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51B1 -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051B1
KR102163051B1 KR1020150068303A KR20150068303A KR102163051B1 KR 102163051 B1 KR102163051 B1 KR 102163051B1 KR 1020150068303 A KR1020150068303 A KR 1020150068303A KR 20150068303 A KR20150068303 A KR 20150068303A KR 102163051 B1 KR102163051 B1 KR 10216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electrode
piezoelectric transformer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363A (ko
Inventor
정인화
김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0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41/107
    • H01L41/042
    • H01L41/047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탭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PIEZOELECTRIC TRANSFORM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압전 변압기(piezoelectric transformer)는 입력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를 매개로 하여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 권선형의 전자식(electromagnetic type) 변압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권선이 불필요하므로 소형,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대량 제조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주파 구동시 권선형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와류손, 히스테리시스손과 같은 자기 손실이 생기지 않으므로 고효율화가 가능하다. 더욱이, 권선형의 경우처럼 에너지 변환과정에서 자기에너지로 변환되는 단계가 없으므로 전자유도장애 측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권선형의 경우 고장모드가 단락(short) 상태이기 때문에 화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나, 압전 변압기 경우에는 고장모드가 개방(open)상태이기 때문에 고장이 파급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66078호
본 발명은 압전 세라믹을 이용하는 소형 및 고효율의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탭 전극을 갖는 압전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에 따라 탭 전극을 선택할 수 있는 압전 변압기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는, 압전체;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탭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탭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변압기; 상기 압전 변압기의 입력부에 연결되어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입력 회로; 및 상기 압전 변압기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적정 공급 전압을 파악하여 다수의 상기 탭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탭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는 다수의 탭 전극을 구비하므로, 하나의 입력 전압에 대해, 서로 다른 다양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어부가 부하에 따라 적절하게 압전 변압기의 탭 전극을 선택하여 적합한 전압을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주파수 보정 없이, 출력 전압을 다양하고 손쉽게 가변 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IT 기기의 구동 기기 또는 충전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전 변압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100)는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한 변압기(Transformer)로, 로젠 타입(Rosen-type)의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절연형 DC/DC 컨버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100)는 크게 압전체(30), 입력부(10), 및 출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입력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압전체(30)의 양면에 형성되는 입력 전극들(11)로 구성된다.
출력부(20)는 압전체(30)의 출력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압전체(3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출력 전극(22, 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전체(3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압전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극(11)이 형성된 부분은 분극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출력 전극(21)이 형성된 부분은 분극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될 수 있다.
압전체(30)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입력 전극(11)은 압전체(30)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출력 전극(21)은 압전체(30)의 타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전 변압기(100)의 경우, 입력부(10)에 공진 주파수를 갖는 1차 전압을 인가하면 입력부(10)에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변형은 같은 몸체의 다른 영역인 출력부(20)로 전달된다. 그리고 출력부(20)의 변형으로 인해 출력부(20)에서는 2차 전압이 발생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는 하나의 공통 입력 전극(12)과, 다수의 탭 전극들(13, 14, 15)을 포함한다. 탭 전극들(13, 14, 15)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멀티 탭(multi-tap) 전극으로 기능한다.
입력측 탭 전극들(13, 14, 15)은 동일한 입력 전압에 대해 다양한 출력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여러 탭 전극(13, 14, 15)들 중 원하는 탭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입력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측 탭 전극들(13, 14, 15)은 상호 간에 일정한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탭 전극들(13, 14, 15)은 출력 전극(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탭 전극(13, 14, 15)은 압전체(30) 내부에 배치되는 매립 부분과, 압전체(30)의 일면에 노출되는 노출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입력측 탭 전극들(13, 14, 15)은 공통 입력 전극(12)과의 이격 거리가 다르므로, 동일한 주파수의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어떠한 입력측 탭 전극들(13, 14, 15)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출력 전극(21)에서는 다른 전압/전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100)는 하나의 입력 전압에 대해, 서로 다른 다양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제3 탭 전극(15)에 입력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높은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제1 탭 전극(13)에 입력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입력측 탭 전극들(13, 14, 15)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탭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탭 전극들 간의 이격 거리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이용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따른 전자 기기(1)는 도 1에 도시된 압전 변압기(100)와, 압전 변압기(100)의 입력부(10)에 연결되는 입력 회로(210), 스위칭부(240), 출력부(20)에 연결되는 출력 회로(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회로(210)는 압전 변압기(100)의 입력부(10)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 다수의 탭 전극(13, 14, 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출력부(20)에는 한 쌍의 전극(22, 23)만이 배치된다.
입력 회로(210)는 압전 변압기(100)의 입력부(10)에 입력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예컨대 압전체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압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40)는 다수의 스위치(S1, S2, S3)를 포함하며, 압전 변압기(100)의 입력 전극(11) 중 탭 전극들(13, 14, 15)과 입력 회로(210)를 연결한다. 따라서, 입력 전극(11)은 스위칭부(240)의 스위치(S1, S2, S3)가 연결될 경우에만 입력 회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S1)는 제1 탭 전극(13)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S2)는 제2 탭 전극(14)과 연결되며, 제3 스위치(S3)는 제3 탭 전극(15)과 연결될 수 있다.
출력 회로(220)는 일측이 압전 변압기(100)의 출력 전극(21)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부하(Load)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전원 공급 장치나 충전 어댑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부하(Load)는 충전 어댑터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스마트 폰, 태블렛, 노트 PC 등의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한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어댑터나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회로(220)에는 정류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평활 회로나 정전압 회로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출력 회로(220)에 연결된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전류를 파악하여 부하(Load)측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출력 회로(220)에 연결되어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전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위칭부(240)에서 적합한 스위치(S1, S2, S3)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스위치(S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3 스위치(S2, S3)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제1 탭 전극(13)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 전압이 압전 변압기(100)를 통해 변압되어 출력 전극(21)으로 출력된 후, 정류 회로를 거쳐 휴대폰으로 공급된다.
또한 노트 PC나 태블릿 PC가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보다 높은 전압(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제3 스위치(S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스위치(S1, S2)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제3 탭 전극(15)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 전압이 압전 변압기(100)를 통해 변압되어 출력 전극(21)으로 출력된 후, 정류 회로를 거쳐 노트 PC로 공급되므로, 노트 PC의 충전에 적합한 전압이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전극(21)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입력 회로(210)에서 압전 변압기(100)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과 매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입력 회로(210)의 스위칭 소자(Q1, Q2)와 연결되어 스위칭 소자(Q1, Q2)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는 제어부(230)가 부하(Load)에 따라 적절하게 압전 변압기(100)의 입력 전극(11)을 선택하여 적합한 전압을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주파수 보정 없이, 출력 전압을 다양하고 손쉽게 가변 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IT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나 또는 충전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전 변압기와 전자 기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압전 변압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는 압전 변압기(200)의 입력부(10)에 연결되는 입력 회로(210), 출력부(20)에 연결되는 출력 회로(220), 스위칭부(24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변압기(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압전 변압기(도 1의 100)과 유사하게 압전체(30), 입력부(10), 및 출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0)는 입력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압전체(30)의 양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입력 전극들(12, 13)로 구성된다.
출력부(20)는 압전체(30)와 출력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압전체(30)의 양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출력 전극들(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압전체(3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압전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극(11)이 형성된 부분은 분극 방향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출력 전극(21)이 형성된 부분은 분극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20)는 하나의 공통 출력 전극(22)과, 다수의 탭 전극들(23, 24, 25)을 포함한다. 탭 전극들(23, 24, 25)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멀티 탭(multi-tap) 전극으로 기능한다.
탭 전극들(23, 24, 25)은 입력 전극(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탭 전극(23, 24, 25)들 중 원하는 탭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입력부(10)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입력 회로(210)는 압전 변압기(200)의 입력부(10)에 입력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은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예컨대 압전체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압일 수 있다.
출력 회로(220)는 일측이 압전 변압기(200)의 출력 전극(21)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부하(Load)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는 전원 공급 장치나 충전 어댑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부하(Load)는 충전 어댑터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 PC 등의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회로(220)에는 정류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평활 회로나 정전압 회로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회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40)는 다수의 스위치(S1, S2, S3)들을 포함하며, 압전 변압기(200)의 출력 전극(21)과 출력 회로(220)의 정류 회로를 연결한다. 따라서, 각각의 출력 전극들(21)은 스위칭부(240)의 스위치(S1, S2, S3)가 연결될 경우에만 정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S1)는 제1 탭 전극(23)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치(S2)는 제2 탭 전극(24)과 연결되며, 제3 스위치(S3)는 제3 탭 전극(25)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출력측 탭 전극들(23, 24, 25)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탭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탭 전극들 간의 이격 거리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출력 회로(220)에 연결된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을 파악하여 부하(Load)측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출력 회로(220)에 연결되어 부하(Load)의 적정 출력 전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위칭부(240)에서 적합한 스위치(S1, S2, S3)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3 스위치(S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스위치(S1, S2)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제3 탭 전극(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회로로 인가되어 직류로 정류된 후 휴대폰으로 공급된다.
또한 노트 PC가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보다 높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스위치(S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3 스위치(S2, S3)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제1 탭 전극(2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회로로 인가되어 직류로 정류된 후 노트 PC로 공급되므로, 노트 PC의 충전에 적합한 전압이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전극(21)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입력 회로(210)에서 압전 변압기(200)에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를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부하(Load)의 적정 공급 전압과 매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입력 회로(210)의 스위칭 소자(Q1, Q2)와 연결되어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출력 전극(21)들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로 입력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휴대폰이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3 스위치(S3)를 연결함과 동시에 스위칭 소자(Q1, Q2)를 제어하여 제3 공진 주파수로 입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공진 주파수는 입력 전극(11)과 제3 스위치(S3)가 연결된 제3 탭 전극(25)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를 의미한다.
또한 노트 PC가 부하(Load)로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제1 스위치(S1)를 연결함과 동시에, 스위칭 소자(Q1, Q2)를 제어하여 제1 공진 주파수로 입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진 주파수는 입력 전극(11)과 제1 스위치(S1)가 연결된 제1 탭 전극(23)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치(S2)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공진 주파수로 입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선택된 출력 전극(21)과 입력 전극(1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로 입력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다양한 부하(Load) 조건에 대해 고효율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2: 전자 기기
10: 입력부
11: 입력 전극
13 ~ 15: 입력 측 탭 전극
20: 출력부
21: 출력 전극
23 ~ 25: 출력 측 탭 전극
30: 압전체
100, 200: 압전 변압기
210: 입력 회로
220: 출력 회로
230: 제어부
240: 스위칭부

Claims (13)

  1. 압전체;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압전체에 형성되는 출력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탭 전극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탭 전극은,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 전극 중 다른 하나와의 이격 거리가 각각 다르게 배치되는 압전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탭 전극은,
    상기 입력 전극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압전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력 전극은 상기 압전체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전극은 상기 압전체의 타단 측에 배치되는 압전 변압기.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탭 전극은
    상기 압전체 내부에 배치되는 매립 부분과, 상기 압전체의 일면에 노출되는 노출 부분을 포함하는 압전 변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탭 전극은,
    상기 출력 전극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압전 변압기.
  6.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 중 어느 하나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탭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변압기;
    상기 압전 변압기의 입력부에 연결되어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입력 회로; 및
    상기 압전 변압기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 회로;
    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탭 전극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 중 다른 하나와의 이격 거리가 각각 다르게 배치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적정 공급 전압을 파악하여 다수의 상기 탭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탭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전극은 상기 입력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입력 회로와 상기 압전 변압기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선택된 상기 어느 하나의 탭 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 전압의 스위칭 주파수를 조정하는 전자 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전극은 상기 출력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출력 회로와 상기 압전 변압기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로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압전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068303A 2015-05-15 2015-05-15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16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03A KR102163051B1 (ko) 2015-05-15 2015-05-15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03A KR102163051B1 (ko) 2015-05-15 2015-05-15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63A KR20160134363A (ko) 2016-11-23
KR102163051B1 true KR102163051B1 (ko) 2020-10-08

Family

ID=5754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03A KR102163051B1 (ko) 2015-05-15 2015-05-15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0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5600B1 (en) * 1994-01-27 1999-07-21 Hitachi Metals, Ltd. Discharge tube driving device and piezoelectric transformer therefor
JPH09214012A (ja) * 1996-01-30 1997-08-15 Tokin Corp 圧電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21540B2 (ja) * 2001-03-27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及び電源装置
KR20100066078A (ko) 2008-12-09 2010-06-17 한국전기연구원 강압용 압전변압기를 이용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89937호(2002.10.04.) 1부.*
인용발명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14012호(1997.08.15.) 1부.*
인용발명 3: 등록특허공보 제10-0280765호(2001.02.0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63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7614B2 (ja)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EP36610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by means of capacitive coupling
JP5939314B2 (ja) 電子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5550785B2 (ja) 非接触型の誘導電力伝送システムの回路
US10122212B2 (en) Power supply device
US9312778B2 (en) Power supply device
KR20160030672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CN101247090A (zh) 多相直流-直流变换器
US9876363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N104767387A (zh) 电源设备
US9899138B1 (en) Coil structure for generating a uniform magnetic field and coil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5075094B (zh) 交流电源装置
KR102163051B1 (ko) 압전 변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8379411B2 (en) Piezoelectric converter with primary regulation and associated piezoelectric transformer
JP2015156741A (ja) 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US11239815B2 (en) Resonance matching circuit
WO2018190117A1 (ja) 電源制御装置
TWI504123B (zh) Flow Transformer Transformer and Its Transforming Method
KR101672527B1 (ko) 전원 공급 장치
US9973022B2 (en) 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KR102483566B1 (ko) 유무선 전력 공급 장치
JP2020141496A (ja) 非接触式給電装置
KR20130130160A (ko) 자기 공명 전력전송 장치
KR20190037699A (ko) 고전압 전원공급장치
WO2015078094A1 (zh) 交交流变压装置及其变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