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82B1 -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82B1
KR102162882B1 KR1020190013875A KR20190013875A KR102162882B1 KR 102162882 B1 KR102162882 B1 KR 102162882B1 KR 1020190013875 A KR1020190013875 A KR 1020190013875A KR 20190013875 A KR20190013875 A KR 20190013875A KR 102162882 B1 KR102162882 B1 KR 10216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image information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907A (ko
Inventor
이명성
이태윤
Original Assignee
한국인식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식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인식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1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인증 서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저장부; 상기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사도 판정부; 및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사도 정보에 따라 상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BIOMETRICS}
본 발명은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는 스마트폰 사회라고 할 수 있을만큼 스마트폰의 발전과 보급이 놀라운 속도로 이루어졌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단순히 핸드폰 자체 산업만의 발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연동되는 전자 상거래 시장을 기하급수적으로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제품의 선택 및 구매가 이루짐은 물론 각종 뱅킹 활동까지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의 핵심 기술은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는 것이에 출발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의 편리성이 존재하지만, 해킹 등의 보안 위협을 항상 동반하는 양날의 검인 상황이다.
이와 같은 인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에는 주로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센싱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 각자가 고유로 갖고 있는 지문, 홍체, 안면 등의 생체 정보를 통한 인증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 중이다.
특히, 안면 인식을 이용한 인증 방식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해당 얼굴 이지미에서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인식 기술은 현재 아이폰의 Face ID에 적용되어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 방식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Face ID의 경우, 사용자의 최근 사진을 직접 업로드하고, 추후 잠금해제 시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보안이 필요로 되는 산업 시설이나 연구 시설에서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해당 시설 출입 시 출입자의 실시간 얼굴 이미지와 기존에 저장된 신분증 얼굴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신분을 확인하는 방식 역시 적용되고 있다.
이 중, 후술한 신분증 사진과 실시간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방식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 변화가 발생되는 현상에 따른 오류가 쉽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데, 신분증의 경우 성인이되는 시점에 발급을 받고 분실 등의 특이한 상황이 아닌 경우, 오랜 시간 동안 동일한 신분증을 사용한다. 따라서, 신분증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사진은 예전에 촬영된 사진으로, 시간이 경과한 현재의 사용자 얼굴과 많은 차이를 가짐으로써 이에 따른 인식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인증 기준이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는,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인증 서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저장부; 상기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사도 판정부; 및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사도 정보에 따라 상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의 빈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수집되고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복수로 수집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유사도 정보의 평균값에 대한 유사도 평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평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 인증 정보의 출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서로 다른 촬영 시간 정보를 갖는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대상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의 품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 중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와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는,
최초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에 의해 제1 시간에 선정된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시간 다음 시간인 제2 시간에 선정된 제2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삭제 불가 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기설정된 저장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인증 시 선정되어 저장되는 복수의 상기 대표 얼굴 이지미 정보 중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신원 확인 요청 정보에 의해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저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관 인증 정보에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조합하여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의 요청 빈도에 따라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공간에 구비되고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실내 공간을 측정 및 분석하는 실내 공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에 서 분석된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는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부착층; 및 상기 제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서비스 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인증 저장부가 인증 서버로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가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사용자 이미지 정보룰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유사도 판정부가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사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에 의하면 인증 시 마다 저장된 복수의 얼굴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인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얼굴 특징점 비교를 통해 인증을 실시함으로써 보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규로 저장되는 얼굴 이미지와 기존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의 순차적인 갱신 및 파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관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증 완료된 가상의 모바일 신분증을 화면 출력하도록 하여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 모바일 신분증 생성 시 인증된 최신 얼굴 이미지를 조합하여 생성함으로써, 외부인에 대한 시각적 확인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외부를 방지로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부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단말기 고장 감소 및 센서 인식률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의 적용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유사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이미지 간의 비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기준 이미지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단말기에 방지재가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과 다른 방식으로 방지재가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방지재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방지재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의 적용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편의점과 같은 업소에서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술 및 담배와 같은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법적으로 정해져있다.
따라서, 미성년자로 보이는 고객(U)이 술 또는 담배를 요구하는 경우 판매인(P)은 고객의 신분증을 요구하여, 신분증에 제시된 사진과 실제 고객의 사진을 비교하여 미성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현재 일반적이다.
하지만, 특정 미성년자의 경우 신분증의 사진 또는 나이를 직접 위조하여 자신이 미성년자임을 속이고 술 또는 담배 등을 사는 사례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위조 정밀도에 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인 판매인(P)의 경우 해당 위조 사실을 분별하기 어려움이 있고, 이렇게 판매된 술 또는 담배에 의해 판매자(P)가 처벌받는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보안이 요구되는 산업 시설이나 연구소의 경우 사용자의 신분증을 사전에 등록하고, 사용자(U)의 얼굴 인식을 통해 신분증 사진과 매칭시켜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신분증에 포함되는 사용자 사진은 신분증 발급 시에 촬영된 사진이므로, 세월이 지난 후 노화 등에 의해 변해버린 현재 사용자 얼굴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랜된 신분증을 사전에 인증 수단으로 등록한 경우 현재 사용자(U)의 얼굴과 차이가 심해 이를 인식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두 가지 경우와 같은 상황들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 및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먼저, 고객과 같은 사용자(U)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인증 서버(2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인증 서버(200)에 접속하여 신분증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 정보와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U)와 매칭되는지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증 서버(200)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자신의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기관 인증 정보는 인증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정보이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기관 인증 정보는, 인증 서버(200)에서 공식적으로 인증을 실시한 사용자(U)의 인증에 관한 정보로, 신분증의 텍스트 정보 및 사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증 서버(200)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현재 사용자(U)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저장된 기관 인증 정보와 비교 후 매칭되는 경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U)는 인증 서버(200)를 통해 인증된 기관 인증 정보를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자신의 생체 정보인 얼굴 이미지 정보를 매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발생될 때마다 촬영된 얼굴 이미지 정보는 기설정된 저장값만큼 저장되고, 후순위 인증 시 촬영된 얼굴 이미지 정보는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된 기준 이미지 정보뿐 아니라, 앞서 저장된 얼굴 이미지 정보들과 모두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인증 서버(200)에 등록 시 저장된 기준 이미지 정보뿐 아니라, 각 인증 단계에서 저장된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비교함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 인식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아니라,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인증된 최신 얼굴 이미지 정보를 조합하여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하면 공인된 신분증 정보을 생체 인증을 통해 출력할 수 있어 인증 확인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의 적용 상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도 2에서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인증 저장부(120), 유사도 판정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인증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110)는, 인증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기관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저장부(120)는,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기관 인증 정보는, 해당 인증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분증 정보일 수 있다. 신분증 정보는, 신분증에 포함된 신분증 텍스트 정보 및 신분증 사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 판정부(130)는,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신분증 사진 정보)와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사도 판정부(130)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기준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이미지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동작 방법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후술하는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통해, 해당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외부에 노출하여 타인 또는 타 장치에 인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140)와 통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후술하는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대표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50) 또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신분 확인을 위한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실시간 이미지인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이미지 정보와 기준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이들의 유사도 정도에 관한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유사도 판정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유사도 정보가 생성되면, 이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에 매칭되는 경우 현재 단말기를 이용 중인 사용자가 본인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관 인증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집된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기준 이미지 정보로 갱신하도록 유사도 판정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하면, 인증 서버를 통해 인증된 기관 인증 정보의 활성화 조건으로 실시간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인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얼굴 인식의 비교를 위한 기준 정보로, 등록 시 저장된 기준 이미지 정보뿐 아니라, 인증 시 마다 저장된 복수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인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 및 간략한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유사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이미지 간의 비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기준 이미지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해당 인증 방법은 도 1 및 도 2에서 제시된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방법으로 상술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인증 서버에 대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S11).
인증 서버에 대한 인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부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생체 인증 앱)을 다운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신호 의해 생체 인증 앱이 구동되면, 카메라부 통해 신분증 사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집된 신분증 사진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신분증 사진 정보는 신분증 텍스트 정보 및 신분증 사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신분증 텍스트 정보는, 신분증에 표기되는 발급일시,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에 관한 텍스트가 OCR(Optical Character Reader)에 의해 인식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신분증 정보가 인증 서버에 등록된 후,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서버에 대한 개인 인증을 통해서 인증 서버에 저장된 자신의 신분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신분증 정보는 인증 서버에 의한 인증이 이루어진 정보이므로, 기관 인증 정보일 수 있다.
반면, 이와는 달리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수집한 후, 인증 서버에 대한 인증이 실시되면, 해당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수십된 신분증 정보와 조합한 기관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인증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관 인증 정보의 생성 및 저장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인증 서버의 인증 방법은, SMS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지문, 홍체, 패턴, 얼굴 인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면, 통신부는 인증 서버로부터 기관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S13), 수신된 기관 인증 정보는 인증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S15).
이때, 기관 인증 정보에는 신분증 사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신분증 사진 정보는 기준 이미지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기관 인증 정보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부인방지(Non-Repudiation)'를 위해 SHA-3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 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인증 저장부에 저장되는 기관 인증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인증 저장부에 기관 인증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제어부는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
신분 확인 요청 정보는, 사용자의 신분에 대한 확인을 요구하는 정보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건, 편의점의 POS 단말기, 산업/연구 시설들의 출입 단말기 등에서 전송되어 통신부로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는,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9).
여기서,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포함된 얼굴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 본인의 얼굴 이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생체 동작 분석(Liveness Dtection)을 실시할 수 있다. 생체 동작 분석은 기울기, 각도 등의 조정 및 분석을 통해 카메라부를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의 대상이 실제 대상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타 단말기 또는 인쇄물에서 출력되는 훼이크 이미지 또는 훼이크 동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생체 동작 분석을 통해 본인 확인이 완료되는 경우, 서로 다른 촬영 시간 정보을 갖는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시간 간격이 1초로 설정되고, 3장의 얼굴 이미지 정보가 디폴트 정보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1초 간격으로 3장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는 이들 각각의 이미지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대상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각 얼굴 이미지 정보에 포함되는 특징점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얼굴 특징점 정보 분석은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수집된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가 동일한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 정보로 판단되면, 각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품질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품질 정보는, 각 이미지의 품질 정도에 관한 것으로 초점 흐림 정보, 밝기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잇다.
초점 흐림 정보는,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촬영 시 흔들림에 따른 흐림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밝기 정보는, 이미지 전체 픽셀에 대한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방향 정보는, 정면을 기준으로 대상체가 위치하는 방향의 정도를 나태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각 얼굴 이미지 정보의 품질 정보를 비교하여, 이 중 가장 높은 품질 정보를 갖는 얼굴 이미지 정보를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로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선정되면, 제어부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
유사도 정보는, 기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정보와 실시간으로 수집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유사도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인증 서버를 통해 등록되고 수신된 기관 인증 정보에는 신분증 사진 정보인 기준 이미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후, 제1 인증 실시에 따라 신분 확인 요청 정보에 의한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선정되어 유사도 판정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인증 실시 시, 유사도 판정부는 인증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굴 특징점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유사도 판단의 기준값이 95%인 경우, 기준 이미지 정보와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 정보가 95%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인증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 판정부는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촬영된 시간에 관한 촬영 시간 정보를 유사도 정보 생성 시 반영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 정보가 94%이고 촬영 시간 정보가 1년인 경우 유사도 정보만으로는 제1 인증이 실패할 수 있다. 하지만 촬영 시간에 따른 어드밴티지를 부여하여 1년 시간만다 1%의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대표 얼굴 이미지는 촬영 시간 정보가 1년 전이므로, 이에 따른 가산점 1%를 부여받아 총 95%의 유사도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는 제1 인증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증이 완료된 후, 추가적인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어 제2 인증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사도 판정부는 선정된 제2 대표 얼굴 이미지를 저장하고, 제2 대표 얼굴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 정보뿐 아니라, 이전에 저장된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와도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유사도 판정부는 저장값을 설정하고 각 인증 시 마다 선정되는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며, 기존 대표 얼굴 이미지 및 기준 이미지 정보와 각각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유사도 정보가 산출되면, 유사도 판정부는 해당 유사도 정보의 평균값인 유사도 평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해당 유사도 평균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인증 통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인증까지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사도 판정부는 저장값으로 5개의 대표 얼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이는 한정된 것은 아니면 실험 및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유사도 판정부에 대표 얼굴 이미지가 저장값에 대응되도록 모두 저장된 상태인 제5 인증 후, 다시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어 제6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사도 판정부는 저장된 복수의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들의 촬영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촬영 시간이 가장 오랜된 얼굴 이미지를 삭제하고, 삭제된 공간에 신규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비교 대상의 기본이 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는 삭제 불가 정보로 설정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삭제 및 저장의 갱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수 회의 인증이 발생하더라도 관련 정보의 저장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일 수 있다.
이런한 갱신 방식에서, 유사도 판정부는 대표 얼굴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신규로 수집되는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갱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말해, 너무 짧은 시간안에 복수의 인증이 발생되는 경우, 대표 얼굴 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므로, 유사도 판정부는 갱신 시간 간격에 관한 갱신 대기 시간을 참고하여 해당 갱신 대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신규로 수집되는 대표 얼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S23 단계로 돌아가, 유사도 정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기준 이미지 정보의 갱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7).
기준 이미지 정보는, 인증 서버를 통해 등록된 신분증 사진 정보로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대한 갱신을 필요로하는 기준 갱신 요청 정보가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만약, 기준 이미지 정보의 갱신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기관 인증 정보를 기초하여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S31). 기관 인증 정보는 초기 등록된 신분증 정보이므로, 오프라인의 신분증과 동일한 구조의 모발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기준 이미지 정보의 갱신에 대한 기준 갱신 요청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기준 이미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29).
기준 이미지 정보의 갱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도 판정부에 저장되는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 중, 최근 저장된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기존의 기준 이미지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인증에서는 기존 등록된 기준 이미지 정보를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반면, 제2 인증에서는 제1 인증에서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로 저장된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기준 이미지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이미지 정보가 갱신되면, 제어부는 기관 인증 정보에 갱신된 기준 이미지 정보를 적용하여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기준 이미지 정보의 갱신이 없는 경우에는, 최초 신분증 정보에 등록된 예전 사진이 적용된 모바일 신분증 정보가 생성되지만, 기준 이미지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최근 인증이 완료된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렇게 생성된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S31).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유사도 판정부를 통해 인증 시 마다 선정된 다수의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정함에 따라,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얼굴 변화를 고려한 인식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 정보를 인증 받은 얼굴 이미지 정보로 갱신함에 현 시점에서의 사용자 얼굴이 실질적으로 반영된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방지재 및 공기 정화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서비스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400)는 통신부(410), 감지센서부(420), 실내 공간 측정부(430), 제어부(440), 팬(450) 및 공기 정화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410)는 이동통신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15)는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서비스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1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420)는 실내 공간에 구비되고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부(420)는 화재 감지 센서, 침입 감지 센서, 응급 상황 발생 센서, 기기 고장 감지 센서 등 실내 공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공간 측정부(430)는 실내 공간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공간 측정부(430)는 카메라, 적외선 센터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정하여 실내 공간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에 구조 뿐만 아니라 출입문, 장애물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감지센서부(420)을 통해 수신된 위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에 서 분석된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황을 3단계로 분류('적색, 황색, 녹색 단계')할 수 있다.
1) 화재, 도난, 침입, 응급 발생 상황 시 적색 알림
2) 통제자가 없는 상황 또는 기기에 문제 발생 상황 시 황색 알림
3) 문제가 없는 일반적인 상황 시 녹색 알림
제어부(440)는 감지센서부(420)로부터 수신된 위험 상황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단계에 맞는 대응 알림 정보를 스피커,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팬(FAN)(450)은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내부에 있는 공기와 외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 정화부(460)는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내부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단말기에 방지재가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통신부(410), 저장부(415), 실내 공간 측정부(430), 제어부(440)는 기판(4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재(500)는 통신부(410), 저장부(415), 실내 공간 측정부(430), 제어부(440) 및 기판(4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5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방지재(5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8은, 도 7과 다른 방식으로 방지재가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480)은 통신부(410), 저장부(415), 실내 공간 측정부(430), 제어부(440) 및 기판(47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방지재(500)는 하우징(480)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5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48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재(5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9는, 방지재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방지재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층(510)은 방지재(500)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이다. 차단층(510)은 제1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대체로 사각형의 영역일 수 있다.
차단층(510)은 주로 빛을 차단하거나 방수 특성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착층(530)은 차단층(5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부착층(530)은 차단층(510)의 제1 영역에 대응하여 그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제2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역시 제1 영역과 동일하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착층(530)은 차단층(510)과 밀착되며 내충격성 확보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제1 부착층(530)은 베이스(531)와, 중공부(535)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531)는 제1 부착층(53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중공부(535)는 베이스(531)의 상면 측에서 오목 형성된 홈이다. 중공부(535)는 상기 제2 영역에서 복수 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캐비티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매트릭스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중공부(535)는 형태적으로 베이스(531)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제2 부착층(550)은 제1 부착층(530) 상에 적층되는 것이다. 제2 부착층(550)은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3 영역 역시 사각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2 영역에 맞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2 부착층(550)은 제1 부착층(530)의 중공부(535)를 외부에 대해 밀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중공부(535)를 가진 제1 부착층(530)이 차단층(510)에 전사된 후에 60℃에서 12시간 정도 경화된 후에, 제2 부착층(550)이 제1 부착층(530) 상에 다시 전사되어 중공부(535)가 공기를 가진 채로 밀폐될 수 있다.
제2 부착층(550)은 주로 피착 대상물과의 강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부착층(550)은 제1 부착층(530)과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착층(550)은 제1 부착층(530)과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나 구체적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부착층(530)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특성을 가진다면, 제2 부착층(550)은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갖게 된다. 제2 부착층(550)은 소프트한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의 베이스(551)에 중공형 볼 입자(555)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볼 입자(255)는, 예를 들어 실리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500)에 충격(I)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은 방지재(5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2 부착층(550)은 제1 부착층(530) 보다 소프트하면서도, 내부에 볼 입자(255)를 함유하여, 방지재(500)의 충격(I)에 대한 1차적 흡수 능력이 강화되게 한다.
나아가, 제1 부착층(530)은 베이스(531)의 충격 흡수력에 더하여 중공부(535)가 에어 트랩(Air Trap)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충격(I)에 따른 힘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공부(535)는 폭(W) 보다 깊이(D)가 몇 배 큰 구조를 가져서, 베이스(531) 중 중공부(535)와 중공부(535) 사이의 영역은 좌굴(buckling)에 의해 다소 변형되면서 위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차단층(510), 제1 부착층(530), 및 제2 부착층(550) 등에 의해, 방지재(500)는 방수 성능도 갖출 수 있게 된다.
돌출부(515)는 차단층(510)의 베이스(211)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돌출부(515)는 제1 부착층(5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515)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들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515)는 형태상으로는 돔 형상의 모양일 수 있다.
수용부(537)는 돌출부(515)를 수용하도록 돌출부(51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수용부(537)는 제1 부착층(530)의 일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있어서, 중공부(535)는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535)의 폭(W)은 수용부(537)의 폭(W')보다 좁고, 중공부(535)이 깊이(D)는 수용부(537)의 깊이(D')보다 깊은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차단층(510)의 다른 면에는 이상의 제1 부착층(530), 제2 부착층(550) 각각에 대응하는 부착층들(530')(5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5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2 부착층(550), 제1 부착층(530)을 통해 1차적,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돌출부(515)와 수용부(537)에 의한 강화된 충격 흡수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부착층(530)의 베이스(531)로 전달된 충격은 차단층(510)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돌출부(515) 및 수용부(537)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돌출부(515) 및 수용부(537)에 의한 충격 흡수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부(537)와 중공부(535)가 어긋나게 배치됨에 의해, 그들이 일치되게 배치되는 경우에서 제1 부착층(530)의 종방향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부(537)는 그의 폭(W')이 깊이(D')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서 중공부(535)에 비해 좌굴에 강하게 견디면서, 돌출부(515)와의 대응 면적 확대에 의해 충격 흡수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팬(fan)(450)은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40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열을 식힐 수 있다.
공기 정화부(460)는 팬(fan)(450)의 후단에 연결되며, 팬(fan)(45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460)는, 팬(fan)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충돌판(461)와, 상기 제1 충돌판(46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충돌판(4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와 상기 굴절각이 동일하여, 상기 제2 충돌판(462)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충돌판(461, 462)는, 충돌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공기 정화부(460)는, 상기 제1 충돌판(461)와 제2 충돌판(462)의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추가 충돌판(463) 및 상기 제1 상기 제2 충돌판(461, 462)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2 추가 충돌판(4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원호 형상의 차단 충돌판에 의하여 먼지들이 포집되고, 이것들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먼지들은 별도의 관(미도시)을 통해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인증 저장부
130: 유사도 판정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사용자 입력부
160: 제어부
200: 인증 서버

Claims (17)

  1.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인증 서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저장부;
    상기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유사도 판정부;
    실내 공간에 구비되고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실내 공간을 측정 및 분석하는 실내 공간 측정부;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사도 정보에 따라 상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는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의 빈도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수집되고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복수로 수집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 및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유사도 정보의 평균값에 대한 유사도 평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평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 인증 정보의 출력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서로 다른 촬영 시간 정보를 갖는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대상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의 품질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 이미지 정보 중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선정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와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는,
    최초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에 의해 제1 시간에 선정된 제1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시간 다음 시간인 제2 시간에 선정된 제2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삭제 불가 정보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기설정된 저장값을 초과하는 경우, 각 인증 시 선정되어 저장되는 복수의 상기 대표 얼굴 이지미 정보 중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부는,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에 의해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촬영 시간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관 인증 정보에 대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조합하여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신분증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분 확인 요청 정보의 요청 빈도에 따라 상기 기준 이미지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 수신된 위험 상황에 따라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에 서 분석된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부착층; 및
    상기 제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 분석을 통한 상황별 대응 및 알림 서비스 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17. 실내 공간을 측정 및 분석하는 실내 공간 측정부와,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기준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사도 정보에 따라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실내 공간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저장부가 인증 서버로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기관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신분 확인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가 카메라부를 구동시켜 사용자 이미지 정보룰 수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유사도 판정부가 기관 인증 정보에 포함되는 기준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유사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 인증 정보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0190013875A 2019-02-01 2019-02-01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KR10216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75A KR102162882B1 (ko) 2019-02-01 2019-02-01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75A KR102162882B1 (ko) 2019-02-01 2019-02-01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07A KR20200095907A (ko) 2020-08-11
KR102162882B1 true KR102162882B1 (ko) 2020-10-07

Family

ID=7204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75A KR102162882B1 (ko) 2019-02-01 2019-02-01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01B1 (ko) * 2020-08-18 2022-01-2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비대면 원격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시스템 및 그 인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3B1 (ko) * 2012-04-05 2013-09-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빔(bim)기반 상황 인지 시스템
JP2014067171A (ja) * 2012-09-25 2014-04-17 Nec Biglobe Ltd 人物認証用辞書更新方法、人物認証用辞書更新装置、人物認証用辞書更新プログラム及び人物認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8303B2 (ja) * 2001-12-07 200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出国審査系システム、出国審査方法、入国審査系システム、及び入国審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3B1 (ko) * 2012-04-05 2013-09-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빔(bim)기반 상황 인지 시스템
JP2014067171A (ja) * 2012-09-25 2014-04-17 Nec Biglobe Ltd 人物認証用辞書更新方法、人物認証用辞書更新装置、人物認証用辞書更新プログラム及び人物認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07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5256A1 (en) Analysis of reflections of projected light in varying colors, brightness, patterns, and sequences for liveness detection in biometric systems
US10438106B2 (en) Smartcard
US6907135B2 (en) Security check provision
US1091577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60299897A1 (en) License plate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CN101641715B (zh) 摄影装置、摄影方法以及摄影程序
KR101975962B1 (ko)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방법
KR20190040962A (ko) 라이브 이미지 캡처 중 스푸핑 공격 검출
KR102029128B1 (ko) 운전자간 블랙박스 사고영상을 상호교환하기 위한 iot 플랫폼 및 그 구현 방법
JP2007334707A (ja) 複数の生体情報で認証を行う生体認証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975961B1 (ko) 무인 숙박 시설을 위한 관리 장치
KR102079952B1 (ko) 얼굴 인식 출입 방법 및 장치
KR102296550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CN108959884B (zh) 人证核验装置和方法
JP6951796B1 (ja) 画像認識装置、認証システム、画像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2882B1 (ko)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기 및 방법
CN111091642A (zh) 一种智能安防系统及其工作方法
JP4618062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US99656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authentication
KR101725219B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200716236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6044911B1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WO2018179723A1 (ja) 顔認証処理装置、顔認証処理方法及び顔認証処理システム
KR102172200B1 (ko) 라이브니스를 검증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WO2021090743A1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