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459B1 - 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 Google Patents

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459B1
KR102163459B1 KR1020200021148A KR20200021148A KR102163459B1 KR 102163459 B1 KR102163459 B1 KR 102163459B1 KR 1020200021148 A KR1020200021148 A KR 1020200021148A KR 20200021148 A KR20200021148 A KR 20200021148A KR 102163459 B1 KR102163459 B1 KR 10216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amount
air
buoyancy contr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pier having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ing pier having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comprises: a buoyancy module including a buoyancy pipe and an upper plate; and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escription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본 발명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잔교에 편하중에 의하여 기울기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부잔교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pier,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slope occurs due to an offset load on the floating pier, the floating pier is capable of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floating pier so that the floating pier can be restored horizontally. About.

부잔교란 부력을 이용하여 수상에 부유하는 시설물로서, 내륙의 호소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과 같은 수역에, 소형선박의 접안시설이나 수상낚시터 시설 또는 사람의 이동통로나 화물의 운반통로 등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A floating pier is a facility that floats on the water using buoyancy, and is installed to provide a berthing facility for small ships, a water fishing facility, or a passage for people's movement or cargo, in a water body such as an inland lake, river or coastal sea area. It means the structure that becomes.

과거에는,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어서 부력 베이스를 구축한 다음, 이 부력 베이스의 상부면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the past, it was common to construct a buoyancy base by weaving a buoyancy material such as logs or styrofoam into a certain shape, and then install a footboard through which people can m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ase.

다만, 통나무, 스트로폼과 같은 충격에 취약한 부력재를 사용하는 경우, 파도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부잔교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되며, 파손된 부잔교에 의하여 해양이 오염되고, 이와 같은 부잔교의 설치, 회수에 상당한 인력 소모가 드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buoyant material that is vulnerable to impacts such as logs and straw foam, the life and safety of the floating pier is reduced as the buoyant material is easily damaged by waves or external impacts, and the ocean is contaminated by the broken pier. There was a problem that considerable manpower was consumed in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of the sub-pier.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콘크리트, PE, 강철로 이루어진 부잔교들이 개발되고 있다.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재질들이 이용됨에 따라, 순간적인 외부 충격에 의한 부잔교의 파손 위험은 과거 대비 감소하였으나, 다양한 해상 환경의 외력에 영향을 받는 부잔교의 특성상, 지속적인 하중에 대하여는 여전히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sub-piers made of concrete, PE, and steel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s materials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recyclability are used, the risk of breakage of sub-piers due to an instantaneous external impact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piers that are affected by external forces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it is still resistant to continuous loads. There is a problem of instability.

예를 들어, 해상의 파도, 해양 생산물의 선, 하적 시, 승객의 승, 하선 시에 있어서, 부잔교에는 편하중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시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외력(군중 하중, 적재하중 등)에 의하여, 부잔교에 편하중이 발생하여 편경사가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부잔교가 전복되거나 횡요동이 생기게 될 수 있고, 인명 피해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ea waves, loading and unloading of marine products, when passengers are boarding or disembarking, an uneven load may be generated on the sub-pier, and in particular, external forces (crowd load, loading) that are continuously applied at a time difference. Load, etc.), an offset load is generated on the sub-pier, resulting in a superelevation, which may cause the sub-pier to overturn or lateral swing, and there is a risk of personal injury.

부잔교에 발생한 편하중에 의하여 부잔교가 수평을 잃거나 요동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잔교의 수평 유지를 위한 복원 관련 기술이 필요한 바, 기울어진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부잔교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잔교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side piers from losing the level or oscillating due to the bias load generated on the floating piers, a restoration-related technology is required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floating piers.The buoyancy of the floating pier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inclined piers can be restored horizontal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i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41754호(공고일자: 2004년 07월 23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41754 (Notification date: July 23, 200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상승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켜,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하강하도록 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water and air contained inside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contained therein. By including a buoyancy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amount of fluctuations, when the amount of fluctuation is reduced a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rises,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side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fluctuation is reduced by the weight of the accommodated water a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descends and fluctuat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pier with a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in which the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 조절부가 삽입되면서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에 공기가 충진되는 수용부를 포함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 수용된 공기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용부에도 일정한 공기를 수용하여 추가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서의 물의 양 조절에 따른 부력 조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용부 자체에서 부력모듈에 별도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illed with air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formed while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part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nd reduces the amount of shaking, thereby reducing the buoyancy in the air accommodated in the buoyancy control unit. In addition to generating it, it is not affected by the buoyancy control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buoyancy control unit by receiving a certain air in the receiving unit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dditional buoyanc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that can generate buoyanc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부력모듈은 하나 이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편하중에 의하여 부잔교에 편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에 배치된 각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될 수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so that when superelevation occurs in the sub-piers due to an unbalanced load, each of the sway amount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disposed on the sub-piers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pier having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in which the auxiliary pier can be restored horizontally by using the desired principl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는, PE 소재를 이용한 부잔교로서, 부력파이프와 상기 부력파이프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부력모듈,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for controlling buoyancy is a sub-pier using PE material, and a buoyancy module including a buoyancy pipe and a top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buoyancy pipe , And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mount and controlling a buoyancy forc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mount and for controlling a buoyancy force includes water and air accommodated therein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ccommodated there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oyancy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상기 부력 조절부는,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는 밀폐된 형태의 제2 부력층, 및 상기 제2 부력층과 제1 분리막에 의하여 구분되고 상기 제2 부력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3 부력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is divided by a second buoyancy layer in a sealed form in which air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buoyancy layer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uoyancy layer to open the lower part. It may include a third buoyancy layer.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부력 조절부 내부와 상기 부력모듈 외부를 연결시키는 공기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moving uni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module.

상기 공기 이동부는, 상기 부력 조절부 내부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configured to open/close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an internal pressur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and an atmospheric pressure.

상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부력 조절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part into which the buoyancy control part is inserted through an open lower part, and air may be filled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상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may be one or mor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따르면,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상승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켜,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하강하도록 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b-pier with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adjusting the buoyancy adjusts the amount of water and air accommodated insi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received therein. By including a buoyancy control unit to reduce the amount of agitation and when the buoyancy control device rises,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side, reduce the amount of agitation and allow the buoyancy control device to descen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d water to reduce the amount of agitation and reduce buoyancy. The adjustment device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 조절부가 삽입되면서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에 공기가 충진되는 수용부를 포함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 수용된 공기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용부에도 일정한 공기를 수용하여 추가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서의 물의 양 조절에 따른 부력 조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용부 자체에서 부력모듈에 별도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illed with air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formed while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and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the air contained in the buoyancy control unit By not only generating buoyancy, but also by accommodating constant air in the receiving part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dditional buoyancy, it is not affected by the buoyancy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n the buoyancy control part, and the buoyancy module in the receiving part itself Can generate buoyancy separately.

뿐만 아니라, 부력모듈은 하나 이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편하중에 의하여 부잔교에 편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에 배치된 각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module includes one or mor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so that when superelevation occurs on the sub-piers due to an unbalanced load, the principle of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restor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s arranged on the sub-piers to their original position. Using, the sub-pier can be restored horizont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부력 조절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부력모듈이 수평 상태로 복원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adjusting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for controlling buoyancy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for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ub-pier having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 buoyancy control unit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buoyancy module is restored to a horizontal state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adjust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re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And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 of some layers and regions is exaggerated.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over" another part,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part is in the middle. . Conversely, when one part is "directly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to say "on" or "on" the reference part means that it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means that it is located "above" or "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no.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 및 이에 결합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b)는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nd controlling agi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and a view showing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coupled thereto, Figure 1 (b) is a figure provided with a buoyancy control device and reduction amount of sh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b) It is a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ub-pi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는, PE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잔교로서, 부력파이프(110)와 부력파이프(110)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120)을 포함하는 부력모듈(100), 및 상판(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를 포함하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sub-pier 10 provided with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pier 10 manufactured using a PE material, a buoyancy pipe 110 and a buoyancy pipe (110) It includes a buoyancy module 100 including a top plate 120 disposed on the top, and a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20, and reduces agitation and adjusts buoyancy The apparatus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uoyancy control unit 320 tha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and air accommodated therein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ccommodated therein.

부력파이프(110)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도 1에서와 같이 부력파이프(110) 사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One or more buoyancy pipes 110 may be included,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between the buoyancy pipes 110 as shown in FIG. 1.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결합되는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되는 방법 역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position at which the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s couple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 and a method of coupling is also not limited to any one method.

도 1에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 두 개 도시하였으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하나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일 수도 있다.In FIG. 1, two devices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force 200 are shown, but the device 200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may be one or two or more.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의 단면으로서, 부력파이프(110) 사이에 부력 조절부(3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는 부력 조절부(320)가 부력파이프(11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부력 조절부(320)는 부력파이프(110)와 접하지 않도록 상판(12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1(b) is a cross-section of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buoyancy adjusting unit 320 is disposed between the buoyancy pipes 110. In Figure 1 (b),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uoyancy pipe 110, but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0 so as not to contact the buoyancy pipe 110. May b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결합되는 일 예로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상판(12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미도시)에 결합되어 상판(120) 하부 부력 파이프(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미도시)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브라켓(미도시)에는 하나 이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n example in which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s combined,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s coupled to a bracket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120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120 and the lower buoyancy pipe 10. There may be a plurality of brackets (not shown), and one or more agit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s (not shown).

부력 조절부(320)는,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는 밀폐된 형태의 제2 부력층(400), 및 제2 부력층(400)과 제1 분리막(230)에 의하여 구분되고 제2 부력층(400)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3 부력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divided by a second buoyancy layer 400 in a sealed form in which air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buoyancy layer 400 and a first separator 230 and a second buoyancy layer ( It may include a third buoyancy layer 500 disposed at the bottom of 400) and having an open bottom.

제2 부력층(400)은 공기를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키고, 제3 부력층(500)은 공기 및 물을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부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receives air to generate buoyancy, and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receives air and water to generate buoyancy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buoyancy.

부력 조절부(320)는 내부 압력, 즉,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되는 공기의 압력과 부력모듈(100) 외부의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제3 부력층(500)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that is, the pressure of the air accommodat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outside the buoyancy module 100. It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and air.

상기의 조절을 위하여 부력 조절부(320) 내부와 부력모듈(100) 외부를 연결시키는 공기 이동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이동부(210)는 제3 부력층(500) 내부로부터 제2 부력층(400)을 가로질러, 제3 부력층(500) 내부와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의 외부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For the above adjustment, an air moving part 210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320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modul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air moving part 210 is inside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From across 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it serves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nd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 이동부(210)는, 부력 조절부(320) 내부 압력, 즉, 제3 부력층(500) 내에서의 공기 압력과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의 외부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개폐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air moving unit 210,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that is, the air pressure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amount of shaking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220 that is opened/closed by a pressure difference of atmospheric pressure.

도 1에는 개폐부(220)가 상판(120)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개폐부(220)가 공기와 접하는 위치로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되는 위치라면 개폐부(220)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In FIG. 1, the opening/closing part 220 is shown to be coupled to a part of the upper plate 120, but if the opening/closing part 220 is in contact with air and a path through which air can be moved, the location of the opening/closing part 220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부력 조절부(320)에 연결된 공기 이동부(210) 및 개폐부(220)를 통하여,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된 공기를 배출, 유입시킴으로써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agit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through the air moving unit 2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20 connected to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By discharging and introducing air, the amount of water and air accommodat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may be adjusted to control buoyancy.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부력모듈(100)에 복수개 배치된 경우, 각각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상하, 좌우로 경사가 지는 경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들이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는 원리에 따라, 복수개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동일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결론적으로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 즉, 본 발명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는 수평하게 위치하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sway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are arranged in the buoyancy module 100,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rangements are inclin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are to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 plurality of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re on the same line. In conclusion, as it is positioned,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that is, the sub-pier 10 provided with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horizontally.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일정량 이상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의 편경사에 따라 부력을 조절(각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의 수면 위 높이를 조절하는 원리)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를 수평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buoyancy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superelevation of the sub-pier 10 provided with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Principle of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adjusting the height above the water surface of the buoyancy control device 200) to reduce the amount of shaking and restore the sub-pier 10 wit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horizontally.

복수개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를 통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가 수평을 유지하는 원리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inciple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 level of the sub-pier 10 provided with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adjusting the buoyancy through the device 200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device for reducing fluctu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fluctu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according to.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 조절부(320)가 삽입되는 수용부(300)를 더 포함하며, 수용부(300)에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310)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 즉,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개방된 하부를 갖는 케이스 형상의 수용부(300)와, 내부에 제2 부력층(400), 제3 부력층(500)이 형성된 부력 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art 300 into which the buoyancy control part 320 is inserted through an open lower part. It further includes, and air may be filled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310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300. That is,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case-shaped accommodation unit 300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buoyancy control unit having a second buoyancy layer 400 and a third buoyancy layer 500 formed therein. It may include (320).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300)를 포함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상판(12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ncluding the receiving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120.

수용부(300)가 포함되지 않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1과 달리, 도 2 및 도 3에서는 수용부(300)를 포함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Unlike FIG. 1, which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ceiving part 300 is not includ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the receiving part 300 is shown in FIGS. 2 and 3.

수용부(300)는 부력 조절부(32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부력 조절부 (320)의 형태에 따라 수용부(300)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ccommodation part 300 is a space into which the buoyancy control part 320 is inserted, and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part 30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320.

도 2에서와 같이, 수용부(30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 조절부(320)가 삽입되면서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310)에 공기가 충진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ceiving part 300 serves to generate buoyancy by filling air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310 formed as the buoyancy control part 3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part.

구체적으로는, 수용부(300)는 수용부(300) 내측면과 부력 조절부(320)의 상단면인 제2 분리막(240)에 의하여 밀폐된 공간인 제1 부력층(310)을 형성하게 되며, 해당 공간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300 is to form a first buoyancy layer 310, which is a space sealed by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240, which is an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30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air can be filled in the space.

수용부(300)에 삽입되는 부력 조절부(320)의 높이에 따라, 제1 부력층(310)에 공기가 충진되는 부피가 상이해질 수 있으며, 부피가 커질수록 발생되는 부력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제1 부력층(310)의 부력재로서의 기능은 증대될 것이다.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300, the volume to be filled with air in the first buoyancy layer 310 may be different, and as the volume increases, the amount of buoyancy generated increases. Thus, the function of the first buoyancy layer 310 as a buoyancy material will be increased.

이 경우, 부력 조절부(320)는,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는 밀폐된 형태의 제2 부력층(400), 및 제2 부력층(400)과 제1 분리막(230)에 의하여 구분되고 제2 부력층(400)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3 부력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divided by a second buoyancy layer 400 in a sealed form in which air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230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third buoyancy layer 50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uoyancy layer 400 and having an open bottom portion.

즉, 부력 조절부(320)는 수용부(300)의 하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제2 부력층(400)에는 공기를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키고, 제3 부력층(500)에는 공기 및 물을 수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부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300, and generates buoyancy by accommodating air in 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and air and water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t receives and generates buoyancy and at the same time plays the role of regulating buoyancy.

부력 조절부(320)는 내부 압력, 즉,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되는 공기 압력과 부력모듈(100) 외부의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제3 부력층(500)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의 조절을 위하여 부력 조절부(320) 내부와 부력모듈(100) 외부를 연결시키는 공기 이동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the water contain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that is, the air pressure accommodat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outside the buoyancy module 100 And an air moving unit 210 that serves to adjust the amount of air, and connects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module 100 for the above adjustment.

공기 이동부(210)는 제1 분리막(230), 제2 분릭막(240)을 관통하며, 제1 부력층(310), 제2 부력층(400)을 가로질러, 제3 부력층(500) 내부와 수용부(300)의 외부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air moving part 210 passes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230 and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240, and crosses the first buoyancy layer 310 and 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and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 It serves to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part 300.

공기 이동부(210)는, 부력 조절부(320) 내부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개폐부(220)를 더 포함하며, 공기 이동부(210) 및 개폐부(220)를 통하여,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된 공기를 배출, 유입시킴으로써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하게 된다.The air moving unit 210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220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rough the air moving unit 210 and the opening/closing unit 220, By discharging and introducing air contain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the amount of water and air contain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adjusted to adjust the buoyancy.

공기 이동부(210)의 일측은 부력 조절부(320) 내부를 향하고, 타측은 부력모듈(100)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면 되는바, 공기 이동부(210)의 타측은 부력파이프(110) 근처의 수면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물에 잠기지 않게 외부(공기)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면, 어느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air moving unit 210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the other side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module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air moving unit 210 is near the buoyancy pipe 110. It can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f it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so that it is not submerged in water, it can be placed in any position.

제3 부력층(500) 내부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공기 이동부(210)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원리, 즉, 부력 조절부(320)가 부력을 조절하는 원리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rinciple in which air is moved through the air moving unit 21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the principle that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buoyancy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 4. Let me explai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부력 조절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 buoyancy control unit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controll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4의 (a)는 부력 조절부(320)가 물 위에 떠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 부력층(400)에는 공기가, 제3 부력층(500)에는 공기와 물이 함께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First, (a)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floating on the water, and the second buoyancy layer 400 is filled with air, and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filled with air and water. Is in a state.

제3 부력층(500)에 채워진 물의 높이는 부력 조절부(320) 주변에 차있는 물의 높이와 동일하다. 도 4(a)는 외부 충격이 없는 일반적인 상태로서, 대기압과 제3 부력층(500) 내부의 공기의 압력이 동일하며, 개폐부(220)는 닫혀있다.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around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4(a) is a general state without external impact,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of the air inside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re the same, and the opening/closing part 220 is closed.

도 4의 (b)는 너울 등에 그 밖에 다양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부력 조절부(320)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습이다.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raised by various external impacts such as swells.

부력 조절부(320)에는 순간적으로 상승되는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220)는, 부력 조절부(320)가 상승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즉,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개폐부(22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일시적으로 제3 부력층(500)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주변에 차있는 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의 물이 채워지며, 이 때, 제3 부력층(500)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공간은 진공상태가 된다.An instantaneously rising force is applied to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unit 220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ising force, that is, in a downward direction, The opening/closing part 22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temporarily filled with water equal to the height of the surrounding water, as shown in FIG. 4(a), and at this time,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filled with water. This unfilled space becomes a vacuum.

부력 조절부(320)가 상승되면, 순간적으로, 도 4(b)의 상태를 거친 후, 바로 도 4(c)의 상태가 된다. 제3 부력층(500)의 진공상태인 공간에 물이 차 오르게 되는 것이다. 제3 부력층(500)에 형성된 물기둥에 의하여 제3 부력층(500)의 진공 부분은 없어지며, 이로써 제3 부력층(500) 내부와 외부 대기압의 압력은 동일하게 된다.When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raised, momentarily, after passing through the state of FIG. 4(b), it becomes the state of FIG. 4(c). Water is filled in the space in the vacuum stat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The vacuum portion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eliminated by the water column form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whereby the pressure of the inside and outsid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the same.

부력 조절부(320)는 물기둥이 채워진 만큼 중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개폐부(220)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3 부력층(500)에 형성된 물기둥은 온전히 부력 조절부(320)의 무게가 되기 때문이다.The weight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ncreases as the water column is filled, and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20 is closed, the water column form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becomes the weight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completely. Because.

무게추 역할을 하는 물기둥에 의하여, 부력 조절부(320)는 해당 중량만큼 하강하게 되며, 하강함에 따라 제3 부력층(500) 내부에 형성되었던 물기둥은 사라지고, 도 4(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제3 부력층(500) 내부의 물의 높이는 부력 조절부(320) 주변의 물의 높이와 같아지는 일반적인 상태가 되는 것으로, 처음 부력 조절부(320)가 위치했던 위치에, 동일한 상태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By the water column serving as a weight,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descends by the corresponding weight, and as it descends, the water column form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disappears, and a state as shown in FIG. 4(d) is do. 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height of the water inside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become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ater around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and the first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located. It will be restored to the same state where it was.

편경사 발생시 부력 조절부(320)에 순간적으로 형성된 물기둥을 이용하여, 평형성을 회복하는 기술로서, 제3 부력층(500) 내부와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기둥이 운동 저감 스프링 역할을 한다.As a technology for restoring balance by using a water column momentarily formed in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when superelevation occurs, the water column 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cts as a spring for reducing motion.

도 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력조절형 강재 부잔교(10)에 있어서, 부력 조절부(320)는 제3 부력층(500) 내부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 이동부(210) 및 압력차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부(220)를 포함함으로써, 부력 조절부(320)가 상승하는 경우, 제3 부력층(50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켜,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여, 부력 조절부(3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4, in the buoyancy control-type steel sub-pi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is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the third buoyancy layer ( By including an air moving unit 210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water and air accommodated in 500) and an opening/closing unit 220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a pressure difference, when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rises, the third buoyancy layer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500), so as to descend by the weight of the received water, and to restore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는 단순히 부력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며, 물의 이동을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대상을 원래의 위치, 원래의 높이로 복원시킨다는 점에서 단지 부력을 발생시키는 기존 부력체들과 차이가 있다.This does not simply generate buoyancy, but is different from existing buoyancy bodies that only generate buoyancy in that the objec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original height by controlling the pressure using the movement of wat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있어서, 부력모듈이 수평 상태로 복원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buoyancy module is restored to a horizontal state in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gitation and adjust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부력조절형 강재 부잔교(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부력모듈(100) 단면에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2개 배치되어 있으며, 부력모듈(100)의 일측은 상승, 타측은 하강으로 편경사가 발생한 경우로서 도 5a에서부터 도 5b, 도 5c를 거쳐 수평으로 회복되는 도 5d가 도시되어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buoyancy control-type steel sub-bridge 10, the buoyancy module 100 cross-section has two sway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are arranged, buoyancy One side of the module 100 ascends and the other side descends, where superelevation occurs, and FIG. 5D is shown to recover horizontally through FIGS. 5A to 5B and 5C.

먼저, 도 5a는 편경사가 발생한 부력모듈(100)이며, 상승되는 측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20)가 닫힌 상태로 제3 부력층(500)에는 공기와 물이 함께 채워져 있다. 제3 부력층(500)의 채워진 물의 높이는 부력모듈(100) 주변의 물의 높이와 동일하므로, 경사진 주변 물과 동일하게 물이 채워져 있으며, 그 외의 공간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First, Figure 5a is a buoyancy module 100 in which superelevation has occurred, and the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disposed on the rising side is a thir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220 is closed, as shown in FIG. The buoyancy layer 500 is filled with air and water. Since the height of the water fill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ater around the buoyancy module 100, the water is filled in the same way as the surrounding water inclined, and the other spaces are filled with air.

이 때의 제3 부력층(5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차단됨에 따라, 해당 공간은 순간적으로 토리첼리의 진공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as outside air is blocked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the corresponding space momentarily becomes a vacuum of Torricelli.

하강되는 측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에는 순간적으로 하강되는 힘이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와 물이 함께 채워져 있던 제3 부력층(500)는 물로 채워지게 된다. 물이 채워짐에 따라, 제3 부력층(5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제3 부력층(500)의 공기는 공기 이동부(210)를 따라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상태인 제3 부력층(500) 내부에서 외부로, 압력차에 의하여 공기가 이동되어짐에 따라 개폐부(220)는 열리게 되며, 공기가 배출된다.The momentarily desc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agit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disposed on the descending side, and accordingly,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filled with air and water is filled with water. As water is fill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ncreases, and the air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moves to the outside along the air moving part 210. That is, as air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n a pressure stat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o the outsid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the opening/closing unit 220 is opened, and air is discharged.

도 5b는 편경사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승되는 측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에 순간적으로 물이 차오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의 (b) 및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제3 부력층(500)는 진공상태가 되었다가, 바로 도 5b처럼 제3 부력층(500)의 진공상태인 공간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5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instantaneously filled in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disposed on the rising side in a state where superelevation occurs.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momentarily in a vacuum state as described in FIG. 4(b) and above, and then the space in the vacuum state of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as shown in FIG. 5B. Water fills up.

하강되는 측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개폐부(220)가 열린 상태가 되며, 제3 부력층(500)의 공기는 공기 이동부(210)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In the apparatus 200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adjusting the buoyancy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20 is in an open state, and the air in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can be freely moved through the air moving unit 210 .

도 5c는, 상승하는 측에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에 물기둥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물기둥이 채워져 중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상승된 부력모듈(100)의 왼쪽 부분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즉, 물기둥이 물탱크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5C shows a state in which a water column is formed in the agit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disposed on the rising side, and as the water column is filled to increase the weight, the left part of the raised buoyancy module 100 Falls down. In other words, the water column acts like a water tank.

하강되었던 오른쪽의 부력모듈(100)은 왼쪽의 부력모듈(100)이 하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부력모듈(100) 자체는 수평을 이루게 된다. 왼쪽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개폐부(220)를 통하여 공기가 자유로이 이동되는 상태이므로, 다른 제한을 받지 않는다.The buoyancy module 100 on the right, which has been lowered, rises relatively as the buoyancy module 100 on the left is lowered, so that the buoyancy module 100 itself becomes horizontal. The left shaking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is in a state in which air is freely mov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unit 220, so there is no other limitation.

도 5d는 수평성을 회복한 부력모듈(100)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배치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는 개폐부(220)가 닫힌 상태이며, 제3 부력층(500) 내부에 채워진 물과, 부력모듈(100) 주변에 있는 물이 동일한 높이를 가진 것으로 평형성이 유지된 상태이다.5D is a diagram showing the buoyancy module 100 that has recovered the horizontality, and each of the arranged vibr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20 is closed, and the third buoyancy layer 500 is The filled water and the water around the buoyancy module 100 have the same height, and the balance is maintained.

도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력조절형 강재 부잔교(10)에 있어서, 부력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를 포함함으로써, 부력모듈(100)에 편하중에 의하여 편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부력모듈(100)에 배치된 각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가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강재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confirmed in Figure 5, in the buoyancy control-type steel sub-brid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module 100 is convenient to the buoyancy module 100 by including one or mor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When superelevation occurs due to the inclination, each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arranged in the buoyancy modul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sub-bridge is restored horizontally by using the principl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

뿐만 아니라,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200)의 상단에는 일정한 공기가 채워져 있는 수용부(300)가 형성되어 있는바, 부력 조절부(320)의 부력 조절과는 무관하게,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10)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eceiving portion 300 filled with constant air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00, regardless of the buoyancy control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320,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acting on the sub-pier 10 provided with the buoyancy contro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에 따르면,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상승하는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켜, 수용된 물의 무게에 의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하강하도록 하여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부력 조절부가 삽입되면서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에 공기가 충진되는 수용부를 포함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 수용된 공기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용부에도 일정한 공기를 수용하여 추가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부력 조절부에서의 물의 양 조절에 따른 부력 조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용부 자체에서 부력모듈에 별도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력모듈은 하나 이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편하중에 의하여 부잔교에 편경사가 발생하는 경우, 부잔교에 배치된 각각의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가 원위치로 복원되고자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부잔교가 수평으로 복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b-pier with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fluctuation and adjusting the buoyancy is water and water accommodated therein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received therein. By including a buoyancy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amount of air, when the amount of agitation is reduced a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rises,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side is increased, so that the amount of agitation and the buoyancy control device descends by the weight of the received water. The fluctu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addition, by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illed with air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formed while the buoyancy control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and reduces the amount of fluctuation, generating buoyancy from the air accommodated in the buoyancy control unit In addition, by simultaneously receiving constant air in the receiving part to generate additional buoyancy, it is not affected by the buoyancy control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buoyancy control part, and the receiving part itself generates buoyancy separately to the buoyancy module. I can make it. In addition, the buoyancy module includes one or more sway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s, so that when superelevation occurs in the sub-piers due to an unbalanced load, the principle of reducing the amount of sway and restoring the buoyancy control devices arranged on the sub-piers to their original position. Using, the sub-pier can be restored horizontal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100: 부력모듈
110: 부력파이프
120: 상판
200: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
210: 공기 이동부
220: 개폐부
230: 제1 분리막
240: 제2 분리막
300: 수용부
310: 제1 부력층
320: 부력 조절부
400: 제2 부력층
500: 제3 부력층
10: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100: buoyancy module
110: buoyancy pipe
120: top plate
200: agit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210: air moving part
220: opening and closing part
230: first separation membrane
240: second separator
300: receiving part
310: first buoyancy layer
320: buoyancy control unit
400: second buoyancy layer
500: third buoyancy layer

Claims (6)

PE 소재를 이용한 부잔교에 있어서,
부력파이프와 상기 부력파이프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부력모듈; 및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 및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 및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부력 조절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밀폐된 제1 부력층에는 공기가 충진되고,
상기 부력 조절부는,
내측에 공기가 수용되는 밀폐된 형태의 제2 부력층; 및
상기 제2 부력층과 제1 분리막에 의하여 구분되고 상기 제2 부력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3 부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In the floating pier using PE material,
A buoyancy module including a buoyancy pipe and a top plate disposed on the top of the buoyancy pipe; And
It includes a vibr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e fluctu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A buoyancy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and air accommodated therein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ress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ccommodated therein; And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buoyancy control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Air is filled in the sealed first buoyancy layer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buoyancy control unit,
A second buoyancy layer in a sealed form in which air is accommodated inside; And
It is divided by the second buoyancy layer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uoyancy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buoyancy layer in the form of an open bottom, agitation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provided One pi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부력 조절부 내부와 상기 부력모듈 외부를 연결시키는 공기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buoyancy control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ir moving uni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and the outside of the buoyancy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부는,
상기 부력 조절부 내부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moving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controlled by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uoyancy control unit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adjusting the buoyanc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량 저감 및 부력조절 장치를 구비한 부잔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fluctuation amount reduction and buoyancy control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a sub-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haking and controlling the buoyancy.
KR1020200021148A 2019-12-06 2020-02-20 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KR1021634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1724 2019-12-06
KR1020190161724 2019-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459B1 true KR102163459B1 (en) 2020-10-08

Family

ID=7289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48A KR102163459B1 (en) 2019-12-06 2020-02-20 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45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81B1 (en) 2021-07-15 2022-05-06 정복균 floating pier with function for removing wave and preventing roll
KR20220120389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Floating pier with reducer of amount of sway
KR102625327B1 (en) * 2022-11-22 2024-01-16 주식회사 레미콘웍스 Anti-rolling floating p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959A (en) * 2002-07-05 2004-01-13 (주)새로운환경 Floating Mixture Decanter
KR100441754B1 (en) 2001-06-15 2004-07-23 장성자 Floating Marine Structure
KR101605092B1 (en) * 2015-10-30 2016-04-0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Floating body with vacuum preventing mov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54B1 (en) 2001-06-15 2004-07-23 장성자 Floating Marine Structure
KR20040003959A (en) * 2002-07-05 2004-01-13 (주)새로운환경 Floating Mixture Decanter
KR101605092B1 (en) * 2015-10-30 2016-04-0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Floating body with vacuum preventing movemen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89A (en)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Floating pier with reducer of amount of sway
KR102395681B1 (en) 2021-07-15 2022-05-06 정복균 floating pier with function for removing wave and preventing roll
KR102625327B1 (en) * 2022-11-22 2024-01-16 주식회사 레미콘웍스 Anti-rolling floating p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459B1 (en) Floating pier with a device for reducing amount of sway and controlling buoyancy
KR101605092B1 (en) Floating body with vacuum preventing movement device
KR102163466B1 (en) Metal floating pier with buoyancy reinforcement and restorative increase device
JP5175733B2 (en) Pontoon type floating structure
JP6066271B2 (en) Floating pier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2007321481A (en) Mooring device
KR102145055B1 (en) Concrete floater with fluctuation reduction device caused by pressure difference
US11236521B2 (en) Dynamic artificial wave facility for surfing practice
US20180214757A1 (en) A dynamic artificial wave facility for the practice of surfing
AU2004280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otion of a floating vessel
KR101954345B1 (en) Berth facility using floating platform
KR101964836B1 (en) Anti-rolling apparatus
CN105947123A (en) Double-body semi-submerged ship with submersible deck
KR102646244B1 (en) Pontoon with Improved Dynamic Stability
KR101811705B1 (en) Floating landing stage of which slop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JPH0718641A (en) Floating wave killing bank
WO2000030927A1 (en) Marina protection method and mean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200378619Y1 (en) horizontally move construction of high load goods
JP3310846B2 (en) Floating breakwater using tanker
KR20060078679A (en) Horizontally move construction of high load goods and safe supporter
KR102649081B1 (en) Mooring system
AU5116200A (en) Deep water tlp tether system
JP3987830B2 (en) Floating wave structure
KR100982891B1 (en) Gate for dry dock
JP3836816B2 (en) Water-circulating wave-dissipating cais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