지정되며,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복수개인 경우 작업순서가 지정되고, 상기 각 섹터별 전용공구들이 제대로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에러판단부가 포함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상기 이동노드에는 진동측정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측정센서에 의한 진동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판단부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에 부착되는 상기 이동노드에는 알람부가 구비되어 상기 섹터별 전용공구가 오사용되는 경우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80065029A 2018-06-05 2018-06-05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6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29A KR102165803B1 (ko) 2018-06-05 2018-06-05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29A KR102165803B1 (ko) 2018-06-05 2018-06-05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96A KR20190138496A (ko) 2019-12-13
KR102165803B1 true KR102165803B1 (ko) 2020-10-14

Family

ID=6884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29A KR102165803B1 (ko) 2018-06-05 2018-06-05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81B1 (ko) * 2013-01-14 2014-10-3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61908B1 (ko) * 2013-08-12 2014-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용 체결 보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555B1 (ja) * 1999-06-22 2000-04-10 株式会社ユーシン精機 成形品の取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81B1 (ko) * 2013-01-14 2014-10-3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공구 사용 관리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61908B1 (ko) * 2013-08-12 2014-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용 체결 보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96A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5099B1 (en) Improved detection and location of wireless field devices
CA3168198C (en) Modular safety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KR102141579B1 (ko) 대량의 로봇에 대한 긴급 정지 제어 방법 및 장치
US8046104B2 (en) Industrial robot system
EP2728516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safety applications
US7915841B2 (en) Method for using a control device in a safety-related environment
CN114636967A (zh) 安全系统和使用安全系统的方法
US20190116105A1 (en) Sensor and method for the serial transmission of data of the sensor
KR102165803B1 (ko) 조립라인용 공구 위치 추적 시스템
US20170248941A1 (en) Cell controller that displays abnormality status of manufacturing machine for each area or process
CN105710571A (zh) 一种车身焊装线的车型识别方法和装置
CN108227624B (zh) 一种数控机床中刀具参数校验方法、系统及数控机床
KR20160121015A (ko) 생산 공정 관리 시스템
EP3474097A1 (en) Output unit, input unit and input-output system
EP3838476A2 (en) System to monitor the operational safety of machine tools for industrial processing operations
EP2955705A1 (en) Fire device addressing
CN220874738U (zh) 安全系统
US201802245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industrial truck in relation to other industrial trucks
US20240040535A1 (en) Safety System with Radio Location and Testing Device
CN113924191B (zh) 自动保护通过移动操作装置控制的机器人系统运行的方法和系统
EP3938936B1 (en) Safety device configuration cloning
DE202020107298U1 (de) Sicherheitssystem
KR20230095401A (ko) 설비 위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2331A (ko) 공작기계용 통신 모듈
EP3067763B1 (en) Assignment of sensors to machin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