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77B1 -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 Google Patents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77B1
KR102162277B1 KR1020200091727A KR20200091727A KR102162277B1 KR 102162277 B1 KR102162277 B1 KR 102162277B1 KR 1020200091727 A KR1020200091727 A KR 1020200091727A KR 20200091727 A KR20200091727 A KR 20200091727A KR 102162277 B1 KR102162277 B1 KR 10216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rotective clothing
hole
protective su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철
오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인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인리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인리브
Priority to KR102020009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양팔 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부와 양 다리 부위를 포함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착용자의 머리 및 얼굴 부위를 감싸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의 선택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풍구;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배치되는 송풍부; 및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와 필터부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protective suit having 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호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송풍시킴에 따라 내부 온도를 낮추도록 함으로써, 더운 하절기에도 보다 장시간 착용이 가능한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호복은 화학약품, 분진이나 유해약품 등의 환경하에서 작업자가 착복하는 것과, 인플루엔자 등의 감염병 대책용으로 의료인이 착복하는 것 등이 제공되고 있다.
감염병 대책용의 방호복은, 바이러스 등의 감염원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세 병원균으로부터 2차 감염을 완전히 방지하고, 오염 확대 방지를 위하여 밀폐성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유행하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그 전파력이 매우 강하고, 또한 잠복기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무증상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무증상 감염자의 경우에도 바이러스를 배출하여 타인에게 전염시키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바, 방역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감염자를 치료하는 의료인, 감염여부를 검사하는 의료인 등과 같이 바이러스 등의 감염원으로부터 노출 위험도가 높은 의료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세 병원균으로부터 2차 감염을 완전히 방지하고, 오염 확대 방지를 위하여 밀폐성을 갖춘 방호복을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방호복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밀폐성을 갖춤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못함은 물론 내부의 열기 즉,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장시간 착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더운 여름철의 경우 방호복 착용자는 인체의 열이 외부로 발산되지 못함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땀에 젖은 상태가 됨으로써, 작업환경이 매우 좋지 못하여 장시간 착용에 더욱 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실용등록 제20-0296020호(2002.11.08.) 한국특허등록 제10-1674351호(2016.1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송풍시켜서 내부 온도를 저감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공기를 방호복 내부로 송풍시킬 때, 외부의 미세먼지는 물론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세 병원균은 걸러내고 정화된 공기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감염 우려를 불식시키면서도 내부 온도를 저감시킴에 따라 땀의 발생을 줄이는 등 착용자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호복에 대하여 그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은, 착용자의 양팔 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부와 양 다리 부위를 포함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착용자의 머리 및 얼굴 부위를 감싸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의 선택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풍구;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배치되는 송풍부; 및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와 필터부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을 감싸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방호복의 통풍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배면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호복의 통풍구 주변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이 형성되되, 상기 통과 홀이 형성되는 부위는 실링부재가 코팅되고, 상기 실링부재에 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필터부는, 일측 단에 송풍 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 홀 주변 둘레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내측에 필터 수용홈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필터 수용홈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청정 필터 및, 상기 공기청정 필터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필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는 프리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 필터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 둘레 면에 감합된 상태로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팬 하우징의 결합돌기가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된 결합 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송풍되어서 내부 온도를 저감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가 방호복 내부로 송풍될 때, 외부의 미세먼지는 물론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세 병원균은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만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착용자의 감염 우려가 불식되면서도 내부 온도가 저감됨에 따라 땀의 발생의 줄어들게 되는 등 착용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에 의하면, 방호복에 대하여 그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착용한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필터부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을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필터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10)은, 착용자의 양팔 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부와, 양 다리 부위를 포함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20)와, 착용자의 머리 및 얼굴 부위를 감싸는 후드(30)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호복(10)의 본체(20)에서 등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통기구(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기구(22)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는 송풍부(100)가 배치되고 외측에는 필터부(200)가 배치되는 온도 저감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온도 저감장치의 송풍부(100)와 필터부(200)는 방호복(10)의 통기구(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송풍부(10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송풍 팬(110)과, 이 송풍 팬(110)을 감싸되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팬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하우징(120)의 배면에는 방호복(10)의 등 부위에 형성되는 통기구(22)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126)이 형성되고, 배면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돌기(12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는 방호복(10)의 등 부위에 형성된 통기구(22)의 주변 둘레에 형성될 수 있는 통과 홀(24)을 통과하여 방호복(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방호복(10)에서 통과 홀(24)이 형성되는 부위는 고무나 실리콘재질의 실링부재(26)가 코팅되고, 이 실링부재(26)에 통과 홀(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링부재(26)에 형성된 통과 홀(24)의 지름은 결합돌기(12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링부재(26)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바, 실링부재(26)에 형성된 통과 홀(24)의 지름보다 그 외경이 큰 결합돌기(122)가 상기 통과 홀(24)을 통과하면서 실링부재(26)를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통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재(26)의 통과 홀(24) 주변 둘레는 통과되는 결합돌기(122)의 외주 둘레 면과 틈새 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기밀성을 완벽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내측 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벨크로 면(40)이 형성되고, 이 제1 벨크로 면(40)에는 망사 형태의 천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일측 둘레 면에 제2 벨크로 면(132) 형성된 제1 커버부재(130)가 착탈 가능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부재(130)의 일측 둘레 면에 형성된 제2 벨크로 면(132)을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내측 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벨크로 면(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며, 제1 벨크로 면(40)과 제2 벨크로 면(132)을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제1 커버부재(130)가 송풍부(100)를 감싸도록 하여 송풍부(100)가 방호복(10) 내부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예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송풍부(100)는 휴대형 배터리일 수 있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 때 방호복(10)에서 통기구(22)가 형성된 부위와 인접한 내측 면에는 전원부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납 주머니에 수납되는 전원부와 송풍부(100)는 전원선의 간단한 커넥팅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풍부(100)의 팬 하우징(120)에 2차전지를 내장시킴으로써, 충전에 의해 송풍부(100)가 설정 시간 동안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필터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에 송풍 홀(202)이 형성되고, 이 송풍 홀(202)의 주변 둘레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플랜지(206)가 형성되며, 그 내측에 필터 수용홈(204)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도면부호 미부여)과, 이 필터 하우징의 필터 수용홈(204)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청정 필터(210)와, 이 공기청정 필터(210)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필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는 프리 필터(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0)는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 둘레 면에 감합된 상태로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팬 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가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232)이 형성된 결합 링 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링 부재(230)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링 부재(230)의 결합 홈(232) 지름은 결합돌기(122)의 직경과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 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가 결합 링 부재(230)의 결합 홈(232)에 삽입될 때, 결합돌기(122)는 결합 홈(232)을 탄성에 의해 확장시키면서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그 결합 유지력이 견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결합 링 부재(230)가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를 감싼 상태를 이루고, 결합 링 부재(230)의 선단은 역시 탄성재질의 실링부재(26)와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기밀성이 극대화되어 프리 필터(220) 및 공기청정 필터(210)를 통과하지 않은 외부 공기는 방호복(10) 내부로의 유입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팬 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는 작은 지름을 갖는 실링부재(26)의 통과 홀(24)과 결합 링 부재(230)의 결합 홈(2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는바, 그 기밀성이 극대화되어 역시 프리 필터(220) 및 공기청정 필터(210)를 통과하지 않은 외부 공기는 방호복(10) 내부로의 유입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외측 면에도 둘레 방향을 따라 제3 벨크로 면(50)이 형성되고, 이 제3 벨크로 면(50)에는 망사 형태의 천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둘레 면에는 제4 벨크로 면(242)이 형성된 제2 커버부재(240)가 착탈 가능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재(240)의 일측 둘레 면에 형성된 제4 벨크로 면(242)을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외측 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벨크로 면(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며, 제3 벨크로 면(50)과 제4 벨크로 면(242)을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제2 커버부재(240)가 필터부(200)를 감싸도록 하여 필터부(200)가 방호복(10)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낙하 및 분실을 예방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호복(10)의 내,외측 면에 각각 제1 커버부재(130) 및 제2 커버부재(240)가 벨크로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 송풍부(100)와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퍼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방호복(10)의 내,외측 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 등, 그 결합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어떠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방호복(10)의 본체(20)에서 등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통기구(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기구(22)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는 각각 송풍부(100)가 배치되고, 외측에는 각각 필터부(200)가 배치될 때, 각각의 송풍부(100)는 각각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송풍부(100)가 작동하지 않게 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송풍부(100)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송풍부(100)가 하나의 전원부로부터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게 될 때, 하나의 전원부가 방전되는 경우 각각의 송풍부(100) 모두가 작동을 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는바, 각각의 송풍부(100)는 각각 별개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송풍부(100)가 작동을 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의 송풍부(100)는 작동되도록 하여 방호복(10) 내부의 온도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4에서는 필터부(200)가 하나의 송풍부(100)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의 송풍부(100)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송풍부(100)에 대응되도록 2개의 플랜지(206)가 나란하게 형성된 필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필터 하우징에는 2개의 송풍부(100)를 커버할 수 있도록 직사각 형태의 공기청정 필터(210) 및 프리 필터(22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10)의 등 부위에 형성된 통기구(22) 주변에 팬 하우징(120)을 배치시키고, 팬 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를 통기구(22) 주변에 형성된 통과 홀(24)에 삽입하여 방호복(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 때, 통과 홀(24)의 지름은 결합돌기(122)의 외경에 비하여 다소 작게 형성되나, 통과 홀(24) 주변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재질의 실링부재(26)로 구성되어 있는바, 결합돌기(122)가 통과 홀(24)에 삽입될 때, 통과 홀(24)이 탄성 변형되면서 확장됨에 따라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기밀있게 통과되어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팬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송풍 팬(110)은 방호복(10)의 내측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1 커버부재(130)를 이용하여 팬 하우징(120)을 감싸도록 한다.
즉, 제1 커버부재(130)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2 벨크로 면(132)을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내측 둘레 면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 면(40)과 벨크로 접합시킴에 따라 팬 하우징(120)이 제1 커버부재(130) 내에서 유동됨 없이 위치되도록 하고, 혹여 필터부(200)와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100)의 결합돌기(122)에 대하여 필터부(200)를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외측에서 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 필터부(200)는 결합 링 부재(230)와 필터 하우징, 그리고 공기청정 필터(210) 및 프리 필터(22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바, 이들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후, 송풍부(100)와 결합시키도록 한다.
즉, 필터 하우징의 필터 수용홈(204)에 공기청정 필터(210)와 프리 필터(22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고,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 둘레 면에 결합 링 부재(23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결합 링 부재(2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되는 바, 결합 링 부재(230)를 벌려서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 둘레 면을 감싸도록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 둘레 면 선단 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 돌기(208)가 형성되고, 결합 링 부재(230)의 선단 측 둘레 면에는 상기 단차 돌기(208)가 안착되기 위한 단차 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206) 둘레 면에 결합 링 부재(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링 부재(230)는 필터 하우징에 대하여 이탈됨이 예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방호복(10)의 통과 홀(24)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22)를 결합 링 부재(23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 홈(232)에 삽입하게 되면, 송풍부(100)와 필터부(200)는 방호복(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결합 링 부재(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되고, 이 결합 링 부재(230)에 형성되는 결합 홈(232)의 지름은 결합돌기(122)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는바, 결합돌기(122)가 결합 링 부재(230)의 결합 홈(232)에 삽입될 때,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탄성 변형시키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그 결속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커버부재(240)를 이용하여 필터부(200)를 감싸도록 한다.
즉, 제2 커버부재(240)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4 벨크로 면(242)을 방호복(10)의 통기구(22) 주변 외측 둘레 면에 형성되는 제3 벨크로 면(50)과 벨크로 접합시킴에 따라 필터부(200)가 제2 커버부재(240) 내에서 유동됨 없이 위치되도록 하고, 혹여 송풍부(100)와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낙하 등에 의한 유실이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풍부(100)와 필터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송풍 팬(11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한 후 작동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송풍 팬(110)의 회전에 의해 외부 공기는 필터부(200)를 통과하여 방호복(10)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송풍 팬(110)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프리 필터(220)와 공기청정 필터(2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입자가 큰 이물질은 프리 필터(220)에서 걸러지고, 미세입자 또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성 세균은 공기청정 필터(210)에 의해 걸러진 후, 정화된 공기만 방호복(10)의 통기구(22) 및 팬 하우징(120)의 통공(126)을 통과한 후 방호복(10)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커버부재(130)와 제2 커버부재(240)는 망사 형태의 매쉬로 구성되어 있는바, 공기의 통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호복(10) 내부에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미세먼지와, 각종 병원성 세균이 제거된 정화 공기만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방호복(10) 내부에는 송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방호복(10) 내부의 온도 즉, 작업자의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온도)를 저감시키게 되어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자의 체온을 낮추어 땀의 발생을 억제시킴에 따라 더욱 향상된 작업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호복(10)을 착용한 작업자는 보다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참고로, 송풍부(100)의 팬 하우징(120) 선단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과 같은 연질의 완충부(12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방호복(10)을 착용한 상태에서 팬 하우징(120)의 선단과 등 부위의 접촉에 따른 마찰강도를 줄여 활동에 크게 제약이 따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호복(10)의 등 부위에 온도저감 장치가 구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위치는 가변될 수 있으며, 더욱이 다른 한 쪽에는 동일한 구성의 온도저감 장치가 구비되되, 송풍 팬(110)의 풍향을 바꾸어 방호복(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방호복(10) 내부의 공기 양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방호복 20 : 본체
22 : 통기구 24 : 통과 홀
26 : 실링부재 30 : 후드
40 : 제1 벨크로 면 50 : 제3 벨크로 면
100 : 송풍부 110 : 송풍 팬
120 : 팬 하우징 122 : 결합돌기
124 : 완충부 126 : 통공
130 : 제1 커버부재 132 : 제2 벨크로 면
200 : 필터부 202 : 송풍 홀
204 : 필터 수용홈 206 : 플랜지
208 : 단차 돌기 210 : 공기청정 필터
220 : 프리 필터 230 : 결합 링 부재
232 : 결합 홈 234 : 단차 홈
240 : 제2 커버부재 242 : 제4 벨크로 면

Claims (5)

  1. 착용자의 양팔 부위를 포함하는 상체부와 양 다리 부위를 포함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착용자의 머리 및 얼굴 부위를 감싸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방호복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의 선택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풍구;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배치되는 송풍부; 및
    상기 통풍구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와 필터부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풍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을 감싸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방호복의 통풍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배면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호복의 통풍구 주변 둘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통과되기 위한 통과 홀이 형성되되,
    상기 통과 홀이 형성되는 부위는 실링부재가 코팅되고, 상기 실링부재에 통과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측 단에 송풍 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 홀 주변 둘레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내측에 필터 수용홈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필터 수용홈에 대하여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청정 필터 및,
    상기 공기청정 필터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필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는 프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플랜지 둘레 면에 감합된 상태로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팬 하우징의 결합돌기가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된 결합 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KR1020200091727A 2020-07-23 2020-07-23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KR10216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27A KR102162277B1 (ko) 2020-07-23 2020-07-23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27A KR102162277B1 (ko) 2020-07-23 2020-07-23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277B1 true KR102162277B1 (ko) 2020-10-06

Family

ID=7282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27A KR102162277B1 (ko) 2020-07-23 2020-07-23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3007A (ja) * 2019-02-13 2020-08-31 株式会社ジーベック ファン付き衣服
KR102417704B1 (ko) * 2021-12-09 2022-07-11 최석봉 웨어러블형 방호복 냉난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0Y1 (ko) 2002-09-04 2002-11-22 세안기술 주식회사 공기 공급라인을 갖는 방사선 방호복
KR101674351B1 (ko) 2016-05-24 2016-11-08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공기공급라인 및 후드를 갖는 방사선 방호복용 후드가드 시스템
JP6374504B2 (ja) * 2014-07-16 2018-08-15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空調衣服
JP2019199674A (ja)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クラレ ウェアラブル身体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20Y1 (ko) 2002-09-04 2002-11-22 세안기술 주식회사 공기 공급라인을 갖는 방사선 방호복
JP6374504B2 (ja) * 2014-07-16 2018-08-15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空調衣服
KR101674351B1 (ko) 2016-05-24 2016-11-08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공기공급라인 및 후드를 갖는 방사선 방호복용 후드가드 시스템
JP2019199674A (ja)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クラレ ウェアラブル身体冷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3007A (ja) * 2019-02-13 2020-08-31 株式会社ジーベック ファン付き衣服
KR102417704B1 (ko) * 2021-12-09 2022-07-11 최석봉 웨어러블형 방호복 냉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5878A1 (en) Half facepiece
JP6374504B2 (ja) 空調衣服
KR102162277B1 (ko) 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방호복
JP5062619B2 (ja) 保護ヘッドギアシステム
US5887281A (en) Air filtration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head gear
EP1183077B1 (en) Face mask with fan attachment
US3625206A (en) Protective clothing
US3529594A (en) Clothing to protect the environment from contamination
JP3203864U (ja) ポリ袋が備えられた使い捨てマスク
JP5619325B1 (ja) 送風装置及び送風装置を備える防護服
US20210322799A1 (en) Z-shield filtered air protective system
JPWO2007061088A1 (ja) 空調衣服
CN1449697A (zh) 疫情防护服
CN111713785A (zh) 一种微正压透气防护服
CN2730167Y (zh) 多功能安全防护服
US20220095736A1 (en) Face shield with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methods of use
KR20220005205A (ko) 송풍장치가 체결된 방호복
KR102484434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진 보호복
CN212395652U (zh) 一种新型冠状病毒医用防护头盔
CN212306969U (zh) 防病毒、防灰尘调温风帘帽
CN212854299U (zh) 面罩及检查装置
CN211962237U (zh) 一种正压防护和手术两用头罩
RU2772048C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для лица
KR200357555Y1 (ko) 집진필터를 갖는 송·배풍기
CN214547333U (zh) 一种简易正压通风式医用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