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17B1 -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417B1
KR102165417B1 KR1020190107458A KR20190107458A KR102165417B1 KR 102165417 B1 KR102165417 B1 KR 102165417B1 KR 1020190107458 A KR1020190107458 A KR 1020190107458A KR 20190107458 A KR20190107458 A KR 20190107458A KR 102165417 B1 KR102165417 B1 KR 10216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pipe
small
inner tub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조
박영규
Original Assignee
황인조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조, 박영규 filed Critical 황인조
Priority to KR102019010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소경부와, 소경부에 연결되고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대경부에서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개구와 연통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내관; 및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증폭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증폭부와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내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Description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PIPE MAINTENANCE UNIT AND PIP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배관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배관 내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배관의 굴곡된 부분에 오염 물질이 쉽게 점착될 우려가 있다. 오염 물질이 점착되면 배관이 부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관 내를 유동하던 유체가 누출될 수 있다. 또한, 인화성의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화재나 폭발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배관의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실정이지만, 배관의 내부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단기간에 배관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 이에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배관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예에서,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소경부와, 소경부에 연결되고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대경부에서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개구와 연통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내관; 및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증폭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증폭부와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내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다른 예에서, 내관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더 구비하고, 돌기는, 통로를 지나온 유지보수용 유체가 내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내관의 내주면은, 소경부에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내관에서 소경부의 반대측 말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소경부의 내주면은, 대경부를 향할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소경부는, 대경부측 말단이 내관의 내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고, 통로는,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이 외관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홈에 삽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소경부에 결합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개구에 삽입되고,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고, 유지보수용 유체는 유입관을 통해 증폭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소경부와, 소경부에 연결되고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대경부에서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관;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 및 내관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증폭부와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내관의 내부로 유입되고, 돌기는, 개구와 통로를 지나온 유지보수용 유체가 내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 다른 예에서, 배관 어셈블리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복수 개의 배관을 포함하고,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소경부와, 소경부에 연결되고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대경부에서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개구와 연통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내관; 내관의 소경부측 말단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증폭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증폭부와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내관에 연결된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외관(110), 내관(130), 유입관(150) 및 플랜지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외관(110)과 내관(130)은 볼트(2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배관과 배관 사이에 결합되며, 배관 유지보수 유닛에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통과한 후 압력이 증폭되고, 또한 배관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변환됨으로써, 배관의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배관 유지보수 유닛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관(110)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관(110)은 대경부(111), 소경부(113) 및 개구(115)를 구비한다. 소경부(113)와 대경부(111)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대경부(111)는 소경부(113)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개구(115)는 대경부(111)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구(115)를 통해 유지보수용 유체가 공급되며, 개구(115)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지보수용 유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체는,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115)에는 유입관(150)이 삽입될 수도 있다(도 2 참조). 유입관(150)은 개구(115)와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한다. 유지보수용 유체가 개구(115)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지만, 유입관(150)이 개구(115)에 삽입되어 유입관(150)을 통해 유지보수용 유체가 공급될 수도 있다. 유입관(150)을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유지보수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소경부(113)에는 배관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 체결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 체결부(16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배관이 플랜지 체결부(160)에 삽입된 후, 예를 들어 플랜지 결합장치(미도시)를 통해 배관과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결합할 수 있다. 소경부(113)와 플랜지 체결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소경부(113)의 내주면은 대경부(111)를 향할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을 따라 유동하던 유체가 소경부(113)를 통과한 후, 공급되는 유지보수용 유체와 합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벤츄리 효과에 따라 소경부(113)를 통과한 후 배관을 따라 유동하던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유체의 속력이 증가할 수록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경부(113)는, 대경부(111)측 말단이 소경부(1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후술하는 내관(130)의 소경부(113)측 말단을 수용하기 위한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4)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관(130)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관(130)은 대경부(111)에서 소경부(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관(110)의 내측에 삽입된다. 내관(130)은 중공을 갖는 원통부(131)와, 원통부(131)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증폭부(135)를 구비한다. 내관(130)이 외관(110)에 삽입되면, 증폭부(135)는 개구(115)와 연통된다.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내관(130)의 소경부측 말단(132)이 홈(114)에 삽입될 때, 내관(130)의 소경부측 말단(132)과 외관(110) 사이에 통로(10)가 형성된다. 즉, 내관(130)의 소경부측 말단(132)이 외관(11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홈(114)에 삽입됨으로써 통로(10)가 형성될 수 있다. 내관(130)의 소경부측 말단(132)과 외관(110) 사이의 거리는 1.5mm 이하의 일 수 있다. 통로(10)는 개구(115) 및 증폭부(135)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용 유체는 개구(115), 증폭부(135) 및 통로(10)를 순차적으로 지나 내관(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도 2의 화살표 참조).
이때, 유지보수용 유체는 증폭부(135)와 통로(10)를 통과하면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유압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유압이 증가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내관(13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유지보수용 유체가 내관(130)과 연결된 배관 내부를 통과하면서 배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관을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때, 내관(130)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1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133)는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기(133)는 통로(10)를 지나온 유지보수용 유체가 내관(130)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이 증가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배관의 내부를 직선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133)가 통로(100)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유지보수용 유체가 통로(100)를 지날 공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유지보수용 유체의 속력이 더욱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유지보수용 유체의 속력이 증가할 수록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133)에 포함된 하나의 돌기의 형상은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의 날개의 단면의 형상일 수 있다. 도 5의 복수 개의 돌기(133)에 대하여 도 7과 함께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돌기(210)는 도 5의 복수 개의 돌기(133)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돌기(210)의 일측(211)은 소경부측 방향을 향하고 돌기(210)의 타측(212)은 대경부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돌기(210)의 일측(211)은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돌기(210)는 일측(211)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돌기(220)는 도 5의 복수 개의 돌기(133)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돌기(220)의 일측(221)은 소경부측 방향을 향하고 돌기(220)의 타측(222)은 대경부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돌기(220)의 일측(221)은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돌기(220)는 일측(211)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내관(130)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플랜지(137)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37)에는 볼트(20)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138)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나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관(130)이 외관(110)의 내측에 삽입된 후, 개구(138)에 볼트(20)가 결합됨으로써 내관(130)과 외관(11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내관(130)과 외관(110)이 결합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관(130)의 원통부(131)의 내주면은 소경부(113)에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경부(113)는 대경부(111)를 향할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내관(130)의 내주면은 소경부(113)에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됨으로써, 배관을 유동하던 유체가 유지보수용 유체와 합류되기는 용이하면서, 합류된 유체는 배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하기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내관(130)의 내주면은 소경부(113)에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됨으로써, 나선형의 한 주기 당 합류된 유체가 소경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나선형의 한 주기 당 합류된 유체가 소경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합류된 유체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는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합류된 유체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는 거리는 약 15m일 수 있다.
또한, 내관(130)에서 소경부(113)의 반대측 말단(132)에는 배관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137) 체결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37) 체결부(16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구비하며, 배관이 플랜지 체결부(160)에 삽입된 후 플랜지 결합장치(미도시)를 통해 배관을 배관 유지보수 유닛에 결합할 수 있다. 내관(130)과 플랜지 체결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관 어셈블리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배관을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타낸 것이며, 그 색상이 적색에 가까울수록 유압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청색에 가까울수록 그 유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한다.
배관 어셈블리는 전술한 배관 유지보수 유닛과,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복수 개의 배관(30)을 포함한다. 배관 유지보수 유닛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배관(3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압을 가지고 있다. 배관(30, 30) 사이에 결합된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통해 유지보수용 유체가 공급되며, 유지보수용 유체는 증폭부(135), 통로(10) 및 복수 개의 돌기(133)를 통과한 후 기존에 배관(3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와 합쳐지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용 유체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되고, 또한 배관(30)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변환된다. 이에 따라 좌측 배관(30)을 유동하던 유체 역시 유압 및 유속이 증가하여, 헬리콥터 날개에서 양력이 발생하는 것과 같이 증폭된 에너지를 갖는 유체가 배관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용 유체와 기존에 배관을 유동하던 유체는 배관 내부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배관의 굴곡진 부분까지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배관의 교체 주기를 늘려 배관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내에 오염 물질이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너지를 형성하기 위해 팬과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팬을 사용하는 경우 팬이 유체의 유동을 방해할 수도 있고, 팬의 유지보수 비용도 발생하는 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이용하면, 팬과 같은 별도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보수 비용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통로
20: 볼트
30: 배관
110: 외관
111: 대경부
113: 소경부
114: 홈
115: 개구
130: 내관
131: 원통부
132: 소경부측 말단
133: 돌기
135: 증폭부
137: 플랜지
138: 개구
150: 유입관
160: 플랜지 체결부

Claims (10)

  1.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상기 대경부에서 상기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상기 소경부측 말단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증폭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증폭부와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상기 내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내관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를 지나온 상기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내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 배관 유지보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내주면은, 상기 소경부에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 배관 유지보수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에서 상기 소경부의 반대측 말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의 내주면은, 상기 대경부를 향할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상기 대경부측 말단이 상기 내관의 내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상기 내관의 상기 소경부측 말단을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내관의 상기 소경부측 말단이 상기 외관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에 결합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용 유체는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증폭부로 공급되는, 배관 유지보수 유닛.
  8.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상기 대경부에서 상기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상기 소경부측 말단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통로; 및
    상기 내관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상기 내관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개구와 상기 통로를 지나온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내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 배관 유지보수 유닛.
  9.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상기 배관 유지보수 유닛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복수 개의 배관을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배관 유지보수 유닛은,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고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외관;
    상기 대경부에서 상기 소경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관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상기 소경부측 말단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증폭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급된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증폭부와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유압이 증가된 후 상기 내관에 연결된 배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내관은,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통로를 지나온 상기 유지보수용 유체가 상기 내관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된, 배관 어셈블리.
  10. 삭제
KR1020190107458A 2019-08-30 2019-08-30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KR10216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58A KR102165417B1 (ko) 2019-08-30 2019-08-30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58A KR102165417B1 (ko) 2019-08-30 2019-08-30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417B1 true KR102165417B1 (ko) 2020-10-14

Family

ID=7284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58A KR102165417B1 (ko) 2019-08-30 2019-08-30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419A (ja) * 1992-12-08 1994-06-24 Toa Kikai Kogyo Kk コアンダフロー通線装置
KR20080099002A (ko) * 2007-05-08 2008-11-12 김성완 공기 과급 장치 및 내연기관용 공기 과급 시스템
KR101792768B1 (ko) * 2016-04-05 2017-11-01 안형준 볼텍스 냉각장치용 온도조절형 냉기배출노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419A (ja) * 1992-12-08 1994-06-24 Toa Kikai Kogyo Kk コアンダフロー通線装置
KR20080099002A (ko) * 2007-05-08 2008-11-12 김성완 공기 과급 장치 및 내연기관용 공기 과급 시스템
KR101792768B1 (ko) * 2016-04-05 2017-11-01 안형준 볼텍스 냉각장치용 온도조절형 냉기배출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473B1 (en) Dual walled transfer tube
RU2652856C2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10515922A5 (ko)
ITTO20120190A1 (it) Sistema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ad elevata sicurezza per un bruciatore di turbina a gas
US85966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eeve for hose coupling
JP2015105789A (ja) ドレンホース接続構造
KR102165417B1 (ko) 배관 유지보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CN103104768A (zh) 燃气输送用不锈钢波纹软管连接装置
US11543057B2 (en) Universal pipe sleeve junction for an aspirated smoke detection system
US11408540B2 (en) Tube coupling assembly
CN209084085U (zh) 橡胶膜片单向阀
KR102291710B1 (ko) 유속을 증폭하는 배관 유지보수 장치
CN211853121U (zh) 一种由令式伸缩节
CN211117948U (zh) 一种抗水击恒流阀
US2676038A (en) Sealed flexible connector for ducts
CN202360902U (zh) 一种用于穿过机匣的异形双球角密封结构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CN205534754U (zh) 一种复合软管
EP2796786B1 (en) Flue gas outlet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CN214699598U (zh) 一种冲洗管道变径连通组件及变径连通的冲洗管道
CN205639970U (zh) 一种带法兰可拆卸式压力钢管伸缩节
US2873984A (en) Multiple bellows expansion joint with limit means
US10801656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20180073669A1 (en) Articulating coupling assembly
CN104976462B (zh) 外压橡胶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