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40B1 -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40B1
KR102165540B1 KR1020190037336A KR20190037336A KR102165540B1 KR 102165540 B1 KR102165540 B1 KR 102165540B1 KR 1020190037336 A KR1020190037336 A KR 1020190037336A KR 20190037336 A KR20190037336 A KR 20190037336A KR 102165540 B1 KR102165540 B1 KR 10216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ailgate
slide pipe
scaffol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872A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filed Critical 박용남
Priority to KR102019003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발판의 고정과 인출이 가능하여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감되고 차량 하중의 부담을 줄여 연료 소비 효율의 저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가진 픽업 트럭이나 SUV 차량에 있어, 테일게이트와의 간섭을 피해 테일게이트의 측면으로 발판이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길이의 최소화로 부재의 사용량 및 단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강도 저하를 방지하며, 이를 통해 차량 중량의 증가를 최대한 낮추어 연료소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및 발판이 장착된 슬라이드 파이프가 차축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교차하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하되, 차량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그 일측면의 바깥측으로 상기 발판이 노출되도록 허용되는 설치 각도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Auxiliary footrests device for vehicles}
본 명세서는 차량 후방 적재함에 짐을 실을 수 있는 차고가 높은 픽업 트럭 또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을 위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같이 높은 지상고를 갖는 차량들은 짐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후방의 짐칸이나 루프 랙(roof rack)과 같이 높은 구역에 접근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높은 구역에 접근하기 위해 고정식 및 접이식 발판 등 다양한 구성의 다양한 다른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발판들은 채용된 연결(employed linkage) 나 패키지 제약(Package constraints)으로 인한 제한된 동작 덮개(envelope)나 절충된(compromised) 고정된 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2130호에는 조작자가 클로징 토크(closing torque)를 극복하기 위해 발판을 아래로 미는 것에 반응하여 회전 조인트(pivot joint) 주위로 처음에 회전한 다음에 바이어싱 힘(biasing force)에 반응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translate)되는 것에 의해 전개 가능한 이중 동작 차량 접근 발판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선발명은 클로징 토크와 바이어싱 힘 모두 단일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의해 제공되고,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동작과 밖으로 향하는 선형 동작의 결합은 발판이 어떠한 선행 기술 구성보다 훨씬 큰 배치 덮개(deployment envelope)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선등록특허에 의한 발판(20)이 장착된 픽업 트럭(2)을 나타낸 것으로, 픽업 트럭(2)은 회전가능하게(pivotally) 장착된 테일게이트(6)를 통해 그 후방을 여닫을 수 있는 적재함(4)을 가지고 있으며, 측면으로 회전될 수 있는 테일게이트(6)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전개 가능한 이중 동작 차량 접근 발판(20)은 도 2에 도시한 것 같이 픽업 트럭의 후방 범퍼(8)의 아래 면에 붙어 장착되어 있으며, 테일게이트(6)가 닫혀진 상태에서 발판(20)이 후방 범퍼(8) 아래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방식의 발판은 발판(20)이 후방 범퍼(8) 아래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발판부(30)는 구조적인 고정을 생성하기 위해서 복잡한 구조의 몸체부 래칫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테일게이트(6)를 개방하고 발판부(30)를 범퍼(8) 후방으로 인출 시 인출 길이를 제한하는 복잡한 구조의 가스 스프링을 사용하는 등 구조상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제작 및 설치 비용이 매우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발판(20)이 차축 방향에 일치하고 있어 픽업 트럭(2)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테일게이트(6)를 가지는 경우(도 1 참조)에는 문제가 없으나, 차량 후방으로 넘어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방식의 테일게이트를 구비하는 픽업 트럭의 경우에는, 발판(20)이 후방으로 펼쳐진 테일게이트의 폭(닫힌 상태 기준하면 높이)보다 더 후방으로 길게 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길이의 불필요한 증가는 물론 발판에 올라서는 사람 하중에 의한 회전 모우먼트의 증가로 발판부(30) 및 그 발판부(30)를 인출 지지하는 몸체부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켜야 해서 부재가 많이 소요되고 차량하중을 증가시켜 연료소비를 많게 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213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간단한 구조로 발판의 고정과 인출이 가능하여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감되고 차량 하중의 부담을 줄여 연료 소비 효율의 저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가진 픽업 트럭이나 SUV 차량에 있어, 테일게이트와의 간섭을 피해 테일게이트의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인출 길이의 최소화로 부재의 사용량 및 단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강도 저하를 방지하며, 이를 통해 차량 중량의 증가를 최대한 낮추어 연료소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는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가진 픽업 트럭이나 SUV 차량의 후방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 장착되는 4각형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 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발판과;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전방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으로의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발판이 상기 범퍼 하부에 수용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를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볼과 지지스프링 및 볼걸림공으로 이루어진 잠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는 최대 인출시 후방 범퍼 외부로 상기 발판의 노출을 허용하며, 최대 몰입시 후방 펌퍼 내측으로 위치되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및 슬라이드 파이프는 차축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교차하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하되, 차량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그 일측면의 바깥측으로 상기 발판이 노출되도록 허용되는 설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몸체에 용접 장착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와 나사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지지스프링과 볼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중공형의 숫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이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에 형성한 상기 볼걸림공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공형의 숫나사의 바깥 단부의 개구부에는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마개체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발판의 테두리에는 그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강도보강 및 손잡이 기능을 하는 벽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가 몰입되고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이동이 잠금될 때 외부로 노출되었던 상기 발판은 범퍼 하부에 감추어지게 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발판 몸체의 일부 진입을 허용하도록 절개된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는 기존의 차량 하부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차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져 발판의 인출 시,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측면으로 노출되므로, 장치의 크기가 슬림해지고 부재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차량 하중의 큰 증가를 막아 연비 손상을 최소화하며, 또 외팔보 형태로 범퍼 후방으로 돌출되는 인출 길이가 작아져 발판에 올라선 사람의 하중에 의한 회전모우먼트가 작게 작용하여 부재의 강성을 비교적 작게 설계하여도 무방하여 최대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경제성 있게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슬라이드 파이프의 빠짐 방지와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비용 저감이 가능하다.
또 발판에 수직을 이루는 벽부재가 커튼 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발판의 강도를 크게 보강하는 동시에 발판의 미관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그 벽부재에 차량의 모델명등을 표시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기대되며, 그 벽부재가 손잡이 기능을 겸하게 되므로써 별도의 발판의 인출을 위한 기구가 필요 없다.
또한 지지브라켓은 차량 하부에 볼트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위치의 제한으로 인해 발판 몸체가 차량 저부에 충분히 감춰지게 수용할 공간이 부족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판의 최대한 전진삽입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발판 몸체의 일부 진입을 허용하도록 절개된 공간을 구비(이로써 절개 공간이 있는 일측 브라켓의 수직부는 ㄱ자 형상을 이룬다)하고 있으며, 그 절개 공간에 접한 지지면이 발판의 상부면을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발판이 몰입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발판이 길게 인출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차량 하부의 기존 구조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A-A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차량 하부에 장착시킨 상태를 개략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b)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의 발판을 범퍼 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용어 "전방"은 차량의 엔진룸쪽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차량 후미 방향쪽을 의미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는 전체를 부호 30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30)는 차고가 높고 후방으로 젖혀져 적재함을 개방하는 테일게이트(32)를 가진 픽업 트럭(34)이나 SUV 차량의 후방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3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36)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6)은 1개 이상, 바람직하기는 도시한 것 같이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2개의 지지브라켓(36a,36b: 대표부호 36)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의 사시도 및 도 8의 측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6)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로 형성되며, 상부의 수평 절곡부(40:40a,40b)에는 각기 장공(42:42a,42b)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44)와 너트(46) 및 와셔(48)를 통해 차량 후미 저면부의 하부 프레임(50)의 볼트공(52,54)(도 7 참조)에 각각의 지지브라켓(36a,36b)의 장공(42a,42b)을 일치시켜 조립하여 지지브라켓(36a,36b)을 하부 프레임(50)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평 절곡부(40)는 엄밀한 수평을 의미하지는 아니하며, 장착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수직몸체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는 상기 2개의 볼트공(52.54) 사이로 엇비슷한 경사 방향, 예를 들면 차축에 대하여 30~50°각도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이 같은 설치각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특징을 이룬다. 이는 후술하는 발판의 인출 방향 및 그 노출 위치와 관련하여 직접적 관련성을 가진다.
도 7에 도시한 기존 차량 구조상 상기 차량 저면부의 하부 프레임(50)은 차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있고, 이에 따라 2개의 볼트공(52,54)이 차축과 일치하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히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양측면에 용접 장착되는 지지브라켓(36a,36b)은, 일측의 것(36a)은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후단에 고정되고, 타측 것(36b)은 그와 약간 어긋난 전방 위치에 고정되며, 수평절곡부(40a)의 장공(42a)은 하부 프레임(50)의 볼트공(52)에 일치시켜 볼트(44)와 너트(46)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타측의 수평절곡부(40b)의 장공(42b)은 하부 프레임(50)의 볼트공(54)에 일치시켜 볼트(44)와 너트(46)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이 같은 지지브라켓(36a,36b)의 설치 상태는 하부 프레임(50)과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설치각(30~50°의 예각을 이룸)의 차이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이며, 이로써 발판장치(30)는 차축방향에 일치하는 하부 프레임(50)에 대하여 대략 45°의 각도를 가지고 차량 범퍼(B)의 모서리 방향을 향해 연장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설치된다(도 7의 X-X 중심축선 및 도 9의 개략적 설치 상태 참조).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 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같은 4각형 형상의 슬라이드 파이프(56)가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는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외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의 후방 단부 위에 지지되게 발판(58)이 용접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발판(58)은 판상의 철판부재로서, 그의 상부 표면에는 발을 내딛었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돌기(6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후단은 각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58)의 후면 곡면을 포함한 적어도 3면에는 발판(58) 표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벽부재(62)가 용접 장착되어 있다.
이 벽부재(62)는 발판(58)의 강도를 보강하고, 발판과 파이프 부재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ㄱ자 형상을 이루어 벽부재(62)가 발판(58)의 일출과 몰입 작동 시 손잡이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부드러운 벽부재면에 차량의 모델명이나 광고문안등을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의 후방으로의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 즉 상기 가이드 파이프(38)를 통해 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스토퍼(6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64)는 막대상 부재를 용접하여 장착할 수 있으나,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 벽면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 장착하는 것이 작업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도 8은 보조 발판장치(30)의 잠금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발판(58)을 차량 범퍼(B) 하부에 안전하게 감추어지도록 수용시, 즉 발판(58)을 전방으로 끝까지 밀어붙이면 발판(58)이 차량 범퍼(B) 하부 안쪽에 위치되어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발판(58)의 전후 방향으로의 자연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볼(68)과 지지스프링(70) 및 볼걸림공(72)을 포함하는 잠금기구(66)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와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기구(66)는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일측벽면에 용접 장착되어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너트체(74)와, 상기 너트체(74)와 나사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지지스프링(70)과 볼(68)을 수용하는 공간(76)을 구비한 중공형의 숫나사체(78)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숫나사체(78)의 선단에는 직경이 점차 오므러드는 형태로서, 오므러든 그것의 단부 내경이 상기 볼(68)의 외경보다 작아 볼(68)의 1/2 직경보다 작은 범위 이내에서 볼의 외부로의 돌출을 허용하나 더이상의 이탈을 방지하는 테이퍼 선단부(80)가 단일몸체 또는 별개체로 제조되어 용접 또는 나사 조립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68)의 돌출된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에 형성한 상기 볼걸림공(72)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 걸림공(72)의 장착 위치는 상기 발판(58)이 최대로 몰입된 상태, 즉 발판(58)이 상기 가이드 파이프(38)의 후단에 밀착한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볼 걸림공(72)이 상기 볼(68)에 마주 대응하여 볼(68)의 선단을 수용하여 잠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숫나사체(78)의 외측단부는 막힌 형태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나 제조 및 조립 편의상 후단을 개방된 중공체로 제작한 후 볼(68)과 지지스프링(70)을 후단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고 그 개구부를 별도의 마개체(82)로 막아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마개체(82)를 나사로 형성하여 숫나사체(78)의 중공부 내면에 형성한 나사와 체결하면 그 체결 깊이의 조절을 통하여 지지스프링(70)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스프링(7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잠금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마개체(82)의 나사를 더욱 조여붙여 전진시키게 되므로써 지지스프링(70)이 압축되어져 볼(68)에 대한 탄성가압력을 적절히 회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구(66)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38)의 측면 또는 상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56)를 전방측으로 완전하게 밀어넣어 몰입시키게 되면 상기 잠금기구(66)의 볼(68)이 볼걸림공(72)에 끼워져 슬라이드 파이프(56)의 자연적 이동이 방지되게 잠금되면서, 범퍼(B) 후방의 외부로 노출되었던 상기 발판(58)은 범퍼 하부에 안전하게 감추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36a)은 발판(58) 몸체의 일부 진입을 허용하도록 절개된 공간(84)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절개 공간(84)에 접한 지지면(86)이 발판(58)의 상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 이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적재함의 보조 발판장치(30)의 작동 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정상 운행중일 때에 상기 발판(58)은 전방으로 최대한 밀어넣어져 범퍼 하부에 위치하여 잠금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런데 차량이 정차하고 차량 탑승자가 도 10에서와 같이 테일게이트(32)를 후방으로 열어젖혀 열고, 테일게이트(32)에 올라가 적재함에 짐을 싣거나 또는 하역하거나 할 경우, 차고가 높아 그냥 테일게이트(32) 위에 한번에 올라서는 것은 힘이 들고 위험하므로, 이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것 같이 보조 발판장치(30)의 발판(58)을 범퍼(B) 후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발판(58)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범퍼 하부로 손을 집어 넣어 발판(58)과 ㄱ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벽부재(62)의 안쪽면으로 손가락들을 넣어 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면, 잠금기구(66)의 볼(68)이 볼걸림공(7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슬라이드 파이프(56)가 4각형 가이드 파이프(38)의 가이드를 따라 후방으로 인출되며, 이때 스토퍼(64)가 가이드 파이프(38) 끝단부에 걸려 더이상 후방으로 인출되지 않을 때까지 발판(58)을 잡아당긴다.
X-X의 경사 축선 방향으로 따라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58)은 수평으로 열어젖혀진 상태의 테일게이트(32)의 일측면과 간섭되지 않는 바깥측(범퍼의 모서리 쪽)에 위치하여 노출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발판(58)의 높이는 대략 지면과 테일게이트(32) 높이의 1/3 내지 중간 정도를 가진다.
도 10(a),(b)는 발판(58)이 테일케이트(32)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인출된 상태에서 적재함에 실려 있는 짐을 하역하고자 하는 사람이 발판(58)을 딛고 테일게이트(32)에 올라서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발판(58)이 있어 높은 테일게이트(32)에 안전하고 쉽게 올라서는 것이 가능하다.
발판(58)의 사용이 끝나면, 발판(58)을 발판장치(30)의 경사진 중심축선방향(X-X)을 따라 밀어 넣어 잠금기구(66)의 볼(68)이 볼걸림공(72)에 걸려 슬라이드 파이프(56)을 잠금하여 구속하면, 이때 발판(58)은 범퍼(B) 하부 안쪽 공간에 안전하게 숨겨져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잠금기구(66)가 슬라이드 파이프(56)를 잠금하고 있어 인위적인 강한 인출력이 발판(58)을 통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차량 주행 중 발판장치(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 보조 발판장치 32: 테일게이트
34: 픽업 트럭(SUV 차량) 36(36a,36b): 지지브리켓
38: 4각형 가이드 파이프 40(40a,40b): 수평 절곡부
42(42a,42b): 장공 44: 볼트
46: 너트 48: 와셔
50: (차량의)하부 프레임 52,54: 볼트공
56: 슬라이드 파이프 58: 발판
60: 미끄럼방지돌기 62: 벽부재
64: 스토퍼 66: 잠금기구
68: 볼 70: 지지스프링
72: 볼걸림공 74: 너트체
76: 공간 78: 숫나사체
80: 테이퍼 선단부 82: 마개체
84: 절개 공간 86: 지지면
B: 범퍼 X-X: 보조발판장치의 중심축선

Claims (5)

  1.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를 가진 픽업 트럭이나 SUV 차량의 후방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 장착되는 4각형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 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발판과;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전방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으로의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는 최대 인출시 후방 범퍼 외부로 상기 발판의 노출을 허용하며, 최대 몰입시 후방 펌퍼 내측으로 위치되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및 슬라이드 파이프는 차축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교차하는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하되, 차량 후방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테일게이트의 일측면에 접하여 그 일측면의 바깥측으로 상기 발판이 노출되도록 허용되는 설치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발판이 상기 범퍼 하부에 수용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를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에 대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볼과 지지스프링 및 볼걸림공으로 이루어진 잠금기구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4각형 가이드 파이프 몸체에 용접 장착되는 너트체와, 상기 너트체와 나사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지지스프링과 볼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한 중공형의 숫나사체 및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를 몰입시킨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잠금기구의 볼이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 일면의 적어도 1개소에 천공시켜 형성한 상기 볼걸림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의 숫나사체의 바깥 단부의 개구부에는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마개체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테두리에는 그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강도보강 및 손잡이 기능을 하는 벽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가 몰입되고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이동이 잠금될 때 외부로 노출되었던 상기 발판은 범퍼 하부에 감추어지게 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발판 몸체의 일부 진입을 허용하도록 절개된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20190037336A 2019-03-29 2019-03-29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216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336A KR102165540B1 (ko) 2019-03-29 2019-03-29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336A KR102165540B1 (ko) 2019-03-29 2019-03-29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872A KR20200114872A (ko) 2020-10-07
KR102165540B1 true KR102165540B1 (ko) 2020-10-14

Family

ID=7284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336A KR102165540B1 (ko) 2019-03-29 2019-03-29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938A1 (en) * 2003-02-04 2003-06-26 Scott Shields Vehicle tailgate step
JP2008155794A (ja) * 2006-12-25 2008-07-10 Kojima Press Co Ltd 可動部材のスライ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204B1 (en) * 2002-08-20 2004-02-03 Kenneth L Hehr Hitch-mounted extensible step for pickup trucks and other vehicles having tailgates
US8366129B2 (en) 2010-07-20 2013-02-05 Multimatic Inc. Dual motion deployable vehicle access ste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938A1 (en) * 2003-02-04 2003-06-26 Scott Shields Vehicle tailgate step
JP2008155794A (ja) * 2006-12-25 2008-07-10 Kojima Press Co Ltd 可動部材のスライ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872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4724B2 (en) Bicycle rack with C-hoops
US6270099B1 (en) Running board storage device
US6340190B1 (en) Tailgate attachment for extending the cargo space of a vehicle
US4079989A (en) Pickup bed topper
US20060272896A1 (en) Mobile roof loading system
US20020101088A1 (en) Vehicle bed modula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10290837A1 (en) Rack lock safety mechanism for a weapon
US20030127873A1 (en) Truck bed extension
US6468009B2 (en) Pop-up tie dow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10031771A1 (en) Storage trunk in the front of a vehicle
US20050095102A1 (en) Cargo rack
US7566085B2 (en) Tailgate-attached cargo support apparatus
CA3036857C (en) Holiday trailer
KR101801470B1 (ko)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US8113563B1 (en) Swing away truck bed cargo rack
US7721849B2 (en) Retractable ladder
KR102165540B1 (ko)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US7175060B1 (en) Bed slide that mounts in a vehicle using pre-existing mounting points
US20020070255A1 (en) Utility rack for all terrain vehicles
US6024263A (en) Hinged carrier assembly for sport equipment trailers
US6764121B1 (en) Truck bed extension
US6082800A (en) Cargo load support system
US6722290B2 (en) Device for detachable mounting of a table
EP3710311B1 (fr) Ensemble interieur support de charges, se disposant en partie interieure haute du vehicule
DE10358736B4 (de) An einem Kraftfahrzeug schwenkbar angeordnete Klap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