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706B1 -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 Google Patents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706B1
KR102164706B1 KR1020180083934A KR20180083934A KR102164706B1 KR 102164706 B1 KR102164706 B1 KR 102164706B1 KR 1020180083934 A KR1020180083934 A KR 1020180083934A KR 20180083934 A KR20180083934 A KR 20180083934A KR 102164706 B1 KR102164706 B1 KR 10216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user
finger
finger gestur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500A (ko
Inventor
정진만
구호림
안병공
박건형
김영준
김영렬
손태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서, 코팅, 디자인과 같은 컴퓨터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도록 안출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비교하고,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중 특정 제스처가 매칭될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Mouse based on finger gesture recognition for writing document with high speed}
본 발명은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의미하며,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고도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자동으로 운행하는 자율운행자동차, 음성 또는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안하거나 사용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스마트 홈서비스, 생산 환경을 최적으로 제어하여 생산효율을 증가시키는 스마트 팩토리와 같은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예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라 필수 불가결한 요소는 처리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현대인은 4차 산업혁명의 진행과 함께 정보처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보다 증가한 작업을 요구받게 되고, 이는 가속화된 문서 작성, 코딩, 디자인과 같은 컴퓨터를 사용한 많은 작업량을 요구받게 되는데,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컴퓨터 작업의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데, 최근 소개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는 주로 터널증후군의 발생 또는 인체의 특정 부위의 통증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가속화된 문서 작성을 위한 입력장치는 소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781호(“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공고일 2018.06.1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목적은 사용자가 문서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비교하고,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중 특정 제스처가 매칭될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상기 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행부에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은 마우스 커서의 이동, 마우스의 좌클릭, 마우스의 우클릭, 마우스의 더블클릭, 상기 인식부 또는 상기 수행부의 잠금, 상기 인식부 또는 상기 수행부의 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환형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덮도록 장착되거나, 내주면에 접착수단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며, 복수의 상기 인식부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손가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스스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장착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상기 수신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행부는 소정 시간동안 키보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을 비교하고,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매칭되는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작 시 동작 이후의 소정 시간동안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입력받고,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손가락 제스처를 입력받은 마우스 동작별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로 변경하는 재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인식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수행부가 인식부에서 인식한 손가락의 제스처에 따라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을 사용하여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조작할 경우 컴퓨터 작업의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제스처, 즉 움직임을 통해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종래의 마우스에 비해 비교적 손목을 덜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터널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인식부의 동작에 따른 마우스의 동작예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인식부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는 인식부(110, 120)를 포함하고, 수신부 및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10, 120)는 종래의 마우스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 즉 제스처를 인식한다.
인식부(110, 120)는 장착된 부분인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인식부(110, 120) 자체의 자세와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10, 120)에 포함되는 감지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은 상술한 수신부로 송신한다. 인식부(110, 120)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상술한 수신부로 송신하기 위해 일종의 통신수단인 송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인식부(110, 12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동작, 즉 제스처 정보를 인식부(110, 120)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가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술한 인식부(110, 120)를 포함하는 각종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의 다른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PC(20)가 있을 수 있다.
수신부는 상술한 동작을 위한 일종의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PC(20)에 내장되어 설치되거나, 동글(Dongle)과 같이 컴퓨터의 USB에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문서, 코딩, 디자인과 같은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수단과 PC는 인접해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10, 120)와 PC(20) 사이의 거리는 매우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와 수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ee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를 상술한 종류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송신부와 수신부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광대역 무선통신 또는 무선인터넷(Wi-fi)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수행부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정보를 비교한다. 수행부는 인식부(110, 120)에서 인식하고, 수신부에서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일치하는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한다.
수행부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정보를 비교할 때,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정보가 소정 기준 이상 일치할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스처의 비교 기준이 되는 소정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수행부에 미리 저장/분류된 마우스의 동작은 마우스 커서의 이동, 마우스의 좌/우클릭, 마우스의 더블클릭, 마우스의 잠금/해제일 수 있다.
마우스 커서의 이동, 마우스의 좌/우클릭 및 마우스의 더블클릭은 일반적인 마우스의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마우스의 잠금/해제란, 본 발명의 인식부(110, 120)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의 적용여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10)를 사용하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일 경우 마우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렇게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사용자는 특정한 손가락의 움직임, 즉 제스처를 취할 경우, 수행부는 인식부(110, 120)에서 어떠한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모니터(20)에 출력되는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지 않거나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거나, 인식부(110, 120)에서 수신부로 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거나 마우스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인식부의 동작에 따른 마우스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마우스 커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에 장착된 인식부(110)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움직일 경우, 모니터(30)에 출력되는 마우스 커서(M) 또한 인식부(110)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모니터(30) 상에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단,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인식부(110)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전후좌우가 되고, 이에 대응되는 마우스 커서(M)의 움직임은 모니터(30) 상에서 상하좌우가 되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마우스 커서(M)의 움직임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식부(110)가 사용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움직일 때 마우스 커서(M)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인식부(110)의 이동에 따른 마우스 커서(M)의 움직임의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마우스 커서(M)의 움직임은 마우스의 잠금이 해제 되었을 때만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인식부는 최소한 둘 이상이되, 각각의 인식부(110, 120)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손가락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인식부(110, 120)가 사용자의 서로 다른 손가락에 장착되는 이유는, 마우스의 좌클릭, 우클릭과 같은 동작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하나의 인식부(110)는 오른손에, 다른 인식부(120)는 왼손에 장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른손/왼손 중 일측에 두 개 이상의 인식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의 인식부의 동작에 따른 마우스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클릭과 더블클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식부(110)가 장착된 손가락을 상하로 회동시켜, 클릭 또는 더블클릭과 같은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식부(110, 120)의 종류에 따라 좌클릭 또는 우클릭과 같은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마우스의 이동, 마우스의 좌클릭, 마우스의 우클릭, 마우스의 더블클릭과 같은 동작은 단순한 일예로서, 상술한 동작 외에도 인식부(110, 120)가 장착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마우스의 잠금/해제 또한 마찬가지이다.
단, 마우스의 잠금/해제는 사용자 손가락의 특정 움직임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아닌, 별도의 물리적 입력수단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마우스의 잠금/해제가 비교적 중요하기 때문이며, 물리적인 입력수단은 인식부(110, 120) 상에 설치되는 버튼 또는 터치수단일 수 있다. 또한 마우스의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물리적인 입력수단은 키보드(10)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했듯,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가 일반적으로 컴퓨터 작업의 고속화를 위해 안출된 것이기 때문이다.
마우스의 잠금/해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가락의 특정한 움직임 또는 별도의 물리적인 입력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되었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행부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을 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소정 정보를 입력하고 있을 때에는 마우스의 동작을 잠그고,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키보드들 통해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마우스의 동작을 해제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식부 또는 키보드에 마우스의 잠금/해제를 위한 별도의 물리적인 버튼을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치가 단순화되어 경제성/편의성/동작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수행부에서 미리 분류/저장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식부(110, 120)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별도의 재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미리 분류/저장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변경하고자할 경우, 소정의 입력을 통해 재설정부를 동작시키고, 이후 소정 시간내에 인식부(110, 120)를 통해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 손가락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재설정부를 통해 입력받은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 손가락의 제스처는 미리 저장/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 손가락의 제스처 정보를 대체하여 저장/분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에 포함되는 인식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인식부(110)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식부(110)의 제1실시예는 반지와 같은 환형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진다.
도 4B는 인식부(11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인식부(110)의 제1실시예와 환형인 것은 동일하나, 인식부(110)의 하측(B)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이다. 이는 사용자가 인식부(110)의 제2실시예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키보드를 타이핑할 경우, 인식부(110)가 키보드의 타이핑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4C는 인식부(110)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인식부(110)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다르게 일측이 개방된, 즉 단면이 반원형이다. 도 4C에 도시된 인식부(110)의 제3실시예는 사용자 손가락의 손톱 방향을 덮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으로, 인식부(110)의 내주면은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샌딩 처리되거나 내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무/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와는 별개로 인식부(110)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복원 가능한 정도로 벌어져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물리는 방식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고, 접착수단을 통해 반원형의 인식부(1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탈부착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에 의하면, 마우스를 동작시키는 입력신호인 손가락의 제스처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면서 종래의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우스를 동작시킬 수 있어, 문서, 코딩, 디자인과 같은 컴퓨터 작업이 고속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인식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이 감소하므로, 사용자의 손목 터널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마우스와 동시에 사용 가능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키보드
20 : PC
30 : 모니터
110, 120 : 인식부
M : 마우스 커서
F : 사용자의 손가락
B : 인식부의 하측

Claims (8)

  1.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수신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인식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비교하고,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 중 특정 제스처가 매칭될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 및
    소정 시간동안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입력받고,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손가락 제스처를 입력받은 마우스의 동작별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로 변경하는 재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부는 환형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며, 상기 인식부의 하측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이며,
    상기 인식부는 마우스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버튼 또는 터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행부에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은 마우스 커서의 이동, 마우스의 좌클릭, 마우스의 우클릭, 마우스의 더블클릭, 마우스의 잠금 및 마우스의 해제이고,
    상기 수행부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비교할 때, 수신한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가 소정 기준 이상 일치할 경우, 해당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부는 사용자가 특정한 손가락 제스처를 취할 경우 상기 인식부로부터 어떠한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도록 마우스를 잠그고,
    상기 수행부는 사용자가 특정한 손가락 제스처를 취할 경우 마우스가 동작하도록 마우스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수행부는 키보드를 통한 입력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소정 정보를 입력하고 있을 때에는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도록 마우스를 잠그고, 소정 시간동안 키보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미리 저장 및 분류된 마우스의 동작별 제스처를 비교하여 상기 손가락 제스처 정보와 매칭되는 마우스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상기 수신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83934A 2018-07-19 2018-07-19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KR10216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34A KR102164706B1 (ko) 2018-07-19 2018-07-19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34A KR102164706B1 (ko) 2018-07-19 2018-07-19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00A KR20200009500A (ko) 2020-01-30
KR102164706B1 true KR102164706B1 (ko) 2020-10-12

Family

ID=6932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934A KR102164706B1 (ko) 2018-07-19 2018-07-19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7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0465A3 (en) * 2005-01-30 2015-08-26 Swiftpoint Limited Computer mouse peripheral
US7907117B2 (en) * 2006-08-08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controller for visual displays
KR101095012B1 (ko) * 2008-12-10 2011-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지형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2648A (ko) * 2009-12-03 2011-06-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기 및 방법
KR101870781B1 (ko) 2018-02-28 2018-06-26 황정호 손목 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한 마우스 사용 통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00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545B2 (en) Touch and stylus discrimination and rejection for contact sensitive computing devices
RU2662408C2 (ru) Способ, аппарату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KR101234111B1 (ko)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방법
US20110095992A1 (en) Tools with multiple contact points for use on touch panel
KR10145234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20249419A1 (en) Thumb mountable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CN104679362A (zh) 触控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50185850A1 (en) Input detection
CN102629184A (zh) 一种手持终端及其操作方法
CN103164160A (zh) 一种左右手交互装置及方法
EP2141581A1 (en) Cursor control device
US20150002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Switching Stylus Transmissions Between Stylus-Modality Signals and Non-Stylus-Modality Signals
KR20110137587A (ko) 공간 입출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US20230409163A1 (en) Input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input method
KR102164706B1 (ko) 초고속 문서작성을 위한 손가락 제스처 인식 기반 마우스
WO2018081958A1 (zh) 主动笔及基于主动笔的手势检测方法
KR20130090210A (ko) 입력 장치
KR101521288B1 (ko)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013219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97840B1 (ko)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
CN104932695B (zh) 信息输入装置及信息输入方法
CN204143350U (zh) 穿戴式智能输入与控制装置
CN202472620U (zh) 一种手持终端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42586A1 (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