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452B1 -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452B1
KR102164452B1 KR1020180007010A KR20180007010A KR102164452B1 KR 102164452 B1 KR102164452 B1 KR 102164452B1 KR 1020180007010 A KR1020180007010 A KR 1020180007010A KR 20180007010 A KR20180007010 A KR 20180007010A KR 102164452 B1 KR102164452 B1 KR 10216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examination
specime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663A (ko
Inventor
임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00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452B1/ko
Priority to PCT/KR2019/000363 priority patent/WO2019143064A1/ko
Publication of KR2019008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병리검사에서 수행되는 전체 검사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은, 검사자가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검체에 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육안 검사 단말; 검사자가 현미경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검체의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현미경 검사 단말; 육안 검사 단말 또는 현미경 검사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는 판독 단말; 및 이들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 그리고 환자의 임상정보를 처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Integrated pathology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naging entire process of pathology examination by using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리검사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검사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은 기존 종이 차트로 관리되던 의무 기록 관리 방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를 모두 전산화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은 기존 필름으로 관리되던 영상 자료 관리 방식에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의학용 영상정보의 저장, 판독 및 검색 기능 등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편, 병리과는 환자로부터 채취된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진단을 내림으로써 임상의사의 치료방향에 초석을 제공한다. 병리과의 검사 프로세스는 크게 육안 검사와 현미경 검사로 구분된다. 육안 검사는 생검 조직과 수술을 통해 절제된 조직을 육안으로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여 병변의 크기, 개수, 색깔, 출혈 및 괴사 여부, 주변 장기와의 연계성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기록하는 검사이다. 현미경 검사는 조직을 유리 슬라이드로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하는 검사이다.
현재 대부분 병원들은 전자의무기록과 의료영상정보처리시스템을 도입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도 병리검사는 대부분 수기로 검사소견을 기록한 후 이를 전자문서화하고 있기 때문에 검사의 효율성, 검사의 정확성, 환자의 안전 등에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기존 육안 검사 방법에 따르면, 검사자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검체의 임상정보를 확인하고 검사지에 메모를 한 후 육안검사대로 이동하여 검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이어서 사진촬영대로 이동하여 검체 상태를 사진 촬영하고 기록을 남긴다. 이 때 임상정보의 확인, 육안검사, 사진촬영이 모두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검사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검사 기록을 수기로 메모하고 이를 전자문서화하는 과정에서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뀌기도 한다. 또한, 촬영된 사진 정보는 전자의무기록과 별개로 운영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검사결과를 판독할 때 검사 기록은 전자의무기록에서 확인하고 사진 정보는 별도로 영상정보처리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임상에서 의뢰된 검체는 여러 단계, 예컨대 등록, 접수, 육안검사, 림프절 박리, 포매, 박절, 염색, 판독 등을 거쳐 결과 보고가 이루어진다. 문제는 각 단계마다 검사자가 모두 다르다는 것인데, 여러 환경적 요소에 의해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뀌는 사고가 발생하여 의료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의료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종래의 전자의무기록 및 병리검사에 따르면 어떤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리검사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검사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은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으로서, 병리검사를 위한 검체를 등록하는 접수 단말; 검사자가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검체에 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육안 검사 단말(상기 음성정보와 문자정보는 전자문서화되어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검사자가 현미경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검체의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현미경 검사 단말(상기 문자정보는 전자문서화되어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육안 검사 단말 또는 상기 현미경 검사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는 판독 단말; 및 상기 접수 단말, 상기 육안 검사 단말 및 상기 현미경 검사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 그리고 환자의 임상정보를 처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육안 검사 단말은 상기 검체를 올려놓는 검사대, 상기 검사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체를 촬영하는 영상정보 입력부,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녹음하는 음성정보 입력부,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전자문서로 입력하는 문자정보 입력부, 및 상기 검체의 임상정보 및 검사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정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안 검사 단말을 구성하는 각 요소는 소정의 공간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검사자는 별도의 이동 없이 상기 검사정보 표시부를 통해 상기 검체의 임상정보를 확인하면서 육안 검사의 모든 검사 프로세스가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로 입력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검사정보 표시부는, 하나의 화면 상에, 상기 검체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기본정보 영역, 육안 검사에 관한 음성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음성정보 영역, 육안 검사가 수행된 복수의 검체 리스트를 제공하고 각 리스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하고 편집하기 위한 검체리스트 영역, 및 현재 검사 중인 검체 또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검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정보 영역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독 단말은, 판독을 위해 선택된 검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정보 영역, 상기 검체에 대한 소견정보를 표시하는 소견정보 영역, 및 상기 검체의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리스트로 표시한 검사 트래킹 영역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검사 트래킹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사 프로세스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검사자는 육안 검사를 위해 별도로 이동할 필요 없이 육안 검사 단말에서 바로 임상정보를 확인하면서 검사를 수행하며, 육안 검사의 모든 과정이 영상정보, 음성정보, 문자정보로 입력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 기록을 수기로 하지 않고 영상 또는 음성으로 자동 저장하기 때문에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뀔 우려가 없다.
나아가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으로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검사 소견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검사자 및 판독자 모두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자는 육안 검사 단말의 화면을 통해 검체의 기본정보, 임상정보, 및 현재 검사 중인 검체의 영상 또는 과거 수행했던 검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판독자는 판독 단말의 화면을 통해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모든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확인하여 트래킹할 수 있고, 각 검사 프로세스에서 저장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서로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리검사의 모든 프로세스가 영상, 음성, 문자로 저장되어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각 프로세스마다 이전 프로세스의 검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뀌는 의료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의료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원인이 되는 프로세스를 찾아내어 추후 재발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육안 검사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한 병리검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검사정보 표시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판독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육안 검사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1)은 접수 단말(15), 육안 검사 단말(20), 현미경 검사 단말(30), 판독 단말(35) 및 관리 서버(10)를 포함한다.
인체에서 떼어낸 조직이 병리과로 보내지면, 접수 단말(15)은 조직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환자 정보와 함께 등록하고 병리검사를 접수한다.
접수 단말(15)에 의해 병리검사 요청이 접수되면, 검사자는 육안 검사 단말(20)을 통해 검체에 대한 육안 검사를 수행한다. 육안 검사는 병변을 찾는 첫 단계로서 검사자는 검체의 부위나 종류를 확인하고, 길이, 무게를 측정하고 나서 병변을 찾는다.
본 발명의 육안 검사 단말(20)은 검사자가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검체에 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육안 검사 단말(20)은 검체를 올려놓는 검사대(21)와, 검사대(21) 상부에 위치하여 검체를 촬영하는 영상정보 입력부(22)와, 검체에 대한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녹음하는 음성정보 입력부(24)와, 검체에 대한 검사소견을 전자문서로 입력하는 문자정보 입력부(26)와, 검체의 임상정보 및 검사소견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정보 표시부(28)를 포함한다.
육안 검사 단말(20)을 구성하는 각 요소는 소정의 공간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자가 편리하게 육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검사자가 육안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컴퓨터 모니터에서 검체의 임상정보를 확인하고 별도의 공간에 마련된 육안검사대로 이동하여 육안 감사를 수행하고 이어서 또 다른 공간에 마련된 사진촬영대로 이동하여 검체 상태를 사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육안 검사 단말(20)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였는데, 검사자는 별도로 이동할 필요 없이 한 장소에서 검사정보 표시부(28)를 통해 검체의 임상정보를 확인하면서 육안 검사의 모든 검사 프로세스가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로 입력되어 자동으로 관리 서버(10)에 저장된다.
영상정보 입력부(22)는 육안 검사의 진행과정을 모두 녹화하여 영상정보로 생성하고 이를 관리 서버(1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영상정보 입력부(22)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여 영상정보를 AVI, AUD 등의 전자파일로 변환하는 영상카메라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환자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영상정보 입력부(22)가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동안, 검사자는 육안 검사에서 발견되는 병변의 색깔, 개수, 크기, 단면의 경도, 출혈 및 괴사여부, 주변 조직과의 연계성 등에 대한 검사소견을 음성정보 입력부(24)를 통하여 음성정보로 녹음할 수 있다. 음성정보 입력부(24)는 하나의 검체에 대하여 하나의 녹음파일(예컨대, MP3 등)을 생성하여 음성정보로 관리 서버(10)에 저장한다.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음성정보를 환자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관리 서버(10)는 음성정보를 전자 문서화하여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10)는 음성정보를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의무전사자가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10)에 접속하여 음성정보를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검사자는 문자정보 입력부(예컨대,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검사소견을 문자정보로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입력된 문자정보를 전자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음성정보와 문자정보는 전자 문서화되어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육안 검사 단말(20)은 검체의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며, 육안 검사가 끝나면 검사자는 병변 부위와 그 주변 부위를 잘라내어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고 현미경 검사 단말(30)을 통하여 검체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진단한다. 조직 슬라이드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림프절 박리, 포매, 박절, 염색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현미경 검사 단말(30)은 영상정보 생성수단과 문자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가 현미경 검사 단말(30)을 이용하여 현미경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현미경 검사 단말(30)은 검체 조직의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0)에 저장한다. 즉, 현미경 검사를 통해 관찰되는 세포의 크기와 모양, 핵의 크기와 모양, 세포상호간의 관계, 세포내부의 구성물질, 세포 분열 정도, 감염균, 이물질, 염증반응 유무, 혈관형성 정도 등의 모습들은 현미경 검사 단말(30)을 통해 녹화되어 영상정보로 저장된다. 또한, 검사자는 검사소견을 현미경 검사 단말(30)에 문자정보로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영상정보를 환자 정보에 매칭하고 저장하고, 수신된 문자정보를 전자문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전자 문서화된 문자정보는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판독 단말(35)은 육안 검사 단말(20) 또는 현미경 검사 단말(30)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판독자는 화면을 통해 전자 문서화된 소견정보를 확인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판독 단말(35)은 병리 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고, 판독자는 리스트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각 단계마다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비교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병리검사를 구성하는 전체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트래킹할 수 있기 때문에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뀌는 의료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자도 이전 검사 내용을 트래킹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자와 더불어 다중으로 검사 내용을 검증함으로써 의료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검체와 검사기록이 바뀌는 의료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원인이 되는 프로세스를 트래킹하여 추후 재발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는 접수 단말(15), 육안 검사 단말(20) 및 현미경 검사 단말(30)로부터 생성된 정보, 예컨대 영상정보, 소견정보 또는 환자의 임상정보 등을 저장하고 처리한다. 관리 서버(10)는 영상정보 처리부(12) 및 전자의무 기록부(14)를 포함한다. 영상정보 처리부(12)는 X선, CT, MRI, 초음파 등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와 연동되도록 병리검사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전자의무 기록부(14)는 환자의 기본정보, 임상정보 및 검체의 검사소견 또는 소견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검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한 병리검사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접수 단말(15)이 병리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인체 조직에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환자 정보와 함께 등록하고 병리검사를 접수한다(S10). 바람직하게는 접수 단말(15)은 영상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검체의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다.
접수 단말(15)에 의해 병리검사 요청이 접수되면, 검사자가 검체에 대해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육안 검사 단말(20)은 검체에 대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을 관리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다(S20).
육안 검사가 완료되면,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한다(S30). 바람직하게는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녹화하는 영상정보 생성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림프절 박리, 포매, 박절, 염색 등의 전 프로세스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관리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다.
조직 슬라이드가 완성되면, 현미경 검사 단말(30)은 조직 슬라이드를 관찰하여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을 관리 서버(10)에 저장할 수 있다(S40).
도 5는 도 2의 검사정보 표시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검사정보 표시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화면 상에 기본정보 영역(51), 음성정보 영역(52), 검사정보 영역(53), 검체 리스트 영역(54) 및 영상정보 영역(55)으로 구획되어 표시한다.
기본정보 영역(51)은 병리번호, 환자 기본정보, 검체의 일련번호 등을 입력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음성정보 영역(52)은 음성정보 입력부(24)를 제어하여 육안 검사가 진행하는 동안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음성정보로 녹음하거나 기 녹음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검사정보 영역(53)은 해당 검체에 대한 병리번호, 발행처, 채취부위, 검사접수일시, 검사판독일시 등 상세한 검사정보를 입력하거나 기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검체 리스트 영역(54)은 육안 검사가 수행된 복수의 검체 리스트를 표시하고 각 리스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영상정보 영역(55)은 현재 검사 중인 검체 또는 리스트에서 선택된 검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검사정보 표시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검체 및 환자의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또는 과거에 진행된 육안 검사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판독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판독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화면상에, 영상정보 영역(61), 소견정보 영역(62), 및 검체의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리스트로 표시하는 검사 트래킹 영역(63)으로 구획되어 표시된다.
판독자는 판독 단말에 표시되는 내용을 기반으로 판독을 수행하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검색 또는 조회 항목에 검체의 기본 정보, 예컨대 등록번호, 병리번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검체의 병리 검사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영상정보 영역(61)은 판독을 위해 선택된 검체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소견정보 영역(62)은 해당 검체에 대한 병리검사 소견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판독자는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동시에 비교해 보면서 편리하게 판독할 수 있고, 판독내용은 소견정보 영역(62)에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검체를 병리 검사하는 동안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예컨대, 등록, 접수, 육안 검사, 조직 슬라이드 제작의 각 단계, 현미경 검사 등)가 진행되는데, 검사 트래킹 영역(63)은 각 검사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리스트로 표시한다. 판독자가 검사 트래킹 영역(63)에 표시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가 각각 영상정보 영역(61) 및 소견정보 영역(62)에 표시된다. 따라서, 판독자는 하나의 검체에 대해 수행된 모든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확인하여 트래킹할 수 있고, 나아가 각 프로세스마다 이전 프로세스의 검사 정보를 비교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체와 검사 기록이 바뀌는 의료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10: 관리 서버
12: 영상정보 처리부
14: 전자의무 기록부
15: 접수 단말
20: 육안 검사 단말
21: 검사대
22: 영상정보 입력부
24: 음성정보 입력부
26: 문자정보 입력부
28: 검사정보 표시부
30: 현미경 검사 단말
35: 판독 단말
51: 기본정보 영역
52: 음성정보 영역
53: 검사정보 영역
54: 검체 리스트 영역
55: 영상정보 영역
61: 영상정보 영역
62: 소견정보 영역
63: 검사 트래킹 영역

Claims (4)

  1.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으로서,
    병리검사를 위한 검체를 등록하는 접수 단말;
    검사자가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검체에 대한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이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육안 검사 단말(상기 음성정보와 문자정보는 전자문서화되어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검사자가 현미경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검체의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현미경 검사 단말(상기 문자정보는 전자문서화되어 소견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육안 검사 단말 또는 상기 현미경 검사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리스트로 화면에 표시하는 판독 단말; 및
    상기 접수 단말, 상기 육안 검사 단말 및 상기 현미경 검사 단말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 그리고 환자의 임상정보를 처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육안 검사 단말은 육안 검사의 진행과정을 모두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독 단말은, 판독을 위해 선택된 검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정보 영역, 상기 검체에 대한 소견정보를 표시하는 소견정보 영역, 및 상기 검체의 병리검사에서 수행된 복수의 검사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리스트로 표시한 검사 트래킹 영역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 구비된 음성 인식기는 상기 육안 검사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음성정보를 전자문서로 자동 변환하여 소견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안 검사 단말은 상기 검체를 올려놓는 검사대, 상기 검사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검체를 촬영하는 영상정보 입력부,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녹음하는 음성정보 입력부,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자의 검사소견을 전자문서로 입력하는 문자정보 입력부, 및 상기 검체의 임상정보 및 검사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정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안 검사 단말을 구성하는 각 요소는 소정의 공간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검사자는 별도의 이동 없이 상기 검사정보 표시부를 통해 상기 검체의 임상정보를 확인하면서 육안 검사의 모든 검사 프로세스가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로 입력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정보 표시부는, 하나의 화면 상에, 상기 검체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기본정보 영역, 육안 검사에 관한 음성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음성정보 영역, 육안 검사가 수행된 복수의 검체 리스트를 제공하고 각 리스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재생하고 편집하기 위한 검체리스트 영역, 및 현재 검사 중인 검체 또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검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정보 영역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트래킹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검사 프로세스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및 소견정보가 상기 판독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KR1020180007010A 2018-01-19 2018-01-19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KR10216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10A KR102164452B1 (ko) 2018-01-19 2018-01-19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PCT/KR2019/000363 WO2019143064A1 (ko) 2018-01-19 2019-01-10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10A KR102164452B1 (ko) 2018-01-19 2018-01-19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63A KR20190088663A (ko) 2019-07-29
KR102164452B1 true KR102164452B1 (ko) 2020-10-12

Family

ID=6730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010A KR102164452B1 (ko) 2018-01-19 2018-01-19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4452B1 (ko)
WO (1) WO2019143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734B1 (fr) 2021-05-07 2023-08-25 Algoscope Station d’anatomie et cytologie pathologiques pour examen macroscopique
KR20240015930A (ko) 2022-07-28 2024-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정보 분석 기반 최적의 바이오 마커 분석법 제안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77B1 (ko) * 2000-08-25 2003-12-01 박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병리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8285A (ko) *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휴민텍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병리 육안조직 촬영시스템
US8589420B2 (en) * 2009-07-10 2013-11-19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program for same
KR20150060294A (ko) * 2013-11-26 2015-06-0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101723732B1 (ko) * 2015-06-19 2017-04-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검사를 위한 이미지 분석 관리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63A (ko) 2019-07-29
WO2019143064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7738B2 (en) Computational microscopy based-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maging and analysis of pathology specimens
JP3742549B2 (ja) 医療用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Bertram et al. The pathologist 2.0: an update on digital pathology in veterinary medicine
JP6134315B2 (ja) 画像データにおける所見の解剖学的タグ付けの方法
Stathonikos et al. Going fully digital: Perspective of a Dutch academic pathology lab
Krishnamurthy et al. Multi-institutional comparison of whole slide digital imaging and optical microscopy for interpretation of hematoxylin-eosin–stained breast tissue sections
CN110431463A (zh) 组织样本的组织学检查系统
EP2544141A1 (en) Diagnostic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and pathology diagnosis system
JPH10275150A (ja)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140204242A1 (en) Exam review facilitated by clinical findings management with anatomical tagging
US10650267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22506227A (ja) デジタル撮像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164452B1 (ko) 병리검사의 전체 단계를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병리영상정보관리 시스템
Randell et al. Diagnosis at the microscope: a workplace study of histopathology
US11948294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bone marrow reading based on image analysis
Molin et al. Scale Stain: Multi-resolution feature enhancement in pathology visualization
JP2011081648A (ja) 病理診断支援装置および病理診断支援システム
Corvò et al. Visual analytics in digital patholog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P4070430B2 (ja)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検索表示方法
CN116235223A (zh) 使用基于目光的跟踪的注释数据收集
Prochorec-Sobieszek Future perspectives of digital pathology
Dey Digital pathology
JP4751051B2 (ja) 血液細胞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4022198B2 (ja) 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220028501A1 (en) Medical support system, medical support device, and medical suppor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