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320B1 -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20B1
KR102164320B1 KR1020190176998A KR20190176998A KR102164320B1 KR 102164320 B1 KR102164320 B1 KR 102164320B1 KR 1020190176998 A KR1020190176998 A KR 1020190176998A KR 20190176998 A KR20190176998 A KR 20190176998A KR 102164320 B1 KR102164320 B1 KR 10216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outer cylinder
pack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장영수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2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comprising an intermediate resilient element, e.g.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는 관으로 마련되며 후단부에 마련된 체결플랜지를 통해 제2배관에 마련된 제2배관플랜지에 체결되는 제2배관 체결부와, 제2배관 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사부와, 경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본체; 후단부에 바깥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제1배관에 삽입되어 제1배관에 마련된 제1배관플랜지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이 마련되고, 삽입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깥통; 후단부에 안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본체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깥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통; 및 안통이 바깥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차단부;를 포함하고, 이탈차단부는 안통이 바깥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본체는 바깥통에 마련된 패킹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온도차이로 인한 배관의 수축량 또는 팽창량을 보상하여 배관의 탈락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내의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저회를 회처리장으로 이송시키는데 배관이 사용되며, 배관은 통상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배관은 환절기 시기에 외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어, 이때의 응력에 의해 균열이나 파손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수축량 또는 팽창량을 보상하여 배관의 탈락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음관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이음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4032호의 "신축이음관"(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이 있다.
종래기술은 내통체가 외통체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전체 배관의 신축에 따른 길이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배관의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내통체가 외통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없어, 배관의 수축 시, 배관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통체가 외통체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 없어, 내통체의 외주면과 외통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신축이음장치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내통체가 외통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내통체가 외통체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는, 관으로 마련되며 전단부에 마련된 고정 플랜지를 통해 제1배관에 고정되는 제1배관 고정부와, 상기 제1배관 고정부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후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연결부로 구성되는 케이스; 후단부에 제2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에 마련된 제1플랜지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이 마련된 외통; 후단부에 제3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제2배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내통; 및 상기 제3플랜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2, 3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볼트와, 상기 이탈방지볼트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통이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제2배관은 상기 외통에 마련된 패킹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복수개의 O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는, 관으로 마련되며 후단부에 마련된 체결플랜지를 통해 제2배관에 마련된 제2배관플랜지에 체결되는 제2배관 체결부와, 상기 제2배관 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본체; 후단부에 바깥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배관에 마련된 제1배관플랜지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깥통; 후단부에 안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바깥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통; 및 상기 제1배관플랜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연결판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관통홀 및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상기 제2연결판에 고정되는 이탈차단볼트와, 상기 이탈차단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이탈차단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차단부는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바깥통에 마련된 패킹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깥통과 안통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복수개의 O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바깥통 사이에는 개스킷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통플랜지에는 패킹파손방지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파손방지볼트는 상기 본체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의 패킹에 닿는 경우, 상기 바깥통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안통에 의해 상기 패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제1배관플랜지 및 제2배관플랜지가 이탈차단부를 통해 연결되어, 안통은 이탈차단부를 통해 바깥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탈차단부는 안통이 바깥통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안통이 바깥통의 패킹에 닿는 경우, 패킹파손방지볼트가 바깥통플랜지에 접촉되므로, 안통에 의해 패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관에 고정되는 케이스의 제1플랜지에 제2배관에 고정되는 내통의 제3플랜지가 이탈방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내통은 이탈방지부를 통해 외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탈방지부는 내통이 케이스의 연결부에 삽입된 외통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배관들(제1배관(21), 제2배관(22))을 연결시키며, 온도차에 의한 배관들의 수축량 또는 팽창량을 보상하여 배관(21, 22)의 탈락 및 손상을 방지한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의 내통(300) 및 제2배관(22)이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의 내통(300) 및 제2배관(22)이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후방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1 내지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케이스(100), 외통(200), 내통(300) 및 이탈방지부(40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스(100)는 관으로 마련되며 전단부에 마련된 고정 플랜지(111)를 통해 제1배관(21)의 제1배관플랜지(21a)에 고정되는 제1배관 고정부(110)와, 제1배관 고정부(11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테이퍼부(120)와, 테이퍼부(120)로부터 연장형성되며 후단부에 제1플랜지(131)가 마련된 연결부(130)로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케이스(100)는 제1배관 고정부(110)를 통해 전단부가 제1배관(21)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제2배관(22)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2배관(22)보다 내경이 크게 마련된다.
외통(200)은 후단부에 제2플랜지(210)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케이스(100)의 연결부(130)에 삽입되어 연결부(130)에 마련된 제1플랜지(131)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2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패킹(220)은 외통(200)과 제2배관(22)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며, 제2배관(22)은 외통(200)에 마련된 패킹(220)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패킹(220)은 종이, 파이버, 삼고무판, 가죽과 같은 비금속이나 구리, 납, 연강과 같은 금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내통(300)은 후단부에 제3플랜지(310)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제2배관(2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통(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통(300)은 제2배관(22)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2배관(22)과 함께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인 외통(200)의 내주면 또는 내통(300)의 외주면에는 기밀을 위한 복수개의 O링(500)이 끼워질 수 있다.
이탈방지부(400)는 제3플랜지(310)에 고정되며 제1, 2, 3플랜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볼트(410)와, 이탈방지볼트(410)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420)로 구성되며, 내통(300)이 케이스(100)의 연결부(130)에 삽입된 외통(20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부(400)는 내통(300)이 외통(200)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통(300)은 이탈방지볼트(410)에 체결된 이탈방지너트(420)가 제1플랜지(131)에 맞닿는 범위 내에서, 즉, 이탈방지볼트(410)의 길이 범위내에서, 외통(200)의 내부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부(400)에 의해 외통(20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관(22)과 외통(200) 사이의 패킹(220)을 통해 1차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고, 내통(300)과 외통(200) 사이의 O링(500)을 통해 2차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1배관(21) 및 제2배관(22) 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설명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본체(1000), 바깥통(2000), 안통(3000), 이탈차단부(4000)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관으로 마련되며 후단부에 마련된 체결플랜지(1110)를 통해 제2배관(22)에 마련된 제2배관플랜지(22a)에 체결되는 제2배관 체결부(1100)와, 제2배관 체결부(1100)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사부(1200)와, 경사부(1200)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배관(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300)로 구성된다.
바깥통(2000)은 후단부에 바깥통플랜지(2100)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제1배관(21)에 삽입되어 제1배관(21)에 마련된 제1배관플랜지(21a)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2200)이 마련되고, 삽입부(1300)가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패킹(2200)은 바깥통(2000)과 삽입부(130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며, 삽입부(1300)는 바깥통(2000)에 마련된 패킹(2200)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패킹(2200)은 종이, 파이버, 삼고무판, 가죽과 같은 비금속이나 구리, 납, 연강과 같은 금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배관(21) 및 바깥통(2000) 사이에는 개스킷(60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6000)은 제1배관(21) 및 바깥통(2000) 사이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다.
안통(3000)은 후단부에 안통플랜지(3100)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본체(1000)의 삽입부(1300)가 삽입 고정되어 본체(100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며, 바깥통(20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측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바깥통(2000)과 안통(3000)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복수개의 O링(50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탈차단부(4000)는 제1배관플랜지(21a)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1관통홀(4100h)이 형성된 제1연결판(4100)과, 제2배관플랜지(22a)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2관통홀(4200h)이 형성된 제2연결판(4200)과, 제2관통홀(4200h) 및 제1관통홀(4100h)을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제2연결판(4200)에 고정되는 이탈차단볼트(4300)와, 이탈차단볼트(4300)의 단부에 체결되는 이탈차단너트(4400)로 구성되며, 안통(3000)이 바깥통(20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탈차단부(4000)는 안통(3000)이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연결판(4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체결홀(4100a)이 형성되어 제1배관플랜지(21a)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연결판(42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체결홀(4200a)이 형성되어 제2배관플랜지(22a)에 고정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통(3000)은 이탈차단볼트(4300)에 체결된 이탈차단너트(4400)가 제1연결판(4100)에 맞닿는 범위 내에서, 즉, 이탈차단볼트(4400)의 길이 범위내에서,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탈차단부(4000)에 의해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300)와 바깥통(2000) 사이의 패킹(2200)을 통해 1차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고, 안통(3000)과 바깥통(2000) 사이의 O링(5000)을 통해 2차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1배관(21) 및 제2배관(22) 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패킹파손방지볼트(7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파손방지볼트(7000)는 안통플랜지(3100)에 설치되고, 본체(1000)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안통(3000)이 바깥통(2000)의 패킹(2200)에 닿는 경우, 바깥통플랜지(2100)에 접촉되어 안통(3000)에 의해 패킹(2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3에서와 같이, 패킹파손방지볼트(7000)는 패킹(2200)으로부터 안통(3000)을 이격시켜, 안통(3000)이 패킹(2200)에 부딪혀 패킹(2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온도차이로 인한 배관(21, 22)의 수축량 또는 팽창량을 제2배관(22) 및 내통(300)이 케이스(100) 내부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상하여 배관(21, 22)의 탈락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배관(21)에 고정되는 케이스(100)의 제1플랜지(131)에 제2배관(22)에 고정되는 내통(300)의 제3플랜지(310)가 이탈방지부(400)를 통해 연결되어, 내통(300)이 케이스(100)의 연결부(130)에 삽입된 외통(20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400)가 내통(300)을 외통(200)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장치(10)는 온도차이로 인한 배관(21, 22)의 수축량 또는 팽창량을 본체(1000) 및 안통(3000)이 함께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상하여 배관(21, 22)의 탈락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관플랜지(21a) 및 제2배관플랜지(22a)가 이탈차단부(4000)를 통해 연결되므로, 안통(3000)이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탈차단부(4000)가 안통(3000)을 바깥통(2000)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0)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안통(3000)이 바깥통(2000)의 패킹(2200)에 닿는 경우, 패킹파손방지볼트(7000)가 바깥통플랜지(2100)에 접촉되므로, 안통(3000)에 의해 패킹(2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100 : 케이스 110 : 제1배관 고정부 111 : 고정 플랜지 120 : 테이퍼부
130 : 연결부 131 : 제1플랜지 200 : 외통 210 : 제2플랜지
220, 2200 : 패킹 300 : 내통 310 : 제3플랜지 400 : 이탈방지부
410 : 이탈방지볼트 420 : 이탈방지너트 500, 5000 : O링
1000 : 본체 1100 : 제2배관 체결부 1110 : 체결플랜지 1200 : 경사부
1300 : 삽입부 2000 : 바깥통 2100 : 바깥통플랜지 3000 : 안통
3100 : 안통플랜지 4000 : 이탈차단부 4100 : 제1연결판 4200 : 제2연결판
4300 : 이탈차단볼트 4400 : 이탈차단너트 6000 : 개스킷
7000 : 패킹파손방지볼트
21 : 제1배관 22 : 제2배관

Claims (6)

  1.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시키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관으로 마련되며 후단부에 마련된 체결플랜지를 통해 상기 제2배관에 마련된 제2배관플랜지에 체결되는 제2배관 체결부와, 상기 제2배관 체결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본체;
    후단부에 바깥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배관에 마련된 제1배관플랜지에 결합되며, 내측 전단부에 패킹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깥통;
    후단부에 안통플랜지가 형성된 관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바깥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통; 및
    상기 제1배관플랜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연결판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2연결판과, 상기 제2관통홀 및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볼트머리가 상기 제2연결판에 고정되는 이탈차단볼트와, 상기 이탈차단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이탈차단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탈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차단부는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의 내부에서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바깥통에 마련된 패킹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안통플랜지에는 패킹파손방지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파손방지볼트는 상기 본체가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통이 상기 바깥통의 패킹에 닿는 경우, 상기 바깥통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안통에 의해 상기 패킹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통과 안통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복수개의 O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바깥통 사이에는 개스킷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6. 삭제
KR1020190176998A 2019-06-27 2019-12-27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KR10216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7202 2019-06-27
KR1020190077202 2019-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320B1 true KR102164320B1 (ko) 2020-10-12

Family

ID=7288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98A KR102164320B1 (ko) 2019-06-27 2019-12-27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88B1 (ko) * 2010-10-13 2013-04-22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101272079B1 (ko) * 2013-02-12 2013-06-07 (주)에이치엔피테크 밸브 접합관
KR101938750B1 (ko) * 2011-08-22 2019-04-10 빅톨릭 컴패니 팽창 접합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88B1 (ko) * 2010-10-13 2013-04-22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101938750B1 (ko) * 2011-08-22 2019-04-10 빅톨릭 컴패니 팽창 접합부
KR101272079B1 (ko) * 2013-02-12 2013-06-07 (주)에이치엔피테크 밸브 접합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9753T3 (es) Junta roscada para caños.
KR101343900B1 (ko) 표준 관 피팅/포트를 삽입 연결식 관 피팅/포트로전환하는 연결장치 및 방법
OA10922A (en) Device for limiting the bending radius of a flexible duct
US8028718B2 (en) Quick coupling element and a quick coupling including such an element
US9657875B2 (en) Back ferrule having bellows-shaped elastic part
NO20022824D0 (no) Hydrauliske koplinger
JPH0160713B2 (ko)
EP2802731B1 (en) Seal assembly for nested dual drill pipe
IE41857B1 (en) Branch connection for a pipe
US11920714B2 (en) Sealing structure
KR102164320B1 (ko) 배관용 신축이음장치
NO340730B1 (no) Undersjøisk hydraulisk kopling
RU185638U1 (ru) Герметичное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NO313720B1 (no) Kobling for tilkobling av et ror eller en slange ved innskyvning
US4697829A (en) Pipe connection joints
GB1574298A (en) Pipe connectors
JP2013249894A (ja) 伸縮可撓継手
CN210510591U (zh) 不锈钢波纹管多密封快插型接头
KR101328191B1 (ko) 관 연결구
TWI822965B (zh) 連接結構
JP7186008B2 (ja) 管継手
KR100446185B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US2452889A (en) Flexible coupling
KR102510033B1 (ko) Lng 추진 선박용 이중배관 서포트
CN114992413B (zh) 一种高密快速液压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