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534B1 -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34B1
KR102164534B1 KR1020190120678A KR20190120678A KR102164534B1 KR 102164534 B1 KR102164534 B1 KR 102164534B1 KR 1020190120678 A KR1020190120678 A KR 1020190120678A KR 20190120678 A KR20190120678 A KR 20190120678A KR 102164534 B1 KR102164534 B1 KR 10216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lecture
behavior type
behavior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민
홍광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학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수자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행동유형 진단부,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행동유형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job training model based on behavior type of workers engaged in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행동유형에 따라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내에서 운용하는 장비, 기기 및 시스템은 다른 분야에 비하여 안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또는 운전자는 자신이 맡아 운용하는 장비, 기기 및 시스템과 관련된 직무들을 잘 숙지하여야 한다. 이는 종사자 또는 운전자에게 직무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직무교육모델들은 피교육자의 성향, 성격 또는 행동유형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교육모델을 선정하여 시행하기 때문에 일부 피교육자에게만 성공적인 교육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었다.
피교육자에게 직무교육이 효과적이지 않다면, 피교육자는 장비, 기기 및 시스템에 대해 충분한 사전지식이 없거나 완벽하지 않은 채로 직무를 수행할 위험성이 있고, 이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의 모든 피교육자에게 흥미를 돋우면서 만족시킬 수 있는 직무교육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5683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에 종사하는 종사자 또는 운전원의 직무특성을 반영한 행동유형을 선정하여 교보재 구성 및 강의를 진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학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수자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행동유형 진단부;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행동유형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에는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및 분석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에 대해 1순위, 2순위, 3순위 및 4순위에 기반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제공부는,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에 대한 도입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도입부; 상기 강의에 대한 중반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중반부; 및 상기 강의에 대한 종반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종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강의도입부는,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사실적 및 절차적 지식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경험사례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의 참여를 유발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중반부는,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의 자료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예시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의종반부는,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로 연결될 수 있는 있는지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사례 및 예시들을 연결하는 것을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분임토의를 진행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은 데이터 송수신부가 학습자 단말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전송하는 단계; 행동유형 진단부가 상기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단계; 행동유형 결정부가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강의제공부가 결정된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자력 발전소의 종사자 또는 운전원에게 직무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안성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피교육자들에게 공유되는 피교육자별 행동유형의 진단결과 및 행동유형별 정보는 피교육자들끼리 서로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구성원의 조직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 교수자 단말 및 학습자 단말 사이에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선정하기 위해 유형 및 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행동유형에 따른 점수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학습자별 행동유형 분석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대표 행동유형별 교보재 선정 및 강의내용을 구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구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이하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이라 함)은 교수자 단말(2), 학습자 단말(3)과 연동하여 학습자에게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교수자 단말(2)은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과 연결되어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을 학습시키기 위해 교수자 또는 강사의 활동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교수자 단말(2)은 교수자가 학습자의 행동유형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학습할 수 있도록 강의내용을 선택한 정보를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으로 전달하며, 필요 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교수자가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을 통하여 학습자와 소통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학습자 단말(3)은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과 연결되어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학습하기 위해 학습자 또는 교육생의 활동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3)은 행동유형 진단도구에 대해 학습자가 응답한 정보와 강의를 수강하면서 제공되는 자료에 대한 테스트 대응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단말(3)은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을 통해 교수자 단말(2)과 소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은 데이터 송수신부(110), 행동유형 진단부(120), 행동유형 결정부(130) 및 강의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접속된 교수자 단말(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3)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10) 외에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의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데이터 송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정보에는 행동유형 진단부(120)가 학습자 단말(3)로 전송한 행동유형 진단도구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교수자 단말(2)이 학습자 단말(3)로 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행동유형 진단부(12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학습자 단말(3)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제공하고,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구성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종사자들이 수행하는 직무는 기술직과 사무직으로 구분될 수 있고, 행동유형 진단도구는 이러한 기술직과 사무직으로 각각 분류된 직무내용을 반영하여 구성될 수 있다. 행동유형 진단도구에는, 예를 들어 행동유형을 판단하는 복수의 진단지가 학습자 단말(3)의 화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진단지는 기술직 또는 사무직으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진단지는 문항별로 보기가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또는 분석형 답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 단말(3)이 각각의 진단지의 포함된 문항에 대한 답안을 선택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10)로 전달하면, 행동유형 진단부(120)는 기술직, 사무직 및 학습자 단말(3)별로 분류하여 행동유형 진단도구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행동유형 진단도구를 통해 학습자가 주도형인지, 사교형인지, 안정형인지 또는 분석형인지를 진단할 수 있다.
행동유형 결정부(130)는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행동유형 결정부(130)는 각각의 행동유형의 점유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전체 학습자의 종합 결과를 기반으로 A형 대표 행동유형과 B형 대표 행동유형으로 분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A형 대표 행동유형은 교보재 구성 등 지식 또는 내용 전달 방법 선정에 적용하고, B형 대표 행동유형은 참여형 교육 방법의 선정에 적용할 수 있다. A1의 대표 행동유형은 주도형-분석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A2의 대표 행동유형은 안정형-사교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B1의 대표 행동유형은 주도형-사교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B2의 대표 행동유형은 안정형-분석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강의제공부(140)는 결정된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에는 행동유형에 따른 교수자용 및 학습자용의 교보재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강의제공부(140)는 강의도입부(141), 강의중반부(142) 및 강의종반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강의도입부(141)는 대표 행동유형별로 분류된 정보에 따라 학습자 단말(3)에 각각 강의의 도입 부분에 해당하는 학습내용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강의도입부(141)는 학습자의 동기유발 내용, 학습목표, 참여형 질문, 수렴형 질문 등을 제시하는 학습내용을 학습자 단말(3)로 전송할 수 있다.
강의중반부(142)는 대표 행동유형별로 분류된 정보에 따라 학습자 단말(3)에 각각 강의의 중반 부분에 해당하는 학습내용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강의중반부(142)는 사전지식을 상기시키는 학습내용 정보, 교수자의 강의내용 정보, 수행 및 형성평가 정보, 질문 및 토의에 관한 정보 등을 학습자 단말(3)로 전송할 수 있다.
강의종반부(143)는 대표 행동유형별로 분류된 정보에 따라 학습자 단말(3)에 각각 강의의 종반 부분에 해당하는 학습내용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강의종반부(143)는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정리하는 내용의 정보, 질문을 이용한 학습내용 정리 등을 학습자 단말(3)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에서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 교수자 단말(2) 및 학습자 단말(3) 사이에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최초에 데이터 송수신부(110)가 학습자 단말(3)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전송할 수 있다.<S30>
행동유형 진단부(12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의 직무에 따라 학습자 단말(3)로 행동유형의 진단도구를 전송할 수 있는데, 종사자의 직무는 기술직 또는 사무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때 행동유형의 진단도구는 기술직 또는 사무직으로 분류된 학습자 단말(3)로 행동유형의 진단도구를 전송할 수 있다. 등록된 학습자의 고유번호, 개인정보 등은 학습자 단말(3)을 통해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1)과 연계하여 학습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행동유형 진단부(120)가 행동유형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할 수 있다.<S31>
행동유형 진단부(120)가 제공한 행동유형 진단도구는 예를 들어 행동유형을 판단하는 복수의 진단지가 학습자 단말(3)의 화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 단말(3)이 행동유형 진단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진단지는 문항별로 보기가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또는 분석형 답안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3)이 진단지의 문항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학습자가 선택한 문항정보와 해당 문항에서 선택한 답안에 대한 정보가 행동유형 진단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행동유형 진단부(120)는 전송된 정보에 따라 기술직, 사무직 및 학습자 단말(3)별로 분류하여 행동유형 진단도구를 저장할 수 있고, 행동유형 진단도구에서 선택된 문항정보에 대한 답안에 따라 주도형으로 분류된 답안이 많은지, 사교형으로 분류된 답안이 많은지, 안정형으로 분류된 답안이 많은지, 분석형으로 분류된 답안이 많은지 판단하여 각각 학습자에 대한 행동유형을 진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교수자 단말(2)에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행동유형 결정부(130)가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S32>
진단된 행동유형은 학습자별 각각의 행동유형의 점유율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전체 교육생의 종합적인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 집단의 A형 대표 행동유형 및 B형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A형 대표 행동유형에는 A1 행동유형인 주도형-분석형이 있고, A2 행동유형인 안정형-사교형이 있으며, B형 대표 행동유형에는 B1 행동유형인 주도형-사교형이 있고, B2 행동유형인 안정형-분석형이 있다. 여기서, 주도형-분석형 행동유형은 사실 중심의 지식 및 학습내용을 전달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안정형-사교형 행동유형은 사례중심으로 지식 및 학습내용을 전달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며, 주도형-사교형 행동유형은 학습자에게 질문으로 참여를 독려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고, 안정형-분석형 행동유형은 복수의 학습자와 토의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에서 행동유형 진단을 기반으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선정하기 위해 유형 및 순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행동유형에 따른 점수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학습자별 행동유형 분석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형에는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분석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각 1순위는 10점, 2순위는 4점, 3순위는 2점, 4순위는 1점으로 점수가 매겨질 수 있다.
이 때 타당도 지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등급이 4등급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관관계 추정에 의한 타당도 평가(가중치) 범위는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하되 본 발명의 4개 행동유형에 적합하도록 타당도 지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가중치는 표본에 포함된 조사단위가 서로 다른 대표성을 가질 때 이를 보정해 주기 위해서 조사단위별로 부여될 수 있다. 대표적 행동 유형의 가중치는 통계학에서 상관계수 추정에 의한 타당도 평가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행동유형 결정부(130)가 학습자별 행동유형에 대해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4등급으로 가정하였을 시 행동유형의 순위에서 4순위는 상관계수에 의한 타당도 지수에서 1점을 부여하고, 이는 타당도 평가에서 학습자가 해당 행동유형 특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행동유형의 순위에서 3순위는 상관계수에 의한 타당도 지수에서 2점을 부여하고, 이는 타당도 평가에서 행동유형 특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아울러, 행동유형의 순위에서 2순위는 상관계수에 의한 타당도 지수에서 4점을 부여하고, 이는 타당도 평가에서 행동유형 특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행동유형의 순위에서 1순위는 상관계수에 의한 타당도 지수에서 10점을 부여하고, 이는 행동유형 특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여기서, 1순위와 2순위 간 점수차가 상대적으로 큰 이유는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문항에 대해 학습자가 강제로 한 문항에만 응답하여야 하므로 1순위가 가장 높은 특성을 나타내고, 2순위부터는 의미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에 따라 1순위와 2순위 간의 점수차가 클 수 있다.
또한, 리커트 5점 척도의 점수 사이, 예를 들어 가장 낮은 0점 이상~2점 미만 사이에서 점수의 결정은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측에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도8에서는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해당 집단의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8에서는 10명으로 구성된 학습자 집단의 대표 행동유형이 각각 A1(주도형-분석형)의 점수가 81점, A2(사교형-안정형)의 점수가 78점, B1(주도형-사교형)의 점수가 85점 및 B2(분석형-안정형)의 점수가 74점으로 결정되어 예시의 학습자 집단의 대표 행동유형은 B1(주도형-사교형)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대표 행동유형 간에 점수차가 크지 않을 경우라도 그것이 학습자 집단의 대표 행동유형이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심리유형검사의 대표적 도구인 MBTI 검사나 애니어그램 검사에 따르면 원점수와 환산점수를 계산하였을 때 점수가 높은 것은 선호도가 높은 것만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단 1점이라도 높으면 그것을 대표 행동유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도 대표 행동유형의 점수 간 차이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 정도보다 어느 쪽이 점수가 높느냐를 기준으로 대표 행동유형을 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의제공부(140)가 결정된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S33> 이를 도8 및 도9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대표 행동유형별 교보재 선정 및 강의내용을 구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서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구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제공부(140)는 결정된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 및 학습내용을 도입부, 중반부 및 종반부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의도입부(141)는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사실적 및 절차적 지식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경험사례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의 참여를 유발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강의중반부(142)는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의 자료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예시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강의종반부(143)는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로 연결될 수 있는 있는지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사례 및 예시들을 연결하는 것을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분임토의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의 및 학습내용을 진행한 후 교수자는 학습자 또는 학습자 집단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무교육모델 개발 장치는 학습자의 행동유형에 적합하도록 강의 및 학습내용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직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추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직무교육모델 개발 시스템
110 : 데이터 송수신부
120 : 행동유형 진단부
130 : 행동유형 결정부
140 : 강의제공부
141 : 강의도입부
142 : 강의중반부
143 : 강의종반부
2 : 교수자 단말
3 : 학습자 단말

Claims (8)

  1.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수자 단말과 통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로 행동유형의 진단을 위한 진단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진단도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행동유형을 진단하는 행동유형 진단부;
    진단된 행동유형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행동유형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따라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은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및 분석형으로 분류되며,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에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행동유형에 대해 1순위, 2순위, 3순위 및 4순위에 기반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강의제공부는,
    상기 대표 행동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강의에 대한 도입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도입부;
    상기 강의에 대한 중반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중반부; 및
    상기 강의에 대한 종반 부분에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강의종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의도입부는,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사실적 및 절차적 지식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경험사례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의 참여를 유발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강의중반부는,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의 자료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예시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수렴형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며,
    상기 강의종반부는,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분석형일 경우, 논리 및 사실 위주로 연결될 수 있는 있는지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고,
    교보재/강의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사교형일 경우, 직무와 관련된 사례 및 예시들을 연결하는 것을 테스트 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며,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주도형-사교형일 경우, 학습자를 지목하여 진행하는 질문으로 분류된 내용을 제공하고,
    참여형 교육 유형 선정을 위한 상기 대표 행동유형이 안정형-분석형일 경우, 분임토의를 진행할 수 있는 내용을 제공하는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20678A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6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78A KR102164534B1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78A KR102164534B1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34B1 true KR102164534B1 (ko) 2020-10-12

Family

ID=7288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678A KR102164534B1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848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教材作成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教材作成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90084198A (ko) * 2008-01-31 2009-08-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 설비 교육 장치 및 발전 설비 교육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00469A (ko) * 2014-06-23 2016-01-05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소나 모델링 키트
KR101656830B1 (ko) 2014-08-27 2016-09-12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80102786A (ko)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학습 관련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8848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教材作成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教材作成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90084198A (ko) * 2008-01-31 2009-08-0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 설비 교육 장치 및 발전 설비 교육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00469A (ko) * 2014-06-23 2016-01-05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소나 모델링 키트
KR101656830B1 (ko) 2014-08-27 2016-09-12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80102786A (ko)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학습 관련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성격 유형(DISC)에 따른 수준별 수업. 다음 블로그, [online], 2011.09.21., [2020.04.29. 검색], 인터넷 : http://blog.daum.net/djh20/8554155.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ar-Erdol et al.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of Teachers in Turkey.
Ampadu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Teaching of Mathematics: The Case of Ghana.
Handoko et al. Gamification in learning using Quizizz application as assessment tools
Boone et al. Utilizing multifaceted Rasch measurement through FACETS to evaluate science education data sets composed of judges, respondents, and rating scale items: An exemplar utilizing th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analysis matrix instrument
Mancenido et al. What Do We Know about How to Effectively Prepare Teachers to Engage with Families?.
KR102164534B1 (ko)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들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교육모델을 개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Gwimbi et al. Study of classroom practice and classroom contexts amongst senior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in Harare, Zimbabwe
Budiman et al.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with a jelajah alam sekitar approach to the metacognitive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nimalia material
Osman BASIC SCHOOL TEACHERS’ASSESSMENT PRACTICES IN THE SISSALA EAST MUNICIPALITY, GHANA
Şahin et al. A new model to assess mathematical power
Higgins Program evaluation: Utilizing graduate and employer perception data in determining graduates’ job preparedness levels
Hattingh et al. Why lecturers in an engineering School assess the way they do
Wetzel et al. Contrasts in classroom technology use between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Abdullayeva et al. Monitoring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agement Competencies Of Masters Of Technical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Uyar et al. Social Studies Teachers' In-Service Training Needs towards Project Tasks: A Comparative Case Study.
Chen et al. Survey on Student-Centered Learning Assessment and Feedback Practices-Research Brief
Robinson Teacher perceptions of formative assessments on student learning in K-12 classrooms
KR102241515B1 (ko)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Rhodes et al. Assessing students’ foundation skills prior to the STEM majors
Given The evaluation of training
Harris Application of curriculum learning outcomes from an adult baccalaureate degree completion program
Sardi et al. Assessment Model Based on Indonesian National Work Competency Standards (SKKNI) in Vocational Education
Markman 91 Educating the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Workforce Online: A Case Study of Tufts CTSI I LEARN
ADETUNJI et al. INVOLVEMENT OF VOCATIONAL TECHNICAL EDUCATION TEACHERS IN DECISION MAKING AND ITS IMPLICATION ON EDUCATION FOR SOCIO-ECONOMIC REFORMS IN OYO STATE, NIGERIA
Asio et al. Students’ Level Of Science Process Skills Acquis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Pandem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