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72B1 -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72B1
KR102165372B1 KR1020187034399A KR20187034399A KR102165372B1 KR 102165372 B1 KR102165372 B1 KR 102165372B1 KR 1020187034399 A KR1020187034399 A KR 1020187034399A KR 20187034399 A KR20187034399 A KR 20187034399A KR 102165372 B1 KR102165372 B1 KR 10216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iquid
box body
dust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04A (ko
Inventor
다쓰야 호리우치
겐이치 수가노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1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inside a container, e.g. in an ampou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38Diffuse reflection, e.g. also for testing fluids, fibrous materials
    • G01N2021/4764Special kinds of physical applications
    • G01N2021/4769Fluid samples, e.g. slurries, granulates; Compressible powdery of fibrous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2033/0091Powders

Abstract

분체(粉體)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를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자체 내에서 상기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시키고, 분진계(粉塵計)로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또, 내부에 액체가 놓여지는 상자체와, 평가 대상의 분체가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낙하하여 분진으로서 비산했을 때에,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진계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본 발명은, 분체(粉體)의 비산성(飛散性)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치과 업계에서는, 치아(이빨)의 치료에 사용되는 금속(금니 및 은니 등)의 제작에 이용되는 주형재(鑄型材)(이른바 치과용 매몰재(埋沒材))나, 치형(이틀) 및 의치 등의 제작시의 보조 재료로서, 석고계의 분체 제품이나 인산염계의 분체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치과용 분체 제품은, 사용시(매몰재, 치형, 및 의치 등 제작시)에 있어서, 물 등의 액체와 혼합되어 경화(硬化)된다. 분체 제품을 취급할 때에 분진이 발생하는 것(이하, 「분체의 비산성」이라고 한다)으로 인해,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보존유지(保持, keep)할 수가 있도록, 분진 발생량이 적은(이른바 더스트프리 타입) 제품이 선호되고 있으며, 많이 유통되고 있다.
분체 제품의 취급시, 분진 발생량이 적으면 작업 환경이 양호해지는 것은, 치과 업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설업(건축업 및 토목업 등)과, 각종 제조업(철강업, 화학·석유 제품 공업, 수송용 기계 기구(器具) 제조업, 및 식료품 제조업 등) 등의 여러가지 산업 분야에 있어서도 분체 제품(이하, 단지 「분체」라고도 한다)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분체 및 제조되는 분체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분진이 비산하지 않는 성상(性狀)인 것이 요구되는 일이 많다.
상술한 치과 업계에 있어서의 1예로서, 특허 문헌 1에는, (a) 반수(半水, hemihydrate) 석고, (b) 조절제, (c) 소정의 습윤제, 및 (d) 소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4성분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저(低)분진성 분말상(粉末狀) 치과용 석고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분체의 비산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분진을 발생시켜, 그것이 포함되는 공기 중으로부터 분체(분진)를 필터 상에 포집(捕集)하고, 그 포집량을 정량하는 방법이나, 시료 공기의 레이저 회절 정보 등으로부터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얻는 방법 등이,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전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그 실시예에 있어서, 분체의 소정 질량을 금속제 원통 캔에 채집하고, 매초 1왕복으로 상하로 5회 뒤흔든(shake, 진탕) 후, 즉시 뚜껑을 벗기고, 디지털 분진계(粉塵計)를 이용하여 표면으로부터 방출하는 3분 후의 분진의 질량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소62-212255호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분체의 비산성 측정 방법에서는,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가 실시된 분체 제품(이른바 더스트프리 분체)과, 그와 같은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분체 제품에서, 측정 결과의 차이가 작은 것을 깨달았다. 더스트프리 분체끼리에서는 더더욱 측정 결과에 거의 차이가 나오지 않아, 더스트프리 분체끼리에서의 성능차를 비교 평가하는 것은 곤란했다. 그 때문에, 가령 종래의 더스트프리 분체에 비해 분진 발생량을 보다 저감 가능하게 한 더스트프리 분체를 개발했다고 해도, 그 우수한 성능을 정확하게 다 평가할 수 없어, 제품의 특장(特長) 및 가치를 정당하게 나타낼 수가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태를 초래하면, 우수한 제품의 판매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분체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종래,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체의 진탕(뒤흔듦)에 의해,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실제로는, 분체를 액체에 낙하시켰을 때의 분체와 액체의 접촉 순간 쪽이, 다량의 분진이 발생한다는 지견(知見)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를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자체 내에서 상기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시키고, 분진계로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체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1의 A-A선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은,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를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자체 내에서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시키고, 분진계로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가 낙하하면, 액체가 없는 장소에 분체를 낙하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자체 내에 있어서 많은 분진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방법에서는, 평가 대상의 분체를 분진으로서 적극적으로 비산시키고, 그 때의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분진계로 측정 함으로써, 분체가 비산하기 쉬운 것인지, 비산하기 어려운 것인지를 평가한다. 다시 말해, 분체를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낙하시키고, 분진으로서 적극적으로 비산시킴으로써, 비산하기 쉬운 분체와 비산하기 어려운 분체에서,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의 값의 차가 보다 명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더스트프리 분체끼리에서의 성능차의 비교 평가도 가능해지고, 분체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할 수가 있다. 즉, 분체의 비산성의 평가에 관해, 본 방법은, 복수의 분체의 비산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에 보다 적합(好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에 대하여, 그 방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일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1)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위쪽으로부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도이며, 상자체(2) 내에 액체(3)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비산성 평가 장치(1)는, 내부에 액체(3)가 놓여지는 상자체(2)와, 평가 대상의 분체가,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낙하하여 분진으로서 비산했을 때에, 상자체(2)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진계(4)를 구비한다.
상자체(2)는, 평가 대상의 분체가 분진으로서 비산하는 공간(측정 대상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자체(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부(2a), 측부(2b), 및 바닥부(底部)(2c)를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가 있고, 상부(2a) 또는 바닥부(2c)로부터의 평면시(平面視) 형상으로 말하면, 대략 삼각 형상, 대략 사각 형상, 대략 다각 형상, 대략 원 형상, 및 대략 타원 형상 등을 들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부(2a), 측부(2b), 및 바닥부(2c)를 가지는 대략 직방체모양(直方體狀)의 상자체(2)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상자체(2)의 용량, 즉, 분체를 비산시키는 공간의 용적은, 10∼300L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50L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를 낙하시키기 위해서, 상자체(2)는,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액체(3)의 액면(3a)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상자체(2) 내로의 분체의 입구로 되는 구멍부(孔部)(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의 상부(2a)에 구멍부(21)를 마련해 두면, 그 구멍부(21)는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액체(3)의 액면(3a)보다도 위쪽의 위치로 되고, 그 구멍부(21)로부터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를 낙하시키기 쉬운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공급로의 사용에 의해, 액체(3)의 액면(3a)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이면, 상자체(2)의 측부(2b)에 구멍부를 마련해도,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를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2a)가 개구(開口)된 상자체(2)를 이용하고, 그 개구로부터 분체를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낙하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멍부(21)를 구비하는 상자체(2)는, 구멍부(21) 이외는 닫힌 공간(대략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대략 밀폐계(密閉系) 상자체(2)에 의해서, 그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를 낙하시켰을 때에 생기는 분진에 대해, 상자체(2) 외부의 기류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측정 정밀도(精度)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자체(2)는, 구멍부(21) 이외는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밀폐계 상자체(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측정 정밀도 향상의 관점 및 액체(3)에 낙하한 분체가 분진으로서 충분히 비산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구멍부(21)의 지름은, 10∼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본체(22)와, 상자 본체(22)의 상부를 덮는 뚜껑체(蓋體)(23)를 구비하고, 뚜껑체(23)에 상술한 구멍부(2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자 본체(22)가 상자체(2)의 측부(2b) 및 바닥부(2c)를 구성하고, 뚜껑체(23)가 상자체(2)의 상부(2a)를 구성한다. 상자 본체(22)와, 구멍부(21)를 가지는 뚜껑체(23)를 구비하는 상자체(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 전의 측정 준비 단계(段階)에 있어서는, 상자 본체(22)로부터 뚜껑체(23)를 벗겨 둠으로써, 상자체(2) 내에 액체(3)나 분진계(4)를 배치하기 쉽고, 측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측정을 행할 때에는, 상자 본체(22)의 상부를 뚜껑체(23)로 뚜껑을 덮음으로써, 상술한 대략 밀폐계 상자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뚜껑체(23) 대신에 또는 뚜껑체(23)와 함께, 상자체(2)의 상부(2a) 및/또는 측부(2b)에 슬라이드식이나 푸시풀식 등의 개폐부를 설치해도 좋다. 개폐부를 연 상태로 함으로써, 측정 준비 단계에 있어서 상자체(2) 내에 액체(3)나 분진계(4)를 배치하거나, 측정 종료시나 비(非)측정시에 있어서, 상자체(2)로부터 액체(3)나 분진계(4)를 꺼내거나 할 수도 있다. 또, 측정을 행할 때에는, 개폐부를 닫은 상태로 함으로써, 상술한 대략 밀폐계 상자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상자체(2)는, 상자체(2)의 외부로부터 상자체(2)의 내부를 보고 확인(視認)가능한 정도의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자체(2)는, 상자체(2)의 외부로부터 상자체(2)의 내부를 보고 확인 가능하면, 상자체(2)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어도 좋다.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고 확인 가능한 상자체(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들 수가 있고, 제조 코스트, 질량, 취급성, 및 안전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가 있다. 상자체가 상술한 상자 본체(22) 및 뚜껑체(23), 또는 상자 본체(22) 및 개폐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자 본체(22)와 상자체(23), 또는 상자 본체(22)와 개폐부는, 동종(同種)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이종(異種)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평가 대상의 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체에 따른 용도로 사용될 때에 분진으로서 비산할 가능성이 있는 분체는 어느것이나(모두) 평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분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소맥분, 쌀가루(米粉), 옥수수가루, 및 녹말(片栗粉, 얼레짓가루) 등의 곡식가루(穀粉), 황산 칼슘, 탄산 칼슘, 수산화 칼슘, 이산화 규소, 탈크, 산화 철,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 분말과, 합성 수지 분말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석고, 회반죽(漆食, mortar), 시멘트, 및 치과용 분말 제품 등의 이종 또는 동종의 복수의 분체가 혼합된 분체 제품을 평가 대상의 분체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방법 및 장치(1)는, 상술한 대로, 분체의 비산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데 보다 적합한 것으로 인해, 평가 대상의 분체로서는,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가 실시된 제품, 이른바 더스트프리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분체 제품이 보다 적합하다. 더욱더 적합한 분체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과용 석고계 매몰재, 치과용 인산염계 매몰재, 치과용 실리카계 매몰재, 치과용 경질(硬質) 석고, 치과용 초(超)경질 석고, 및 치과용 소석고(燒石膏, 구운 석고) 등의 치과용 분말 제품 등을 들 수가 있다.
액체(3)에 낙하시키는 분체의 양은, 상자체(2) 중에 적당량의 분체가 분진으로서 비산하도록, 상자체(2)의 용량 1L당, 0.05∼0.80g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0.65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체(3)에 낙하시키는 분체의 양은, 평가 대상으로 하는 분체의 밀도 등의 성질에 따라서, 적당히(適宜) 조정할 수가 있다.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액체(3)는, 적어도 측정시에 상자체(2) 내에 준비되면 좋다. 분진 농도의 측정시에, 액체(3)에 분체가 낙하하면 액체(3)에 분체가 혼입하는 것으로 인해, 액체(3)는, 분체의 분진 농도를 측정할 때마다 교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액체(3)는, 바람직하게는 측정시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정시마다,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것이 좋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는, 측정시에 상부가 개구된 용기(5)에 넣어져, 그 액체(3)가 들어간 용기(5)가 상자체(2)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용기(5)를 이용함으로써, 액체(3)의 교환이나 액체(3)를 넣는 부분의 세정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용기(5)를 사용하는 경우, 비산성 평가 장치(1)는, 액체(3)가 넣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이하, 「액체용 용기」라고 기재하는 일이 있다)(5)를 추가로 구비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액체용 용기(5)는 측정시마다 떼어내는(取外, detach)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해, 상자체(2) 내에는, 액체용 용기(5)의 배치 위치에 표시(mark)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액체용 용기(5)를 상자체(2)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에 있어서의 액체(3)(액체용 용기(5))의 배치 개소(箇所)로서는, 상자체(2) 내의 끝(端, edge)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대략 직방체모양의 상자체(2) 등과 같이 상자체(2)가 바닥부(2c)의 평면시에 있어서 모서리( corner)(둥근 모서리를 포함한다)가 있는 형상인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3)(액체용 용기(5))는, 상자체(2) 내에 있어서의 바닥부(2c)의 모퉁이(corner)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의 끝이나 모퉁이의 위치에 액체(3)를 배치하고, 후술하는 분진계(4)를 액체(3)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등으로 하여, 분진계(4)를 분진 발생원인 액체(3)로부터 일정 정도 거리를 떨어짐으로써,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가 있다.
액체용 용기(5)는, 그 용기(5) 내에 넣어진 액체(3)의 액면(3a)에 평가 대상의 분체가 낙하하여 충분히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상부가 개구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용기(5)로서는, 예를 들면, 접시형(皿型), 주발형(bowl type) 및 컵형 등을 들 수가 있다. 액체(3)에 낙하한 분체가 분진으로서 충분히 비산할 수 있도록, 액체(3)는 어느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양으로 용기(5)에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해, 용기(5)로서는, 주발형이나 컵형이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에 놓여지는 액체(3)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자체(2)의 용량 및 분체의 사용량에 따라서 적당히 결정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50∼2400m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000mL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대로, 액체(3)의 교환이 용이한 관점 등으로부터, 액체(3)는, 상자체(2)와는 별개의 액체용 용기(5)에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자체(2) 내에 직접 넣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상자체(2) 내에 일체적으로 비치된 접시모양(皿狀), 주발모양(椀狀), 및 컵모양 등으로 형성된 액체 주입부나, 칸막이 등으로 형성된 액체 주입부에 액체가 넣어짐으로써, 액체(3)가 상자체(2) 내에 놓여져도 좋다.
액체용 용기(5) 또는 액체 주입부의 개구의 크기(액면(3a)의 크기)는, 액체(3)의 액면(3a)에 평가 대상의 분체가 낙하해서 충분히 접촉할 수 있음과 함께, 분체가 액체(3)에 낙하했을 때에 분진으로서 충분히 비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액체용 용기(5) 또는 액체 주입부의 개구의 크기(액면(3a)의 크기)는, 전술한 상자체(2)의 구멍부(21)의 지름, 및 분체를 구멍부(21)로부터 액체(3)로 이끄는 후술하는 공급로의 폭 또는 지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3)의 종류로서는, 평가 대상의 분체의 실제 사용 상황에 맞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평가 대상의 분체가 치과용 석고계 매몰재나 치과 모형용의 소석고(치과용 경질 석고, 치과용 초경질 석고, 및 치과용 소석고 등)인 경우, 치과용 석고계 매몰재나 치과 모형용의 소석고는, 물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해, 액체(3)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평가 대상의 분체가 인산염계의 치과용 매몰재인 경우, 그 치과용 매몰재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수용액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해, 액체(3)로서 콜로이달 실리카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평가 대상의 분체의 용도가 특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분체의 용도가 다방면(多岐)에 걸치는 경우, 및 분체가 액체와 뒤섞여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경우 등에는, 액체(3)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로의 분체의 낙하에는, 분체를 상자체(2)에 마련된 구멍부(21)로부터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로 이끄는 공급로(6)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급로(6)를 사용하는 경우, 비산성 평가 장치(1)는, 분체를 구멍부(21)로부터 액체(3)로 이끄는 공급로(6)를 더 구비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로(6)를 전술한 상자체(2)에 마련된 구멍부(21)에 접속하여 마련할 수가 있다. 이 때, 공급로(6)에 있어서의 구멍부(21) 측을 분체가 도입되는 부분(도입부)(6a)으로 할 수가 있고, 그 도입부(6a)와는 반대측 끝을, 분체가 액체(3)에 공급되는 부분(공급부)(6b)으로 할 수가 있다. 도 2에서는, 공급로(6)에 있어서의 도입부(6a) 측이 상자체(2)의 구멍부(21) 내에 삽입되어 수용됨으로써, 구멍부(21)와 공급로(6)가 접속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공급로(6)는, 도입부(6a) 측이 구멍부(21)로부터 상자체(2) 밖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공급로(6)는,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가 낙하했을 때에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 가능하게 마련된다. 공급로(6)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관모양(管狀), 반(半)관모양, 및 슬로프모양 등을 들 수가 있고, 그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 형상, 타원 형상, 정방 형상, 직사각형모양(矩形狀), 원호모양, 및 U자 모양 등을 들 수가 있다.
분체가 액체(3)에 낙하하기 전의 공급로(6)를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자체(2) 내의 공간에 분체가 분진으로서 비산하는 일없이, 분체가 액체(3)에 낙하했을 때에 분진으로서 비산하도록, 공급로(6)는 관모양(공급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로(6)(공급관)의 폭(지름)과, 상술한 도입부(6a) 및 공급부(6b)의 폭(지름)은, 전술한 상자체(2)에 마련된 구멍부(21)의 지름과 같은(同) 정도의 크기로 할 수가 있다.
공급로(6)는, 상자체(2)의 구멍부(21)로부터 액체(3)를 향해 직선모양으로 마련되어도 좋고, 곡선모양으로 마련되어도 좋고, 또, 구멍부(21)로부터 액체(3)를 향해, 상자체(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직선모양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또, 공급로(6)는, 상자체(2)의 높이 방향(액체(3)의 액면(3a)에 대한 수직 방향)을 따른 부분(연직부)(61)과, 상자체(2)의 높이 방향이나 액체(3)의 액면(3a)에 대해서 경사진 부분(경사부)(62)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공급로(6)에 있어서, 도입부(6a) 측은 경사부라도 연직부라도 좋고, 공급부(6b) 측도 경사부라도 연직부라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로(6)는, 액체(3)에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6b) 측이 액체(3)의 액면(3a)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분체를 액체(3)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뜨리는(slide down) 경사부(62)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사부(62)에 연속한 공급부(6b)로부터 공급되는 분체는, 액체(3)의 액면(3a)에 대해서 비스듬한 위 방향으로부터 액체(3)에 낙하한다. 공급로(6)가 경사부(6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분체가 경사부(62)로부터 액체(3)에 낙하했을 때에, 분체를 분진으로서 적극적으로 비산시킬 수가 있다. 경사부(62)는, 적어도 공급부(6b) 측이 액체(3)의 액면(3a)에 대해서 경사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급로(6) 전체가 액체(3)의 액면(3a)에 대해서 경사진 것이어도 좋다.
경사부(62)와 액체(3)의 액면(3a)이 이루는 각도(θ)는, 2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이러한 각도 범위의 경사부(62)에 의해서, 경사부(62)의 선단의 공급부(6b)로부터 액체(3)에 낙하한 분체가 분진으로서 보다 비산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에서는, 관모양의 공급로(공급관)(6)가 예시되어 있다. 그 공급관(6)에 있어서, 상자체(2)의 구멍부(21)와의 접속측이, 분체가 도입되는 도입구(도입부)(6a)로 되어 있고, 그 도입구(6a)와는 반대측이, 분체가 액체(3)에 공급되는 공급구(공급부)(6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관(6)은, 도입구(6a) 측이 상자체(2)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직부(61)와, 그 연직부(61)로부터 연속하여 공급구(6b)에 걸쳐 형성된 경사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3)에 낙하한 분체가 분진으로서 보다 비산하기 쉽게, 공급로(6)는, 액체(3)의 액면(3a)으로부터 공급부(6b)가 소정의 높이 떨어져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공급로(6)는, 액체(3)의 액면(3a)으로부터 공급구(공급부)(6b)가 소정의 높이(h)만큼 떨어져서 마련되어 있다. 액체(3)의 액면(3a)과 공급구(공급부)(6b)의 하단(下端)의 거리(높이)(h)는, 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체를 상자체(2) 내로 도입하기 쉽게, 또, 공급로(6)에 있어서의 도입부(6a)에 분체를 넣기 쉽게, 상자체(2)의 구멍부(21) 위에 접속시키는 호퍼부(7)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산성 평가 장치(10)는, 상자체(2) 위에 상자체(2)의 구멍부(21)에 접속되는 호퍼부(7)를 구비할 수가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에 있어서의 상자체(2)의 구멍부(21)에 호퍼부(7)를 부착(取付, attach)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장치(10)에서는, 도입구(6a) 측이 상자체(2)의 구멍부(21) 내에 삽입되어 수용되어 있는 공급로(6)에 있어서의 도입구(6a)에, 호퍼부(7)의 출구측 단부(端部, end portion)(7a)가 삽입되어 있지만, 호퍼부(7), 구멍부(21), 및 공급로(6)(도입구(6a))의 접속 양태(態樣, mode)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급로(6)의 도입구(6a)가 구멍부(21)로부터 상자체(2)의 외부로 관통하여 마련되고, 또한 상자체(2)의 구멍부(21)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상자체(2) 밖의 위치에서 호퍼부(7)의 출구측 단부(7a)가 도입구(6a)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호퍼부(7)의 출구측 단부(7a)가, 구멍부(21)를 관통하고, 구멍부(21)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상자체(2) 내의 위치에서 공급로(6)의 도입구(6a)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분진계(4)로서는, 범용적인 작업 환경의 측정에 사용되는 분진 측정기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분진계(4)로서는, 예를 들면, 광 산란식의 분진 측정기, 광 흡수 방식의 분진 측정기, 및 전압 천칭(天秤) 방식의 분진 측정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가운데, 간이하게 사용 가능한 점에서, 광 산란식의 분진 측정기가 바람직하다.
분진계(4)는, 사용시(측정시)에 있어서, 상자체(2) 내에 놓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자체(2) 내에 배치된 분진계(4)에 의해서, 상자체(2) 내에 놓여진 액체(3)에 분체를 낙하시켜 분진으로서 비산시켰을 때의 상자체(2)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진계(4)는, 상자체(2) 내의 끝(모퉁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전술한 액체(3)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측정 범위가 넓어지고, 측정 정밀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분진계(4)는, 사용시(측정시)에 있어서, 상자체(2) 내에 놓여져 있지 않아도 좋고,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상자체(2)의 외측에 놓여져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산성 평가 장치(11)에 있어서의 분진계(4)에, 상자체(2)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기관(41)과, 빨아들인 공기를 상자체(2) 내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42)을 부착할 수가 있다. 상자체(2)의 내부에 접속한 흡기관(41) 및 배기관(42)을 구비하는 분진계(4)를 이용함으로써, 분진계(4)를 상자체(2)의 외부에 둔 경우이더라도, 그 분진계(4)로 상자체(2)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 때, 상자체(2)에는, 흡기관(41)과 접속되어, 흡기관(41)을 개재하여 상자체(2) 내의 공기를 분진계(4)로 보내기 위한 흡기구멍(241)이나, 배기관(42)과 접속되어, 배기관(42)을 개재하여 공기를 상자체(2) 내로 보내기 위한 배기구멍(242)을 마련해 둘 수가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비산성 평가 장치(11)에서는, 흡기관(41)은, 분진계(4)의 흡기구와 상자체(2)의 측부(2b)에 설치된 흡기구멍(241)에 접속되어 있고, 배기관(42)는, 분진계(4)의 배기구와 상자체(2)의 측부(2b)에 마련된 배기구멍(242)에 접속되어 있다.
분진계(4)로 측정하는 분진 농도는, 분체의 비산성의 평가에 이용할 수가 있다. 분진 농도가 높은 값이면, 그 분체는 비산하기 쉽다고 평가할 수가 있고, 분진 농도가 낮은 값이면, 그 분체는 비산하기 어렵다고 평가할 수가 있다. 분진 농도로서는, 분진의 갯수 농도[개/㎥] 및 질량 농도[mg/㎥]의 적어도 한쪽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진 농도의 최대값 및 적산값(積算値)의 적어도 한쪽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들 양쪽을 측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진 농도의 최대값 및 적산값은, 분진 농도의 측정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1분간)의 간격으로 행하고, 복수(예를 들면 5점)의 측정값을 취득함으로써 얻을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의 측정 순서로서는, 상자체(2) 내에 액체(3)(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3)를 넣은 용기(5))를 배치하는 스텝과, 분진계(4)에 의한 측정을 개시하는 스텝과, 평가 대상의 분체를 액체(3)에 낙하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정 순서에 있어서, 분진계(4)에 의한 측정을 개시하기 전에는, 상자체(2) 내 또는 상자체(2) 밖에 분진계(4)를 설치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분진계(4)의 측정은, 분체를 액체(3)에 낙하시키기 전에 개시하고, 1점째의 측정값을 공백(blank)으로서 취득한 후에, 분체를 액체(3)에 낙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분진량이 1점째의 측정값(공백)과 같은(同) 정도까지 저하했을 때에 측정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정 개시부터 측정 종료까지는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초∼120초 간격)으로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기술한 각 구성은, 각각 임의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은, 다음의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를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자체 내에서 상기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시키고, 분진계로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2] 상기 상자체는,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지는 상기 액체의 액면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상자체 내로의 상기 분체의 입구로 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3] 상기 상자체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상부를 덮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2]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4] 상기 분체를 상기 구멍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이끄는 공급로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낙하시키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5]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측이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분체를 상기 액체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상기 [4]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6]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으로부터 상기 공급부가 소정의 높이 떨어져서 마련되는 상기 [5]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7] 상기 액체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에 넣어지고, 상기 액체가 들어간 상기 용기가 상기 상자체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상자체 내에 상기 액체가 놓여지는 상기 [1]∼[6] 중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8] 상기 분체가 치과용 분말 제품인 상기 [1]∼[7] 중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취하는(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9] 내부에 액체가 놓여지는 상자체와, 평가 대상의 분체가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낙하하여 분진으로서 비산했을 때에,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진계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0] 상기 상자체는,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지는 상기 액체의 액면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상자체 내로의 상기 분체의 입구로 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는 상기 [9]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1] 상기 상자체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상부를 덮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10]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2] 상기 분체를 상기 구멍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이끄는 공급로를 더 구비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3]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측이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분체를 상기 액체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4]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으로부터 상기 공급부가 소정의 높이 떨어져서 마련되어 있는 상기 [13]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5] 상기 상자체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액체가 넣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를 더 구비하는 상기 [9]∼[14] 중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6] 상기 분체가 치과용 분말 제품인 상기 [9]∼[15] 중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의 준비>
상자 본체와 뚜껑체를 구비하고, 폭 360㎜, 높이 240㎜, 안길이(奧行, depth) 240㎜(용량 약 20L)의 폴리프로필렌제 수납 케이스(아스테이지사(Astage CO.,LTD.)제의 상품명 「ST BOX 25」)를 상자체로서 사용했다. 이 상자체에 있어서의 뚜껑체에 있어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 부분에서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직경 30㎜의 원 형상의 구멍부를 마련했다(도 1 참조). 이 상자체 내의 1개의 모퉁이 측에 상부가 개구된 용기를 배치하고, 이 용기를 배치한 모퉁이와는 대각의 모퉁이 측에 레이저광 산란 방식의 분진계(SATOTECH사제의 상품명 「더스트 모니터 분진계 DC170」)를 배치했다(도 1 참조). 용기와 분진계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중심간 거리는 약 200㎜였다. 분체의 낙하에는, 분체를 상자체의 구멍부로부터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 내로 이끄는 공급관을 이용했다. 상자체 내에 있어서, 상자체의 구멍부 내에 공급관(관의 직경:30㎜, 연직부의 길이:60㎜, 경사부의 길이:95㎜, 각도(θ):35°)의 분체 도입구를 삽입하고, 구멍부와 공급관을 접속했다(도 2 및 도 3 참조).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평가 대상의 분체로서, 치과용 석고계 매몰재(요시노 석고 사(Yoshino Gypsum Co.,Ltd.)제의 상품명 「사쿠라 퀵 20」)를 이용했다. 이 분체는 물과 혼합되어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자체 내에 배치된 용기에는, 미리 물을 150mL 넣어 두었다. 이 때, 용기 내의 액체의 액면과 공급관의 공급구의 하단의 거리(h)는 5㎜였다. 분체를 물에 낙하시키기 전에, 분진계에 의한 분진 농도의 측정을 개시했다. 분진 농도의 측정 간격을 1분간으로 하고, 1점째의 측정이 완료한 후, 10초 후에, 분체 5g을 상자체의 구멍부에 부착한 호퍼부(도 3 참조)로부터 공급관을 통하여 용기 내의 물에 낙하시키고, 분진으로서 비산시켰다. 이 때의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입경(粒徑) 0.5㎛ 이상의 입자의 갯수 농도)의 측정값을 5점까지 취득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체 대신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체에,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로서, 비(非)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더스트프리 처리의 치과용 석고계 매몰재)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체 대신에, 평가 대상의 분체로서, 백색 시멘트(타이헤이요 시멘트사(TAIHEIYO CEMENT CORPORATION)제의 상품명 「화이트 시멘트」)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분체 대신에,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분체에,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더스트프리 처리의 백색 시멘트)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체 대신에, 평가 대상의 분체로서, 치과용 경질 석고(요시노 석고사제의 상품명 「뉴 하이 스톤 옐로우」)를 이용한 것, 및 실시예 1에서 낙하시킨 분체의 양 「5g」을 「10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5에서 사용한 분체 대신에, 실시예 5에서 사용한 분체에,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더스트프리 처리의 치과용 경질 석고)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6)
비교예 6에서는, 상자체 내에 배치한 용기에 물을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분진 농도의 측정을 행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측정한 분진 농도의 5점의 측정값 중의 최대값과, 합계 5점의 적산값을 평가에 이용했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118426836-pct00001
Figure 112018118426836-pct00002
Figure 112018118426836-pct00003
실시예 1 및 2의 결과와 비교예 1 및 2의 결과의 대비, 실시예 3 및 4의 결과와 비교예 3 및 4의 결과의 대비, 및 실시예 5 및 6의 결과와 비교예 5 및 6의 결과의 대비로부터, 실시예 쪽이, 비교예보다도, 분체에 대한 더스트프리 처리의 유무에 의한 분진 농도의 측정값의 차가 컸다. 따라서, 분체를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낙하시켜 분진으로서 적극적으로 비산시킴으로써, 비산하기 쉬운 분체와 비산하기 어려운 분체에서,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의 값의 차가 보다 명확하게 되고, 분체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또는 비산성 평가 장치는, 분체의 비산성을 보다 명확하게 평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분체 제품의 사용, 제조, 및 판매 등을 행할 때, 특히 분진의 발생량이 억제된 분체 제품의 판매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1, 10, 11: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2: 상자체
3: 액체
4: 분진계
5: 용기
6: 공급로

Claims (16)

  1. 액체가 들어간, 상부가 개구된 용기가 상자체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자체 내에 놓여진 상기 액체에 평가 대상의 분체(粉體)를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자체 내에서 상기 분체를 분진으로서 비산시키고, 상기 상자체 내의 끝(端)에서, 상기 액체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분진계(粉塵計)로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지는 상기 액체의 액면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상자체 내로의 상기 분체의 입구로 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상부를 덮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상기 구멍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이끄는 공급로를 이용하여,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낙하시키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측이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분체를 상기 액체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으로부터 상기 공급부가 소정의 높이 떨어져서 마련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에 넣어지고, 상기 액체가 들어간 상기 용기가 상기 상자체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상자체 내에 상기 액체가 놓여지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치과용 분말 제품인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9. 상자체 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액체가 넣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상기 액체가 놓여지는 상기 상자체와,
    평가 대상의 분체가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진 액체에 낙하하여 분진으로서 비산했을 때에, 상기 상자체 내의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측정하는 분진계
    를 구비하고, 상기 분진계는, 상기 상자체 내의 단에서, 상기 액체의 배치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상기 상자체 내에 놓여지는 상기 액체의 액면보다도 위쪽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상자체 내로의 상기 분체의 입구로 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상자 본체의 상기 상부를 덮는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구멍부가 마련되어 있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상기 구멍부로부터 상기 액체로 이끄는 공급로를 더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에 상기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측이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상기 분체를 상기 액체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는, 상기 액체의 상기 액면으로부터 상기 공급부가 소정의 높이 떨어져서 마련되어 있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액체가 넣어지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를 더 구비하는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치과용 분말 제품인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KR1020187034399A 2016-05-02 2017-04-14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KR102165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2290 2016-05-02
JPJP-P-2016-092290 2016-05-02
PCT/JP2017/015308 WO2017191745A1 (ja) 2016-05-02 2017-04-14 粉体の飛散性評価方法及び粉体の飛散性評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04A KR20190002604A (ko) 2019-01-08
KR102165372B1 true KR102165372B1 (ko) 2020-10-14

Family

ID=6020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399A KR102165372B1 (ko) 2016-05-02 2017-04-14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684222B2 (ko)
EP (1) EP3454040A4 (ko)
JP (1) JP6779284B2 (ko)
KR (1) KR102165372B1 (ko)
CN (1) CN109073522B (ko)
AU (1) AU2017260929B2 (ko)
BR (1) BR112018070433B1 (ko)
CA (1) CA3022676C (ko)
HK (1) HK1258759A1 (ko)
MX (1) MX2018012092A (ko)
MY (1) MY195265A (ko)
PH (1) PH12018502284A1 (ko)
RU (1) RU2699309C1 (ko)
SG (1) SG11201807595PA (ko)
TW (1) TWI746541B (ko)
WO (1) WO2017191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875B1 (ko) * 2021-05-27 2021-10-14 주식회사 그린켐텍 습윤식 비산방지제 성능평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5059A (zh) * 2017-05-25 2022-09-06 信越化学工业株式会社 粉体的疏水化度的解析方法、高疏水化度处理着色颜料以及含有其的化妆料
US11840408B1 (en) 2022-12-08 2023-12-12 PetSmart Home Offic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dustiness of a produ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572A (ja) 1999-02-19 2000-09-05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造粒方法
JP2004219392A (ja) 2003-01-10 2004-08-05 Kaya Frock Kk 発塵性評価装置
JP2005238064A (ja) 2004-02-25 2005-09-08 Funken Pautekkusu:Kk 粉体/液体連続混合造粒方法および装置
US20110140012A1 (en) * 2009-12-14 2011-06-16 Akj Industries, Inc. Dust control and flow control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airborne dust and increasing flow of bulk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3169B (de) * 1985-06-05 1991-08-26 Staudinger Gerno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rngroessenanalyse
JPS62212255A (ja) * 1986-03-12 1987-09-18 而至歯科工業株式会社 低粉塵性粉末状歯科用石こう組成物
JPS63119887A (ja) * 1986-11-06 1988-05-24 カネボウ株式会社 選別装置
JPH0748065B2 (ja) * 1988-05-27 1995-05-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白色系粉体中の着色異物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736899B2 (ja) * 1988-09-21 1998-04-02 クニミネ工業株式会社 スラリー調製装置
JPH0290984A (ja) * 1988-09-26 1990-03-30 Benkan Corp 水中溶存酸素の除去方法
GB9012417D0 (en) * 1990-06-04 1990-07-25 Sortex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material
RU2045757C1 (ru) * 1992-08-05 1995-10-10 Астахов Александр Валентинович Способ фотоседиментационного анализа дисперсности порошк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однородного вещественного состава
US5561515A (en) * 1994-10-07 1996-10-01 Tsi Incorporated Apparatus for measuring particle sizes and velocities
US5701012A (en) * 1996-03-19 1997-12-23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Fluorescent biological particle detection system
US5818577A (en) * 1996-12-30 1998-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mination in quartz sand
US6352585B1 (en) * 1999-04-12 2002-03-05 Michael Diesso Gypsum cas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casting
ES2332088T3 (es) * 2000-01-27 2010-01-26 Kyowa Hakko Kirin Co., Ltd. Dispositivo y metodo de suministro de volumen constante para material en polvo.
EP1616793B1 (en) * 2003-03-20 2010-12-01 Ricoh Company, Ltd. Powder charging device and powder charging method
AU2003903703A0 (en) * 2003-07-18 2003-07-31 Garrett Thermal System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 filter
NO326482B1 (no) * 2005-05-31 2008-12-15 Integrated Optoelectronics As En ny infrarod laserbasert alarm
JP4792611B2 (ja) * 2006-02-01 2011-10-12 リオン株式会社 粒子計測装置
EP1862795A1 (en) * 2006-05-10 2007-12-05 ABB Schweiz AG Bulk Material Analyzer System
WO2009028709A1 (ja) * 2007-08-30 2009-03-05 Ngk Insulators, Ltd. 被検体の欠陥検査方法
US9022063B2 (en) * 2009-06-02 2015-05-05 First Solar, Inc. Powder feed rate sensor
JP5691163B2 (ja) * 2009-12-01 2015-04-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ガス
EP2717035B1 (de) * 2012-10-02 2016-12-07 Palas GmbH Partikel-und Lasermess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uchen kleiner Partikel in Gas
US9448155B2 (en) * 2014-06-25 2016-09-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ystem for sampling and/or analysis of particles in a gaseous environment
KR20160030662A (ko) * 2014-09-11 2016-03-21 한국기계연구원 날림 모래 및 먼지 시험 장비
TWM504953U (zh) * 2015-01-19 2015-07-11 Nat Univ Tsing Hua 可攜式多波段光度計
JP6525716B2 (ja) * 2015-05-08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
CN105181902A (zh) * 2015-09-30 2015-12-23 华电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液体吸收法的在线氨逃逸浓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05080028U (zh) * 2015-10-22 2016-03-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悬浮颗粒物检测装置
CN105547930A (zh) * 2015-12-04 2016-05-04 上海同化新材料科技有限公司 粉体材料扬尘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572A (ja) 1999-02-19 2000-09-05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造粒方法
JP2004219392A (ja) 2003-01-10 2004-08-05 Kaya Frock Kk 発塵性評価装置
JP2005238064A (ja) 2004-02-25 2005-09-08 Funken Pautekkusu:Kk 粉体/液体連続混合造粒方法および装置
US20110140012A1 (en) * 2009-12-14 2011-06-16 Akj Industries, Inc. Dust control and flow control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airborne dust and increasing flow of bulk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875B1 (ko) * 2021-05-27 2021-10-14 주식회사 그린켐텍 습윤식 비산방지제 성능평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60929A1 (en) 2018-09-13
JP6779284B2 (ja) 2020-11-04
BR112018070433B1 (pt) 2023-01-10
TW201807397A (zh) 2018-03-01
TWI746541B (zh) 2021-11-21
CA3022676C (en) 2022-01-18
US20190025206A1 (en) 2019-01-24
KR20190002604A (ko) 2019-01-08
CN109073522B (zh) 2021-06-25
CN109073522A (zh) 2018-12-21
US10684222B2 (en) 2020-06-16
PH12018502284A1 (en) 2019-07-15
MX2018012092A (es) 2019-01-14
MY195265A (en) 2023-01-11
RU2699309C1 (ru) 2019-09-04
BR112018070433A2 (pt) 2019-02-05
CA3022676A1 (en) 2017-11-09
AU2017260929B2 (en) 2019-09-26
WO2017191745A1 (ja) 2017-11-09
EP3454040A1 (en) 2019-03-13
EP3454040A4 (en) 2020-01-01
JPWO2017191745A1 (ja) 2019-03-07
SG11201807595PA (en) 2018-11-29
HK1258759A1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372B1 (ko) 분체의 비산성 평가 방법 및 분체의 비산성 평가 장치
US11207656B2 (en) Particle control method
ATE516076T1 (de) VORRICHTUNG ZUM MISCHEN VON LABORGEFÄß-INHALTEN, AUFWEISEND EINEN BESCHLEUNIGUNGSSENSOR
US20170267386A1 (en) Dosing and cleaning sample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DE602005008361D1 (de) Vorrichtung zur Messung des Massedurchflusses eines partikelförmigen Materials
JP5880750B2 (ja) 原料粉末調合装置
Little et al. Shape and size of non-spherical silver nanoparticles: implications for calculating nanoparticle number concentrations
US7258004B2 (en) Volume indicator having angled gradient openings
JP2010001124A (ja) 供給装置
JP6542837B2 (ja) 生コンクリートの空気量測定方法及び生コンクリート製造設備
ATE531264T1 (de) Mischer für die kombination von pulvermaterial und flüssigem material
KR101028679B1 (ko) 조합 유닛 및 자동 조합 장치
JP2012025627A (ja) 原料粉末調合装置
JP4297713B2 (ja) セメント系硬化体における濃度プロファイルと拡散係数の測定方法
JP3962181B2 (ja) 粒径分布測定装置と粒径分布測定に用いる試料供給装置
JP4690790B2 (ja) 粒子供給装置
Serrano et al. The Hagen-Beverloo law for outflow of granular solids from holes on side walls
IT8948440A1 (it) Procedimento e complesso per misurare le proprieta' di una massa rigida che deve essere compattata, ad esempio calcestruzzo prima della gettata
RU38943U1 (ru) Двух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регистрации гранулометр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потоков пульпы
ITRM20100210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il trasporto pneumatico di prodotti in polvere.
JP3124511U (ja) セメント組成物貯蔵用容器
RU49805U1 (ru) Бункер для накопления и выгрузки трудносыпучих, абрази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3165824U (ja) 漏斗付トレー
Miran et al. Interest of image analysis in the study of refractories
Ham et al. A study on the status of working environment control and health management of workers in a manufacturing indus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