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696B1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696B1
KR102162696B1 KR1020190093024A KR20190093024A KR102162696B1 KR 102162696 B1 KR102162696 B1 KR 102162696B1 KR 1020190093024 A KR1020190093024 A KR 1020190093024A KR 20190093024 A KR20190093024 A KR 20190093024A KR 102162696 B1 KR102162696 B1 KR 102162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sal
module
similarity
similar
propos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종원
조명섭
맹상운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6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rder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n order project to participate in a tender; a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quantitative data collected by a transfer system; and a big data-based evaluation result predicting module for analyzing the quantitative data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by using information on the order project received from the order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and predicting an evaluation result of a proposal for the order project in accordance with a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for an order project to be bid in the future is predicted by using a debriefing system such that a reference for selecting whether to bid for an order is provided and data to be used for a proposal is selected and used by using an evaluation result for a past similar proposal. Therefore, ultimately, the quality of the proposal can be improved and the bidding possibility can increase.

Description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Big data 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debriefing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본 발명은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빅데이터(bigdata)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브리핑(debriefing)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valuation results, specifical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valuation results of proposals based on big data,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valuation results of a proposal, and more specifically, to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It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proposals based on.

분야의 수주 입찰을 위해 많은 양의 자료가 포함되는 제안서(proposal)를 작성하여 제출한다.Prepare and submit a proposal that includes a large amount of data for order bidding in the field.

제안서에는 방위 산업 분야의 심도 높은 기술 자료는 물론 입찰 참여 기업의 인력, 연구 개발 실적, 계약 실적, 장비 현황, 시설 현황 등에 관련된 수많은 증빙 자료들이 첨부된다.The proposal includes not only in-depth technical data in the defense industry, but also numerous evidences related to the manpower, R&D performance, contract performance, equipment status, and facility status of participating companies.

수주 입찰 시마다 제안서 작성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자료의 양은 아주 방대하다.The amount of data that needs to be prepared to prepare a proposal for each order bid is vast.

이러한 제안서 작성에는 수많은 노력과 시간이 투입된다.A lot of effort and time is put into writing such a proposal.

그러나, 이러한 노력과 시간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항상 입찰의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다.However, despite this effort and time,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guarantee the success of the bidding.

이에, 수주 입찰 과제의 입찰 여부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선택은 제안서 작성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whether or not to bid for an order bidding project, and this selec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ime and effort spent on preparing a proposal.

무엇보다도 수주 입찰에 성공할 수 있는 제안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Above all, it is important to write a proposal that can be successful in order bidding.

만약 과거의 제안서 사례와 평가 결과 그리고 해당 기술 분야 등을 참조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If you refer to examples of past proposals, evaluation results, and relevant technical fields, you can lead to better results.

디브리핑(debriefing) 제도는 수주 입찰의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제도이다. 디브리핑 평가 결과는 차후 유사한 수주 과제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The debriefing system is a system that discloses the evaluation results of order bids. The results of the debriefing evaluation can be an important reference material that enables us to gauge the likelihood of success for similar orders in the future.

그러나, 아직까지 체계적인 제안서 작성을 위한 데이터와 자료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still no data and data system to prepare a systematic proposal.

공개특허공보 10-2016-0121042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10-2016-0121042 등록특허공보 10-063573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0635733

본 발명의 목적은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은,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 전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량자료가 저장되는 정량자료 저장 모듈; 상기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량자료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량자료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주 과제에 대한 제안서의 평가 결과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ystem for predicting proposal evaluation results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order-acceptance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n order-acquired task to participate in a bidding; A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transfer system; Based on big data that analyzes the quantitative data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winning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and predic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posal for the order-winning task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여기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은, 해당 수주 과제의 제안서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상기 예측된 평가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predicted evaluation result for use in preparing a proposal for a corresponding order-acquired project.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방법은,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이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정량자료 저장 모듈에 전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량자료가 저장되는 단계;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이 상기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량자료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량자료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이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주 과제에 대한 제안서의 평가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n order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information on an order received project to participate in a bidding; Storing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transfer system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Analyzing, by a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the quantitative data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rder-acquired task received from the order-acquired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predict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posal for the order-acquired project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여기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이 해당 수주 과제의 제안서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상기 예측된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predicted evaluation result for use in preparing a proposal for a corresponding ordered project.

상술한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디브리핑 제도를 이용하여 차후에 입찰할 수주 과제에 대한 제안서 평가결과를 예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주 입찰 여부에 대한 선택의 기준을 마련하고 과거의 유사 제안서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제안서에 사용할 데이터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debriefing system described above, the debriefing system is configured to predict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posal for future orders to be bid. It has the effect of preparing the criteria for and us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past similar proposals to select and use data to be used for proposals.

궁극적으로는 제안서의 질을 높이고 입찰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Ultimately, i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posal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bid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량자료의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거 제안서와 전략 장표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of quantitativ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exemplary views of past proposals and strategy she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of a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ethod using a debrie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edicting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based on big data using a debrie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100)은 수주 입찰 과제 정보 입력 모듈(101), 정량자료 저장 모듈(102),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103),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104),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105),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106),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모듈(107),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1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system 100 using a debrie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bidding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101, a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102 , Past proposal storage module 103,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sion module 104,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 storage module 105,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sion module 106,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posal data selection module 108.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수주 입찰 과제 정보 입력 모듈(101)은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제 발주 기관, 과제 코드명, 기술 분류, 과제명, 각종 입찰 요구 사항, 필요 증빙 서류 등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rder bidding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101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n order-acquired project to participate in the bidding.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project ordering organization, project code name, technology classification, project name, various bidding requirements, and required documentary evidence.

정량자료 저장 모듈(102)은 전사 시스템(10)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량자료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정량자료는 기술자료 보유현황, 유사연구 개발실적,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 인력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102 may stor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transfer system 10. Here, the quantitative data may include technical data holding status, similar research and development performance,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 status, manpower status, etc.

기술자료 보유현황은 도 2의 특허증 보유 현황, 도 3의 프로그램등록증 보유 현황, 도 4의 논문명, 저자, 발표기관 등을 명시한 논문 보유 현황, 도 5의 기술자료목록과 증빙자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chnical data holding status can be composed of the status of holding the patent certificate of Fig. 2, the holding status of the program registration certificate of Fig. 3, the holding status of the paper specifying the name of the paper, author, and publishing organization shown in Fig. 4, the technical data list and supporting data of Fig. have.

유사연구 개발실적은 도 6에서 예시하는 계약사업실적으로서 계약서, 수정계약서(계약명, 금액, 시작일, 종료일, 발주처 명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자체과제실적으로서 기술개발 완료보고서나 기술개발 계획서 등으로 구성되고, 부품국산화실적으로서 연구개발 확인서로 구성될 수 있다.Similar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may include contracts and revised contracts (contract name, amount, start date, end date, ordering address, etc.) as the contract business performance illustrated in FIG. 6. In addition, it may be composed of a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report or a technology development plan as the self-task performance of FIG. 7 and may be composed of a R&D confirmation document as a part localization performance.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은 현재 보유 중인 장비/시설 현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비 현황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9와 같이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수입신고서, 장비이력카드, 검교정이력서,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 status may include the equipment/facilities status currently in possession,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equipment status include a transaction statement, tax invoice, import report, equipment history card, calibration resume, photos, etc. Can include.

그리고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은 현재 보유 중인 시설 현황을 포함하며, 시설 현황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0과 같이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수입신고서, 시설이력카드, 사진, 시설계약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 status includes the status of the facilities currently in possession,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facilities can include a transaction statement, tax invoice, import declaration, facility history card, photo, facility contract, etc. have.

그리고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은 현재 보유 중인 도구 현황을 포함하며, 도구 현황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과 같이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수입신고서,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 status includes the status of tools currently in possession,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tools status may include a transaction statement, a tax invoice, an import declaration, and a photo as shown in FIG. 11.

인력 현황은 도 12와 같이 경력증명서,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재직증명서, 학위증명서, 자격증, 이력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status of manpower may include a certificate of experience, a certificate of enrollment in the national pension, a certificate of employment, a certificate of degree, a certificate, a resume, and the like.

그리고 정량자료는 도 13에서 보듯이 품질관련인증서와 인정서, 신용평가서, 신용평가등급확인서, 기술유출방지대책으로서 정보보호대책/보안 감사/측정 확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quantitative data may include a quality-related certificate and certificate, a credit evaluation certificate, a credit evaluation grade confi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tection countermeasure/security audit/measurement confirmation document as a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technology leakage.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103)은 과거에 입찰에 참여한 모든 과거 제안서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최근 3년 간의 과거 제안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15는 최근 5년간의 전략 장표를 나타내고 있다.The past proposal storage module 103 may be configured to store all past proposals that participated in the bidding in the past. 14 illustrates past proposals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FIG. 15 shows a strategic report for the last five years.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104)은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101)에서 입력된 각종 수주 과제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103)의 과거 제안서 중 유사한 제안서들을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주 기관이 유사하거나 기술 분류나 기술명이 비슷하거나 비교적 최근의 과거 제안서인 것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유사 제안서들이 검색될 수 있다.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104 may be configured to search for similar proposals among the past proposals of the past proposal storage module 103 based on various order received task information input from the order received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101. Similar proposals can be search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similar ordering organizations, similar technology classifications or technical names, or relatively recent past proposals.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105)에는 방위산업의 수주 입찰에 대한 평가자료를 공개하도록 하는 디브리핑 제도의 결과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105)에는 과거 제안서에 대한 디브리핑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The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 storage module 105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result of the debriefing system to disclose evaluation data on order bidding of the defense industry. The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 storage module 105 may store a debriefing result of the past proposal.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106)은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104)에서 검색된 유사 제안서에 대한 디브리핑 결과를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105)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 제안서는 유사 기술분야, 유사 발주 기관, 유사 기술명, 최근 소정 기간 내 제안서 등의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ding module 106 may be configured to search and provide a debriefing result for the similar proposal search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104 by the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 storage module 105. Similar proposal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similar technology fields, similar ordering organizations, similar technology names, and proposal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모듈(107)은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104)에서 제공하는 유사 제안서들을 각각 분석하고,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106)에서 제공하는 해당 유사 제안서에 대한 디브리핑 결과를 이용하여 새로 작성할 또는 새로 작성된 수주 제안서에 대한 평가결과를 미리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 analyzes each similar proposal provid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and provision module 104, and debriefs the similar proposal provided by the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sion module 106 It can be configured to predict the evaluation result for a newly created or newly created order proposal using the result.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모듈(107)은 유사도 파악부(107a),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107b), 강점/약점 파악부(107c),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107d)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 is to include a similarity grasping unit 107a, an acquisition score prediction unit 107b for each proposal table of contents, a strength/weakness grasp unit 107c, and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107d. Can be configured.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유사도 파악부(107a)는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104)에서 제공하는 유사 제안서들에 대해 유사도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술 분야의 유사성, 기술적 구성의 유사성, 기술적 용도의 유사성, 납품 물품의 유사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도 파악부(107a)는 입찰 과제 자체의 유사성, 발주 기관의 유사성, 과거 과제와의 연속성 등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ing unit 107a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imilarity of similar proposals provid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104. Similarity in technical fields, similarity in technical composition, similarity in technical use, similarity in delivery goods, etc. can be grasped. In addition, the similarity grasping unit 107a may be configured to grasp the similarity of the bidding project itself, the similarity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and continuity with the past project.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107b)는 과거의 유사 제안서의 목차별 디브리핑 결과에 기반하여 새로 작성할 또는 새로 작성된 제안서의 목차별 획득 점수를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btained score predictor 107b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a proposal may be configured to predict the score obtained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a newly created or newly prepared proposal based on a debriefing result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a past similar proposal.

강점/약점 파악부(107c)는 유사도 파악부(107a)에서 파악된 유사성에 기반하여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107b)의 점수 예측 결과 등을 반영하여 새로 작성할 또는 새로 작성된 제안서에 대한 강점/약점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trengths/weaknesses grasping unit 107c reflects the score prediction results of the score prediction unit 107b obtained for each proposal table of contents based on the similarity grasped by the similarity grasping unit 107a. It can be configured to identify weaknesses.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107d)는 유사도 파악부(107a)에서 파악된 유사성,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107b)의 점수 예측 결과, 강점/약점 파악부(107c)에서 파악된 제안서의 강점/약점 등을 이용하여 새로 작성할 또는 새로 작성된 제안서의 평가결과를 예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107d is the similarity identified by the similarity grasping unit 107a, the score prediction result of the score prediction unit 107b obtained for each proposal table of contents, strengths/weaknesses of the proposal identified by the strengths/weaknesses grasping unit 107c It can be configured to predict the evaluation result of a newly created or newly created proposal using weaknesses, etc.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108)은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107d)에서 예측된 제안서 평가결과에 따라 여러 유사 제안서에서 제안서 데이터를 각각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A 유사 제안서, B 유사 제안서, C 유사 제안서에서 각각의 강점을 갖는 목차의 제안서 내용을 각각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posal data selection module 108 may be configured to select each proposal data from several similar proposals according to the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ed by the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107d.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table of contents that each has strengths in the A-like proposal, B-like proposal, and C-like proposal.

예를 들어, 과거 디브리핑 결과 30위의 유사 제안서와 37위의 유사 제안서가 있다고 할 때, 30위의 유사 제안서를 가져다 제안서를 작성하는 것이 높은 점수 획득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점수가 좀 낮다하더라도 37위의 유사 제안서가 30위의 유사 제안서보다 유사성이 더 많으면 점수가 좀 낮았다 하더라도 37위의 유사 제안서를 가져다 수정하여 작성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다아가 30위의 유사 제안서의 강점과 37위의 유사 제안서의 강점을 각각 파악하여 필요한 목차 내용을 각각 선별하여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are similar proposals in the 30th place and similar proposals in the 37th place as a result of the past debriefing, it may be advantageous to obtain a high score to write a proposal with a similar proposal in the 30th place. However, in some cases, even if the score is a little lower, if the similar proposal at 37th has more similarities than the similar proposal at 30th,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take a similar proposal at 37th and rewrite it even if the score is a little lower. In addition, by grasping the strengths of similar proposals at No. 30 and similar proposals at No. 37, you can select and use the necessary contents of the table of contents.

가제안서 자동 작성 모듈(20)은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108)에서 선별된 제안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제안서를 자동 작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provisional proposal module 2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reate a provisional proposal using the proposal data selected by the proposal data selection module 108.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ethod using a debrie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101)이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01).Referring to FIG. 16, the order-acquired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10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rder-acquired task to participate in the bidding (S101).

다음으로, 정량자료 저장 모듈(102)에 전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량자료가 저장된다(S102).Next,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transfer system is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102 (S102).

다음으로,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107)이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101)에서 입력받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량자료 저장 모듈(102)에 저장된 정량자료를 분석한다(S103).Next,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 analyzes the quantitative data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102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rder-acquired task received from the order-order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101 (S103). ).

다음으로,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수주 과제에 대한 제안서의 평가 결과를 예측한다(S104).Next,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predic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posal for the order-acquired task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S104).

다음으로,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107)이 해당 수주 과제의 제안서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용도로 예측된 평가 결과를 제공한다(S105).Next,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 provides the predicted evaluation result for use in preparing a proposal for a corresponding ordered project (S105).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re will be.

101: 수주 입찰 과제 정보 입력 모듈
102: 정량자료 저장 모듈
103: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
104: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
105: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
106: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
107: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모듈
107a: 유사도 파악부
107b: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
107c: 강점/약점 파악부
107d: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
108: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
101: Module for entering information on order bidding assignments
102: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103: Save Past Proposal Module
104: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105: Module for saving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s
106: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sion module
107: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107a: similarity grasping unit
107b: Proposal score prediction unit for each table of contents
107c: strength/weakness identification
107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108: proposal data screening module

Claims (4)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로서 과제 발주 기관, 과제 코드명, 기술 분류, 과제명, 입찰 요구 사항 및 필요 증빙 서류를 입력받는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
전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량자료로서 기술자료 보유현황, 유사연구 개발실적,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 및 인력현황이 저장되는 정량자료 저장 모듈;
과거에 입찰에 참여한 과거 제안서가 저장되는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
상기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과거 제안서 저장 모듈의 과거 제안서에서 유사 제안서들을 검색하는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
방위산업의 수주 입찰에 대한 과거 제안서의 평가자료를 공개하도록 하는 디브리핑 제도에 따른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물이 저장되는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
상기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에서 검색된 유사 제안서들에 대한 디브리핑 결과물을 상기 과거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저장 모듈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
상기 수주 과제 정보 입력 모듈에서 입력받는 수주 과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량자료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량자료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주 과제에 대한 제안서의 평가 결과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
상기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에서 예측된 제안서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유사 제안서들에서 제안서 데이터를 각각 선별하는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은,
상기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에서 제공되는 유사 제안서들을 각각 분석하고, 상기 유사 제안서 디브리핑 결과 제공 모듈에서 제공되는 유사 제안서들에 대한 디브리핑 결과를 이용하여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의 수주 제안서에 대한 평과결과를 미리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빅데이터 기반 제안서 평가 결과 예측 모듈은,
상기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에서 제공되는 유사 제안서들에 대해 기술 분야의 유사성, 기술적 구성의 유사성, 기술적 용도의 유사성, 납품 물품의 유사성, 입찰 과제 자체의 유사성, 발주 기관의 유사성 및 과거 과제와의 연속성을 파악하는 유사도 파악부;
상기 과거의 유사 제안서들의 목차별 디브리핑 결과에 기반하여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의 수주 제안서의 목차별 획득 점수를 예측하는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
상기 유사도 파악부에서 파악된 유사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의 점수 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의 수주 제안서에 대한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는 강점/약점 파악부;
상기 유사도 파악부에서 파악된 기술 분야의 유사성, 기술적 구성의 유사성, 기술적 용도의 유사성, 납품 물품의 유사성, 입찰 과제 자체의 유사성, 발주 기관의 유사성 및 과거 과제와의 연속성과, 상기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의 점수 예측 결과, 상기 강점/약점 파악부에서 파악된 제안서의 강점 및 약점을 이용하여 상기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수주 과제의 수주 제안서의 평가 결과를 예측하는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사 제안서 검색 제공 모듈은,
최근의 소정 기간 내의 과거 제안서 중에서 기술 분야, 발주 기관, 기술명을 기준으로 유사도를 파악하여 유사 제안서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안서 데이터 선별 모듈은,
상기 강점/약점 파악부에서 파악된 강점 및 약점에 기반하여 상기 제안서 목차별 획득 점수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목차별 획득 점수에 따라 목차별 제안서 내용을 각각 선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술자료 보유현황은,
특허증 보유 현황과, 프로그램등록증 보유 현황과, 논문명과, 저자 및 발표기관을 명시한 논문 보유 현황과, 기술자료목록과, 증빙자료로 구성되고,
상기 유사연구 개발실적은,
계약사업실적으로서 계약명, 금액, 시작일, 종료일 및 발주처가 명시된 계약서, 자체과제실적으로서 기술개발 완료보고서나 기술개발 계획서, 부품국산화실적으로서 연구개발 확인서로 구성되고,
상기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은,
현재 보유 중인 장비/시설 현황을 포함하고, 장비 현황의 구체적인 내용은으로서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수입신고서, 장비이력카드, 검교정이력서 및 장비/시설 사진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비/시설/도구 보유현황은,
현재 보유 중인 시설 현황으로서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수입신고서, 시설이력카드, 시설 사진 및 시설계약서로 구성되고,
상기 인력 현황은,
인력의 경력증명서,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재직증명서, 학위증명서, 자격증 및 이력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량자료는,
품질관련인증서, 인정서, 신용평가서, 신용평가등급확인서, 기술유출방지대책으로서 정보보호대책/보안 감사/측정 확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브리핑 제도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제안서 평가결과 예측 시스템.
An order-acquired project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project ordering organization, project code name, technology classification, project name, bidding requirements, and required supporting documents as information on the order-taking project to participate in the bidding;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echnical data holding status, similar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 status and manpower status as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enterprise system;
A past proposal storage module in which past proposals that participated in the bidding in the past are stored;
A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for searching for similar proposals from the past proposals of the past proposal storing modul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order received project input by the order winning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A module for storing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s in which past proposals debriefing results are stored according to the debriefing system to disclose evaluation data of past proposals for order bidding of the defense industry;
A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ding module for searching and providing a debriefing result of the similar proposals search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by the past proposal debriefing result storage module;
Based on big data that analyzes the quantitative data stored in the quantitative data storage modul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rders received from the order-winning task information input module, and predic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roposal for the order-winning task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And a proposal data selection module for selecting proposal data from the similar proposals according to the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ed by the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Analyzing each similar proposal provid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and using the debriefing result of similar proposals provided from the similar proposal debriefing result providing module, It is configured to predict the outcome of the evaluation in advance,
The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module,
For similar proposals provided by the similar proposal search and provision module above, similarity in technical fields, similarity in technical composition, similarity in technical use, similarity in delivery goods, similarity in the bidding project itself, similarity in ordering organizations and continuity with past tasks A similarity grasping unit for grasping;
An acquisition score prediction unit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proposals for predicting an acquisition score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the ordered proposal to participate in the bidding based on the debriefing result for each table of contents of the past similar proposals;
A strength/weakness grasping unit for grasp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n order-winning proposal of an order-winning project to participate in a bidding by reflecting a score prediction result of the acquisition score prediction unit for each proposal table of contents based on the similarity identified by the similarity grasping unit;
The similarity of the technical field identified in the similarity grading unit, the similarity of the technical composition, the similarity of the technical use, the similarity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the similarity of the bidding task itself, the similarity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and continuity with the past tasks, and the above proposals obtained by table of content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order-winning proposal of the order-winning project to participate in the bidding by using the score prediction result of the score prediction unit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posal identified by the strength/weakness identification unit. ,
The similar proposal search providing module,
It is configured to search for similar proposals by grasp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ased on technology field, ordering agency, and technology name among past proposals within the latest predetermined period,
The proposal data selection module,
Based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dentified by the strengths/weaknesses grasping unit, it is configured to select each of the contents of the proposals for each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cores obtained for each table of contents predicted by the prediction unit,
The above technical data holding status is,
It is composed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atent certific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registration certificate, the title of the paper,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uscript holding the author and publisher, a list of technical data, and supporting data.
The above similar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are:
Consists of a contract specifying the contract name, amount, start date, end date and ordering party as the contract business performance, a technology development completion report or technology development plan as a self-project performance, and a R&D confirmation document as part localization performance,
The above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s are:
It includes the current status of equipment/facilities, and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equipment status are composed of a transaction statement, tax invoice, import declaration, equipment history card, calibration resume, and equipment/facility photos.
The above equipment/facilities/tools holdings are:
As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it consists of a transaction statement, tax invoice, import declaration, facility history card, facility picture and facility contract.
The above manpower status is,
It is composed of personnel's career certificate, national pension enrollment certificate, employment certificate, degree certificate, certificate and resume,
The above quantitative data,
A big data-based proposal evaluation result prediction system using a debriefing system, which consists of a quality-related certificate, accreditation, credit evaluation, credit evaluation grade confirm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security audit/measurement confirmation as a measure to prevent technology leakag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93024A 2019-07-31 2019-07-31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KR102162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24A KR102162696B1 (en) 2019-07-31 2019-07-31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24A KR102162696B1 (en) 2019-07-31 2019-07-31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696B1 true KR102162696B1 (en) 2020-10-07

Family

ID=7288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024A KR102162696B1 (en) 2019-07-31 2019-07-31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6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3B1 (en) 2002-09-25 2006-10-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 Proposal Mak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21042A (en) 2015-04-09 2016-10-19 조남희 System for submitting and evaluating a proposal
KR20180052093A (en) * 2016-11-09 2018-05-17 박동화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comme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3B1 (en) 2002-09-25 2006-10-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 Proposal Making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121042A (en) 2015-04-09 2016-10-19 조남희 System for submitting and evaluating a proposal
KR20180052093A (en) * 2016-11-09 2018-05-17 박동화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comme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ppsson et al. Blockchains as a solution for traceability and transparency
Tallon et al. The information artifact in IT governance: Toward a theory of information governance
Arora et al. Wholly owned subsidiary versus technology licensing in the worldwide chemical industry
Leyer et al. Process performance measurement
Al-Sabri et al. A comparative study and evaluation of ERP reference models in the context of ERP IT-driven implementation: SAP ERP as a case study
US10579651B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evalua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Rahman et al. Application of lean production to reducing operational waste in a tile manufacturing process
Springer et al. A comprehensive overview of software product management challenges
Pérez-Pérez et al.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flexibility: Building an integrative conceptual model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Vlajic et al. On robustness in food supply chain networks
Seo et al. Digitalization strategies and evaluation of maritime container supply chains
Maleki et al. Managing Returnable Containers Logistics–A Case Study: Part I–Physical and Information Flow Analysis
KR1021626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proposal evaluation based on big data using debriefing system
Okoroma Retrospective conversion in two Nigerian university libraries: A comparative study of Kenneth Dike Library and Obafemi Awolowo University library
Khan et al. Factors influencing vendor organizations in the selection of DevOps for global software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10125160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portting commercialization for technology
Matthies A text mining approach for extracting lessons learned from project documentation: An illustrative case study
Oehmen et al. Risk management in lean PD
Martijn et al. Determining the effects of data governance on the performance and compliance of enterprises in the logistics and retail sector
KR1023036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roposal data and making proposal based on debriefing system
Pustulka et al. Text mining innovation for business
Mwelu et al. Lean Manufacturing and Profitability of Manufacturing Firms in Uganda
CN103197975B (en) Across the method and system that the tissue agility of multiple computational fields determines
KR20210017115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posal data for order bidding
Faschinger-Sanborn et al. Future skill requirements for a blockchain-enabled automotive suppl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