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09B1 -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709B1
KR102165709B1 KR1020197027136A KR20197027136A KR102165709B1 KR 102165709 B1 KR102165709 B1 KR 102165709B1 KR 1020197027136 A KR1020197027136 A KR 1020197027136A KR 20197027136 A KR20197027136 A KR 20197027136A KR 102165709 B1 KR102165709 B1 KR 10216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group
capability
groups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981A (ko
Inventor
에릭 존슨
즈이 저우
로베르토 에이. 페레즈
스콧 아놀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솔루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11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44Group features, e.g. closed use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6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a service specific us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고,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하여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한다. 전자 프로세서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배정하고, 통신 디바이스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고,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무선 기술은 사람들이 서로 통신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단순화시켰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종종, 사람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한 그들이 실시간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상이한 메시징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또한, 사용자들이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은 또한, 공공 안전 사용자들이 비상 상황들 동안 서로 통신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공공 안전 시나리오는 종종, 비상 상황에 따라 사용자들이 다른 부서들 또는 기관들로부터의 사용자들과 통신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가 다수의 통신 그룹들에 가입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그룹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된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모든 통신 그룹들이 반드시 동일한 통신 능력들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추가로,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은 특정 통신 그룹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반드시 지원될 필요는 없거나 사용자에 의해 반드시 활용될 필요는 없는 그룹들을 표현하는, 무관하거나 필요치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별개의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며, 청구된 발명을 포함하는 개념들의 실시예들을 추가적으로 예시하는 역할을 하고, 그러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원리들 및 이점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6은, 제2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7은, 제3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8은, 제4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9는, 제5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제6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도 11은, 제7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들에 대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도면들 내의 요소들이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해 예시된 것이고 반드시 실측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면들의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장치 및 방법 구성요소들은 적절한 경우 도면들에서 종래의 기호들에 의해 표현되어, 본원에서의 설명의 이점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내용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데 적절한 그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도시하고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목록 내의 통신 그룹 각각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배정하는 단계 ―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함 ―;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전자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고, 목록 내의 통신 그룹 각각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하고 ―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배정하고 ―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함 ―;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고,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전자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GUI 요소들은,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한다.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본원에서 제시되는 예시적인 시스템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는 그 시스템의 구성요소 부분들 각각의 단일 예로 예시된다. 일부 예들은 시스템들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거나 예시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시된 구성요소들 각각을 더 많거나 더 적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킬 수 있거나, 부가적이거나 대안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00)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통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에서 그룹 통신 리소스들을 구성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통신 디바이스들(120)에서 그룹 통신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들(120)과 통신하는 별개의 엔티티로서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기능성은, 통신 디바이스들(120) 중 하나 이상에서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120)에서 그룹 통신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서버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룹 통신 리소스들은, 통신 디바이스(120)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동일한 통신 그룹에 연계된 복수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120)과 그룹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통신 디바이스(120)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그룹 통신 리소스들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통신 디바이스들(120)의 존재 및 상태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것, 통신 채널들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120)에 또는 그로부터 수신되는 통신들을 처리 및 전달하는 것, 통신 그룹들의 목록 및 각각의 통신 그룹에 등록된 구성원들과 연관된 디바이스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것, 각각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기능성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룹"이라는 용어는 그룹에 연계되거나 등록된 구성원들(즉, 통신 디바이스들(120)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통신 그룹들을 지칭한다. 통신 그룹의 각각의 구성원은, 그룹 통신의 목적들을 위해 그들에게 배정된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통신 디바이스는 다수의 사용자들 또는 사용자 식별자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룹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이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들(120) 상에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 (예컨대, 터치 또는 탭 입력을 통해) 상호작용하고, 구성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그룹을 선택하고, 데이터, 음성, 및 다른 매체 형태들을 그룹 내의 각각의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송신할 필요 없이 그룹 내의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및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구성 및 맞춤화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푸시 투 토크(PTT; push to talk)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의 경우, 그룹들은, 사용자가 대화 그룹을 선택하여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푸시 투 토크 그룹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PTT" 통신이라는 용어는 반이중(half-duplex) 통신을 표현하며, 이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일 방향으로만 통신이 전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PTT는, 대화 동안 말을 하는 사람이 통신 디바이스(120) 상의 버튼을 누르고, 그런 다음, 대화가 끝나면 그 버튼을 해제할 것을 요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들(120)은 전이중(full-duplex) 및 반이중 능력들 둘 모두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120)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이를테면, 예컨대 양방향 라디오, 모바일 디바이스, 랩톱, 태블릿 컴퓨터, 착용식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단일 통신 디바이스가 기능하는 방식을 설명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 대한 참조가 사용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들(120)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통신 디바이스들(120)은 단지 예시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예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0)의 전부 또는 일부들은, 다양한 기존 네트워크들,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이를테면 롱 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 인터넷, 육상 모바일 라디오(LMR; land mobile radio)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예컨대, Wi-Fi), 무선 액세서리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들, 사물지능(M2M; Machine-to-Machine) 자율 네트워크, 및 공용 교환 전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30)는 또한 향후에 개발되는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30)는 또한 본원에서 앞서 언급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전자 프로세서(210),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210)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 및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들로 더 적은 구성요소 또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또한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성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성을 수행한다.
메모리(2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다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것들 중에서도,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자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네트워크(13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네트워크(13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유선 연결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프로세서(210)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들(120)에 의한 수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서 전기 신호들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프로세서(210)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120)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대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20)는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서빙되는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즉,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거나 업데이트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식별하는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유지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거나 업데이트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즉,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해 요구되는 명령어들)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및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의 함수로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각각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하여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전자 프로세서(210)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통신 그룹의 매체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하여 전자 프로세서(210)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통신 그룹이 음성 전용(V-o) 능력, 또는 데이터 전용(D-o) 능력, 또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V+D) 능력을 위해 구성되는지 또는 지원하는지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V-o 능력"이라는 용어는, 통신 그룹의 각각의 구성원이 그룹 내에서 음성 통신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D-o 능력"이라는 용어는, 통신 그룹 내의 각각의 구성원이 그룹 내에서 데이터 통신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V+D 능력"이라는 용어는, 통신 그룹 내의 각각의 구성원이 그룹 내에서 음성 통신들 및 데이터 통신들 둘 모두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데이터 통신들은 텍스트,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이미지, 파일들, 맵들, 애플리케이션들, 위치 데이터, 하이퍼링크들, 메타데이터(예컨대, 오버레이, 주석들 및 스케치들), 다양한 다른 데이터 형태들,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능력들은 통신 그룹에 등록된 구성원들과 연관된 역할, 순위 및 다른 식별자들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한 통신 그룹의 구성원들은 통신 그룹 내에서 부가적인 동작들(이를테면, 새로운 구성원들의 추가, 위치 또는 설정된 도달 시간(ETA: established time of arrival)에 대한 요청, 양식들, 애플리케이션들, 맵들, 문서들의 교환 등)을 수행할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반면, 다른 통신 그룹의 구성원들은 부가적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지 못하거나 동작들 중 일부만을 수행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특정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 또는 결과적으로 그 통신 그룹의 통신 그룹 유형은, 통신 그룹 내에서의 송신에 대해 지원되는 매체에 기반할 뿐만 아니라, 통신 그룹 내에서 수행하도록 구성원들에게 권한부여된 부가적인 동작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것이다. 예컨대, 사설 탐정소와 연관된 통신 그룹은 그룹 내에서 목격자 진술들을 통신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반면, 소방관 기관과 연관된 통신 그룹은 그룹 내에서 그러한 진술들을 공유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지 못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경우에서, 이러한 통신 그룹과 연관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그룹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목격자 진술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예컨대, 부가적인 소프트 키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통신 그룹들은 그룹 내에서 목격자 진술들을 공유할 이러한 권한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그룹들에 대응하는 구성원들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목격자 진술들을 위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하나 초과의 기관과 연관된 통신 그룹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일한 사용자는 하나의 통신 그룹에서는 통신하거나 특정 동작들을 취할 수 있지만 다른 통신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20)의 블록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20)는 전자 프로세서(310),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310)는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320), 통신 인터페이스(330), 및 디스플레이(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120)는 도 3에 예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들로 더 적은 구성요소 또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그룹 통신들 동안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가 청취하고 대화할 수 있게 한다.
메모리(3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다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자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것들 중에서도,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자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통신 네트워크(13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통신 네트워크(130)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더하여,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유선 연결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프로세서(310)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0)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120)에 의한 수신을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서 전기 신호들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340) 또는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1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320)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120)의 실시예에서, 메모리(32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350),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360), 및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20)는 3개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전부를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 또는 2개를 포함하거나 대안적으로는 위에 설명된 것들 이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은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특정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12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0)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적합한 디스플레이이다. 통신 디바이스(110)의 전자 프로세서(320)는, 디스플레이(340)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표시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표현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현할 수 있다(예컨대, 메모리(320)에 저장된 명령어들 및 데이터로부터, 전자 프로세서(310)에 의해 생성됨).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지원되는 그룹 통신 유형(예컨대, 기술적(descriptive) 대화들)의 통지, 동일한 그룹 통신 유형을 갖는 통신 그룹들의 필터링된 목록을 제공하는 뷰 제어(예컨대, 탭들의 세트들), 그룹 통신 유형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그룹 표현(예컨대, 아바타, 그룹 목록들),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제어 요소(예컨대, 피벗 버튼 또는 메뉴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4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때, 사용자는 (예컨대,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여 그룹 통신들의 상이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80)는,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시스템 출력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8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120)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정보 및 신호를 획득하고 그들에 정보 및 신호들을 제공한다. 입력은, 예컨대, 키패드,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340) 상의 소프트 키들, 아이콘들, 또는 소프트 버튼들, 스크롤 볼, 버튼들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80)는, 사용자가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그룹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PTT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80)는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선택된 대화 그룹 상에서 대화 그룹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프트 또는 물리적 PTT 버튼(예컨대, 누름 입력)을 포함한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의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예로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40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전자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구현에서, 방법(300)은 통신 디바이스(120)의 전자 프로세서(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400)의 다른 실시예들은, 동일한 디바이스 내의 다수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블록(41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그룹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120)에 의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다른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여 통신 디바이스(120)에 하나 이상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구성할 수 있다. 전자 프로세서(210)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구성될 필요가 있는 통신 디바이스(120)의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역할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하여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을 식별함으로써 통신 그룹의 목록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그룹들의 구성원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메시징 서버)로부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수신한다. 일 구현에서, 사용자 식별자는 통신 그룹들에 수동으로 구성원으로서 추가된다. 다른 구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와 연관된 역할 및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에 자동으로 등록되거나 연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자는, 예컨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사건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그룹에 동적으로 추가된다.
블록(42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은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예컨대, 통신 그룹이 음성 전용(V-o) 능력, 또는 데이터 전용(D-o) 능력, 또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V+D) 능력을 위해 구성되는지 또는 지원하는지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시징 서버(또는 PTT 통신들의 경우에서는 대화 그룹 서버)로부터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을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따라 a) V+D 그룹 유형; b) V-o 그룹 유형; 또는 c) D-o 그룹 유형 중 하나로서 결정된다. 예컨대,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때, 'V+D' 그룹 유형으로서 결정된다.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때, 'V-o' 그룹 유형으로서 결정된다.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때, 'D-o' 그룹 유형으로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프로세서(210)는,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한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블록(43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의 세트를 배정한다.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블록(420)에서 설명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프로세서(210)는, 이러한 정보, 즉,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120)에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에서 요구되는 맞춤화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에서 요구되는 맞춤화는, 사용자 식별자들이 등록된 대응하는 통신 그룹들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식별자마다 다를 수 있다.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들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조합에 따라,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다음의 것들: a)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들이 V+D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고 예컨대 {V+D}로서 표현되는 제1 세트; b)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를 표시하고 예컨대 {V+D, V-o}로서 표현되는 제2 세트 ― 제1 하위 세트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고, 제2 하위 세트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가짐 ―; c)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를 표시하고 예컨대 {V+D, D-o}로서 표현되는 제3 세트 ― 제1 하위 세트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고, 제2 하위 세트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가짐 ―; d)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3개의 하위 세트를 표시하고 예컨대 {V+D, V-o, D-o}로서 표현되는 제4 세트 ― 제1 하위 세트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고, 제2 하위 세트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고, 제3 하위 세트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가짐 ―;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를 표시하고 예컨대 {V-o, D-o}로서 표현되는 제5 세트 ― 제1 하위 세트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고, 제2 하위 세트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가짐 ―;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들이 V-o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고 예컨대 {V-o}로서 표현되는 제6 세트; 및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이 D-o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고 예컨대 {D-o}로서 표현되는 제7 세트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블록(45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의 유형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한 유형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위해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음성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의 역할, 순위, 보안 특권들 및 동작 특성들(예컨대, 디바이스 유형 및 네트워크 연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45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추가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사용자 식별자의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 식별자가 'John12'인 사용자가 3개의 통신 그룹, 즉, 탐정 A 그룹, 탐정 B 그룹, 및 탐정 C 그룹에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정하자면, 전자 프로세서(210)가 탐정 A 및 B 그룹들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이 D-o 그룹 유형이고 탐정 C 그룹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이 V+D 그룹 유형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자 'John12'에 배정되는 통신 그룹 유형의 세트는 {V+D, D-o}, 즉,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1 하위 세트와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2 하위 세트를 표시하는 제3 세트를 포함한다. 추가로, 사용자 식별자 'John12'에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배제한다. 다시 말해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탐정 C' 그룹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능력을 지원하지만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즉,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탐정 C' 그룹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예컨대, 아바타 표현 또는 그룹 목록들)만을 포함하도록, 통신 디바이스(120)에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추가로,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는, '탐정 A' 및 '탐정 B' 통신 그룹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이러한 그룹들이 D-o 그룹 유형이지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지므로, 배제하거나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맞춤화되는데, 예컨대,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응하는 요소들이,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및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결과적인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에 기반하여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거나 그로부터 배제된다. 애플리케이션 유형과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의 각각의 조합에 따라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추가적인 예들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되며, 애플리케이션 유형들과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의 상이한 조합에 대한 결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1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 중 어느 하나일 때, 애플리케이션 서버(110)의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도 5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2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 및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도 6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3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 및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도 7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4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 V-o 능력, 및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 및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 추가로,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D 능력 및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도 8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5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o 능력 및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 추가로,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하지만,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한다(도 9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6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하거나 생성하지 않는다(도 10 참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제7 세트에 대응할 때, 그리고 추가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 또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질 때, 전자 프로세서(210)는,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UI 요소들을 배제하거나 생성하지 않는다(도 11 참조).
블록(460)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프로세서(210)는,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 및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명령어들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120)에서의 전자 프로세서(31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로부터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들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의 전자 프로세서(31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즉, 통신 그룹 유형)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사용자 식별자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통신 그룹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동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400)은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또는 업데이트)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유형에 대해 반복된다.
도 5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F로 표시됨)은 V+D 그룹 유형을 갖는데, 즉, 모든 통신 그룹들(그룹들 A-F)이 V+D 능력을 갖는다. 도 5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510, 520, 5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512, 522, 5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512, 522, 532)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도 5에서의 통신 그룹들(그룹들 A-F)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이러한 예에서의 모든 통신 그룹들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서비스 능력들을 갖는 V+D 그룹 유형을 가지므로 동일한 이미지로 표현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은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서비스 능력들을 지원하고, 추가로, 제1, 제2, 및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들 각각은 음성 및 데이터 능력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지원하며,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들 각각에 대한 통신 그룹 목록들(512, 522, 532)은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모든 통신 그룹들(그룹들 A-F)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선택된 통신 그룹들 내의 다른 사용자들과 음성 및 데이터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목록(512, 522, 532)에 배열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F)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5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제2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F로 표시됨)은, V+D 그룹을 갖는 제1 하위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 B, D, F와 V-o 그룹 유형을 갖는 제2 하위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C, E를 포함한다. 도 6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610, 620, 6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612, 622, 6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612, 622, 632)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A, B, D, F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그룹들이 V+D 능력을 가짐을 표현하고, 그룹들 C, E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그룹들이 V-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6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F를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622)은 또한, 그룹들 A, B, D, F가 V+D 능력을 갖고 그룹들 C, E가 V-o 능력을 가지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을 포함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632)은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하위 세트(즉, V+D 능력을 갖는 그룹들 A, B, D, F)만을 포함하며, 그룹들 C, E는, 이러한 그룹들이 V-o 능력을 위해 구성되고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V-o 능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배제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6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제3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F로 표시됨)은, V+D 그룹 유형을 갖는 제1 하위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C, D, F와 D-o 그룹 유형을 갖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 B, E를 포함한다. 도 7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710, 720, 7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712, 722, 7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A, B, E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D-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하고, 그룹들 C, D, F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V+D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7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F를 포함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732)은 또한, 그룹들 C, D, F가 V+D 능력을 갖고 그룹들 A, B, E가 D-o 능력을 가지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을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722)은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하위 세트(즉, V+D 능력을 갖는 그룹들 C, D, F)만을 포함하며, 그룹들 A, B, E는, 이러한 그룹들이 D-o 능력을 위해 구성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D-o 능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배제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7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제4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G로 표시됨)은, V+D 그룹 유형을 갖는 제1 하위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D, F, G와 V-o 그룹 유형을 갖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C, E와 D-o 그룹 유형을 갖는 제3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 B를 포함한다. 도 7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810, 820, 8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812, 822, 8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D, F, G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V+D 능력을 가짐을 표현하고, 그룹들 C, E는 통신 그룹들이 V-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하고, 그룹들 A, B는 통신 그룹들이 D-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8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G를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822)은, 그룹들의 하위 세트, 즉, 그룹들 C-G만을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그룹들이 V+D 또는 V-o 능력을 갖고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832)은 통신 그룹들 A, B, D, F, G만을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그룹들이 V+D 또는 D-o 능력을 갖고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8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9는, 제5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F로 표시됨)은, V-o 그룹 유형을 갖는 제1 하위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C, E, F와 D-o 그룹 유형을 갖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 B, D를 포함한다. 도 7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910, 920, 9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912, 922, 9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C, E, F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V-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하고, 그룹들 A, B, D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D-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9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F를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922)은,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통신들만을 지원하므로, V-o 능력을 갖는 그룹들 C, E, F만을 포함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932)은,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데이터 통신들만을 지원하므로, D-o 능력을 갖는 그룹들 A, B, D만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9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10은, 제6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G로 표시됨)은 V-o 그룹 유형을 갖는 모든 통신 그룹들을 포함한다. 도 10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1010, 1020, 10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1012, 1022, 10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A-G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V-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10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G를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1022)은 또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V-o 능력을 갖는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G를 포함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832)은,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통신 그룹들 중 어떠한 통신 그룹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10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도 11은, 제6 세트의 통신 그룹 유형들이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그룹들 A-G로 표시됨)은 D-o 그룹 유형을 갖는 모든 통신 그룹들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통신 디바이스(120)에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각각이 대응하는 3개의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샷이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는,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는,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1110, 1120, 1130)은 추가로,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통신 그룹들의 목록(1112, 1122, 1132)을 표현하도록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각각 포함한다.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은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아바타에 의해 각각 표현된다. 예컨대, 그룹들 A-G에 대응하는 아바타들은 통신 그룹들이 D-o 능력을 가짐을 표현한다. 추가로,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1112)은,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G를 포함한다.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1132)은 또한,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D-o 능력을 갖는 모든 통신 그룹들, 즉, 그룹들 A-G를 포함한다.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목록(1122)은,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지원하므로, 통신 그룹들 중 어떠한 통신 그룹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공통 통신 그룹 유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그룹에 대해 하나의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동일하거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가짐)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호운용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1124)(피벗 버튼으로 또한 지칭됨)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그룹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사용자가 등록된 모든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하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가 그러한 서비스 능력들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시키거나 배제한다. 이는, 무관하거나 필요치 않은 사용자 요소들이 사용자에게 제시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통신 그룹들의 서비스 능력들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의 이러한 맞춤화는, 상이한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 및 통신 그룹들을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은 또한 공공 안전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복잡도의 정도를 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청구항들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모든 그러한 수정들은 본 교시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점들, 장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법들,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법이 발생하게 하거나 더 명백해지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가,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들 전부에 대한 핵심적인, 요구되는,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 중에 이루어지는 임의의 보정들 및 발행된 바와 같은 그러한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더욱이, 본 문서에서, 제1과 제2, 상단과 하단 등과 같은 상관적인 용어들은,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단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엔티티들 또는 동작들 사이의 임의의 실제의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갖는다", "갖는", "구비한다", "구비하는", "가진다", "가지는"이라는 용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고, 갖고, 구비하고, 가지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오직 그 요소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내재하거나 명백히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을 포함한다", "...을 갖는다", "...을 구비한다", 또는 "...을 가진다" 앞에 오는 요소는, 더 많은 제약들 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고, 갖고, 구비하고, 가지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의 부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 표현의 용어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으로서 본원에서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적으로", "약"이라는 용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형태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유사한 것으로서 정의되며,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에서, 용어는 10 % 내에 있는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5 % 내에 있는 것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 % 내에 있는 것으로,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0.5 % 내에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결합"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직접적일 필요는 없고 반드시 기계적일 필요는 없지만 연결된 것으로 정의된다. 특정 방식으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화된 프로세서(또는 "처리 디바이스"), 이를테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맞춤화된 프로세서 및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및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 및/또는 장치의 기능들 중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특정 비-프로세서 회로들과 함께 구현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둘 모두를 포함하는) 고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없는 상태 기계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기능 또는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의 일부 조합들이 맞춤형 논리로서 구현된다. 물론, 2개의 접근법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는 본원에서 설명되고 청구되는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예컨대, 프로세서를 포함함)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예들은,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가능하게는 예컨대 이용가능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동기부여되는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들에도 불구하고, 본원에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될 때, 통상의 기술자가 최소한의 실험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것임이 예상된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본질을 신속하게 알아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것이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 하에 제출된다. 게다가,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백히 언급된 것보다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러,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주제는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는 적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항들은 이로써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별개로 청구되는 주제로서 그 자신에 의거한다.

Claims (20)

  1.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상기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배정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상기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함 ―;
    상기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생성된 GUI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UI 요소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그룹 통신 유형의 통지, 동일한 그룹 통신 유형을 갖는 통신 그룹들의 필터링된 목록을 제공하는 뷰 제어, 그룹 통신 유형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그룹 표현,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제어 요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역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유형에 대해,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음성 전용(V-o) 능력, 데이터 전용(D-o) 능력, 및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배정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상기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들이 상기 V+D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는 제1 세트;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인,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1 하위 세트 및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2 하위 세트를 표시하는 제2 세트;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인,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1 하위 세트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2 하위 세트를 표시하는 제3 세트;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3개의 하위 세트인,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1 하위 세트,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2 하위 세트,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3 하위 세트를 표시하는 제4 세트;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의 2개의 하위 세트인,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1 하위 세트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갖는 제2 하위 세트를 표시하는 제5 세트;
    상기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들이 상기 V-o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는 제6 세트; 및
    상기 목록 내의 모든 통신 그룹이 상기 D-o 능력을 가짐을 표시하는 제7 세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및 데이터 둘 모두의 통신들을 위해 구성될 때,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될 때,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될 때,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유형으로서 결정될 때,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1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2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3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4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상기 V-o 능력,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5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o 능력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6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7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 유형일 때,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1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2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3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4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5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6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7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한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 유형일 때,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1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2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3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4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D 능력 및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5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고, 추가로,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6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한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제7 세트에 대응할 때,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GUI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전자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을 결정하고;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통신 그룹 유형을 식별하고 ―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함 ―;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해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를 배정하고 ―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상기 목록 내의 통신 그룹들 각각에 대한 상기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함 ―;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구성될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GUI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GUI 요소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그룹 통신 유형의 통지, 동일한 그룹 통신 유형을 갖는 통신 그룹들의 필터링된 목록을 제공하는 뷰 제어, 그룹 통신 유형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그룹 표현,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제어 요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음성 전용(V-o) 능력, 데이터 전용(D-o) 능력, 및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된다고 상기 유형이 표시하고, 추가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을 갖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들 및 데이터 전용(D-o) 능력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을 포함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GUI 요소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된다고 상기 유형이 표시하고, 추가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상기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을 갖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들 및 음성 전용(V-o) 능력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을 포함할 때,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는 GUI 요소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14. 통신 디바이스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결합되는 전자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그룹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요소를 포함하는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GUI 요소는,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의 함수로서 생성되는 GUI 요소들을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는, 사용자 식별자가 등록된 통신 그룹들의 목록 내의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을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각각의 통신 그룹에 대해 식별된 통신 그룹 유형은 개개의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상기 GUI 요소는,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그룹 통신 유형의 통지, 동일한 그룹 통신 유형을 갖는 통신 그룹들의 필터링된 목록을 제공하는 뷰 제어, 그룹 통신 유형에 기반하여 통신 그룹들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위한 그룹 표현, 및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허용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제어 요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그룹의 서비스 능력들은, 음성 전용(V-o) 능력, 데이터 전용(D-o) 능력, 및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된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표시하고, 추가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을 갖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들 및 데이터 전용(D-o) 능력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을 포함할 때, 상기 GUI 요소는,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D-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전용 통신들을 위해 구성된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이 표시하고, 추가로, 상기 통신 그룹 유형들의 세트가 음성 및 데이터(V+D) 능력을 갖는 제1 세트의 통신 그룹들 및 음성 전용(V-o) 능력을 포함하는 제2 세트의 통신 그룹들을 포함할 때, 상기 GUI 요소는, 상기 V+D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V-o 능력을 갖는 통신 그룹들을 표현하는 GUI 요소들을 배제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27136A 2017-02-24 2018-02-14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165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41,538 US10142454B2 (en) 2017-02-24 2017-02-24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group communic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US15/441,538 2017-02-24
PCT/US2018/018154 WO2018156400A1 (en) 2017-02-24 2018-02-14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group communic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981A KR20190113981A (ko) 2019-10-08
KR102165709B1 true KR102165709B1 (ko) 2020-10-14

Family

ID=6138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136A KR102165709B1 (ko) 2017-02-24 2018-02-14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42454B2 (ko)
KR (1) KR102165709B1 (ko)
CA (1) CA3053902C (ko)
DE (1) DE112018001007T5 (ko)
GB (1) GB2573245B (ko)
WO (1) WO2018156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1753B2 (en) * 2018-12-26 2021-03-16 Motorola Solutions, Inc. Multiple talkgroup navigation management
US10582345B1 (en) * 2019-01-16 2020-03-03 Motorola Solutions, Inc. Push to talk applications
US11138025B2 (en) * 2019-10-21 2021-10-05 Slack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and retaining application dat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ith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11148050B (zh) * 2019-12-30 2022-03-29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组播管理方法及装置
US20230209446A1 (en) * 2020-05-22 2023-06-29 Lg Electronics Inc. Multicast-related communication
KR20220101856A (ko) * 2021-01-12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7226A1 (en) 2013-05-29 2014-12-04 Kent S. Charugundla Zone 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65413A1 (en) 2013-08-01 2016-06-09 Zte Corporation Group communication with configurable geographic service are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501A (en) 1988-11-04 1992-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dure for automatically customizing the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programs
US7353234B2 (en) 1998-12-30 2008-04-01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Customized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record information
US7293034B2 (en) 2004-02-23 2007-11-06 Microsoft Coporation Dynamically customizing a user interface for the aggregation of content
FI20050092A0 (fi) * 2004-09-08 2005-01-28 Nokia Corp Ryhmäpalveluiden ryhmätiedot
US8185830B2 (en) 2006-08-07 2012-05-22 Google Inc. Configuring a content document for users and user groups
US8942767B2 (en) 2008-12-19 2015-01-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mmunications convergence and user interface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9135332B2 (en) 2009-06-04 2015-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 object prioritization
US20110149731A1 (en) * 2009-12-17 2011-06-23 Gong Michelle X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cheduling communications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US8750915B2 (en) 2010-01-05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69434B2 (en) 2010-08-11 2014-07-01 Nike, Inc. Intelligent display of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US20130152002A1 (en) 2011-12-11 2013-06-13 Memphis Technologies In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r adaptive user interfaces
WO2014085443A1 (en) 2012-11-27 2014-06-05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floor control and media sharing in a half-duplex ptt system
KR101646138B1 (ko) 2014-11-20 2016-08-12 전자부품연구원 레이아웃 결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레이아웃 결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7226A1 (en) 2013-05-29 2014-12-04 Kent S. Charugundla Zone Bas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65413A1 (en) 2013-08-01 2016-06-09 Zte Corporation Group communication with configurable geographic servic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3902A1 (en) 2018-08-30
CA3053902C (en) 2021-02-02
GB2573245B (en) 2020-11-11
GB201911612D0 (en) 2019-09-25
DE112018001007T5 (de) 2019-11-14
WO2018156400A1 (en) 2018-08-30
KR20190113981A (ko) 2019-10-08
US10142454B2 (en) 2018-11-27
US20180248996A1 (en) 2018-08-30
GB2573245A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709B1 (ko) 통신 디바이스에서 그룹 통신을 위한 맞춤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301736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updating and manag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US10348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rompt message of mobile terminal based on intelligent wearable device
KR20140120050A (ko) 그룹 대화에서 사적 대화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750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 communication response
US20140051406A1 (en) Method for handling call receiv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377853B1 (ko) 그룹 채팅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N114342340A (zh) 设备配置文件确定和策略执行
KR101613609B1 (ko)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6538673A (ja) メッセージ伝送方法、メッセージ伝送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28115B1 (ko) Ble를 이용한 메시징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29045A (ko)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20150067700A (ko) 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US10447842B1 (en) Push-to-talk to messaging application graphical interface
EP303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8076035B (zh) 具有匿名功能的交友方法
US10951753B2 (en) Multiple talkgroup navigation management
KR20140085634A (ko) 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KR20150037797A (ko) 스마트 단말 간의 연락처 기반 실시간 연락처 관리 방법
KR101479256B1 (ko) 전화연결시스템 및 전화연결시스템에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905524A (zh) 在电子设备中共享时间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70130338A (ko)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20150085234A (ko) 통화 대상 추천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
JP2018185689A (ja) チャットシステム、チャ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