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58B1 -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 Google Patents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58B1
KR102165058B1 KR1020200022066A KR20200022066A KR102165058B1 KR 102165058 B1 KR102165058 B1 KR 102165058B1 KR 1020200022066 A KR1020200022066 A KR 1020200022066A KR 20200022066 A KR20200022066 A KR 20200022066A KR 102165058 B1 KR102165058 B1 KR 10216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unit
layer
sheet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창수
권오익
Original Assignee
함창수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창수,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filed Critical 함창수
Priority to KR102020002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 및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기능성 유닛의 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면이 피착재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시트가 피착재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기능성 유닛의 적어도 한 유닛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단위층들이 복수개 연속하여 적층된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데코시트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PVC계 데코시트를 안정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중구조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층을 다각적으로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맞춤형 내외장재용 데코시트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Description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DECORATION SHEET FOR INTERIOR OR EXTERIOR OF STRUCTURE COMPRISING MULTI-LAYER FILM OF POLYOLEFIN BASED RESIN}
본 기술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내외장재 분야의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 건축 외장재 및 내장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층상구조 설계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데코시트라 함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로 다양한 인쇄롤 패턴과 엠보롤 패턴으로 천연질감을 표현하여 일상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용가구, 주거용가구, 주방용 가구의 표면 등에 널리 사용이 되고 있는 비점착 시트이다. 이러한 데코시트는 가구 내외장재, 사무용가구, 문짝 등의 건축자재, 부엌용 가구, 각종 오디오 케이스, 기타 인테리어 장식에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데코시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지를 사이에 두고 하지 필름과 상지 필름이 샌드위치된 구조로서, 시트를 이루는 모든 시트가 PVC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PVC 소재의 경우,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 염화비닐 수지에 가소제를 투입하여 가소성을 부여한 필름을 사용하므로, 소각 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 가스가 발생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데코시트에 친환경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적용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804826호에는 폴리올레핀계 유색필름층을 포함하는 데코시트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13169호에는 가구 및 건축자재에 사용되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쉽게 PVC 대체를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도입이 고려될 수는 있으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데코시트가 부착되는 피착재와의 융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로나 처리 등을 통한 융착 특성의 개선이 고려되고 있으나 코로나 처리에 따른 경시적 변화 때문에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데코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용 시트로 사용되어 오고 있고, 전술한 융착 관련 내구성의 한계 및 내후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데코시트가 갖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외장재로의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함으로써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을 도입함으로써, 융착특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내장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외장재로도 안정적으로 적용가능한 내외장재용 데코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는 베이스 유닛 및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기능성 유닛의 접합에 의하여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면이 피착재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시트가 피착재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기능성 유닛의 적어도 한 유닛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단위층들이 복수개 연속하여 적층된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한다.
상기 피착재로서는 목재, 금속재 또는 합판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피착재의 재료에 따라 데코시트를 이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블렌딩 조건이 다소 변화될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기 데코시트 다양한 피착재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 및 피착재의 계면에는 프라이머 처리에 의한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 및 각각 상기 제1 단위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층 및 제3 단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각 단위층들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된 3중 구조의 필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4 단위층; 및 각각 상기 제4 단위층의 일면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UV 안정제를 함유하는 제5 단위층 및 제6 단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각 단위층들을 이루는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조의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과 상기 기능성 유닛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물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유닛의 노출면인 최외곽층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오버코팅하여 형성된 열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층으로서는 230℃ 하에서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12g/10min이고, 140℃ 내지 160℃의 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상기 융점이나 용융지수 나아가 분자량 등은 전술한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층이 적용되는 데코시트 내의 위상 또는 데코시트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인과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는 다중구조, 예를 들어 3중 구조의 폴리올레핀(PO)계 필름층을 도입함으로써, 기본적으로 PVC 수지를 대체함에 따라 친환경적인 내외장재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 다중구조를 이루는 연속된 폴리올레핀계 단위층들의 각각의 물성을 조절 또는 조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1. 유해가스 저감
종래의 PVC계 데코시트를 이용하거나 도장 방식의 랩핑을 이용한 데코레이션 방법들은 화재시 치명적인 유해가스가 발생될 수 있음에 반하여 본 발명의 데코시트는 화재시유해가스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PO 수지의 경우 유해가스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별도의 가소제의 혼입이 필요없는 장점을 갖는다.
2. 고내후성 - 외장재로서의 활용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일부 폴리올레핀계 단위층에 UV 안정제 및 기타 기능성 첨가제들을 포함시킴으로써, 데코시트의 내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코시트는 건물 외벽의 데코용 외장재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 실제로 출원인은 본 데코시트를 활용함으로써 외장재로서 3년간 내구성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실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3. 피착재 융착 특성
본 데코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전형적인 문제점인 열악한 접착특성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다중구조의 필름 구조로서 해결하였으며, 나아가 피착재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고 다중구조의 필름을 적절히 설계 변경함으로써 피착재와의 융착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는 종래의 PVC 계열의 데코시트 이상의 수준을 갖는 융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4. 패턴인쇄에 따른 재료 절감
종래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 시공에 있어, 시각적인 패턴 효과를 누리기 위하여 표면 굴곡 또는 요철에 의한 방식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데코시트는 데코시트 내부에 패턴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시각적인 패턴 효과를 유효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굴곡 또는 요철 시공에 따른 과량의 데코시트의 사용을 억재함으로써 우수한 경제성을 갖는다.
5. 경량화
종래의 데코시트는 베이스 필름으로서 PVC 수지 또는 PET 수지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는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베이스로 한 시트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짐으로써 데코시트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탄소배출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6. 작업성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착재와의 우수한 융착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900% 이상의 신율을 나타냄으로써 각종 멤브레인 성형(압축성형) 또는 진공성형 등에 있어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작업성은 실질적인 시공 과정에서 공정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7. 내백화 특성
본 발명의 데코시트는 전술한 바화 같이 융착특성 및 신율이 우수하여 층간 박리현상이 없고 작업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굴곡부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백화 현상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8. 다중구조의 PO 필름층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는 3중 구조의 PO 필름층을 데코시트 내 다양한 위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PVC계 데코시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데코시트로 기능함은 물론, 다중 구조의 필름 설계에 변화를 주어 수요자의 니즈에 따라 다양한 하이브리드적인 물성을 갖는 데코시트의 개발이 가능하다.
9. 공압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PO 필름층은 복수의 PO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여 공압출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데코시트의 주요 구성인 PO 필름층의 제조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PVC 베이스의 데코시트의 층상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가 피착재에 융착되어 있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 유닛의 층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능성 유닛의 층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들이며,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이 당연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하기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 내 각 층들의 스케일은 설명을 위하여 개념적으로 과장된 것일 수 있으므로, 도면의 스케일에 의하여 본 발명 데코시트의 크기나 두께의 기술요소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3중 구조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러한 다중 구조의 층상 구조, 예를 들면 층의 개수나 다중구조의 데코시트 내 위상(위치나 방향)은 요구되는 데코시트의 물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시트가 피착재에 융착되어 있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1000)(이하, 축약하여 '데코시트'라 칭함)는 베이스 유닛(100), 기능성 유닛(300) 및 상기 베이스 유닛(100)과 기능성 유닛(300)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20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 유닛(100) 및 기능성 유닛(300)의 층상구조,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접착층(20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유닛(100)은 데코시트(10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임과 동시에 피착재(5)와 융착되는 유닛(100)으로서 박리현상을 배제하고 안정적인 융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특히, PVC계 데코시트를 대체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일 수 있다.
기능성 유닛(300)은 데코시트(1000)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외부에 노출되는 부재로서 패턴 등과 같이 시각적인 요소 외에 내구성 및 내후성을 위한 기능성이 부가된 유닛이다. 특히, 상기 데코시트(1000)가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내후성을 고려한 기능성 유닛(300)은 내후성 개선을 위한 기능층이 삽입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100) 및 기능성 유닛(300)은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단위층들이 복수개 연속하여 적층된 필름층으로서, 각각의 단위층을 이루는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피착재(5)와 데코시트(1000)가 융착되는 계면에는, 즉, 상기 베이스 유닛(100)의 하부와 피착재(5)의 계면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처리는 피착재(5) 또는 베이스 유닛(10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피착재(50) 및 베이스 유닛(100)에 동시에 처리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30)은 융착 계면의 표면 상태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융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층이다. 상기 프라이머층(30)을 이루는 수지로서는, 다양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프라이머층(30)에 상기 베이스 유닛(100)의 하부면을 이루는 수지와 혼용성이 증가되도록 첨가제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피착재(5)는 목재, 금속재, 합판재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피착재(5)의 재질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100)을 이루는 단위층들의 수지 조성이 세부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접착층(200)을 이루는 수지 역시, 베이스 유닛(100)의 상면과의 접합력 강화를 위하여 소정의 첨가제에 의하여 개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 유닛의 층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00) 및 기능성 유닛(300)은 접착층(200)을 매개로 결합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유닛(100)은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유닛(100) 자체가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과 접착층(200) 사이에는 추가적인 층상구조가 개입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유닛(100)의 피착재(도 2의 '5') 대응면 사이에는 별도의 필름층이 삽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중 폴리올레핀 수지필름층(베이스 유닛과 동일 개념으로서, 이하 도면 부호 '100'을 사용함)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110) 및 상기 제1 단위층(1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2 단위층(112) 및 제3 단위층(114)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위층(110, 112, 114)을 이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본 실시예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일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자량, 융점 및 용융지수를 갖는 복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블렌드를 포함한는 개념이다.
또한, 각각의 단위층(110, 112, 114)들은 산화 방지제, 슬립제, 내열 안정제 등 다양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제1 단위층(110)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2 단위층(112) 및 제3 단위층(114)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한다. 상기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COO', '-COOH' 등이다.
전술한 피착재와 직접 융착하는 제2 단위층(112)과 피착재의 융착 강도는 PVC 계열의 데코시트 이상으로 우수하다.
한편, 상기 단위층(110, 112, 114)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230℃ 하에서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12g/10min이고, 140℃ 내지 160℃의 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층(110, 112, 114)들은 적어도 800% 이상의 신율을 갖는다.
도 4는 도 2의 기능성 유닛의 층상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성 유닛(300)은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320), 상기 수지필름층(320)의 하부에 형성된 인쇄층(310) 및 상기 수지필름층(320)의 상부이자 데코시트의 노출면인 최외곽층에 형성된 열경화성 수지층(33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층(310)은 상기 수지필름층(320)의 일면에 인쇄되어 형성된 층으로서, 상기 인쇄는 패턴 및 다양한 시각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10)의 인쇄 방식에는 크게 국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패턴 효과를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층(330)은 상기 수지필름층(320) 상에 열경화성 수지를 오버코팅하여 형성되어, 일종의 보호층으로 기능하며 전체적인 데코시트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층(320)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4 단위층(321), 역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되 UV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위층(321) 상의 최외곽층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제5 단위층(322) 및 제6 단위층(324)을 포함한다. 상기 UV 안정제로서는 흡수와 반사 특성을 갖는 UV 안정제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단위층(321, 322, 324)을 이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유닛(100)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기능성 유닛(300)의 데코시트 내에서의 위상이 베이스 유닛(100)과 상이하므로 세부적인 수지 조성물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수지필름층(320)은 이중의 UV 안정제 함유 단위층(322, 324)들이 최외각 방향으로 2중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데코시트의 내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필름층(320)은 베이스 유닛(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종의 수지 조성물들의 공압출에 의하여 성형될 수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으나, 상기 기능성 유닛(300)은 난연성 필름, 방오 필름 등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층들은 공지기술로부터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의 위상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의 3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이 다양한 위상으로 데코시트 내에서 배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2100)이 데코시트(2000)의 층상구조 내에 유연성 있게 배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5는 상기 3중 구조의 수지필름층(2100)이 연속된 단위필름층들로만 구성되어 다중 구조를 갖고 데코시트(2000)의 베이스로 필름으로서 기능한다면, 상기 데코시트(2000)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코시트(3000)에서 3중 수지필름층(3100)은 시트의 최 하부에 배치되어 피착재(5)의 융착 특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수지필름층(3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극성을 포함하도록 개질된 단위층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도 6의 3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3100)의 위상은 제품화 되는 데코시트의 필수적인 위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코시트(4000)에서 3중 수지필름층(4100)은 베이스 유닛과 기능성 유닛 사이의 접착층(420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역시, 접착층(4200)과의 혼화성을 고려한 배치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코시트(5000)는 접착층(5200)을 경계로 하부와 상부에 각각 3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5100, 5300)을 각각 포함한다. 이 경우가 일반적인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수지필름층(5100, 5200)은 동일한 층상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층상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코시트(5000)가 내장재로 사용될 경우, 각각의 수지필름층(5100, 5300)은 내후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융착 또는 접착 특성을 위하여 유사한 수지필름층(5100, 5300)들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출발점은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도입한 것에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다중구조의 플랫폼을 탑재하되, 다중 구조의 세부적 설계는 데코시트의 용도, 물성, 기능성, 작업자의 의도 등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맞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건축 내외장재 분야에서 이러한 기술사상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laims (8)

  1. 베이스 유닛 및 복수의 층상 구조를 갖는 기능성 유닛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어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면이 피착재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시트가 피착재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1 단위층, 및 상기 제1 단위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2 단위층 및 제3 단위층이 연속하여 적층되도록 공압출되어 형성된 다중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층들은 적어도 800%의 신율을 갖고, 상기 제2 단위층 및 제3 단위층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수말레인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극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재는 목재, 금속재 또는 합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 및 피착재의 계면에는 프라이머 처리에 의한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유닛의 노출면인 최외곽층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오버코팅하여 형성된 열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층은 230℃ 하에서 용융지수가 3.0g/10min 내지 12g/10min이고, 140℃ 내지 160℃의 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내외장용 데코시트.




KR1020200022066A 2020-02-24 2020-02-24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KR10216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66A KR102165058B1 (ko) 2020-02-24 2020-02-24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66A KR102165058B1 (ko) 2020-02-24 2020-02-24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58B1 true KR102165058B1 (ko) 2020-10-13

Family

ID=7288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66A KR102165058B1 (ko) 2020-02-24 2020-02-24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31B1 (ko) * 2021-04-30 2022-05-18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349A (ja) * 2004-09-21 2006-04-06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7181988A (ja) * 2006-01-06 2007-07-1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製造方法
JP2008073888A (ja) * 2006-09-19 2008-04-0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8272957A (ja) * 2007-04-25 2008-1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01301036B1 (ko) * 2013-01-02 2013-09-10 가온전선 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보드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용 소재의 제조방법
KR101954164B1 (ko) * 2017-11-24 2019-03-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백 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349A (ja) * 2004-09-21 2006-04-06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7181988A (ja) * 2006-01-06 2007-07-19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製造方法
JP2008073888A (ja) * 2006-09-19 2008-04-0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8272957A (ja) * 2007-04-25 2008-1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01301036B1 (ko) * 2013-01-02 2013-09-10 가온전선 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열가소성 섬유강화복합보드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용 소재의 제조방법
KR101954164B1 (ko) * 2017-11-24 2019-03-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백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031B1 (ko) * 2021-04-30 2022-05-18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2222A (ja) エンボス加工ホットメルト積層多層複合フィルム
US20060003138A1 (en) Film laminate with at least one diffusion-barrier layer and its use in vacuum insulation panels
CN101618620A (zh) 含氟聚合物层状薄膜及其制备和用途
JP2002019022A (ja) 高障壁性フィルムとしてのフィルム積層品
KR20130136373A (ko) 얇은 플로어 타일
JP561297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KR101946987B1 (ko)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511970A (ja) 化粧板、その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積層体、床仕上げ材
WO2005007518A3 (en) Plastic gas barrier packaging laminate
WO2014018699A1 (en) Multilayer structures containing biopolymers
KR102165058B1 (ko) 다중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필름을 포함하는 내외장용 데코시트
KR102148271B1 (ko)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접착성 데코시트
KR102013169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데코시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무늬목 제조방법
KR102380387B1 (ko) 데코시트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내후성 데코시트
JP4087523B2 (ja) 複合フィルム被覆木質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566852U (zh) 包括共挤出的三层膜的家具膜
KR20080077844A (ko) 난연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장식용 합성수지 적층 시트, 및그 제조 방법
JP2004090380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9584A (ja) 防湿化粧板および建材、化粧板、化粧シート
CN204566851U (zh) 包括共挤出的三层膜的地板覆盖物
JP4154767B2 (ja) 化粧シート
WO2000032680A1 (fr) Film de resine colore pour laminage d'une feuille metallique, et feuille metallique coloree comportant ledit film de resine colore
KR101910715B1 (ko)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019014A (ja) 両側に金属被覆された重合体フィルムの積層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