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48B1 -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48B1
KR102162848B1 KR1020180147472A KR20180147472A KR102162848B1 KR 102162848 B1 KR102162848 B1 KR 102162848B1 KR 1020180147472 A KR1020180147472 A KR 1020180147472A KR 20180147472 A KR20180147472 A KR 20180147472A KR 102162848 B1 KR102162848 B1 KR 10216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driving unit
dispos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781A (en
Inventor
곽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윙
Priority to KR102018014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48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로터 형태의 무인비행기로서, 외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추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복수의 보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터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보다 큰 추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되는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보다 많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roto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for generating thrus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A main body in whic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dispos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a receiving unit; A connection fram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riving units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nnection frame to additionally generate the thrust,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provides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greater thrust by additionally arrang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fly even when the load of the installed equipment increases or more cargo transportation is required.

Description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 큰 추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동부를 추가할 수 있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adding a driving unit to obtain greater thrust.

무인 비행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비행을 수행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가리킨다.Unmanned aerial vehicle refer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flying without a pilot on board.

무인 비행기의 일종인 드론은 언제 어디서든 이착륙이 가능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기존의 무인 비행체에 비하여 저가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방송 촬영용,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 산불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Drones, a kind of unmanned aerial vehicle, can take off and land anytime, anywhere, are easy to operate, and are cheaper and lighter than existing unmanned aerial vehicles, so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roadcasting shooting, disaster monitoring,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forest fire extinguishing.

드론은 회전익을 사용하므로 호버링(hovering)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로터(rotor)의 크기가 작은 멀티로터(multi-rotor) 타입이므로, 하나의 로터를 가지는 헬리콥터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더욱이, 엔진이 아닌 모터 기반이어서, 제어 성능이 우수하며, 비교적 소음이 적어 그 활용에 있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Since drones use a rotorcraft, they can be hovered.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rotor is a small multi-rotor type, it is more stable and safer than a helicopter having a single rotor. Moreover, since it is based on a motor rather than an engine, it has excellent control performance, and is relatively low in noise.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드론은 적용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장비예를 들어, 촬영용 카메라, 화재 진화 장비 등을 장착한 상태에서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Drones applied to various fields as described above can be flighted with equipment required in the field of application, for example, a camera for shooting and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또한, 드론을 이용하여 소정의 화물을 운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drones can be used to transport certain cargo.

상기와 같이, 촬영용 카메라, 화재 진화 장비 등을 드론에 장착하여 비행할 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촬영용 카메라 또는 화재 진화 장비가 보다 큰 하중을 갖는 대형의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flying by attaching a shooting camera,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etc. to a drone, the shooting camera 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may be replaced with a large-sized one having a larger loa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이 평상시 보다 큰 하중을 갖는 화물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rgo requiring transportation may be a cargo having a larger load than usual.

상기와 같이 드론에 탑재하는 장비 또는 화물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기존의 드론으로는 운송할 수 없어 보다 큰 대형의 드론을 준비해야한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load of equipment or cargo mounted on the drone increases, it cannot be transported with an existing drone, so a larger and larger drone must be prepared.

이때, 드론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모터만으로는 필요로 하는 추력을 얻을 수 없어 드론을 보다 대형의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one must be replaced with a larger one because the required thrust cannot be obtained only with the drive motor mounted on the drone.

대형 드론으로의 교체는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대형 드론을 항시 준비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replacement of a large drone means that you must always prepare a large drone that is not normally used, and this ha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cost.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1627042호를 예시할 수 있다.As a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7042 may be exemplif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보다 큰 추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되는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보다 많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가능한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dditionally arrang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thrust, and accordingly, the load of the installed equipment is increased or the transport of more cargo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expan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flying even in the case of a fl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로터(Multi-rotor) 형태의 무인비행기로서, 외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추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복수의 보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form of a multi-rotor, receiving a receiving unit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power supply supplying power,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that operate to generate thrus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 connection fram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riving units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nnection frame to additionally generate the thrust,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provides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구동부는, 쿼드콥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quadcopter shape.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관과, 일단이 상기 연결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본체 양단의 상기 메인 프레임의 대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 ends of the main body, a main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and fixed, and dispos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n auxiliary frame supporting the frame.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may be slidably disposed on the body.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관과, 양단부가 일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는 상기 연결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may include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a side end of the body, and both ends thereof are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bent end may include a main fram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상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와, 원형링 형태로서, 중심으로는 상기 모터와 상기 프로펠러가 배치되고 외부 물체가 상기 프로펠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펠러 보호링과, 상기 프로펠러 보호링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보호링이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driving unit is a motor tha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unit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propeller disposed on a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a circular ring shape, wherein the motor and the propeller are It may include a propeller protection ring that is disposed and prevents an external object from colliding with the propeller, and a connection bracket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and allows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to be detachable on the connection frame. .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driving unit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s the driving units.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보조 구동부는 옥타콥터(octa-copter)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may be arranged in an octa-copter sha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터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보다 큰 추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되는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보다 많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thrust by additionally arrang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ly even when the load of the installed equipment is increased or more cargo transportation is requir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신부, 전원부, 구동부, 제어부 및 보조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부분의 상세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사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rece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 driving unit, a control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connection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part A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riving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riving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riving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riving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ate of us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100)는 본체(110), 연결 프레임(120)을 포함한다.1 and 2,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nd a connection frame 120.

본체(110)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팔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shape required by the user.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n octagonal plan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본체(110)에는 수신부(111), 전원부(BAT), 구동부(114), 제어부(112) 및 보조 구동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11, a power supply unit (BAT), a driving unit 114, a control unit 112,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130.

또한, 본체(110)의 하부에는 이착륙을 위한 랜딩 기어(116)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anding gear 116 for take-off and landing may be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110.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신부, 전원부, 구동부, 제어부 및 보조 구동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rece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 driving unit, a control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수신부(111)는 무인비행기 조종사가 휴대하는 조정기(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The receiving unit 111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not shown) carri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ilot.

전원부(BAT)는 후술하는 구동부(114)의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BAT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4 to be described later.

전원부(BAT)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이 고출력을 낼수 있고, 크기가 작은 충전 가능한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BAT) is a rechargeable power supply having a small size and capable of producing high output like a lithium ion battery.

구동부(114)는 전원부(BAT)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소정의 추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가 외부 물체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펠러 보호링을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114 includes a motor operat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BAT, a propeller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thrust, and a propeller protection ring for preventing the propeller from contacting external objects.

구동부(11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개수로 배치된다. 구동부(114)의 배치개수에 따라 무인비행기는 트라이 콥터, 쿼드콥터, 헥사콥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기는 멀티로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구동부(114)는 쿼드콥터(quad-copter) 형태로 4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riving units 114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numb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arrangements of the driving unit 114,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ricopter, a quadcopter, and a hexacopter. It is assumed that four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quad-copter.

제어부(112)는 수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114)를 동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기(100)이 소정의 비행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2 operates the driving unit 11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11 so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predetermined flight mission.

보조 구동부(1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20)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보조 구동부(130)는 보다 큰 하중의 화물이 적재되어 보다 큰 추력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가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connection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at is,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by the user when a larger load of cargo is loaded and a larger thrust is required.

여기서, 보조 구동부(130)는 구동부(114)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무인비행기가 트라이 콥터 또는 쿼드콥터 형태인 경우, 보조 구동부(130)의 배치에 의해 무인비행기는 헥사콥터, 옥타콥터 형태가 될 수 있다. Here, the auxiliary driving units 130 may b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s the driving units 114. Accordingly,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in the form of a tricopter or a quadcop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in the form of a hexacopter or an octacopter by the arrangement of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또한, 보조 구동부(130)는 제어부(11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2.

보조 구동부(1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 프레임(120)은 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외부 물체와의 충돌 시, 본체(11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120)은 후술하는 보조 구동부(130)의 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12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to protect the main body 110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an external object. 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120 may provide an arrangement space for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connection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프레임(120)은 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120)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ion frame 12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frame 120 is disposed detachably.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Rod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여기서, 연결 프레임(120)은 연결관(121), 메인 프레임(122), 보조 프레임(124)을 포함한다.Here, the connection frame 120 includes a connection pipe 121, a main frame 122, and an auxiliary frame 124.

연결관(121)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서, 본체(110) 전방과 후방의 양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21)은 본체(110)의 측단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121 is a pip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may be disposed a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Here, the connection pipe 12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end of the body 110.

메인 프레임(122)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형태로서, 일단은 연결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선단과 후단의 폭이 단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태인 경우, 메인 프레임(122)의 타단은 단부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줄어들어 최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The main frame 122 is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ipe (). Her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widt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10 decreases toward the end, the other end of the main frame 122 is arranged in a form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ecreases toward the end, and the shortest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

보조 프레임(124)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형태로서, 양단이 메인 프레임(122)의 대향면 중간부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122)의 연결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124 is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ain frame 122 to suppor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ain frame 122.

상기와 같은 메인 프레임(122)과 보조 프레임(124)의 연결에 의해 연결 프레임(120)은 'A'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By connecting the main frame 122 and the auxiliary frame 124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frame 120 may be formed in a'A' shape.

도 5는 도 1의 A부분의 상세도면이다. 5 is a detailed view of part A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조 구동부(130)는 모터(M), 프로펠러(132), 프로펠러 보호링(134) 및 연결 브라켓(136)을 포함한다. 5,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M), a propeller 132, a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and a connection bracket 136.

모터(M)는 전원부(BAT)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한다. 이때, 모터(M)는 소정의 신호선이 제어부(112)에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부(11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터(M)의 회전방향은 본체(110) 상에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tor M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BAT. In this case, the motor M may have a predetermined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2 so that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2. In addi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M may b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n the main body 110.

모터(M)는 소정의 고정 마운트에 의해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20)과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motor M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 connection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by a predetermined fixed mount.

프로펠러(132)는 모터(M)의 구동축 상에 배치되어 모터(M)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 소정의 추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프로펠러(132)는 2엽 프로펠러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3엽 또는 4엽 프로펠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ropeller 132 is disposed o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M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thrust when i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M. The propeller 132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two-leaf propeller, but a three-leaf or four-leaf propeller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프로펠러 보호링(134)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프로펠러(132)가 외부의 물체와 접촉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prevents the propeller 132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ing an external object.

프로펠러 보호링(134)의 중심에는 모터(M)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로펠러 보호링(134)은 모터(M)를 지지하는 고정 마운트와 소정의 지지대(135)를 통해 연결되어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motor M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At this time,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may be connected through a fixed mount supporting the motor M and a predetermined support 135 to maintain an arrangement state.

연결 브라켓(136)은 프로펠러 보호링(134)의 외주 일측에 배치되어, 연결 프레임(120)에 프로펠러 보호링(13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브라켓(136)은 프로펠러 보호링(134)에 배치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터(M)를 지지하는 고정 마운트 또는 지지대(135)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13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so that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120.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bracket 136 is disposed on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134, but may be disposed on a fixed mount or support 135 supporting the motor M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연결 브라켓(136)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 프레임(120) 상에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 브라켓(136)은 연결 프레임(120) 상에 착탈될 수 있고, 비행 중, 보조 구동부(130)의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136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connection frame 12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connection bracket 136 may be attached or detached on the connection frame 12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f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during flight.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us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driving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 구동부(114)가 각각 배치되어 쿼드콥터(quad-copter)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units 114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a quad-copter.

도면에서 화살표는 각각의 구동부(114)가 포함하는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Arrows in the drawing indicat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propellers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s 114.

도 6에서는 구동만(114) 만으로도 비행을 할 수 있으므로, 연결 프레임은 본체(110)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 6, since it is possible to fly only with the drive 11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frame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사용자는 조종기를 조작하여 소정의 조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114)의 프로펠라는 소정의 동작량으로 회전하며 무인비행기가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비행하도록 한다.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or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and accordingly, the propeller of the driving unit 114 rotates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motion and allow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fly in a required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riving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으로 구동부(114)가 각각 배치되고, 보조 구동부(130)가 연결 프레임(120) 상에서 본체(1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으로 추가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riving units 114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s 130 ar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on the connection frame 120. You can see that it is.

즉, 무인비행기에 소정의 장비 또는 화물을 추가로 적재하여 보다 큰 추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연결 프레임(120)이 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도록 한 후 구동부(114)와 동일한 개수의 보조 구동부(130)를 연결 프레임(120) 상에 배치되어, 옥타콥터(octa-copter)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a larger thrust is required by additionally loading predetermined equipment or cargo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connection frame 120 i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n the same as the driving unit 114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driving units 130 are arranged on the connection frame 120 to form an octa-copter.

보조 구동부(130)가 추가된 후, 보조 구동부(130)는 제어부(112)와 제어 연결하여, 제어부(11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is adde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controls and connects with the control unit 112 to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2.

도면에서 화살표는 구동부(114)와 보조 구동부(130)가 각각 포함하는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Arrows in the drawing indicat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propellers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respectively.

사용자는 조종기를 조작하여 소정의 조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114)와 보조 구동부(130)가 각각 포함하는 프로펠러는 소정의 동작량으로 회전하며 무인비행기가 비행하도록 한다.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or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and accordingly, the propellers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rotate at a predetermined amount of motion and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fly.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nection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연결 프레임(120A)은 본체(110A)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frame (120A)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the body (110A).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결 프레임(120A)은 연결관(121A)과 메인 프레임(120A)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connection frame (120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ipe (121A) and a main frame (120A).

연결관(121A)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서, 본체(110) 전방과 후방의 양측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21A)은 본체(110)의 측단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121A is a tub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and may be disposed a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10, respectively. Here, the connection pipe 121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end of the body 110.

메인 프레임(120A)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을 'ㄷ'형태로 절곡하여 이루어진다. The main frame 120A is formed by bending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c' shape.

메인 프레임(120A)의 폭은 본체(110A)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main frame 120A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main body 110A.

메인 프레임(120A)의 양단은 연결관(121A) 내측으로 삽입된 후, 클램프와 같은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main frame 120A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121A and then fixed by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such as a clamp.

메인 프레임(120A)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A 상태에서 B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main frame 120A may slide from the A state to the B stat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riving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양측 전방과 후방으로 구동부(114)가 각각 배치되어 쿼드콥터(quad-copter)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units 114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a quad-copter.

이때, 각각의 구동부(114)가 포함하는 프로펠러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동작함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propeller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s 114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여기서, 연결 프레임(120A)은 길이가 축소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120A is reduc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구동부와 보조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driving unit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10A)의 양측 전방과 후방으로 구동부(114)가 각각 배치되고, 보조 구동부(130)가 본체(110A)의 양측 전방과 후방으로 추가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driving units 114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A,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s 130 ar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A. .

즉, 무인비행기에 소정의 장비 또는 화물을 추가로 적재하여 보다 큰 추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연결 프레임(120A)을 본체(110A)의 전방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구동부(114)와 동일한 개수의 보조 구동부(130)를 연결 프레임(120A) 상에 배치하여, 옥타콥터(octa-copter)의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a larger thrust is required by additionally loading predetermined equipment or cargo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fter sliding the connecting frame 120A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10A, the same as the driving unit 114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driving units 130 are arranged on the connection frame 120A to form an octa-copter.

보조 구동부(130)가 추가된 후, 보조 구동부(130)는 제어부(112)와 제어 연결하여, 제어부(11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is adde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controls and connects with the control unit 112 to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2.

도면에서 화살표는 구동부(114)와 보조 구동부(130)가 각각 포함하는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은 도 7에 도시된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Arrows in the drawing indicate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may be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shown in FIG. 7.

사용자는 조종기를 조작하여 소정의 조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114)와 보조 구동부(130)가 각각 포함하는 프로펠러는 소정의 동작량으로 회전하며 무인비행기가 비행하도록 한다.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or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and accordingly, the propellers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rotate at a predetermined amount of motion and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fly.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기의 사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ate of us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소정의 장비 또는 화물을 추가로 적재하여 보다 큰 추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쿼드콥터 형태의 무인비행기(100)을 전후로 배치한 후, 연결 프레임(120A)를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슬라이딩된 연결 프레임(120A)을 서로 연결하여 구동부가 옥타콥터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when a larger thrust is required by additionally loading predetermined equipment or cargo, after disposing the quadcopter-typ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ack and forth, and sliding the connecting frame 120A, , It can be seen that the sliding connection frames 12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unit is arranged in an octacopter shape.

사용자는 조종기를 조작하여 소정의 조종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114)와 보조 구동부(130)가 각각 포함하는 프로펠러는 소정의 동작량으로 회전하며 무인비행기가 비행하도록 할 수 있다. A user manipulates a manipulator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and accordingly, a propeller included in each of the driving unit 114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1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mount of motion and allow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f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터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보다 큰 추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착되는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보다 많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비행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thrust by additionally arrang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propeller,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ly even when the load of the installed equipment increases or more cargo transportation is required Do.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무인비행기 110, 110A: 본체
120, 120A: 연결 프레임 130: 보조 구동부
100: unmanned aerial vehicle 110, 110A: main body
120, 120A: connection frame 130: auxiliary drive unit

Claims (9)

멀티로터 형태의 무인비행기로서,
외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추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복수의 보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As a multi-roto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 receiv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for generating thrust by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A main body on whic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is disposed;
A connection frame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It is disposed detachably on the connection fram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driving units for additionally generating the thrust,
The auxiliary driv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connection frame,
Multipurpose expan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is slid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쿼드콥터 형태로 배치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a multi-purpose expan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quadcop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frame,
Multipurpose expan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관과,
일단이 상기 연결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본체 양단의 상기 메인 프레임의 대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frame,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side ends of the body, respectively,
A main frame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fixed,
Multipurpose expandable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dispos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main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연결관과,
양단부가 일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는 상기 연결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frame,
A connection pipe disposed at each side end of the main body,
Both ends are bent in one direction, the bent end is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comprising a main frame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상에 배치되는 프로펠러와,
원형링 형태로서, 중심으로는 상기 모터와 상기 프로펠러가 배치되고 외부 물체가 상기 프로펠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펠러 보호링과,
상기 프로펠러 보호링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 보호링이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driving unit,
A mot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propeller disposed o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the motor and the propeller are arranged at a center thereof, and a propeller protection ring for preventing an external object from colliding with the propeller,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a connection bracket that allows the propeller protection ring to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uxiliary driving unit is a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is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s the driv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보조 구동부는 옥타콥터(octa-copter) 형태로 배치되는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and the auxiliary driving unit are multipurpose extended unmanned aerial vehicles that are arranged in an octa-copter form.
KR1020180147472A 2018-11-26 2018-11-26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162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72A KR102162848B1 (en) 2018-11-26 2018-11-26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72A KR102162848B1 (en) 2018-11-26 2018-11-26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81A KR20200061781A (en) 2020-06-03
KR102162848B1 true KR102162848B1 (en) 2020-10-07

Family

ID=710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72A KR102162848B1 (en) 2018-11-26 2018-11-26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26Y1 (en) * 2020-02-25 2021-10-13 주식회사 위즈윙 Unmanned vehicle
WO2022040948A1 (en) * 2020-08-26 2022-03-03 叶殊钨 Multirotor manned aerial vehicle
KR102561823B1 (en) * 2021-06-30 2023-08-02 주식회사 드론프릭 Carrier dr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6477B1 (en) * 2014-08-25 2017-06-13 Amazon Techonlogies, Inc. Adjustable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1876846B1 (en) * 2016-12-16 2018-07-11 주식회사 신드론 Crop Dusting Drones Capable of Lateral Spra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81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0170B2 (en) Reconfigurable battery-operated vehicle system
KR102162848B1 (en)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N111655578B (en) Fixed win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hybrid UAV
EP36385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606673B (en) Tilt-rotor aircraft with interchangeable payload modules
US11014666B2 (en) Airframe
EP3097014B1 (en)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US20190233100A1 (en) Reconfigurable battery-operated vehicle system
KR101554487B1 (en) Multi rotor aerial vehicle
US92059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payload distribution system
US9387939B2 (en) VTOL—twin—propeller—attitude—control—air—vehicle
US20190176986A1 (en) Multi-craft uav carrier system and airframe
US8844860B2 (en) Foldable rise and stare vehicle
US11866166B2 (en) System forming a two degrees of freedom actuator, for example for varying the pitch angle of the blades of a propeller during rotation
JP2012533476A (en) Reconfigurable aircraft
KR20220034024A (en) AERIAL VEHICLES WITH UNCOUPLED DEGREES OF FREEDOM
JP2014076676A (en) Unmanned helicopter
JP2014227016A (en) Remote control type pilotless plane
WO2015115913A1 (en) Multipurpose aircraft
CN113371182A (en) Barrel-type transmitted reconnaissance attack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02645B1 (en) Aerial vehicle
KR102101636B1 (en) Dron
KR101883986B1 (en) Reconfigurable Modular Prefabricated UAV
KR20190094780A (en) Deformabl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24858B1 (en)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