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786B1 -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 Google Patents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786B1
KR102162786B1 KR1020200048015A KR20200048015A KR102162786B1 KR 102162786 B1 KR102162786 B1 KR 102162786B1 KR 1020200048015 A KR1020200048015 A KR 1020200048015A KR 20200048015 A KR20200048015 A KR 20200048015A KR 102162786 B1 KR102162786 B1 KR 10216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etergent
foam
spray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tire and a wheel cleaning apparatus. The automotive tire and the wheel cleaning apparatus include: a detergent spraying part sequentially spraying a cleaning detergent and foam onto the wheels and tires of a vehicle; and a cleaning water spraying part spraying cleaning water to the wheels and the tires of the vehicle to which the detergent and the foam have been applied through the detergent spraying part. The detergent spraying part includes: a pair of guide bases formed to be wider than that of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longer than that of the length of the vehicle; a nozzle frame including a detergent nozzle spraying detergent to the wheels and the tires of the vehicle while being moved along a pair of the guide bases, and a foam nozzle spraying foam; a nozzle frame supporting the nozzle part; a nozzle operation par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enable the nozzle frame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bases; a detergent supply part supplying detergent and foam to the detergent nozzle and the foam nozzle respectively; a vehicle sensing sensor sensing the vehicle entering a pair of the guide bases;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nozzle part such that the nozzle part sequentially supplies detergent and foam to the wheels and the tires while reciprocating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praying position by operating the nozzle operation part and the detergent supply part in accordance with a sensing result of the vehicle sensing sens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leaning the wheels and tires cleanly by sequentially performing procedures for spraying detergent and foam and spraying cleaning water.

Description

차량의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devic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타이어와 휠만 차량 표면과 별도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cleanly washing only tires and wheels of a vehicle separately from a vehicle surface.

세차기는 차량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러한 세차기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차량의 정면, 상면, 후면 및 측면을 세차하게 된다.A car washer is a device for cleanly cleaning the surface of a vehicle, and in such a car wash, a plurality of brushes install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otate to wash the front, top,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자동차의 외표면과 함께 자동차의 휠과 타이어의 경우에도 세차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데, 자동세차 또는 셀프세차를 수행하더라도 자동차의 외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기구와 장비들이 개발된 상태이기 때문에 타이어와 휠의 경우에는 세차 전 또는 세차 후 이용자가 스펀지에 세제를 묻힌 후 오염물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였다.Along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the wheels and tires of the car are indispensable during the car wash process. Even if an automatic car wash or self car wash is performed, equipment and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to clea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 In the case of, the user had to remove the contaminants one by one after washing the car or after washing the car with a sponge on the detergent.

자동차가 포장이 잘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는 휠과 타이어의 오염이 덜하지만, 비포장도로, 시골길, 산길, 빗길 또는 눈길 주행의 경우에는 오염이 심각해진다. When a car runs on a well-paved road, the contamination of wheels and tires is less, but when a car runs on a road that is unpaved, a country road, a mountain road, a rain or snow road, the contamination becomes serious.

이렇게 오염된 휠과 타이어는 차량의 외표면을 세차하는 세차장비를 통과하더라도 오염이 제대로 닦이지 않는 한계가 있다. 오염이 제대로 닦이지 않은 상태의 휠과 타이어로 주행할 경우, 타이어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Such contaminated wheels and tires have a limitation in that contamination is not properly wiped even if they pass through car wash equipment that wash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If you drive with wheels and tires that have not been cleaned properly, the life of the tires will be shorten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휠과 타이어만 별도로 전문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o provide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professionally washing only wheels and tires separately.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는, 차량의 타이어와 휠로 세척을 위한 세제와 폼을 순차적으로 분사하는 세척제분사부와; 상기 세척제분사부에서 세제와 폼이 도포된 차량의 타이어와 휠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제분사부는, 차량의 폭보다 넓고 차량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휠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노즐과, 폼을 분사하는 폼노즐이 함께 구비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를 지지하는 노즐프레임과; 상기 노즐프레임이 상기 가이드베이스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와; 세제와 폼을 상기 세제노즐과 상기 폼노즐로 각각 공급하는 세척제공급부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와; 상기 차량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제공급부와 상기 노즐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노즐부가 초기위치로부터 분사위치까지 왕복 이동하며 상기 타이어와 휠로 세제와 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tergent spraying unit sequentially spraying detergent and foam for washing with tires and wheels of a vehicle; And a washing water spraying portion for spraying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agent spraying portion to tires and wheels of a vehicle on which detergent and foam are applied, and the detergent spray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guide bases that ar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vehicle. ; A nozzle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pair of guide bases and includes a detergent nozzle for spraying detergent to tires and wheels of the vehicle, and a foam nozzle for spraying foam; A nozzle frame supporting the nozzle unit; A nozzle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nozzle frame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base; A detergent supply unit for supplying detergent and foam to the detergent nozzle and the foam nozzle, respectively; A vehicl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vehicle entering the pair of guide bas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and the nozzle driving unit to be reciproc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jection position by driving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and the nozzl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and to sequentially supply detergent and foam to the tire and wheel. It is characteriz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분사위치로 이동될 때는 상기 세제노즐이 타이어와 휠로 세제를 분사하고, 상기 분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는 상기 폼노즐이 타이어와 휠로 폼을 분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nozzle unit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praying position, the detergent nozzle sprays the detergent to the tire and the wheel, and when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praying position, the foam nozzle is moved to the tire and the wheel. Foam can be spray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제공급부는, 상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조와, 상기 세제저장조와 상기 세제노즐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과, 상기 세제저장조의 세제를 상기 세제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와, 상기 폼이 저장되는 폼저장조와, 상기 폼저장조와 상기 폼노즐을 연결하는 폼공급관과, 상기 폼저장조의 폼을 상기 폼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폼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베이스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즐프레임가이드와, 상기 세제공급관과 상기 폼공급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급관가이드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와 상기 공급관프레임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프레임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노즐과 상기 폼노즐을 함께 지지하는 노즐결합판과; 상기 노즐결합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관과; 상기 가이드결합관으로부터 상기 구동체인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동체인과 결합되는 체인결합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gent supply unit includes a detergent storage tank in which the detergent is stored, a detergent supply pipe connecting the detergent storage tank and the detergent nozzle, and a detergent pump for supplying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storage tank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And a foam storage tank in which the foam is stored, a foam supply pipe connecting the foam storage tank and the foam nozzle, and a foam pump supplying the foam of the foam storage tank to the foam supply pipe, and the guide base includes the A nozzle frame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nozzle unit, and a supply pipe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and the foam supply pipe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nozzle driving part includes a driving mo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guide base; And a driving chain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rame guide and the supply pipe frame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se and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nozzle frame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nozzle coupling plate supporting the detergent nozzle and the foam nozzle together; A guide coupling pipe provided under the nozzle coupling plate and coupled to the nozzle frame guid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It may include a chain coupling bracket extending from the guide coupling pipe toward the drive chain and coupled to the drive chai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수직프레임이 수직하게 결합된 I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결합관은 내부에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가 수용될 때,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의 상부 수평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접촉하며 회전하는 수평롤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을 접촉지지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수직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zzle frame guide is formed of an I-beam in which a vertical frame is vertically coupled between a pair of horizontal frames, and the guide coupling tube is the nozzle frame when the nozzle frame guide is accommodated therein. It may include a horizontal roller rotating while contacting the upper horizontal frame of the gu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ir of vertical rollers rotating while contact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vertical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베이스에는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분사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복귀감지센서와 이동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프레임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의 이동시에 상기 복귀감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는 센서감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가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분사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세제펌프의 구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타이머와, 상기 노즐부가 상기 분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폼펌프의 구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uide base is provided with a return detection sensor and a movement detection sensor that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jection position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nozzl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and a lower portion of the nozzle frame There is provided a sensor detection bar which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and detects an approach by the return detection sensor and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when the nozzle part moves, and when the nozzle part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jection position, the driving motor And a first timer for counting the driving time of the detergent pump, and a second timer for counting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foam pump when the nozzle unit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praying position. h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수분사부는, 상기 세척제분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며, 차량의 폭 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세정수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정수노즐부는, 세정헤드와; 상기 세정헤드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정헤드로 고압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세정헤드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타이어와 휠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회전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includes a pair of washing water nozzle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agent spray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the pair of washing water nozzles Blowing, a cleaning head; It is disposed radially in the cleaning head, and when the high-pressure cleaning water flows into the cleaning head,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cleaning head by pressur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nozzles for spraying the cleaning water toward the tire and wheel.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는 차량의 외부 표면이 아니라 타이어와 휠만 전문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특히, 타이어와 휠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제와 폼을 각각 독립적으로 분사하고, 이를 세정수로 세척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타이어와 휠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The vehicle tire and whee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alizes in cleaning only the tires and wheels, not the exterior surfaces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since detergents and foams capable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tires and wheels are sprayed independently, and the process of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is sequentially performed, tires and wheels can be cleaned cleanly.

또한,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는 각 센서들과 타이머들에 의해 작업자의 개입이 최소화되며 자동으로 세척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a worker by respective sensors and timers, and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측면구성과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세척제분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세척제분사부의 노즐부와 노즐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노즐부가 노즐프레임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세척제분사부의 세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세정수분사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세차수분사부의 세정수노즐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ide configuration and a plan configuration of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agent spraying unit of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zzle part and a nozzle frame of a cleaning agent spraying unit;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nozzle unit of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ning process of a cleaning agent spraying unit of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washing water spray unit of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water nozzle portion of the car wash spray por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의 측면 및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ide and planar configuration of a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1, and FIG. 3 is a tire and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heel washing apparatus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는 진입한 차량(A)의 타이어와 휠(B)을 세척하기 위한 세제(D)와 폼(E)을 분사하는 세척제분사부(100)와, 세척제분사부(100)의 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세제(D)와 폼(E)이 분사된 상태로 이동된 차량의 타이어와 휠(B)로 세정수(W)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타이어와 휠(B)을 세척하는 세정수분사부(200)와, 세척제분사부(100)와 세정수분사부(200)가 원활히 동작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gent spraying unit for spraying a detergent (D) and a foam (E) for washing the tires and wheels (B) of the entered vehicle (A) ( 100) and the washing water (W) at high pressure with the tires and wheels (B) of the vehicl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nd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D) and the foam (E) are sprayed. It includes a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for washing tires and wheels B by spraying,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so that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nd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operate smoothly.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는 터널식 자동세차장 또는 수동세차장의 전방에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타이어와 휠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는 세척제분사부(100)에서 타이어와 휠(B)을 세척하는데 효과적인 세제(D)를 1차로 타이어와 휠에 분사하여 타이어와 휠(B) 표면의 큰 이물질을 탈락시키고, 버블형태의 폼(E)을 2차로 분사하여 타이어와 휠(B)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coupled to the front of a tunnel-type automatic car wash or a manual car wash, or is independently installed and used to wash tires and wheels of a vehicle. The tire and wheel clea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sprays a detergent (D) effective for cleaning the tire and wheel (B) from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to the tire and wheel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tire and wheel (B). The large foreign matter is removed, and the bubble-shaped foam (E) is sprayed secondarily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tire and wheel (B).

폼(E)은 타이어와 휠(B) 표면의 이물질을 분해한다. 폼(E)이 부착된 상태로 차량은 세정수분사부(200)로 이동된 후, 고압의 세정수(W)가 타이어와 휠로 분사되어 폼(E)과 함께 타이어와 휠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Foam (E) decomposes foreign matter on the tire and wheel (B) surfaces. With the foam (E) attached, the vehicle is moved to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and then high-pressure washing water (W) is sprayed to the tires and wheels, and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tires and wheels along with the foam (E) are removed. Can be removed cleanly.

이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타이어와 휠을 세척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타이어와 휠의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cleanly remove the dirt from the tires and wheels without having to manually wash the tires and wheels.

도 4은 세척제분사부(100)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한쪽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제분사부(100)는 차량의 폭 보다 넓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와,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노즐부(120)와, 각 노즐부(12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노즐프레임(130)과, 노즐부(120)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노즐구동부(140)와, 노즐부(120)로 세제(D)와 폼(E)을 공급하는 세척제공급부(150)와, 세척제분사부(100)의 구동을 위한 센서부(160)와, 차량의 종류를 비롯한 세척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configuration of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of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s shown in Figs. 1 to 4,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is provided to be movable on a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nd a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that are dispos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nozzle units 120, a nozzle frame 130 for movably supporting each nozzle unit 120, a nozzle driving unit 14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back and forth, and a nozzle A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detergent (D) and foam (E) to the unit 120, a sensor unit 160 for driving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nd washing conditions including the type of vehicle are user It includes an input unit 170 received from the input.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는 양쪽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노즐부(12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는 통상적인 모든 종류의 차량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폭과 길이가 설정된다. A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re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to support the nozzle unit 120 so that i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re set so that all types of conventional vehicles can enter the interior.

각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2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노즐프레임가이드(111)와, 노즐프레임가이드(111)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을 수용하는 케이블체인(125)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급관가이드(113)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guide base (110, 110a), as shown in Fig. 7, a nozzle frame guide 111 that guides the nozzle unit 120 to move back and forth, and a nozzle frame guide 111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rgent. Supply pipe guides 113 movably supporting the cable chain 125 accommodating the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are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노즐프레임가이드(111)는 단면이 "I" 형태의 I빔으로 구비된다.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노즐프레임(130)이 전후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 때, 노즐프레임(13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상하좌우로 편향되지 않고 균형을 잡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롤러(134)와 한 쌍의 수직롤러(135)가 구비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nozzle frame guide 111 is provided with an I beam having an "I" shape in cross section. The nozzle frame 130 linearly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111. At this time, inside the nozzle frame 130, as shown in FIG. 5, the horizontal roller 134 and a pair of horizontal rollers 134 and a pair of Vertical rollers 135 ar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공급관가이드(113)는 노즐프레임가이드(11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노즐프레임(130)이 노즐부(120)와 함께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때 각 노즐(121,123)들로 세제(D)와 폼(E)을 공급하는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도 노즐(121,123)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고, 케이블체인(125)도 공급관가이드(113)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The supply pipe guide 11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ozzle frame guide 111, and when the nozzle frame 13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111 together with the nozzle unit 120, each nozzle 121 and 123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supplying detergent (D) and foam (E) are guided so that they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nozzles 121 and 123, and the cable chain 125 is also guided along the supply pipe guide 113. Guide them to be moved.

공급관가이드(113)는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체인(125)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한다. 공급관가이드(113)는 케이블체인(125)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가이드(113)는 다관절형태로 구비되어 굽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된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을 안정적으로 수용한다. The supply pipe guide 113 is provided in a "c"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cable chain 125 accommodated therei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ly pipe guide 113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able chain 125. The supply pipe guide 113 is provided in a multi-joint shape and can be bent or unfolded freely to stably accommodate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accommodated therein.

노즐부(120)는 차량의 타이어와 휠(B)로 세제(D)와 폼(E)을 분사한다. 도 5는 노즐부(120)와 노즐프레임(13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노즐부(12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20)는 세제(D)를 분사하는 세제노즐(121)과, 폼(E)을 분사하는 폼노즐(123)이 함께 구비된다. The nozzle unit 120 sprays detergent (D) and foam (E) onto the vehicle's tires and wheels (B).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nozzle unit 120 and the nozzle frame 130,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nozzle unit 120. As shown, the nozzle unit 120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nozzle 121 for spraying a detergent (D) and a foam nozzle 123 for spraying a foam (E).

세제노즐(121)과 폼노즐(123)은 각각 노즐프레임(130)의 노즐결합블럭(131a)에 위치가 고정된다. 세제노즐(121)과 폼노즐(123)은 각각 세제노즐연결관(121a)과 폼노즐연결관(123a)이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세제노즐연결관(121a)과 폼노즐연결관(123a)에는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이 결합된다.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foam nozzle 123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nozzle coupling block 131a of the nozzle frame 130.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foam nozzle 123 have a detergent nozzle connector 121a and a foam nozzle connector 123a extending rearward for a certain length, respectively, and the detergent nozzle connector 121a and the foam nozzle connector 123a ) Is coupl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세제노즐연결관(121a)과 폼노즐연결관(123a)은 노즐프레임(130)에 거치되고,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은 케이블체인(125) 내부에 수용된다.The detergent nozzle connection pipe 121a and the foam nozzle connection pipe 123a are mounted on the nozzle frame 130, and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are accommodated in the cable chain 125.

노즐부(120)는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를 각각 세척할 수 있도록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전후로 2개가 구비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에 총 4개의 노즐부(120)가 구비된다. Two nozzle units 120 are provid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so as to wash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That is, a total of four nozzle units 120 are provided on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케이블체인(125)은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을 내부에 수용한다.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은 노즐프레임(130)이 전후로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되게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노즐프레임(130)이 전후로 이동될 때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이 서로 꼬이거나 노즐프레임(13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케이블체인(125) 내부에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이 수용된다. The cable chain 125 accommodates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therein.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ar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nozzle frame 130 is moved back and forth. When the nozzle frame 130 is moved back and forth,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are not twisted together or interfere with the nozzle frame 130. The supply pipe 124 is accommodated.

케이블체인(125)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절형태로 구비되어 절첩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케이블체인(125)은 공급관가이드(113) 상에 위치되며, 노즐프레임(130)의 위치에 연동하여 함께 공급관가이드(113)를 따라 이동된다. The cable chain 125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provided in a joint shape to facilitate folding. The cable chain 125 is located on the supply pipe guide 113 and is moved along the supply pipe guide 113 together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nozzle frame 130.

노즐프레임(130)은 노즐부(120)가 노즐구동부(14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노즐부(120)를 지지한다. 노즐프레임(13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세제노즐(121)과 폼노즐(123)이 결합되는 노즐결합판(131)과, 노즐결합판(131)의 하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축(132)과, 수직축(132)의 하부에 구비되어 노즐프레임가이드(1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결합관(133)과, 가이드결합관(133)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형성되어 노즐구동부(140)의 구동체인(143)에 결합되는 체인결합브라켓(136)을 포함한다. The nozzle frame 130 supports the nozzle unit 120 so that the nozzle unit 12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force of the nozzle driving unit 140. The nozzle frame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ertain area as shown in FIGS. 5 to 7 and a nozzle coupling plate 131 to which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foam nozzle 123 are coupled, and a nozzle coupling plate A vertical shaft 132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131, a guide coupling pipe 133 provided below the vertical shaft 132 and movably coupled to the nozzle frame guide 111, and a guide coupling pipe 133 ) Extending from the side and coupled to the driving chain 143 of the nozzle driving unit 140, and a chain coupling bracket 13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결합판(131)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형태로 구비된다. 노즐결합판(131)은 세제노즐(121)과 세제노즐연결관(121a), 폼노즐(123)과 폼노즐연결관(123a)을 모두 거치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된다. 노즐결합판(131)의 전방에는 일정 높이 돌출된 노즐결합블럭(131a)이 구비되고, 노즐결합블럭(131a)에 세제노즐(121)과 폼노즐(123)이 외부를 향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7,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is provided with an area capable of mounting both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detergent nozzle connector 121a, the foam nozzle 123 and the foam nozzle connector 123a. A nozzle coupling block 131a protruding at a certain heigh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and a detergent nozzle 121 and a foam nozzle 123 are fitted to the outside to fix the posi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132)은 노즐결합판(131)과 가이드결합관(133)을 서로 연결한다. 수직축(132)은 노즐결합판(131)이 차량의 바퀴 또는 휠의 중심부근에 위치되도록 노즐결합판(131)의 높이를 조절한다. As shown in FIG. 5, the vertical shaft 132 connects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and the guide coupling pipe 133 to each other. The vertical shaft 132 adjusts the height of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so that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is located near the wheel of the vehicle or the center of the wheel.

수직축(132)은 경우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종류에 따라 수직축(132)의 높이를 조절하여 세제(D)와 폼(E)이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타이어와 휠(B)에 제대로 분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vertical shaft 132 may be provid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some cases.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shaft 132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the detergent (D) and the foam (E) can be properly sprayed onto the tires and wheels (B) of various types of vehicles.

가이드결합관(133)은 노즐프레임가이드(111)에 결합되어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전후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결합관(133)은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에 노즐프레임가이드(111)가 끼워진다. The guide coupling pipe 133 is coupled to the nozzle frame guide 111 and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111. As shown in Figure 6, the guide coupling pipe 133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nozzle frame guide 111 is fitted in the lower portion.

가이드결합관(133)의 폭은 노즐프레임가이드(111)의 수평가이드(111a)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가이드결합관(133)의 내부에는 수평가이드(111a)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아이들회전되게 구비된 수평롤러(134)와, 수직가이드(111b)의 양쪽에 아이들회전 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수직가이드(111b)를 접촉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롤러(135)를 포함한다. The width of the guide coupling pipe 13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uide 111a of the nozzle frame guide 111. In the inside of the guide coupling pipe 133, a horizontal roller 134 provided to id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guide 111a, and a vertical direction provided to allow idle rotation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guide 111b It includes a pair of vertical rollers 135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guide 111b.

수평롤러(134)와 한 쌍의 수직롤러(135)는 노즐프레임가이드(111)의 수평가이드(111a)와 수직가이드(111b)를 접촉지지하며 회전되어 노즐프레임(130)이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이동될 때, 상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The horizontal roller 134 and a pair of vertical rollers 135 are rotated while contacting the horizontal guide 111a and the vertical guide 111b of the nozzle frame guide 111, so that the nozzle frame 130 is rotated. When moving along ), it is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oved in a balanced state without being deflected in either direction.

체인결합브라켓(136)은 가이드결합관(133)의 일측에 구동체인(143)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구동체인(143)에 고정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결합브라켓(136)은 구동체인(143)에 고정결합되어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체인(143)이 이동될 때, 구동체인(14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체인(143)과 함께 노즐프레임(130)이 이동되게 구동력을 전달한다. The chain coupling bracket 136 is formed extending toward the drive chain 143 on one side of the guide coupling pipe 133 and fixedly coupled to the drive chain 143. As shown in Figure 7, the chain coupling bracket 136 is fixedly coupled to the drive chain 143 and is fixed to the drive chain 143 when the drive chain 143 is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141. Therefore,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so that the nozzle frame 130 is moved together with the driving chain 143.

노즐구동부(140)는 노즐부(120)가 결합된 노즐프레임(130)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노즐구동부(140)는 하나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노즐부(120)로 구동력을 각각 제공한다. The nozzle driving unit 140 transmit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nozzle frame 130 to which the nozzle unit 120 is coupled is moved back and forth. The nozzle driving unit 14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guide base 110 and 110a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pair of nozzle units 120, respectively.

노즐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이스(110,110a)에는 양쪽으로 한 쌍의 모터수용박스(146)와, 한 쌍의 종동풀리수용박스(147)가 구비된다. 모터수용박스(146)에는 구동모터(141)가 수용되고 종동풀리수용박스(147)에는 종동풀리(미도시)가 수용된다. The nozzle driving unit 140 includes a driving motor 141 and a driving chain 143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41. Here, as shown in FIG. 4, a pair of motor receiving boxes 146 and a pair of driven pulley receiving boxes 147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The driving motor 141 is accommodated in the motor receiving box 146 and a driven pulley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driven pulley receiving box 147.

구동체인(143)은 구동모터(141)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미도시)와 종동풀리(미도시) 사이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구동체인(143)은 경우에 따라 와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drive chain 143 is coupled to be rotated between a drive pulley (not shown) and a driven pulley (not shown)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141. The drive chain 14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in some cases.

구동모터(14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와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14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number of rotations.

세척제공급부(150)는 노즐부(120)로 세제(D)와 폼(E)이 공급되게 한다. 세척제공급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이스(110,110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세척제공급부(150)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조(151)와, 세제저장조(151)의 세제를 혼합하여 세제공급관(122)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152)와, 폼이 저장되는 폼저장조(153)와, 폼저장조(153)의 폼을 폼공급관(124)으로 공급하는 폼펌프(154)와, 세제저장조(151)와 폼저장조(153)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55)를 포함한다. 세제펌프(152)와 폼펌프(154)는 각각 세제공급관(122) 및 폼공급관(124)과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제공급관(122)과 폼공급관(124)에는 각각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allows detergent (D) and foam (E)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unit 120.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as shown in FIG. 2. The detergent supply unit 150 includes a detergent storage tank 151 in which detergent is stored, a detergent pump 152 that mixes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storage tank 151 and supplies it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a foam storage tank 153 in which foam is stored. ), and a foam pump 154 that supplies the foam of the foam storage tank 153 to the foam supply pipe 124, and a water level sensor 155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etergent storage tank 151 and the foam storage tank 153 do. The detergent pump 152 and the foam pump 154 ar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valves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respective pipes may be provided in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한편, 세척제공급부(150) 내부에는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는 팬히터(156)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fan heater 156 for preventing freezing in wint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센서부(160)는 차량이 진입되어 타이어와 휠의 세척 과정 중에 자동으로 각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각의 동작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센서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161)와, 노즐프레임(130)이 초기위치(P1)에서 세척제분사를 위해 지정된 분사위치(P2)로 이동되는지를 감지하는 이동감지센서(162)와, 분사위치(P2)에서 다시 초기위치(P1)로 복귀되는 것을 감지하는 복귀감지센서(162a)와, 노즐프레임(130)이 초기위치(P1)에서 분사위치로 이동될 때 세제펌프(152)와 구동모터(141)의 구동시간이 설정된 제1타이머(163)와, 노즐프레임(130)이 분사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폼펌프(154)와 구동모터(141)의 구동시간이 설정된 제2타이머(164)를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160 detects each mo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300 so that each motion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automatically during the tire and wheel washing process as the vehicle enters. As shown in FIG. 2, the sensor unit 160 includes a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that detects that the vehicle enters between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nd the nozzle frame 130 is at the initial position P1. A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that detects whether it is moved to the designated spray position (P2) for spraying the cleaner, and a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that detects that i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P1) from the spray position (P2), When the nozzle frame 1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P1) to the spraying position, the first timer 163 and the nozzle frame 130 are sprayed with the set driving time of the detergent pump 152 and the driving motor 141 It includes a second timer 164 in which the driving time of the foam pump 154 and the driving motor 141 is set when it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차량감지센서(161)는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차량이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로 진입하여 차량감지센서(161)에 닿으면 제어부(300)로 차량감지신호가 전송된다.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front of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When a vehicle enters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nd touches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a vehicl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차량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300)는 세제펌프(152)와 구동모터(14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제1타이머(163)를 구동시킨다. 제1타이머(163)의 시간이 만료되면, 제어부(300)는 세제펌프(152)와 구동모터(141)의 구동을 멈춘다. When the vehicl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300 drives the detergent pump 152 and the driving motor 141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rives the first timer 163. When the time of the first timer 163 expires, the controller 300 stops driving the detergent pump 152 and the drive motor 141.

그리고, 구동모터(14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폼펌프(154)를 구동시키고, 제2타이머(164)를 구동시킨다. 이들의 동작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n, the driving motor 14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oam pump 154 is driven, and the second timer 164 is driven. Their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차종과 세척조건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소형과 대형으로 나누어 입력한다. 소형과 대형에 따라 노즐부(120)가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진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P1)에서 차량이 소형인 경우 노즐부(120)가 분사위치(P2)인 제1거리(L1) 만큼 이동되나, 차량이 대형인 경우 노즐부(120)가 분사위치(P2) 보다 먼 대형분사위치(P3)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노즐부(120)는 차량이 대형인 경우, 제1거리(L1) 보다 먼 제2거리(L2)만큼 이동된다. The input unit 170 receives the vehicle type and washing conditions from the user, and the user inputs the input by dividing into small and large sizes. The distance to which the nozzle unit 120 moves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size. 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vehicle is small at the initial position P1,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by the first distance L1, which is the injection position P2, but when the vehicle is large, the nozzle unit ( 120) is moved to the large spray position (P3) farther than the spray position (P2).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is large,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by a second distance L2, which is farther than the first distance L1.

이 때, 초기위치(P1)와 분사위치(P2) 및 대형분사위치(P3)에는 각각 복귀감지센서(162a)와 이동감지센서(162) 및 대형이동감지센서(162b)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a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a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and a larg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b are provided at the initial position P1, the injection position P2, and the large injection position P3, respectivel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내측에는 초기위치(P1)와 분사위치(P2) 및 대형분사위치(P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귀감지센서(162a), 이동감지센서(162) 및 대형이동감지센서(162b)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5, a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a movement detection sensor ( 162) and a larg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b) is provided.

그리고, 노즐프레임(130)의 체인결합브라켓(136)의 하부에는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센서감지바(137)가 구비된다. 노즐부(120)가 노즐구동부(140)에 의해 이동될 때, 복귀감지센서(162a), 이동감지센서(162) 및 대형이동감지센서(162b)는 센서감지바(137)의 접근을 감지하여 노즐부(120)의 위치를 제어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Further, a sensor detection bar 137 formed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is provided under the chain coupling bracket 136 of the nozzle frame 130. When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by the nozzle driving unit 140, the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and the larg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b detect the approach of the sensor detection bar 137 The position of the nozzle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

복귀감지센서(162a), 이동감지센서(162) 및 대형이동감지센서(162b)는 접근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and the larg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b may be provided as an approach sensor.

세정수분사부(200)는 세척제분사부(100)의 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세제와 폼(E)이 분사된 상태의 차량의 타이어와 휠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척제와 오염을 씻어낸다.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t a certain distance and sprays washing water onto the tires and wheels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etergent and foam E are sprayed to wash off the cleaning agent and contamination. .

도 9는 세정수분사부(200)가 차량(A)으로 세정수(W)를 분사하는 정면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분사부(200)는 분사프레임(210)과, 분사프레임(210)에 구비되어 폼(E)이 부착된 타이어와 휠(B)로 세정수(W)를 분사하는 한 쌍의 세정수노즐부(220)를 포함한다.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sprays the washing water W to the vehicle A. As shown, the washing water spraying part 200 is provided in the spray frame 210 and the spray frame 210 to spray the washing water W with the tire and wheel B with the foam E attached thereto. It includes a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of.

세정수노즐부(22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헤드(221)에 방사방향으로 복수개의 회전노즐(223)이 구비된다. 회전노즐(223)은 세정수노즐부(220)로 고압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각도에 의해 세정헤드(221)에 대해 회전되며 세정수(W)를 타이어와 휠(B)로 고압으로 분사하여 폼(E)과 오염물질을 닦아 내게 된다.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nozzles 223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washing head 221 as shown in FIGS. 9 and 10. When the high pressur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the rotating nozzle 22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washing head 221 by the angle of the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the washing water W is transferred to the tire and the wheel (B). The foam (E) and contaminants are wiped off by spraying with high pressure.

분사프레임(210)에는 각각의 세정수노즐부(220)로 세정수(W)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호스(211)가 구비된다. The spray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washing water supply hose 211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W to each of the washing water nozzles 220.

제어부(300)는 차량이 진입되면, 차량의 진입신호에 맞춰 세척제분사부(100)와 세정수분사부(2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vehicle enters,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and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s entry signal.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1)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 사이로 차량(A)이 진입하면 차량감지센서(161)가 차량(A)의 진입을 감지하고 제어부(300)로 진입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차량(A)의 운전자가 진입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측면에는 진입램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vehicle A enters between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A and transmits an entry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0. . In this case, an entry lamp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A can determine the entry position.

관리자는 진입한 차종을 보고 입력부(170)에 차종을 소형 또는 대형 중 어느 하나로 입력한다. The manager sees the entered vehicle model and inputs the vehicle model into the input unit 170 as either small or large.

진입신호가 제어부(300)로 전송되면, 제어부(300)는 세제펌프(152)와 구동모터(14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제1타이머(163)를 구동시킨다. 제어부(300)는 구동모터(141)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프레임(130)이 초기위치(P1)에서 분사위치(P2)까지 이동되게 한다. 노즐프레임(130)이 초기위치(P1)에서 분사위치(P2)까지 이동하는 동안 세제노즐(121)은 차량(A)의 타이어와 휠(B)로 세제(D)를 분사한다. When the entr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the controller 300 applies a driving signal so that the detergent pump 152 and the driving motor 141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rives the first timer 163. The control unit 300 drives the driving motor 141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nozzle frame 13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P1 to the spray position P2 as shown in FIG. 8A. While the nozzle frame 13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P1 to the spray position P2, the detergent nozzle 121 sprays the detergent D onto the tires and wheels B of the vehicle A.

분사위치(P2)에 위치된 이동감지센서(162)는 노즐프레임(130)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동감지센서(162)가 노즐프레임(130)의 접근을 감지하면 제어부(3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동감지센서(162)의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제1타이머(163)의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300)는 구동모터(141)와 세제펌프(1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located at the injection position P2 detects the approach of the nozzle frame 130. When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detects the approach of the nozzle frame 130, i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is transmitted and the time of the first timer 163 is ended, the control unit 300 stops driving the driving motor 141 and the detergent pump 152.

그리고, 제어부(300)는 구동모터(141)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폼펌프(154)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타이머(164)도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다. 이에 의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프레임(130)이 분사위치(P2)에서 초기위치(P1)로 복귀하고, 폼노즐(123)이 차량(A)의 타이어와 휠(B)로 폼(E)을 분사한다. 폼(E)은 타이어와 휠(B)의 표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질을 녹인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drives the driving motor 141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drives the foam pump 154. In addition, the second timer 164 is also driven for a set time. As a result, the nozzle frame 130 returns from the injection position P2 to the initial position P1, as shown in FIG. 8B, and the foam nozzle 123 is connected to the tire and wheel B of the vehicle A. Spray the foam (E) with ). Foam (E) adheres to the surfaces of tires and wheels (B) to dissolve contaminants.

복귀감지센서(162a)가 노즐프레임(130)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제2타이머(164)의 시간이 종료되면 제어부(300)는 구동모터(141)와 폼펌프(154)의 구동을 정지한다.The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senses that the nozzle frame 1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0, and when the time of the second timer 164 ends,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141) and the drive of the foam pump 154 is stopped.

이렇게 세제(D)와 폼(E)의 분사가 완료되면, 운전자는 차량(A)을 운전하여 전방의 세정수분사부(200)로 이동한다. 운전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의 앞바퀴가 세정수노즐부(220)에 위치되도록 이동하고, 세정수노즐부(220)의 회전노즐(223)이 회전되며 앞바퀴로 세정수(W)를 고압으로 공급하여 앞바퀴의 휠과 타이어에 도포된 폼(E)과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When the spraying of the detergent (D) and the foam (E)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driver drives the vehicle A and moves to the washing water spray unit 200 in the front. As shown in FIG. 9, the driver moves so that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A is positioned on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the rotating nozzle 223 of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is rotated, and the washing water ( W) is supplied at high pressure to clean the foam (E) and contaminants applied to the wheels and tires of the front wheel.

앞바퀴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차량(A)을 전방으로 운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가 세정수노즐부(220)에 위치되도록 한다. When the washing of the front wheel is completed, the driver drives the vehicle A forward so that the rear wheel is positioned on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as shown in FIG. 10.

그리고, 세정수노즐부(220)의 회전노즐(223)이 회전되며 뒷바퀴로 세정수(W)를 고압으로 공급하여 뒷바퀴의 휠과 타이어에 도포된 폼(E)과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타이어와 휠에 대한 세척과정이 완료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nozzle 223 of the washing water nozzle unit 220 is rotated and the washing water (W) is supplied to the rear wheel at high pressure to clean the foam (E) and contaminants applied to the wheels and tires of the rear wheel. This completes the cleaning process for the vehicle's tires and wheel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는 차량의 외부 표면이 아니라 타이어와 휠만 전문적으로 세척하게 된다. 특히, 타이어와 휠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제와 폼을 각각 독립적으로 분사하고, 이를 세정수로 세척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타이어와 휠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tire and wheel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fessionally cleans only the tire and the wheel, not the exterior surface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since detergents and foams capable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tires and wheels are sprayed independently, and the process of washing them with washing water is sequentially performed, tires and wheels can be cleaned cleanly.

또한,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는 각 센서들과 타이머들에 의해 작업자의 개입이 최소화되며 자동으로 세척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a worker by respective sensors and timers, and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한편, 회전노즐(223)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트리아졸 15중량%,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n anti-corrosion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to the rotating nozzle 223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etal surface. The coating material of this anticorrosion coating layer is benztriazole 15% by weight, ethylene glycol butyl ether 25% by weight, hafnium 20% by weight, molybdenum emulsified (MoS 2 ) 10% by weight, titanium oxide (TiO 2 ) 15% by weight, phenol It consists of 15% by weight of noblock-type glycidyl ether, and the coating thickness can be formed to 8㎛.

벤즈트리아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Benztriazole, ethylene glycol butyl ether, and phenol noblock glycidyl ether play a role in preventing corrosion and discoloration.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Hafnium is a transition metal element with corrosion resistance and plays a role in having excellent waterproof and corrosion resistance.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Molybdenum emulsified plays a role of imparting wetness and lubricity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Titanium oxide is added for the purpose of fire resistance and chemical stability.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The reason why the ratio of the constituent components and the coating thickness were numerically limit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rough the test results while repeatedly failing several times, and as a result, the optimum anti-corrosion effect was exhibited at the ratio.

또한, 차량감지센서(161)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mination prevention coating layer made of a contamination prevention coating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adhesion and removal of contaminants.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The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contains mercaptobenzothiazole and amidoalkyl betaine in a molar ratio of 1:0.01 to 1:2, and the total content of mercaptobenzothiazole and amidoalkyl betaine is 1 with respect to the total aqueous solution. ~10% by weight.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차량감지센서(161)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mercaptobenzothiazole and amidoalkyl betaine are preferably 1:0.01 to 1:2 as a molar ratio.If the molar ratio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applicability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decreases or the surface mois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ating film is removed due to increased adsorption.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차량감지센서(161)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The mercaptobenzothiazole and amidoalkyl betaine are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in the total aqueous solution of the composition, and if i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is deteriorated, and 10% by weight is If it is exceeded, crystal precipita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an increase in the coating film thickness.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차량감지센서(161)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감지센서(161)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applying the present contamination prevention coating composition on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it is preferable to apply it by a spray metho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nal coating film on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is preferably 550 to 2000 Å, more preferably 1100 to 1900 Å.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50 Å,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the case of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when it exceeds 2000 Å, crystal precipitation on the coated surface is liable to occur.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0.1 mol of mercaptobenzothiazole and 0.05 mol of amidoalkyl betaine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stirr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You will know well. 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cope thereof.

1 :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 100 : 세척제분사부
110, 110a : 가이드베이스 111 : 노즐프레임가이드
111a : 수평가이드 111b : 수직가이드
113 : 공급관가이드 120 : 노즐부
121 : 세제노즐 121a : 세제노즐연결관
122 : 세제공급관 123 : 폼노즐
123a : 폼노즐연결관 124 : 폼공급관
125 : 케이블체인 130 : 노즐프레임
131 : 노즐결합판 131a : 노즐결합블럭
132 : 수직축 133 : 가이드결합관
133a : 가이드결합공 134 : 수평롤러
135 : 수직롤러 136 : 체인결합브라켓
137 : 센서감지바 140 : 노즐구동부
141 : 구동모터 143 : 구동체인
146 : 모터수용박스 147 : 종동풀리수용박스
150 : 세척제공급부 151 : 세제저장조
152 : 세제펌프 153 : 폼저장조
154 : 폼펌프 155 : 수위감지센서
156 : 팬히터 157 : 수용박스
160 : 센서부 161 : 차량감지센서
162 : 이동감지센서 162a : 복귀감지센서
162b : 대형이동감지센서 163 : 제1타이머
164 : 제2타이머 170 : 입력부
200 : 세정수분사부 210 : 분사프레임
211 : 세정수공급호스 220 : 세정수노즐부
221 : 세정헤드 223 : 회전노즐
300 : 제어부
A : 차량
B : 타이어와휠
D : 세제
E : 폼
W : 세정수
P1 : 초기위치
P2 : 분사위치
P3 : 대형분사위치
1: tire and wheel washing device 100: detergent spraying unit
110, 110a: guide base 111: nozzle frame guide
111a: horizontal guide 111b: vertical guide
113: supply pipe guide 120: nozzle part
121: detergent nozzle 121a: detergent nozzle connector
122: detergent supply pipe 123: foam nozzle
123a: foam nozzle connector 124: foam supply pipe
125: cable chain 130: nozzle frame
131: nozzle coupling plate 131a: nozzle coupling block
132: vertical axis 133: guide coupling pipe
133a: guide coupling hole 134: horizontal roller
135: vertical roller 136: chain coupling bracket
137: sensor detection bar 140: nozzle driving unit
141: drive motor 143: drive chain
146: motor receiving box 147: driven pulley receiving box
150: detergent supply unit 151: detergent storage tank
152: detergent pump 153: foam storage tank
154: foam pump 155: water level sensor
156: fan heater 157: receiving box
160: sensor unit 161: vehicle detection sensor
162: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a: return detection sensor
162b: larg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3: first timer
164: second timer 170: input unit
200: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10: spraying frame
211: washing water supply hose 220: washing water nozzle part
221: cleaning head 223: rotating nozzle
300: control unit
A: Vehicle
B: Tire and wheel
D: detergent
E: form
W: washing water
P1: Initial position
P2: Spray position
P3: Large injection location

Claims (4)

차량의 타이어와 휠로 세척을 위한 세제와 폼을 순차적으로 분사하는 세척제분사부(100)와;
상기 세척제분사부(100)에서 세제와 폼이 도포된 차량의 타이어와 휠(B)로 세정수(W)를 분사하는 세정수분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제분사부(100)는,
차량의 폭보다 넓고 차량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휠(B)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노즐(121)과, 폼을 분사하는 폼노즐(123)이 함께 구비된 노즐부(120)와;
상기 노즐부(120)를 지지하는 노즐프레임(130)과;
상기 노즐프레임(130)이 상기 가이드베이스(110,110a)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구동부(140)와;
세제와 폼을 상기 세제노즐(121)과 상기 폼노즐(123)로 각각 공급하는 세척제공급부(15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베이스(110,110a)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161)와;
상기 차량감지센서(161)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세척제공급부(150)와 상기 노즐구동부(140)를 구동하여 상기 노즐부(120)가 초기위치로부터 분사위치까지 왕복 이동하며 상기 타이어와 휠로 세제와 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120)는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분사위치로 이동될 때는 상기 세제노즐(121)이 타이어와 휠로 세제를 분사하고, 상기 분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는 상기 폼노즐(123)이 타이어와 휠로 폼을 분사하고;
상기 세척제공급부(150)는,
상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조(151)와, 상기 세제저장조(151)와 상기 세제노즐(121)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122)과, 상기 세제저장조(151)의 세제를 상기 세제공급관(122)으로 공급하는 세제펌프(152)와, 상기 폼이 저장되는 폼저장조(153)와, 상기 폼저장조(153)와 상기 폼노즐(123)을 연결하는 폼공급관(124)과, 상기 폼저장조(153)의 폼을 상기 폼공급관(124)으로 공급하는 폼펌프(15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베이스(110,110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즐프레임가이드(111)와, 상기 세제공급관(122)과 상기 폼공급관(124)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급관가이드(113)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동부(140)는,
상기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일단에 구비된 구동모터(141)와;
상기 가이드베이스(110,1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와 상기 공급관가이드(113)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체인(143)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프레임(130)은,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노즐(121)과 상기 폼노즐(123)을 함께 지지하는 노즐결합판(131)과;
상기 노즐결합판(1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관(133)과;
상기 가이드결합관(133)으로부터 상기 구동체인(143)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동체인(143)과 결합되는 체인결합브라켓(136)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111a) 사이에 수직가이드(111b)가 수직하게 결합된 I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결합관(133)은 내부에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가 수용될 때, 상기 노즐프레임가이드(111)의 상부 수평가이드(111a)을 수평방향으로 접촉하며 회전하는 수평롤러(134)와, 상기 수직가이드(111b)의 양측을 접촉지지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수직롤러(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
A detergent spraying unit 100 sequentially spraying detergent and foam for washing with tires and wheels of the vehicle;
Including a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W) from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to the tire and wheel (B) of the vehicle to which the detergent and foam are applied,
The cleaning agent spraying unit 100,
A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that ar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vehicle;
A nozzle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nd includes a detergent nozzle 121 for spraying detergent to the tire and wheel B of the vehicle, and a foam nozzle 123 for spraying foam. (120) and;
A nozzle frame 130 supporting the nozzle unit 120;
A nozzle driving unit 140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nozzle frame 130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A detergent supply unit 150 for supplying detergent and foam to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foam nozzle 123, respectively;
A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that detects a vehicle entering the pair of guide bases 110 and 110a;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161,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and the nozzle driving unit 140 are driven so that the nozzle unit 120 reciprocat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jection position, and the tire and wheel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o sequentially supply the foam;
When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praying position, the detergent nozzle 121 sprays the detergent to the tires and wheels, and when it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praying position, the foam nozzle 123 Spraying foam with these tires and wheels;
The cleaning agent supply unit 150,
The detergent storage tank 151 in which the detergent is stored,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connecting the detergent storage tank 151 and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storage tank 151 are suppli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 detergent pump 152 to be supplied, a foam storage tank 153 in which the foam is stored, a foam supply pipe 124 connecting the foam storage tank 153 and the foam nozzle 123, and the foam storage tank 153 Includes a foam pump 154 for supplying the foam of) to the foam supply pipe 124,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include a nozzle frame guide 11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nozzle unit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ly pip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122 and the foam supply pipe 124 Guides 113 are formed side by side,
The nozzle driving part 140,
A driving motor 141 provided at one end of the guide bases 110 and 110a;
It is provided between the nozzle frame guide 111 and the supply pipe guide 1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se (110, 110a) and includes a driving chain 143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41, ,
The nozzle frame 130,
A nozzle coupling plate 131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detergent nozzle 121 and the foam nozzle 123 together;
A guide coupling pipe 133 provided under the nozzle coupling plate 131 and coupled to the nozzle frame guide 111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nozzle frame guide 111;
And a chain coupling bracket 136 extending from the guide coupling pipe 133 toward the drive chain 143 and coupled to the drive chain 143;
The nozzle frame guide 111 is formed of an I-beam in which a vertical guide 111b is vertically coupled between a pair of horizontal guides 111a,
When the nozzle frame guide 111 is accommodated therein, the guide coupling pipe 133 contacts the upper horizontal guide 111a of the nozzle frame guide 111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rotates with a horizontal roller 134 , A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vertical rollers 135 that rotate while contact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vertical guide 111b.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베이스(110,110a)에는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분사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20)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복귀감지센서(162a)와 이동감지센서(162)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120)의 이동시에 상기 복귀감지센서(162a)와 상기 이동감지센서(162)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는 센서감지바(137)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120)가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분사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구동모터(141)와 상기 세제펌프(152)의 구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타이머(163)와, 상기 노즐부(120)가 상기 분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구동모터(141)와 상기 폼펌프(154)의 구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타이머(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and a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a) disposed on the guide bases (110, 110a) to correspon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jection position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nozzle unit (12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300) 162) is provided,
A sensor detection bar 137 which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under the nozzle frame 130 and detects an approach by the return detection sensor 162a and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162 when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 Is provided,
A first timer 163 for counting driving times of the driving motor 141 and the detergent pump 152 when the nozzle unit 12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praying position, and the nozzle unit 120 A vehicle tire and whe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imer 164 for counting the driving time of the drive motor 141 and the foam pump 154 when)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injection position. Clean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분사부(200)는,
상기 세척제분사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며, 차량의 폭 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세정수노즐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정수노즐부(220)는,
세정헤드(221)와;
상기 세정헤드(221)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세정헤드(221)로 고압의 세정수가 유입되면 압력에 의해 상기 세정헤드(221)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타이어와 휠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회전노즐(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 및 휠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200,
I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rgent spraying unit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pair of washing water nozzle units 220 arrang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vehicle,
The pair of washing water nozzle units 220,
A cleaning head 221;
A plurality of units disposed radially in the washing head 221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washing head 221 by pressure when high-pressur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head 221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tires and wheels Vehicle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four rotating nozzles (223).
KR1020200048015A 2020-04-21 2020-04-21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KR102162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15A KR102162786B1 (en) 2020-04-21 2020-04-21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15A KR102162786B1 (en) 2020-04-21 2020-04-21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786B1 true KR102162786B1 (en) 2020-10-07

Family

ID=7288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015A KR102162786B1 (en) 2020-04-21 2020-04-21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7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820A (en) * 2021-09-10 2022-02-08 合肥云歌信息科技有限公司 Cleaning device for chemical teaching instrument and use method thereof
CN114248730A (en) * 2022-01-19 2022-03-29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Muck truck clean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18A (en) * 1994-03-08 1995-09-26 Komatsu Ltd Cleaning device for large-side vehicle
JP2001039273A (en) * 1999-07-29 2001-02-13 Daifuku Co Ltd Car washing machine
KR101479657B1 (en) * 2014-03-14 2015-01-06 (주)대금지오웰 Apparatus for washing wheel and body of tru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18A (en) * 1994-03-08 1995-09-26 Komatsu Ltd Cleaning device for large-side vehicle
JP2001039273A (en) * 1999-07-29 2001-02-13 Daifuku Co Ltd Car washing machine
KR101479657B1 (en) * 2014-03-14 2015-01-06 (주)대금지오웰 Apparatus for washing wheel and body of tru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1820A (en) * 2021-09-10 2022-02-08 合肥云歌信息科技有限公司 Cleaning device for chemical teaching instrument and use method thereof
CN114248730A (en) * 2022-01-19 2022-03-29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Muck truck clean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CN114248730B (en) * 2022-01-19 2023-08-25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Dregs car clean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786B1 (en) Tire and wheel washing apparatus for car
US5255695A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US7806128B2 (en) No water spill automatic steam car wash system
JP5747829B2 (en) Car wash machine
US20060065292A1 (en) Automatic car wash with high pressure wand
US6463617B1 (en) Vehicle-washing system for washing of vehicles
JP6269395B2 (en) Car wash machine
CN117005346A (en) Highway tunnel washs car device
JP7095367B2 (en) Car wash machine
JP7048393B2 (en) Vehicle coating agent and car wash machine using it
KR200421046Y1 (en) Lower part washing device for automobile
JP6627719B2 (en) Foaming device and car washer equipped with foaming device
JP7102880B2 (en) Car wash machine
JP3702199B2 (en) Window and wall cleaning equipment
JP7247576B2 (en) car wash machine
JP6819644B2 (en) Car wash machine
JP7102879B2 (en) Car wash machine
CN105835841A (en) Intelligent vehicle washing system and vehicle washing method
CN218743457U (e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robot
JP2017165241A (en) Car washing machine and car washing method
CN220053743U (en) Radar cleaning equipment, radar system and vehicle
JP2014231031A (en) Cleaning fluid spray method and cleaning fluid spray device
CN216709258U (en) Glass cleaning execution device under coal loading scene
JP7388320B2 (en) car wash machine
CN211685017U (en) Full-automatic car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