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71B1 -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471B1
KR102165471B1 KR1020200072121A KR20200072121A KR102165471B1 KR 102165471 B1 KR102165471 B1 KR 102165471B1 KR 1020200072121 A KR1020200072121 A KR 1020200072121A KR 20200072121 A KR20200072121 A KR 20200072121A KR 102165471 B1 KR102165471 B1 KR 10216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ite
pump
workflow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상
김기홍
최현섭
임준호
변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7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3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계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여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은 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그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현장디바이스는 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됨에 따라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Method for managing based on workflow at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을 통해 현장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현장에 설치되는 모터 등과 같은 전동기기는 MCC 판넬(Motor Control Center Panel)을 통하여 그 구동이 제어된다. 수처리 현장에 대한 종래의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MCC 판넬별로 현장조작반(LOP, Local Operation Panel)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현장디바이스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현장조작반을 통해 현장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시하고, 현장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MCC 판넬과 현장조작반은 수많은 전선들로 연결됨에 따라 현장조작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장조작반의 기능 확장 시에 전선들의 추가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CC 판넬과 현장조작반간의 유선 통신을 무선 통신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13499호 "무선모터제어장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8059호 "무선을 이용한 현장모터의 진단 및 제어장치"를 들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8059호는 수처리 공정에서 사용하는 현장 모터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를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등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현장디바이스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되면 현장조작반의 램프, 버튼, 스위치 대신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장디바이스를 감시 및 제어하기 때문에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현장디바이스를 유지 보수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현장디바이스의 오조작은 현장디바이스 고장을 일으킬 수 있고, 각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시설의 펌프를 잘못 구동시켰을 경우, 펌프의 급격한 회전 상승으로 펌프가 고장날 수 있고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방류될 수 있다.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사용자에 의한 현장디바이스 오조작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현장디바이스 고장 및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및 그것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중계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중계디바이스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중계디바이스가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등급이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획득을 나타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중앙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협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중앙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획득을 나타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일 수 있다.
상기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는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에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와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시킨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함수는 상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의 출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실행되고, 상기 입력함수는 상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정보의 입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고,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계디바이스;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중계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MCC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중계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여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은 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그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현장디바이스는 그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제어됨에 따라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중계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권한등급이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워크플로우 실행에 따라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 받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사용자에 의한 현장디바이스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한 현장디바이스 고장 및 각종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중계디바이스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협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중앙서버는 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조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보다 지식과 경험이 많은 다른 사용자의 확인 하에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는 각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에 각 현장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와 각 현장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시킨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작성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현장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의 특성에 맞게 함수들을 조합하는 것만으로 각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컨텐츠를 쉽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11)의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워크플로우 기반 감시제어방법의 워크플로우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워크플로우 기반 감시제어방법에 따른 펌프 고장 이벤트 처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사용자에 의한 현장디바이스 오조작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현장디바이스 고장 및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현장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것을 간략하게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사용자단말(11), 복수 개의 중계디바이스(12),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field device)(13), 복수 개의 MCC 판넬(Motor Control Center Panel)(14), 및 중앙서버(15)로 구성된다. 사용자단말(11)의 예로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들 수 있다. 현장디바이스(13)의 예로는 압력계(131), 펌프(132), 유량계(133), 수위계(134), 수질계(135), 전력량계(136) 등을 들 수 있다.
도 1에는 2 개의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이 도시되어 있으나,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이 설치될 수 있다. 중앙서버(15)는 그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여러 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는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이 수처리시설에 적용될 경우에 수처리시설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TM/TM(Telemetering & Telecontrol Master)가 추가될 수도 있다.
수처리시설의 경우, 유입펌프장, 침전지, 여과지, 농축조, 탈수동, 방류조 등과 같은 여러 현장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각 현장에는 여러 개의 현장디바이스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유입펌프장에는 압력계, 펌프, 수위계, 전력량계가 설치되고, 침전지에는 펌프, 수위계가 설치되고, 여과지에는 밸브, 유량계가 설치되고, 농축조에는 압력계, 펌프, 수위계, 유량계가 설치되고, 탈수동에는 압력계, 펌프, 송풍기가 설치되고, 방류조에는 펌프, 유량계, 수질계가 설치된다. 현장디바이스들 대부분은 계측기기와 전동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수위계, 유량계, 압력계, 수질계, 전력량계는 계측기기에 속하고, 펌프, 밸브, 송풍기는 전동기기에 속한다. 이하에서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이 수처리시설에 적용될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은 사용자단말(11), 그 사용자단말(11)이 위치하는 현장에 설치된 중계디바이스(12), 및 MCC 판넬(14)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종래의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는 MCC 판넬(Motor Control Center Panel)별로 그것과 유선으로 연결된 현장조작반(LOP, Local Operation Panel)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현장조작반 대신에 그것과 유선으로 연결된 중계디바이스(12)가 설치된다. MCC 판넬(14)과 중계디바이스(12)는 RS-485 직렬 통신 케이블로 연결됨에 따라 전선의 개수가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계디바이스(12)와 무선 연결된 사용자단말(11)을 조작함으로써 MCC 판넬(14)에 연결된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21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구성된 로그인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와 중계디바이스(12)간의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중계디바이스(12)에 전달하고, 중계디바이스(12)의 전송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양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MCC 판넬(14)과 현장디바이스들을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1)은 이와 같이 입력된 로그인정보의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단말(11)과 중계디바이스(12)간의 무선통신채널을 생성함으로써 중계디바이스(12)에 무선으로 접속한다. 무선통신채널의 예로는 와이파이 통신채널을 들 수 있다. 사용자단말(11)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과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서버(15)에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전송하고, 중앙서버(15)는 사용자단말(1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로그인정보와 그것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로그인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단말(1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인증하고, 그 결과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22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1 단계에서의 사용자단말(11)의 무선 접속이 확인되면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하여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11)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중계디바이스(12)는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간의 통신 상태, MCC 판넬(14)의 동작 상태, 각 현장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중계디바이스(12)가 위치한 현장에 설치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의 동작 상태, MCC 판넬(14)의 내부에 설치된 열화상카메라의 동작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된 각 장치의 상태는 정상 또는 이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수치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11)의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중계디바이스(12)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복수의 현장들 중 어느 하나의 현장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데이터 통신 정상"은 중계디바이스(12), MCC 판넬(14), 및 각 현장디바이스(13)간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화면이 전환되더라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사용자는 "장비 국번 설정" 입력창에 각 현장의 식별 넘버를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현장들 중 어느 하나의 현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비 리셋"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장의 모든 디바이스의 상태를 초기화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장의 디바이스들(13)의 디지털 상태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장에는 세 개의 펌프와 하나의 수위계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접점 감시"는 각 현장디바이스의 디지털 입력 접점들의 온 또는 오프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것으로부터 3 개의 펌프 중에서 펌프 C가 구동 중임을 알 수 있다. "디지털 출력 감시"는 각 현장디바이스의 디지털 출력 접점들의 온 또는 오프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것으로부터 펌프 C에 대한 사용자의 펌프 시동 명령이 펌프 C에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장의 디바이스들(13)의 아날로그 상태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아날로그 SCALE" 입력창을 통하여 각 아날로그 계측기기의 계측 스케일을 설정할 수 있다. "아날로그 데이터 모니터링" 창에는 각 아날로그 계측기기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값과 각 아날로그 계측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값이 표시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계측기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압력계를 들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은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형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워크플로우 기반 감시제어방법의 여러 단계에서 다양한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5의 예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설계할 수 있다.
23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2 단계에서의 시스템 상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MCC 판넬(1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13)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예로는 수위계, 유량계, 압력계, 수질계, 전력량계 등과 같은 계측기기의 고장, 펌프, 밸브, 송풍기 등과 같은 전동기기의 고장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펌프장으로 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펌프를 시동한 경우에 수위계에 의해 측정된 유입펌프장의 수위가 변화가 없고 수위계의 입출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검출이 되는 경우에 중계디바이스(12)는 해당 펌프의 고장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중계디바이스(12)는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13)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2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213 단계로 진행한다.
24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2 단계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11)은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단말(11)은 이와 같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 정보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22 단계에서 그 발생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단말(11)은 이와 같이 입력된 사용자의 이벤트 선택을 나타내는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단말(11)의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복수의 이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어떤 것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계들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사용자는 복수의 이벤트 중에서 나머지 이벤트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이벤트를 차례대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지식 및 경험에 따라 어떤 이벤트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그 처리를 의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에 따라 이벤트 처리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처리가 방지될 수 있다.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의 이벤트 선택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11)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의 이벤트 선택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면 25 단계로 진행한다.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의 이벤트 선택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가 선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면 213 단계로 진행한다. 이것은 현장디바이스(13)에서 발생된 모든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되었거나, 사용자가 모든 이벤트를 처리할 수 없거나, 사용자가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이다.
25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3 단계에서 그 발생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24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펌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가 실행되고 수위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위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가 실행된다.
26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5 단계에서의 워크플로우 실행에 따라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가 여러 단계들로 구성된 경우, 각 단계별로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가 전송될 수 있다.
27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24 단계에서 전송된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와 같이 수신된 컨텐츠를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된 컨텐츠를 인지한 사용자는 그 컨텐츠가 나타내는 유지보수 방법에 따라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현장디바이스(13)의 상태를 확인한 후, 현장디바이스(13)의 작동을 조작하면서 현장디바이스(13)를 수리하거나, 현장디바이스(13)의 수리 완료 후에 현장디바이스(13)의 작동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현장디바이스(13)의 수리에는 현장디바이스(1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수반된다.
사용자단말(11)은 컨텐츠가 나타내는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사용자단말(11)은 이와 같이 입력받은 사용자 조작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현장디바이스(13)의 어떤 제어 항목을 어떻게 조작하고 현장디바이스(13)의 어느 부분을 어떻게 수리해야하는가에 관한 유지보수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28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11)로부터 25 단계에서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2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9 단계로 진행한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만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워크플로우 실행에 따라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 받더라도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사용자에 의한 현장디바이스 오조작이 방지될 수 있고, 그로 인한 현장디바이스 고장 및 각종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의 권한 등급은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에 관한 사용자의 지식과 경험에 따라 설정되며, 서로 다른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해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펌프의 수리에 관해서는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나, 수위계 수리에 관해서는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펌프에 대해서는 제어가 가능하고 수위계에 대해서는 제어가 불가능한 권한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펌프에 대한 감압 조치는 할 수 있으나, 펌프를 분해 수리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는 펌프의 압력 제어 항목에 대해서는 제어가 가능하고 펌프 분해를 위한 제어 항목에 대해서는 제어가 불가능한 권한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사용자 권한 등급은 21 단계에서의 사용자 로그인 과정에서 중앙서버(15)로부터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될 수 있다.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권한 등급은 어떤 도움 없이 단독으로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워크플로우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 안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지식과 경험이 갖춘 사용자에게도 부여될 수 있다. 그 결과,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풀이 늘어가게 되어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인력 부족으로 인한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29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7 단계에서의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서버(15)에 전송한다. 중앙서버(15)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권한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중앙서버(15)는 이와 같이 수신된 승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중계디바이스(12)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지보수 능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교육 이수 사항,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경험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1)의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잘못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특정 현장디바이스에 대한 유지보수교육을 받은 경우, 특정 현장디바이스를 수리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에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권한이 승인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1)의 사용자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권한에 대한 승인이 불가능함을 알고, 사용자보다 지식과 경험이 많은 다른 사용자에게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한 협업을 부탁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후에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워크플로우 처리의 진행 상황을 인지하고, 현재 사용자 조작 정보가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에 적절한 경우,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협업을 요청하는 아이콘을 클릭한다.
이와 같이 아이콘이 클릭된 경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은 중앙서버(15)에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협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중앙서버(15)는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조작 협업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중앙서버(15)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중계디바이스(12)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를 조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보다 지식과 경험이 많은 다른 사용자의 확인 하에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10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중앙서버(15)로부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와 같이 수신된 응답 메시지가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획득을 나타내면 2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2 단계로 진행한다. 212 단계로 진행된 경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과 관련된 단계는 스킵되고 이벤트의 나머지 단계들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스킵된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는 미처리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며, 스킵된 단계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단말이 중계디바이스(12)에 접속할 때에 스킵된 단계가 처리된다.
211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8 단계에서 수신된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14)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13)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현장디바이스(13)는 MCC 판넬(14)에 연결되어 있고 MCC 판넬(14)은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13)를 제어한다. 중계디바이스(12)가 MCC 판넬(14)의 현장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현된다면, 중계디바이스(12)가 직접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현장디바이스(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212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23 단계에서 실행된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절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 24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종료하고 24 단계로 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26 단계로 돌아간다.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는 하나의 단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들로 구성된다.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의 어떤 단계에 대해서는 처리가 완료되었으나 나머지 단계에 대해서는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 26 단계로 돌아가서 나머지 단계가 처리된다. 26 단계로 돌아간 경우, 중계디바이스(12)에 의해 이미 전송한 컨텐츠의 후속 컨텐츠가 전송되면서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유지보수 절차의 모든 단계에 대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26~212 단계가 반복된다.
213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일반적인 유지보수에 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213 단계의 일반 유지보수 절차는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13)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된 모든 이벤트의 처리가 완료되었거나, 사용자에 의해 어떤 이벤트도 선택되지 않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처리 불가능한 이벤트의 단계가 스킵된 경우에 실행된다. 사용자단말(11)은 이와 같이 입력받은 사용자 조작 정보를 21 단계에서 생성된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중계디바이스(12)는 무선통신채널을 통해 사용자단말(11)로부터 25 단계에서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어한다. 213 단계에서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어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어떤 권한 없이도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어떤 장치, 예를 들어 현장디바이스(13), MCC 판넬(14) 등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어떤 장치를 오조작하더라도 이것으로 인해 장치 고장이나 현재 이상 상황 외의 다른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이벤트로 관리되지 않으며, 일반 유지보수 절차로 관리된다.
예를 들어,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간의 통신 상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중계디바이스(12)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간의 통신 설정을 변경하더라도 중계디바이스(12)와 MCC 판넬(14)간의 통신 상태 이상 외의 다른 사고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CCTV나 열화상카메라의 동작 상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중계디바이스(12)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CCTV나 열화상카메라의 상태 설정을 변경하더라도 CCTV나 열화상카메라의 동작 상태 이상 외의 다른 사고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워크플로우 기반 감시제어방법의 워크플로우의 구조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의 실행은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의 전송,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 입력,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른 현장디바이스(13)의 제어 등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절차가 여러 단계로 구성된 경우,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는 각 단계 별로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컨텐츠 또는 각 단계별 컨텐츠는 동영상재생함수에 출력함수와 입력함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시킨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동영상재생함수는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스크립트 함수이다. 출력함수는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립트 함수이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상태 데이터의 출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자동 실행된다. 입력함수는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함수이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사용자 조작 정보의 입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자동 실행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워크플로우는 N 개의 스크립트의 순차적 나열로 이루어지고, 각 스크립트는 동영상재생함수, 출력함수, 및 입력함수의 조합, 동영상재생함수와 출력함수의 조합, 또는 동영상재생함수와 입력함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된 함수에 다른 종류의 함수를 추가하여 조합시킴으로써 각 스크립트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디바이스의 여러 상태값을 연산하기 위한 데이터연산함수를 추가하여 조합시킴으로써 각 현장디바이스(13)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에 그 연산값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현장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의 특성에 맞게 함수들을 조합하는 것만으로 각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컨텐츠를 쉽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어떤 현장에 설치된 현장디바이스와 동종의 현장디바이스가 다른 현장에 설치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어떤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컨텐츠에 사용된 함수를 다른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컨텐츠에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워크플로우의 설계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워크플로우 기반 감시제어방법에 따른 펌프 고장 이벤트 처리의 예시도이다. 중계디바이스(12)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어떤 현장의 수위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위를 나타내는 경우에 그 현장에 설치된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와 수위계의 상태 이상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게 된다. 사용자가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를 선택한 경우, 도 2의 25~212 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2의 25~212 단계 중 일부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펌프와 수위계에 각종 센서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펌프와 수위계 중 어느 것의 상태가 비정상적인가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라면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와 수위계의 상태 이상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 발생이 검출될 수도 있다.
25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한다. 이 워크플로우가 안내하는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펌프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는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 및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로 구성된다. 26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 실행에 따라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 및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 중에서 먼저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를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27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를 수신하고,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를 실행함으로써 펌프 압력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사용자에게 펌프의 현재 압력값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압력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단말(11)은 사용자로부터 펌프 압력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는 펌프의 압력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 펌프의 압력 측정값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 및 펌프의 압력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로 이루어진다. 펌프 압력 설정 스크립트가 실행됨에 따라 동영상재생함수가 재생되고,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펌프의 압력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이 표시된다.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펌프의 압력값 표시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출력함수가 실행되고, 그 압력값 표시 창에 펌프의 압력 측정값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표시된 펌프의 압력 측정값으로부터 펌프의 압력이 정상인지, 아니면 비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이어서,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펌프의 압력값의 설정을 문의하는 내용의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입력함수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압력 정상 확인 아이콘과 압력 이상 확인 아이콘이 표시되고, 압력 이상 확인 아이콘 아래에는 입력함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펌프의 압력값 설정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펌프의 압력값 설정 창에 펌프의 압력값을 입력한다.
28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단말(11)로부터 펌프의 압력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 압력의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한다.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는 펌프의 압력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값이거나 펌프의 새로운 압력 설정값이다.
211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 압력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28 단계에서 수신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14)로 전송한다. MCC 판넬(14)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펌프의 압력을 유지하거나 조정한다. 이어서, MCC 판넬(14)은 펌프의 압력값을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의 압력값을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11)을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는 대부분 펌프의 압력값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에 발생되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펌프 감압을 위한 조치를 취한다.
MCC 판넬(14)이 펌프의 압력을 유지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펌프의 압력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나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 압력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MCC 판넬(14)로 사용자 조작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며, MCC 판넬(14)로 사용자 조작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펌프의 압력값을 새롭게 설정한 경우이다.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는 29~210 단계에 따라 다른 사용자와 협업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의 단계들 중 펌프 분해 안내 스크립트와 펌프 시운전 안내 스크립트의 단계가 남아 있으므로 26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26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 분해 안내 스크립트를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27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를 수신하고,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를 실행함으로써 펌프 분해 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사용자에게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단말(11)은 사용자로부터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고, 그 중 일부를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는 펌프의 분해 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 및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로 이루어진다. 펌프 분해 수리 스크립트가 실행됨에 따라 동영상재생함수가 재생되고,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펌프의 분해 수리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이 표시된다.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단계별 확인 사항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입력함수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펌프 전원이 오프되었는가의 확인 사항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사용자로부터 펌프 전원의 온오프 제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펌프 내부의 이물질이 제거되었는가의 확인 사항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사용자로부터 이 확인사항의 준수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펌프의 수리 완료 후에 펌프를 조립할 때에 베어링이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었는가의 확인 사항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사용자로부터 이 확인사항의 준수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28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단말(11)로부터 펌프 분해 수리를 위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 분해 수리를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한다. 상기된 예에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는 펌프 전원의 온오프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펌프 분해 수리의 단계별 확인 사항의 준수 여부의 입력은 사용자의 확인을 받으면서 동영상의 재생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되지 않는다.
211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 분해 수리를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28 단계에서 수신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14)로 전송한다. MCC 판넬(14)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펌프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펌프의 분해 전에는 MCC 판넬(14)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펌프 전원을 오프시키고, 펌프의 조립 완료 후에는 MCC 판넬(14)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펌프 전원을 온시킨다. 이어서, MCC 판넬(14)은 펌프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값을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값을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11)을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의 단계들 중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의 단계가 남아 있으므로 26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26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를 사용자단말(11)로 전송한다. 27 단계에서 사용자단말(11)은 중계디바이스(12)로부터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를 수신하고,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를 실행함으로써 펌프 시운전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사용자에게 펌프의 입력 전압, 입력 전류, 및 회전 속도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펌프 리셋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단말(11)은 사용자로부터 펌프 리셋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입력받으면,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중계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는 펌프의 시운전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 펌프의 입력 전류, 입력 전압, 및 회전 속도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 및 펌프의 리셋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로 이루어진다. 펌프 시운전 확인 스크립트가 실행됨에 따라 동영상재생함수가 재생되고,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펌프의 시운전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이 표시된다.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펌프의 구동 상태 표시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출력함수가 실행되고, 그 펌프 구동 상태 표시 창에 펌프의 입력 전류, 입력 전압, 및 회전 속도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펌프의 입력 전압, 입력 전류, 및 회전 속도를 참조하여 펌프의 상태가 정상 또는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펌프의 상태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조작에 의해 해당 이벤트가 미처리된 상태로 워크플로우의 실행이 종료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펌프의 분해 수리 등 유지보수를 재수행한 후에 펌프의 입력 전압, 입력 전류, 및 회전 속도를 참조하여 펌프의 상태가 정상 또는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펌프의 리셋 설정을 문의하는 내용의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입력함수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원격관리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펌프 정상 확인 아이콘과 펌프 이상 확인 아이콘이 표시되고, 펌프 정상 확인 아이콘 아래에는 입력함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펌프의 리셋 설정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펌프의 리셋 설정 창에 펌프의 리셋 설정값을 입력한다.
28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단말(11)로부터 펌프의 리셋 설정을 위한 사용자의 펌프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의 리셋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한다. 펌프의 리셋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은 사용자가 펌프를 리셋함으로써 펌프의 이상 상태를 정상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211 단계에서 중계디바이스(12)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펌프의 리셋 설정을 위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28 단계에서 수신된 펌프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14)로 전송한다. MCC 판넬(14)은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펌프를 리셋한다. 펌프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의 모든 단계가 완료되었으므로 펌프의 상태 이상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의 실행은 종료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사용자단말
12 ... 중계디바이스
13 ... 현장디바이스
14 ... MCC 판넬
15 ... 중앙서버

Claims (8)

  1.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중계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권한 등급이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등급이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권한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 승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획득을 나타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중앙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협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중앙서버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유지보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상기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권한의 승인 획득을 나타내면,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는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재생함수에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함수와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함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시킨 스크립트의 형식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함수는 상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의 출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실행되고,
    상기 입력함수는 상기 동영상재생함수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상기 각 현장디바이스의 사용자 조작 정보의 입력 창을 표시하는 프레임의 재생 시점에 호출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8. 복수 개의 현장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를 안내하는 워크플로우를 실행하고, 상기 워크플로우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절차에 따른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계디바이스;
    상기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현장디바이스 유지보수 방법이 지시하는 현장디바이스 제어 항목에 대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계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중계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MCC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디바이스는 상기 전송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MCC 판넬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KR1020200072121A 2020-06-15 2020-06-15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KR102165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21A KR102165471B1 (ko) 2020-06-15 2020-06-15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21A KR102165471B1 (ko) 2020-06-15 2020-06-15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471B1 true KR102165471B1 (ko) 2020-10-15

Family

ID=7288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21A KR102165471B1 (ko) 2020-06-15 2020-06-15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79B1 (ko) 2022-10-21 2023-05-12 위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이벤트 발생 예측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61A (ko) * 1999-10-07 2000-01-15 이응준 공기조화기의 원격유지보수시스템
KR20120016978A (ko) * 2010-08-17 2012-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8394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통합항해시스템 원격 유지보수 장비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61A (ko) * 1999-10-07 2000-01-15 이응준 공기조화기의 원격유지보수시스템
KR20120016978A (ko) * 2010-08-17 2012-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8394A (ko) * 2013-05-2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통합항해시스템 원격 유지보수 장비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79B1 (ko) 2022-10-21 2023-05-12 위템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전자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이벤트 발생 예측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123B2 (en) Interactive diagnostics having graphical playback and solutio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WO2018014502A1 (zh) 电梯的预诊断方法及装置
KR102165471B1 (ko)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서의 워크플로우 기반 관리 방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CN109840602A (zh) 一种针对工业制造装备的远程运维管理系统及方法
JPH0820284B2 (ja) 故障診断装置
CN110568284A (zh) 智能变电站一键顺控自动测试验证方法、装置及系统
CN105223932A (zh) 核电站安全预警方法、系统以及核电站仿真技术平台
EP4198938A1 (en) Event device operation
KR102402653B1 (ko) 인공지능 기반 스카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0800315B (zh) 设备维护支持系统以及设备维护支持装置
WO2019116485A1 (ja) 設備管理用ローカルサーバ及び代行管理用センターサーバ
KR101788115B1 (ko) 사례기반 진단 시스템 및 서버
CN108120475A (zh) 一种管廊的数据监测方法和装置
KR20180059059A (ko) 사용 계층별 qr 코드를 이용한 산업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CN109919415A (zh) 基于无人车的监管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8910639A (zh) 电梯抱闸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5972724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5853325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01035887B1 (ko) 전자연동 장치용 카드시험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985888A (zh) 一种供水管网智能化管理系统及方法
CN113409976B (zh) 一种核电站非安全级过程控制系统
CN112379316B (zh) 多通道电磁阀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415985B (zh) 核电站闸门与主控通讯验证装置、方法及其相关设备
US20240152437A1 (en) Closed-loop input/output points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