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184B1 -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 Google Patents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184B1
KR102165184B1 KR1020197005748A KR20197005748A KR102165184B1 KR 102165184 B1 KR102165184 B1 KR 102165184B1 KR 1020197005748 A KR1020197005748 A KR 1020197005748A KR 20197005748 A KR20197005748 A KR 20197005748A KR 102165184 B1 KR102165184 B1 KR 10216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
power plant
heat reservo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4602A (ko
Inventor
슈테판 베커
에리히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004Accumulation in the liquid branch of the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03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water evaporated or preheated at different pressures in exhaust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06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the engine being of extraction or non-condens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14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having both steam accumulator and heater, e.g. superheating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에서,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열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수증기 회로(2)를 갖는 파워 플랜트(1)에 관한 것이고, 수증기 회로(2)는,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 내에서, 고압 부분(11), 중압 부분(12), 및 저압 부분(13)을 포함한다. 또한, 상 변화 재료(21)를 가지고 그리고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 내에 배열되지 않는, 열 저장기(20)가 포함되고, 열 처리된 물을 열 저장기(20)에 공급하기 위해서, 고압 부분(11) 또는 중압 부분(12)으로부터 인출되는 공급 라인(25)이 포함되고, 그리고 열 저장기(20)로부터의 열 처리된 물의 방출을 위해서 방출 라인(26)이 포함되며, 방출 라인은 중압 부분(12), 저압 부분(13) 또는 증기 터빈(4) 내로 개방된다.

Description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본 발명은, 폐열 증기 발생기의 영역에서, 증기 생산을 위한 열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수증기 회로를 갖는 파워 플랜트, 및 그러한 유형의 파워 플랜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에너지 시장은, 비교적 빠른 시동 및 중단 시간뿐만 아니라 동시에 큰 파워 범위를 또한 커버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가지는 동작(flexible operation)을 허용하는 파워 플랜트를 필요로 한다. 특히, 전기의 공급량 및 수요량의 큰 변동이 전기 공급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파워를 공급 네트워크에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그러한 유형의 파워 플랜트가 매우 유리하다. 파워 플랜트는 또한, 피크 부하 동작뿐만 아니라 낮은 부분-부하 동작에서도 이용될 수 있도록 큰 파워 범위를 커버하여야 한다.
변동-부하 동작을 위한 이러한 요건으로 인해서, 소정 기간 동안 파워 플랜트가 스탠드 바이(stand by) 상태로 동작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또한 종종 있다. 가장 빠른 가능한 시동이 이러한 상태로부터 실시되어야 하는 경우에, 특히 두꺼운-벽의 구성요소의 경우에, 열 응력의 결과로서의 열적 재료 피로를 작게 유지하기 위해서, 수증기 회로의 기능적 구성요소가 따뜻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은 파워 플랜트 공정 내의 열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그리고 재차 파워 플랜트 공정 내로 복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개시하였다. 예를 들어, WO 2014/026784 A1은, 예를 들어, 600 ℃ 초과의 동작 온도를 필요로 하는 고온 저장기 유닛을 갖는 파워 플랜트 기기를 개시한다. DE 10 2012 108 733 A1은 가스 터빈 파워 플랜트에서의 이용을 위해서 고온 저장기에 의한 고온의 물 또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더 설명하고, 그러한 시스템에서 저장 재료가 고온 저장기 내에 위치된다. EP 2 759 680 A1은 융통성이 개선된 가스 터빈 파워 플랜트를 개시하였고, 여기에서 파워 증가를 위해서 동작 중에, 용기로부터의 고온의 물이 가스 터빈에 공급될 수 있도록, 열 저장기 및 용기가 제공된다. US 2014/0165572 A1은 또한, 저장된 열 에너지를 통한, 가스 터빈용 연소 가스를 위한 예열 장치를 개시한다.
이제까지, 예를 들어 조합된 가스 및 증기 파워 플랜트에 의한 피크 부하를 제공할 때, 가스 터빈을 초과 작동(overfire)시키는 것, 압축기 가이드 베인을 큰 정도까지 개방하는 것, 또는 마찬가지로 흡입 공기 채널 내로의 물 주입(소위 습식 압축) 또는 가스 터빈의 연소 채널 내로의 증기 주입(소위 파워 증강)을 실시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만약 외부 온도가 비교적 높다면, 가스 터빈을 위한 흡입 공기가 증발 냉각기 또는 냉각 기계[소위 칠러(chiller)]를 이용하여 냉각됨으로써, 파워 증가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열 에너지를 수증기 회로에 도입하기 위해서, 폐열 증기 발생기(HRSG)가 부가적인 작동(firing)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순수 증기 파워 플랜트의 경우에, 증기 발생 시, 피크 부하의 5%까지의 예비 파워(power reserve)를 유지하는 것이 또한 통상적이다. 이후 피크 부하가 요구되는 경우에, 상응하는 파워 증가가 제공될 수 있다.
열적 파워 플랜트가 차단될 때, 예를 들어 증기 파워 플랜트의 경우에, 보조 증기 발생기로부터의 또는 이웃 플랜트로부터의 보조 증기를 이용하여 수증기 회로 내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러나, 보조 증기 압력은 비교적 낮고, 결과적으로, 다시, 온기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가 위쪽으로 심하게 제한된다.
또한, 폐열 증기 발생기는 일반적으로, 필요량의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비교적 고가의 천연 가스 또는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방법은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서, 파워 플랜트의 융통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파워 플랜트가 스탠드 바이 모드에 있거나 차단되어 있는 동안 열 기능적 구성요소가 적절하게 온기를 유지할 수도 있게 하는, 보다 포괄적인 기술적 파워 플랜트 해결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파워 플랜트에 의해서 그리고 제11항에 따라 전술한 그리고 후술되는 유형의 파워 플랜트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폐열 증기 발생기의 영역에서,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열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수증기 회로를 갖는 파워 플랜트에 의해서 달성되고, 수증기 회로는, 폐열 증기 발생기의 영역 내에서, 고압 부분, 중압 부분, 및 저압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폐열 증기 발생기의 영역 내에 배열되지 않는, 상 변화 재료(PCM)를 갖는 열 저장기가 포함되고, 열 처리된 물을 열 저장기에 공급하기 위해서, 고압 부분 또는 중압 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공급 라인이 포함되고, 그리고 열 저장기로부터의 열 처리된 물의 방출을 위해서 방출 라인이 포함되며, 그러한 방출 라인은 중압 부분, 저압 부분 또는 증기 터빈 내로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전술한 그리고 후술되는 유형의 파워 플랜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되고, 그러한 방법은:
- 장입(charging) 목적을 위해서 고압 부분 또는 중압 부분으로부터 열 저장기로, 열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 액체상의 물을 재순환 라인을 통해서 중압 부분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 열 저장기 내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미리 결정된 온도가 달성되었을 때, 열 처리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 중단 단계 후에, 열 저장기 내의 저장된 물을 방출 라인을 통해서 중압 부분, 저압 부분 또는 증기 터빈으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파워 플랜트 내로 통합된 에너지론적 열 저장기 개념이 제공된다. 열 저장기는, 열 에너지의 효율적 저장을 위해서, 열 에너지의 저장부 내로의 도입 및 저장부로부터의 방출 중에, 비교적 작은 부피 변화만을 일으키는 운반체 매체(carrier medium)를 갖는다. 상 변화 재료(PCM)인 이러한 재료는 열 저장기 내로 통합되고, 비교적 큰 열 에너지량이 비교적 작은 공간 내에서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상 변화 재료는 고압 부분 또는 중압 부분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서 열 저장기 내에 공급되고, 그에 의해서 열 저장기 내에 배치된 상 변화 재료가 열적으로 장입될 뿐만 아니라, 열 저장기 자체가 예를 들어 증기로 충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열적으로 장입된 상 변화 재료는, 상 변화 재료 내의 온도에 따른 상 변화가 아직 완전히 완료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레벨을 보장한다. 상 변화 재료의 열 특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 변화 재료는 예를 들어 캡슐화된 형태(encapsulated form)로, 예를 들어 나선형 형태, 난형 형태, 펠릿-유사 형태, 짧거나 긴 막대 형태 등으로 열 저장기 내에 존재할 수 있고, 고압 부분 또는 중압 부분으로부터의 수증기에 의해서 둘러싸이거나 그러한 증기가 주위에서 유동된다. 따라서, 수증기와, 캡슐화될 수 있는 상 변화 재료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수증기 회로 내의 전반적 온도 또는 압력 레벨으로 인해서, 수증기 회로의 고압 부분, 중압 부분 및 저압 부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저압 부분, 중압 부분 및 고압 부분 모두는 전용 압력 보일러, 전용 절탄기(economizer), 전용 열 교환기, 및 전용 과열기 또는 중간 과열기를 가질 수 있다. "고압 부분", "중압 부분" 및 "저압 부분"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표현이고, 파워 플랜트 기술에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다. 특히, 이러한 표현들이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특히 열적으로 처리된 또는 처리 가능한 수증기와 관련한 열 에너지의 저장으로 인해서, 파워 플랜트의 부하 변경이 그에 따라 보조될 수 있다. 특히 피크 부하 동작에서, 큰 에너지 함량을 갖는 수증기가 열 저장기로부터 취해질 수 있거나 그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고, 전류의 생산을 위해서 증기 터빈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의 부가로 인해서, 증기 터빈에서 변환될 수 있는 비교적 많은 양의 열 에너지가 에너지 생성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폐열 증기 발생기가 규칙적으로 또는 항상 작동되는 일이 없으면서 수증기 회로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따뜻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증기가 열 저장기로부터 취해지거나 그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워 플랜트는 예를 들어 스탠드 바이 모드에 있거나 차단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 저장기로부터의 열 에너지는 수증기 회로의 열적인 기능적 구성요소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 변화 재료의 이용을 통해서 가능해지는, 열 저장기 내의 큰 저장 가능 열 에너지 밀도로 인해서, 온기가 에너지의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동작되거나 연료로 동작되는 보조 증기 발생기가 더 이상 불필요하다. 상 변화 재료가, 장입된 후에,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레벨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 변화 재료와 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열 저장기 내의 수증기가 또한 실질적으로 균일한 온도 레벨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열적으로 컨디셔닝된 물을 열 저장기로부터 수증기 회로의 열적인 기능적 구성요소로 시간적으로 길게 공급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의 제1 실시예에서, 열 저장기가, 상 변화 재료가 내부에 배열되는 압력 용기로서 설계된다. 여기에서, 열 저장기의 장입 중에, 열 처리된 물 또는 수증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상 변화 재료가 개별적인 단편으로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 변화 재료와 물 또는 수증기 사이의 열 전달이 열 저장기의 측벽을 통해서 발생되도록, 상 변화 재료가 또한 예를 들어 압력 용기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상 변화 재료는 열 저장기의 열 용량의 증가를 그리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구성을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상 변화 재료는, 자명하게, 열 저장기 내의 희망하는 또는 전반적 온도에 맞춰 적절히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 변화 재료의 상 변화의 온도 범위는 열 저장기 내의 필요한 또는 희망하는 저장 온도이거나 또는 그에 근접한다. 이러한 자명성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열 처리된 물이 열 저장기 내로 분배될 수 있게 하는 스파저(sparger)를 열 저장기가 갖는다. 스파저는 이러한 경우에 실질적으로, 열 처리된 물이 열 저장기 내로 분배될 수 있게 하는 수 많은 작은 개구부를 갖는 라인 조립체이다. 스파저는, 열 처리된 물을 열 저장기 내로 도입하는 동안, 열 저장기의 모든 영역에 대한 열 에너지의 가장 균일한 가능한 적용을 보장하고, 그에 의해서, 특히 저장부 내로의 도입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열 저장기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측정 장치 및/또는 하나의 온도 측정 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열 저장기의 장입 및 방출이 온도-의존적 및/또는 압력-의존적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파워 플랜트는 또한 예를 들어, 필요한 유동 및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제어 밸브를 공급 라인 및 방출 라인 내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포괄적인 적절한 제어의 도움으로, 열 저장기가 압력-의존적 및/또는 온도-의존적 방식으로 장입 및 방출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는 파워 플랜트의 제어 기술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플래시 탱크(flash tank)가 방출 라인 내로 연결되고, 그러한 플래시 탱크는 증기 형태의 물과 액체상의 물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플래시 탱크에 의해서,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방출되는 물의 증기 형태의 분률이 분리될 수 있고 그리고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이용을 위해서 수증기 회로에 다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증기 형태의 분률은, 추가적인 사용에 이용될 수 있도록, 수증기 회로의 저압 부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라인이 절탄기로부터 또는 중압 부분의 증기 드럼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저장기에는 비교적 편리하게 열 처리된 물이 공급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열 저장기의 장입이 비교적 저비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공급 라인이 절탄기로부터 또는 고압 부분의 과열기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고압 부분이 훨씬 더 높은 압력 또는 훨씬 더 높은 온도의 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전술한 것보다 경제적으로 덜 유리하나, 열 저장기가 더 높은 압력 또는 더 높은 온도 레벨까지 장입되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열 저장기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열적으로 컨디셔닝된 물은 더 긴 기간에 걸쳐 여전히-사용 가능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재순환 라인이 제공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고, 그러한 재순환 라인은 일 측에서는 열 저장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에서는 액체상의 물이 안내되는 위치에서 중압 부분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위치는 바람직하게 증기 드럼 또는 물 공급 라인이다. 그에 따라, 재순환 라인을 통해서, 열적으로 부화된(enriched) 물이 열 저장기로부터 방출될 수 있고 수증기 회로 내로 다시 도입될 수 있다. 특히, 증기 보상이 실시되는 열 저장기의 최초 장입 중에, 특히 액체상의 물이 마찬가지로 안내되는 위치에서, 응축된 분률이 수증기 회로 내로 다시 재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물 공급 라인 또는 증기 드럼의 영역 내의 중압 부분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재순환 라인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재순환 라인은 일 측에서는 열 저장기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에서는 플래시 탱크 내로 개방되며, 그러한 플래시 탱크로부터는 증기 라인이 저압 부분으로 안내된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액체상의 물이 안내되는 위치에서, 추가적인 액체 라인이 또한 저압 부분 내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 탱크 내의 증기 형태의 분률 및 액체 분률의 분리로 인해서, 열적으로 컨디셔닝된 물의 증기 형태의 분률뿐 아니라 액체 분률도 저압 부분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 탱크의 이용은 재순환 라인 내에서 열적으로 컨디셔닝된 물의 어떠한 상-특이적 재순환도 불필요하게 만드는데, 이는 증기 형태의 상이 플래시 탱크 내에서 액체 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습식 증기가 재순환 라인에 의해서 열 저장기로부터 저압 부분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파워 플랜트가, 열 저장기 하류의 방출 라인 내로 연결되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증기 과열기를 더 갖는다. 여기에서, 증기 과열기는 예를 들어 또한, 열 저장기와 마찬가지로, 증기 저장기 및 통합된 상 변화 재료의 조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표준 컨테이너 내로 통합되고 공급 라인 및 방출 라인을 위한 적절한 연결 지점을 갖는 저장기 상자의 형태를 갖는다. 열 저장기 외부로의, 열 처리된 수증기의 공급은 이러한 경우에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동작 요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생산된 포화 증기가 과열기 상류의 중압 부분의 증기 라인 내로 도입되도록, 또는 증기 과열기로부터의 과열된 증기가 중간 과열기 가열 표면들 사이에서 중간 과열기의 라인 내로 공급되도록, 예를 들어 공급부가 구성될 수 있다. 요건에 따라 달라지는 다른 공급 가능성이 생각될 수 있다. 증기 과열기의 이용은 파워 플랜트의 융통성을 더 증가시키고, 또한 과열된 증기가 수증기 회로 내에서 저렴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한다.
파워 플랜트의 동작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저장된 물의 방출이, 이차 주파수 지원(secondary frequency support)을 위한 요구에 후속하여 실시되고, 그리고 저장된 물이 증기 드럼과 중압 부분의 과열기 사이에서 중압 부분으로 방출된다. 열 저장기로부터의 방출된, 열 처리된 물은 결과적으로 중압 부분의 과열기 내에서, 증기 터빈의 파워 동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절히 높은 온도 레벨의 증기가 제공될 수 있는 범위까지, 다시 한번 열적으로 컨디셔닝된다. 비록, 부분적으로, 과열 공정으로부터의 열 에너지가 파워의 증가를 위해서 이용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양의 열 에너지가 파워의 증가를 위해서 열 저장기로부터 방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터빈의 시작 시에, 저장된 물의 방출이 실시되고, 저장된 물은, 파워 플랜트의 중압 부분으로 또는 저압 부분으로 먼저 안내되지 않고, 증기 터빈으로 직접 방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방출된 물이, 예를 들어 방출 라인 내로 연결되고 열 에너지를 방출된 물로 다시 한번 방출하는 추가적인 제2 열 저장기 또는 증기 과열기의 제공을 통해서, 다시 한번 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제2 열 저장기는 예를 들어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저장기로서 또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터빈이 어떠한 파워도 송출하지 않는 증기 터빈의 작동 준비 상태에서, 저장된 물의 방출이 실시될 수 있다. 방출된 물은 바람직하게 제2 열 저장기에 의해서 다시 한번 열 처리되고 중간 과열을 위해서 공급된다. 여기에서, 증기 터빈은 예를 들어 스탠드 바이 모드에 있거나 심지어 네트워크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열 저장기 내에 저장된 물의 방출에 의해서, 수증기 회로의 열적인 기능적 구성요소가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최소 압력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수증기 회로의 신속한 동작 준비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열적 재료 피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증기 터빈이 정상 부하 하에 있을 때, 저장된 물의 방출이 실시되고, 저장된 물이 추가적인 파워 증가를 위해서 중압 부분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방출된 물은 피크 부하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도면을 기초로,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도면 내의 동일한 참조 기호에 의해서 표시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는 것을 강조한다.
도면이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이해된다는 것, 그리고 특히 실행 가능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을 결과적인 해결책이 달성할 수 있는 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들이 서로의 임의의 희망 조합으로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의 희망 조합으로 청구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제2 실시예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추가적인 제3 실시예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4는 파워 플랜트의 동작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 형태의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증기 터빈(4)에 의해서 물의 열 에너지를 회전 기계적 에너지로 후속하여 변환하기 위해서, 수증기 회로(2) 내의 물이 폐열 증기 발생기(3)에 의해서 열 처리된다. 폐열 증기 발생기(3)는 특히 가스 터빈(8)의 배기 가스에 의해서 열 에너지를 공급 받고, 유동 기술적으로 가스 터빈에 비교적 근접 배열되는 수증기 회로(2)의 해당 영역은 더 높은 온도이다. 폐열 증기 발생기(3) 내에서, 개별적 열 교환기(3)가 상이한 영역들에 할당될 수 있다. 가장 높은 온도 및 압력을 갖는 영역은 고압 부분(11)이고; 다음으로 더 높은 압력 및 온도를 갖는 부분은 중압 부분(12)이고; 그리고 저압 부분(13)인 제3 부분은 가장 낮은 압력 및 온도를 갖는다. 고압 부분(11) 및 중압 부분(12) 모두 그리고 저압 부분(13)은 절탄기, 증기 드럼을 갖는 열 교환기, 및 중간 과열기 또는 과열기를 가질 수 있다. 개별적인 압력 부분(11, 12, 13)은, 압력 및 온도 레벨에 상응하게, 다부품형 증기 터빈(4)의 개별적인 터빈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압 부분(11)은 고압 증기 터빈(5)에 연결되고, 중압 부분(12)은 중압 증기 터빈(6)에 연결되며, 저압 부분(13)은 저압 증기 터빈(7)에 연결된다. 개별적인 증기 터빈(5, 6, 7) 각각은 샤프트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가스 터빈(8)은 예를 들어 클러치(9)를 통해서, 샤프트를 경유하여, 증기 터빈(4)에 연결될 수 있다. 발전기(10)가 유사하게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회전 운동이 실시될 때, 전기 파워가 이용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열 저장기(20) 내로 통합된 상 변화 재료(21)를 갖는 열 저장기(20)가 포함된다. 특히, 상 변화 재료(21)는, 캡슐화되고 예를 들어 열 저장기(20) 내에서 충진재로서 존재하는, 개별적인 단편의 형태이다. 내부에 배치된 상 변화 재료(21)와 함께 열 저장기(20)를 열적으로 장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증기 형태의, 첫 번째로 열 처리된 물이 중압 부분(12)의 절탄기(14)로부터 취해질 수 있고 열 저장기(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열 저장기(20)는 공급 라인(25)을 통해서 중압 부분(12)의 절탄기(14)에 연결되고, 중압 부분(12)으로부터 취해지는 열 처리된 물의 유량은 공급 라인 밸브(28)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열 저장기(20) 내의 장입 과정 중에, 증기의 응축이 일반적으로 발생되고, 이는 예를 들어 열 저장기(20)의 기부 상에서 액체상의 물로서 응결된다. 응축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열적인 열 함량을 가지는 응축된 물이 재순환 라인(24)을 통해서 열 저장기(20)로부터 중압 부분(12)의 증기 드럼(15) 내로 다시 재순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재순환된 물은 폐열 증기 발생기(3) 내의 열 처리를 위해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수증기 회로(2)로부터의 물의 손실이 결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열 저장기(20)는 예를 들어 완전히 장입되고, 다시 말해서 열 저장기(20)의 부피가 증기로 예를 들어 충진되고, 상 변화 재료(21)는 마찬가지로 완전 장입된 형태로 존재하고, 증기는, 예를 들어 파워 플랜트(1)의 동작 중의 파워 증가를 위해서, 열 저장기(20)로부터 다시 취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증기는, 예를 들어 방출 라인(26)을 통해서, 증기 드럼(15)과 중압 부분(12)의 과열기(16) 사이의 영역 내에서 중압 부분(12)에 공급된다. 공급되는 증기의 양은 다시 방출 라인(26) 내의 방출 라인 밸브(27)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크 부하 동작의 경우에, 증가된 전기 에너지의 송출이 요구되는 경우에, 중압 부분(12)에 부가적으로 공급되는 증기의 양은 증기 터빈(4)의 증가된 파워 동작을 허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증가된 양의 전기 파워가 발전기(10)에 의해서 송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여기에서, 파워 플랜트(1)의 수증기 회로(2)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공급 라인(25)이 중압 부분(12)이 아니라 고압 부분(11)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열 저장기(20)의 연결만이 상이하다. 여기에서, 그러한 연결은 고압 부분(11)의 과열기(17)의 바로 상류에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열 저장기(20)는 상당히 더 높은 온도 레벨 및 압력 레벨의 증기로 장입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열 저장기(20) 내의 더 높은 에너지 함량을 초래하고, 그에 따라, 방출 라인(26)을 통한 중압 부분(12) 내로의 방출 중에, 비교적 더 많은 양의 에너지가 증기 터빈(4)의 파워 증가를 위해서 방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플랜트(1)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 실시예의 수증기 회로(2)의 기본적인 구성은 다시 선행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대조적으로, 열 저장기(20)는 스파저(32)가 내부에 배열된 증기 압력 저장기로서 설계되고, 고압 부분(11)으로부터 공급 라인(25)을 통해서 공급되는 증기가 스파저를 통해서 비교적 균일한 방식으로 분배될 수 있다. 열 저장기(20)의 장입에 필요한 증기는 이러한 경우에 고압 부분(11)의 과열기(17)로부터 취해진다.
고압 증기가 수증기 회로(2)로부터 취해지고 열 저장기(20) 내로 안내된 후에, 증기의 일부 분률의 응축이 전형적으로 발생되고, 이는 재순환 라인(24)을 통해서 저압 부분(13)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저압 부분(13)으로의 공급에 앞서서 증기 형태의 분률 및 액체 분률을 분리하기 위해서, 파워 플랜트(1)는 또한, 마찬가지로 복귀 라인(24) 내로 연결된 플래시 탱크(30)를 갖는다. 증기 라인(31)은 플래시 탱크(30)로부터 멀리 이어지고, 그러한 증기 라인은 저압 부분(13)의 증기 드럼에 연결된다. 동시에, 플래시 탱크(30) 내의 액체 응축물이 마찬가지로 저압 부분(13)의 증기 드럼에, 그러나 물의 액체 상이 축적된 영역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열 저장기의 추가적인 열적 장입을 위해서, 중압 부분(12)의 절탄기로부터 열 처리된 물을 방출할 수 있는, 물 공급 라인(33)이 또한 제공된다. 여기에서, 안내되는 물의 양은 물 공급 라인(33) 내의 물 공급 라인 밸브(34)에 의해서 조정된다.
열 에너지가 열 저장기(20)로부터 취해질 때, 열 저장기(20) 내에 축적된 증기는, 참조 기호로 더 이상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은 플래시 밸브를 통해서, 예를 들어 저장기 상자로서 설계된 증기 과열기(40)에 공급된다. 증기 과열기(40)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는 후속하여 증기 터빈(4)의 중압 증기 터빈(6)으로 안내된다. 증기 과열기(40)로부터 취해진 증기에 더 추가적인 열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수증기 회로는, 증기 과열기(40)로부터 방출된 증기와 고압 부분(11)의 과열기(17)로부터의 증기를 혼합하는 우회 라인(35)을 갖는다. 증기 과열기(40)는 바람직하게는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저장기와 유사하게 설계되고, 증기 과열기(40)의 열적 장입은 열 저장기(20)의 장입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필요한 라인 부분 또는 방법 단계가 본원에서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으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파워 플랜트의 동작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러한 방법은:
- 장입 목적을 위해서 고압 부분(11) 또는 중압 부분(12)으로부터 열 저장기(20)로, 열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제1 방법 단계(101)];
- 액체상의 물을 재순환 라인(24)을 통해서 중압 부분(12)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제2 방법 단계(102)];
- 열 저장기(20) 내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미리 결정된 온도가 달성되었을 때, 열 처리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제3 방법 단계(103)];
- 중단 단계 후에, 열 저장기 내의 저장된 물을 방출 라인(26)을 통해서 중압 부분(12), 저압 부분(13) 또는 증기 터빈(4)으로 방출하는 단계[제4 방법 단계(104)]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에서,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열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수증기 회로(2)를 갖는 파워 플랜트(1)이며, 수증기 회로(2)는,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 내에서, 고압 부분(11), 중압 부분(12), 및 저압 부분(13)을 포함하고; 또한, 폐열 증기 발생기(3)의 영역 내에 배열되지 않는, 상 변화 재료(21)를 갖는 열 저장기(20)가 포함되고; 열 처리된 물을 열 저장기(20)에 공급하기 위해서, 고압 부분(11) 또는 중압 부분(12)으로부터 인출되는 공급 라인(25)이 포함되고; 그리고 열 저장기(20)로부터의 열 처리된 물의 방출을 위해서 방출 라인(26)이 포함되며, 방출 라인은 중압 부분(12), 저압 부분(13) 또는 증기 터빈(4) 내로 개방되고; 재순환 라인(24)이 또한 제공되고, 재순환 라인은 일 측에서는 열 저장기(2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에서는 액체상의 물이 안내되는 위치에서 중압 부분(12) 내로 개방되는; 파워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열 저장기(20)는, 상 변화 재료(21)가 내부에 배열되는 압력 용기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 저장기(20)는 스파저(32)를 가지며, 공급 라인(25)으로부터의 열 처리된 물이 스파저를 통해서 열 저장기(20) 내에서 분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 저장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측정 장치 및/또는 하나의 온도 측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출 라인(26) 내로는 플래시 탱크(30)가 연결되고, 플래시 탱크는 증기 형태의 물 및 액체상의 물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급 라인(25)은 절탄기(14)로부터 또는 중압 부분(12)의 증기 드럼(15)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급 라인(25)은 절탄기(14)로부터 또는 고압 부분(11)의 과열기(17)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재순환 라인(24)이 또한 제공되고, 재순환 라인은 일 측에서는 열 저장기(2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에서는 플래시 탱크(30) 내로 개방되고, 플래시 탱크로부터는 증기 라인(31)이 저압 부분(13)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파워 플랜트(1)는, 방출 라인(26) 내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상 변화 재료(21)를 가지는 증기 과열기(40)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플랜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파워 플랜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 장입 목적을 위해서 고압 부분(11) 또는 중압 부분(12)으로부터 열 저장기(20)로, 열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단계;
    - 액체상의 물을 재순환 라인(24)을 통해서 중압 부분(12)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 열 저장기 내에서 미리 결정된 압력 또는 미리 결정된 온도가 달성되었을 때, 열 처리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 중단 단계 후에, 열 저장기 내의 저장된 물을 방출 라인(26)을 통해서 중압 부분(12), 저압 부분(13) 또는 증기 터빈(4)으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플랜트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된 물의 방출은 이차 주파수 지원을 위한 요구에 후속하여 실시되고, 저장된 물은 증기 드럼(15)과 중압 부분(15)의 과열기(16) 사이에서 중압 부분(12)으로 방출되는, 파워 플랜트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된 물의 방출은 증기 터빈(4)의 시작 시에 실시되고, 저장된 물은, 파워 플랜트의 중압 부분(12)으로 또는 저압 부분(13)으로 먼저 안내되지 않고, 증기 터빈(4)으로 직접 방출되는, 파워 플랜트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된 물의 방출은 증기 터빈(4)이 어떠한 파워도 송출하지 않는 증기 터빈(4)의 작동 준비 상태에서 실시되는, 파워 플랜트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된 물의 방출은, 증기 터빈(4)의 정상 부하 하에서 실시되고, 저장된 물은 추가적인 파워 증가를 위해서 중압 부분(12)으로 방출되는, 파워 플랜트 동작 방법.
KR1020197005748A 2016-08-04 2017-06-26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KR102165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4447.2A DE102016214447B4 (de) 2016-08-04 2016-08-04 Kraftwerk mit Phasenwechselmaterial-Wärmespeich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werks mit Phasenwechselmaterial-Wärmespeicher
DE102016214447.2 2016-08-04
PCT/EP2017/065645 WO2018024409A1 (de) 2016-08-04 2017-06-26 Kraftwerk mit wärmespei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602A KR20190034602A (ko) 2019-04-02
KR102165184B1 true KR102165184B1 (ko) 2020-10-13

Family

ID=5927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748A KR102165184B1 (ko) 2016-08-04 2017-06-26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94226B2 (ko)
EP (1) EP3469190B1 (ko)
JP (1) JP6803966B2 (ko)
KR (1) KR102165184B1 (ko)
CN (1) CN109563746B (ko)
DE (1) DE102016214447B4 (ko)
ES (1) ES2787031T3 (ko)
WO (1) WO2018024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9024B2 (en) * 2019-06-12 2023-07-25 Energynest As Thermal energy battery
CN112554964A (zh) * 2020-12-10 2021-03-26 神华福能(福建雁石)发电有限责任公司 汽轮机组及控制方法
WO2024020634A1 (en) * 2022-07-29 2024-02-01 Graphite Energy (Assets) Pty Limited Energy storage and utilis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307A (ja) 2000-10-02 2002-04-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ハイブリッド型発電装置
JP2002266606A (ja) * 2001-03-12 2002-09-1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熱エネルギー貯蔵発電方法
WO2014096892A1 (en) 2012-12-19 2014-06-26 Renault Trucks Engine arrangement comprising a separate heat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744A (en) * 1976-11-03 1978-05-16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Thermal energy storage by means of reversible heat pumping
US4192144A (en) * 1977-01-21 1980-03-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with phase change of working fluid
JPH06146815A (ja) * 1992-11-09 1994-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装置
JPH08260912A (ja) 1995-03-20 1996-10-08 Toshiba Corp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JP2000045713A (ja) * 1998-07-27 2000-02-15 Toshiba Corp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EP1992794A1 (de) * 2007-03-06 2008-1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mbi-Kraftwerk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sstart einer Kombi-Kraftwerksanlage
US9217566B2 (en) * 2007-03-27 2015-12-22 Boyle Energy Services &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power plants
JP2009097735A (ja) * 2007-10-12 2009-05-07 Toshiba Corp 給水加温システムおよび排熱回収ボイラ
US8544273B2 (en) * 2008-09-17 2013-10-01 Siemens Concentrated Solar Power Ltd. Solar thermal power plant
JPWO2010070702A1 (ja) * 2008-12-16 2012-05-24 社団法人日本銅センター 自然エネルギを利用した動力発生装置
US20120018116A1 (en) * 2010-07-21 2012-01-26 Terrafore, Inc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US20120319410A1 (en) * 2011-06-17 2012-12-20 Woodward Govern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energy storage and power generation
WO2013070572A1 (en) * 2011-11-08 2013-05-16 Abengoa Solar Inc. High temperature thermal energy storage for grid storage and concentrated solar plant enhancement
DE102012102115A1 (de) * 2012-02-16 2013-08-22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Solarthermisches Kraft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arthermischen Kraftwerks
DE102012204081A1 (de) * 2012-03-15 2013-09-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kraftwerk
ES2835740T3 (es) * 2012-04-02 2021-06-23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Sistema de energía termosolar
US9509026B2 (en) * 2012-08-14 2016-1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station arrangement with high-temperature storage unit
FR2995005B1 (fr) * 2012-08-29 2018-12-0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Systeme de stockage thermique de vapeur
DE102012108733A1 (de) * 2012-09-18 2014-03-20 Technische Universität Chemnitz System zur Erzeugung von Heißwasser und/oder Dampf mit Hochtemperaturspeicher für den Einsatz in einem Gasturbinenkraftwerk
US9322295B2 (en) * 2012-10-17 2016-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energy storage unit with steam and gas turbine system
US9376962B2 (en) * 2012-12-14 2016-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gas heating with thermal energy storage
EP2746656A1 (de) * 2012-12-19 2014-06-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twässerung einer Kraftwerksanlage
EP2759680A1 (de) * 2013-01-23 2014-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turbinenkraftwerk mit verbesserter Flexibilität
EP3025031B1 (de) * 2013-09-24 2022-10-26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ampfturbinenanlage
US10012113B2 (en) * 2014-03-18 2018-07-03 Vassilios Vamvas Combined cycle plant with thermal energy sto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307A (ja) 2000-10-02 2002-04-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ハイブリッド型発電装置
JP2002266606A (ja) * 2001-03-12 2002-09-1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熱エネルギー貯蔵発電方法
WO2014096892A1 (en) 2012-12-19 2014-06-26 Renault Trucks Engine arrangement comprising a separate heat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4409A1 (de) 2018-02-08
DE102016214447B4 (de) 2020-12-24
KR20190034602A (ko) 2019-04-02
JP2019527791A (ja) 2019-10-03
EP3469190A1 (de) 2019-04-17
US20190301306A1 (en) 2019-10-03
DE102016214447A1 (de) 2018-02-08
ES2787031T3 (es) 2020-10-14
CN109563746B (zh) 2022-04-26
US10794226B2 (en) 2020-10-06
EP3469190B1 (de) 2020-02-26
CN109563746A (zh) 2019-04-02
JP6803966B2 (ja)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966B2 (en) Storage of electrical energy with thermal storage and return through a thermodynamic cycle
US9376962B2 (en) Fuel gas heating with thermal energy storage
KR101516941B1 (ko) 복합 사이클 발전 시스템의 파워 증강을 위한 에너지 회수 및 증기 공급
EP3011146B1 (en) Steam power plant turbine and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at low load
CA2798681C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KR102165184B1 (ko) 열 저장기를 갖춘 파워 플랜트
US998256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turbine plant
JPS58501473A (ja) 起動停止損失を減少し、火力発電所の利用される出力を高め及び制御能力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121794B (zh) 热力发电厂特别是蒸汽发电厂或联合循环发电厂(ccpps)中的冷启动的最优化
CN104302975B (zh) 用于发电厂的辅助蒸汽生成器系统
JP2021191955A (ja) 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の出力の適合方法および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
CN102588020B (zh) 太阳能发电与火力发电复合的汽轮发电机组及实现方法
KR101514621B1 (ko) 가스 발전 설비
CN105899875A (zh) 用于热电联产的方法和设备
KR101822311B1 (ko) 폐열 증기 발생기 및 연료 예열부를 갖는 복합 화력 발전소
CN105874272B (zh) 用于热电联产的方法和设备
CN106968732B (zh) 运行蒸汽发电设备的方法和实施所述方法的蒸汽发电设备
US1101549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bined gas and steam power plant with steam heated by an exothermic chemical reaction
US9399928B2 (en) Steam power plant with heat reservoir and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power plant
KR20120037224A (ko) 하이브리드형 태양열 화력발전 시스템
CN105980773B (zh) 用于热电联产的方法和设备
CN114017148B (zh) 一种大型煤电蒸汽储热发电调峰方法
US20180340451A1 (en) Gas-and-Steam Combined-Cycle Power Plant
US20160341121A1 (en) Accumulator system coupled to gas turbines for intake fluid preheating
US2004013974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power plant and steam power plan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