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15B1 -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15B1
KR102241515B1 KR1020190084714A KR20190084714A KR102241515B1 KR 102241515 B1 KR102241515 B1 KR 102241515B1 KR 1020190084714 A KR1020190084714 A KR 1020190084714A KR 20190084714 A KR20190084714 A KR 20190084714A KR 102241515 B1 KR102241515 B1 KR 10224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learner
online platform
qualitativ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750A (ko
Inventor
박홍식
최동혁
장영직
이동우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은 학습 수행자의 정량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대면평가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정성평가 프로세스 없이도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가 가능해지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으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에 휴머니티 게시판이 구비되어 학습 수행자의 정성평가정보가 휴머니티 게시판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인문주의적 접근과 교육/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Online platform system based on humanity}
본 발명은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학습 수행자의 정량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대면평가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정성평가 프로세스 없이도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가 가능해지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으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에 휴머니티 게시판이 구비되어 학습 수행자의 정성평가정보가 휴머니티 게시판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인문주의적 접근과 교육/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는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습의 평가를 위해 학생들은 자신들이 공부한 내용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시험을 치는 학생을 수험생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시험은 수업을 진행하였던 교실과 같은 하나의 공간에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이 함께 시험을 치고, 이를 소수의 감독관이 시험을 감독하는 형태이다.
근래에는 네트워크 및 IT기술로 인하여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수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원격 강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동일한 수업내용을 많은 수의 학생들이 들을 수 있고, 열악한 교육환경에 있는 학생들에게도 수업을 들을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한 지역이 아닌 한 국가의 범위를 넘어 글로벌하게 원격강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원격강의의 발전은 강의를 수행한 학생들에게 강의뿐만 아니라 시험을 치르는 경
이에 따라 동영상강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였던 학원들을 중심으로 강의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많은 콘텐츠들이 생성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콘텐츠의 양산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행하는데 있어 시험을 치는 학생인 수험생에게 보다 더 적합한 도구를 제공하는데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시험의 공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에게 있어 부정행위에 대하여 대단히 엄격하다. 하지만 항상 시험을 치르는 과정 중에 수험생이 다른 수험생의 답안을 컨닝하거나 미리 준비된 페이퍼를 이용하여 부정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대학교에서 여러 장의 답안지를 미리 준비해서 기재하거나 시험의 종료시간에 답안지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수험생끼리 협의하여 먼저 작성한 답안지를 다른 수험생에게 주고 자신은 다시 문제를 풀어 답안지를 제출하는 등 답안지와 관련된 부정행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76601호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은 식별 태그가 입력된 문제 정보가 저장된 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시험지 정보 및 문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시험지 정보 및 문항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태그를 가진 문제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시험지 문제에 대응하는 답안 영역이 배치된 답안지를 생성하는 답안지 생성부를 포함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출제자 및 응시자에게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한다. 하지만 상기의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은 식별 태그를 가진 문제를 저장하여 해당 문제의 항목에 대응하는 답안영역이 배치되는 답안지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시험에 있어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번호 제10-2015-0130666호 "멀티플랫폼 반응형 학생 행동 평가 점수 시스템 및 학생 행동 평가방법"은 학생들을 입력하여 클래스를 등록하여 저장/업로드하고, 학생 행동 평가를 위한 긍정 지표 및 부정 지표의 세부 평가 항목을 해당 교사로부터 입력받아 각각 저장/업로드하고, 해당 클래스의 수업중에 상기 학생들 각각의 행동을 평가하여 상기 저장된 긍정 지표 및 부정 지표의 해당 세부 평가 항목을 학생별로 카운트(count)하여 저장/업로드하며, 상기 긍정 지표의 세부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1점을 부여하고 상기 부정 지표의 세부 평가 항목에는 -1점을 부여하여 세부 평가 항목이 카운트됨에 따라 점수를 누적 카운트하여 저장/업로드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교사 스마트 단말; 상기 교사 스마트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는 클래스, 세부 평가 항목, 해당 세부평가 항목, 누적 카운트되는 점수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교사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클래스, 세부 평가 항목, 해당 세부 평가 항목, 누적 카운트되는 점수를 상기 교사 스마트 단말로 제공하는 평가관리 서버를 구성한다. 그러나 학생별 개별적으로 행동에 대한 점수를 평가하는 것으로, 최근 증대되고 있는 원격 환경에서의 수험생들의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생성된 세부 평가 항목에는 부정행위에 대한 부분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66395호 "단일의 문제출력장치와 수험생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제공 및 평가 시스템"이 안출되었는데,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장소 또는 공간에 복수의 수험생들이 함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험문제를 모니터 또는 빔프로젝터 등의 문제출력장치를 통해 수험생들이 함께 보는 반면에 시험문제에 대한 답안의 생성은 수험생 각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받도록 하고, 입력받은 답안과 시험문제의 정답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평가에 따른 결과를 수험생 또는 수험생의 보호자에게 개별적으로 통지하고, 수험생에 따라 해설이 필요한 문제가 상이하므로 수험생별로 자신이 요구하는 해설을 통해 문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시적으로 전원을 켜놓을 수 있는 문제출력장치에 대하여 시험시간을 직접 설정하거나 평가서버의 시험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의 온/오프 및 문제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수험생에게도 평가서버의 시험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시험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험 제공/평가 시스템은 정량평가만 가능한 것이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 등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76601호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30666호 “멀티플랫폼 반응형 학생 행동 평가 점수 시스템 및 학생 행동 평가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066395호 “단일의 문제출력장치와 수험생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제공 및 평가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와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학습 수행자의 정량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면평가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정성평가 프로세스 없이도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가 가능해지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에 휴머니티 게시판이 구비되어 학습 수행자의 정성평가정보가 휴머니티 게시판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학습 수행자에 대한 인문주의적 접근과 교육/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부터 평가항목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패턴으로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평가항목 정보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평가수행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 및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고,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으로 전달하게 되는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평가항목 정보는, 질문 유닛(11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질문 컨텐츠(1000), 각 질문 유닛(1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답변요소(2100)가 한 세트(set)를 이루는 답변 유닛(22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답변 컨텐츠(2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는, 질문 유닛(1100)에 할당되어 있는 각 답변요소(2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한 세트를 이루는 정성평가 유닛(3000)의 집합체로 구성되되, 상기 인적 특성정보에는 성별, 연령, 학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는, 초기설정된 유형에 속한 질문 유닛(1100)이 초기설정된 출력 순서로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질문유닛 초기실행모듈(110); 질문 유닛(1100) 별 복수의 답변요소(21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선택에 연동되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되는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는 설정된 개수의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속하게 되고, 질문 유닛(1100)의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에 따라 해당 질문 유닛(1100)이 각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할당되되,
상기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은, 학습 수행자가 선택한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속한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맞추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고, 학습평가자에 의해 조작되는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은 휴머니티 게시판(210)을 구비하고,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접속한 상기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에 의해 학습 수행자 별 정성평가정보(5000)가 상기 휴머니티 게시판(210)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학습 수행자의 정량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되므로, 대면평가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정성평가 프로세스 없이도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가 가능해지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 의하면,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에 휴머니티 게시판이 구비되어 학습 수행자의 정성평가정보가 휴머니티 게시판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므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인문주의적 접근과 교육/소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의 기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의 질문 컨텐츠와 답변 컨텐츠의 정보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의 질문 컨텐츠와 정성평가 유닛의 정보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의 질문유닛 실행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정성평가 분류그룹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의 휴머니티 게시판 운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온라인 플랫폼,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는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서버이다.
여기서 평가항목 정보는 도 2에서와 같이 질문 유닛(11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질문 컨텐츠(1000), 각 질문 유닛(1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답변요소(2100)가 한 세트(set)를 이루는 답변 유닛(22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답변 컨텐츠(2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는 도 3에서와 같이 질문 유닛(1100)에 할당되어 있는 각 답변요소(2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한 세트를 이루는 정성평가 유닛(30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데, 인적 특성정보에는 성별, 연령, 학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는 도 4에서와 같이 질문유닛 초기실행모듈(110),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질문유닛 초기실행모듈(110)은 초기설정된 유형에 속한 질문 유닛(1100)이 초기설정된 출력 순서로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모듈이다.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은 질문 유닛(1100) 별 복수의 답변요소(21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선택에 연동되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을 통해 학습 수행자의 인적 특성에 맞춘 다면적 정량평가 및 정성평가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는 도 5에서와 같이 설정된 개수의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속하게 되는데, 질문 유닛(1100)의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에 따라 해당 질문 유닛(1100)이 각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할당된다.
이에 대응하여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은 학습 수행자가 선택한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속한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맞추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된다.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은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부터 평가항목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패턴으로 출력하게 되는 것으로, 출력된 평가항목 정보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평가수행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은 도 6에서와 같이 휴머니티 게시판(210)을 구비하는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접속한 상기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에 의해 학습 수행자 별 정성평가정보(5000)가 휴머니티 게시판(210)에 누적적으로 입력된다.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으로 전달하게 된다.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학습평가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은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와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을 통해 학습 수행자의 정량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 대면평가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정성평가 프로세스 없이도 학습 수행자에 대한 정성평가가 가능해지게 되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면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은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에 연동되어 구현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휴머니티 게시판(210)이 구비되어 학습 수행자의 정성평가정보가 휴머니티 게시판(210)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도록 하므로, 학습 수행자에 대한 인문주의적 접근과 교육/소통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
110 : 질문유닛 초기실행모듈
120 :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
200 :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
210 : 휴머니티 게시판
300 :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
400 :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
1000 : 질문 컨텐츠
1100 : 질문 유닛
2000 : 답변 컨텐츠
2100 : 답변요소
2200 : 답변유닛
3000 : 정성평가 유닛
3100 :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
4000 : 정성평가 분류그룹
5000 : 학습 수행자 별 정성평가정보

Claims (5)

  1.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부터 평가항목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패턴으로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평가항목 정보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평가수행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 및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고,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으로 전달하게 되는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항목 정보는,
    질문 유닛(11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질문 컨텐츠(1000), 각 질문 유닛(1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답변요소(2100)가 한 세트(set)를 이루는 답변 유닛(2200)의 집합체로 구성되는 답변 컨텐츠(2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는,
    질문 유닛(1100)에 할당되어 있는 각 답변요소(2100) 별로 할당되는 복수의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한 세트를 이루는 정성평가 유닛(3000)의 집합체로 구성되되, 상기 인적 특성정보에는 성별, 연령, 학력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는,
    초기설정된 유형에 속한 질문 유닛(1100)이 초기설정된 출력 순서로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질문유닛 초기실행모듈(110); 및
    질문 유닛(1100) 별 복수의 답변요소(21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선택에 연동되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되는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에 기반한 정성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는,
    설정된 개수의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속하게 되고, 질문 유닛(1100)의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에 따라 해당 질문 유닛(1100)이 각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할당되되,
    상기 질문유닛 변동 실행모듈(120)은,
    학습 수행자가 선택한 답변요소(2100)에 할당된 인적 특성정보 별 정성평가 분석요소(3100)가 속한 정성평가 분류그룹(4000)에 맞추어 학습 수행자의 선택 이후 시점부터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서 출력될 질문 유닛(1100)의 유형과 출력 순서를 변경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5. 학습 수행자의 정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정보, 평가항목 정보와 연동된 인적특성 정성평가 분석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관리되는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부터 평가항목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패턴으로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평가항목 정보에 대한 학습 수행자의 평가수행이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학습수행자 평가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되는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고, 학습수행자 평가수행 입력정보를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으로 전달하게 되는 학습수행자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게 되고, 학습평가자에 의해 조작되는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은 휴머니티 게시판(210)을 구비하고, 상기 평가수행 온라인 플랫폼(200)에 접속한 상기 학습평가자 클라이언트 단말기(400)에 의해 학습 수행자 별 정성평가정보(5000)가 상기 휴머니티 게시판(210)에 누적적으로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KR1020190084714A 2019-07-12 2019-07-12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KR10224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714A KR102241515B1 (ko) 2019-07-12 2019-07-12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714A KR102241515B1 (ko) 2019-07-12 2019-07-12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50A KR20210007750A (ko) 2021-01-20
KR102241515B1 true KR102241515B1 (ko) 2021-04-15

Family

ID=7430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714A KR102241515B1 (ko) 2019-07-12 2019-07-12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91B1 (ko) * 2010-01-07 2010-08-25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테스트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2530B1 (ko) * 2015-05-29 2015-10-23 소재구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습 과정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66A (ko)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 아이엠컴퍼니 멀티플랫폼 반응형 학생 행동 평가 점수 시스템 및 학생 행동 평가 방법
KR101663311B1 (ko) 2014-12-23 2016-10-06 오종현 학습 평가 서비스 시스템
KR20190066395A (ko) 2017-12-05 2019-06-1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의 문제출력장치와 수험생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제공 및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091B1 (ko) * 2010-01-07 2010-08-25 주식회사 유비온 온라인 테스트 평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2530B1 (ko) * 2015-05-29 2015-10-23 소재구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습 과정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50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binson et al. Perceptions about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joyo et al.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learning model to improve student’s emotional quotient
Hofstein Practical work and science education II
Boston et al. The Instructional Quality Assessment as a tool for reflecting on instructional practice
KR20190066395A (ko) 단일의 문제출력장치와 수험생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제공 및 평가 시스템
Kurti Methods of Teaching and their Impact on Learn
Sunata Classroom Action Research-Based Lesson Study in Determining The Formula of Circle Area
KR102241515B1 (ko) 휴매니티 기반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
CN110427325A (zh) 在线考试方法及装置
Stufflebeam et al. Introduction to Evaluation
Vargas Vásquez et al. The roles of the instructors in an esp-task based language teaching course
Schmitz Quality or quantity: Completion rewards and formative assessments in flipped instruction classes
Fegely et al. The effects of robo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on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and student achievement in underserved middle schools
Nguyen et al. Written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applied by Van Lang University’s EFL lecturers in teaching online
Tahan Shizari et al. Developing and Validating EFL Teacher Effectiveness Questionnaire: Investigating the Impact of Modular Instruction
Swan et al. The Signal and the Noise: Coaching Pre-Service Candidates to Teach with Questions, Tasks, and Sources
Pfeiffer-Hoens An Investigation of Charter Schools' School Leader and Teacher Level of Assessment Literacy
Barefah et al. Evaluat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daptive E-Tutorial Module: A Rasch-Measurement Approach.
Basuki et al. Improving the Competency to Construct Test Items for Class VI Teachers Through Workshop
Teske A mixed methods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evaluations and edTPA
Alhazmi et al. Framework for integrating outcome-based assessment in online assessment: Research in progress
Bizy et al. THE UTILITY OF KAHOOT! TO EVALUATE CONCEPTUAL KNOWLEDGE ASSIMILATION IN THE SUBJECT “CELL BIOLOGY” IN THE DEGREE OF DENTISTRY
Abu Improving Learning Outcomes of The Qur'an Hadits With STAD Model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ziz The Historical Of Evaluation Program And Philosophy Assessment
Porter et al. Stepping into Statistics: Providing a Head Start for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