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569B1 -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569B1
KR102161569B1 KR1020180084323A KR20180084323A KR102161569B1 KR 102161569 B1 KR102161569 B1 KR 102161569B1 KR 1020180084323 A KR1020180084323 A KR 1020180084323A KR 20180084323 A KR20180084323 A KR 20180084323A KR 102161569 B1 KR102161569 B1 KR 10216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ot water
bean
pressur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9669A (en
Inventor
엄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로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to KR102018008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5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보일러, 포타필터,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된 제2 히터, 압력조절부, 온수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은 원두의 종류, 원두의 로스팅 상태, 로스팅된 원두의 배합 비율 및 그라인딩 상태에 따라 반자동 커피머신의 온도, 압력 및 커피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추출된 원두커피의 산미(Acidity), 향미(Flavor), 밀도(Body) 및 후미(Aftertaste)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first heater, a porta filter, a group head,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 pressure control unit, a sensor unit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hot water, and pressure and temperatur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control unit relates to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adjust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based on the input coffee information. The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of coffee in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type of beans, roasting status of beans, blending ratio of roasted beans and grinding status, as well as the extracted coffee beans.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control the acidity, flavor, density (Body) and aftertaste.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보일러, 포타필터,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된 제2 히터, 압력조절부, 온수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및 온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a housing,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first heater, a porta filter, a group head,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 pressure control unit, and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 unit relates to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adjust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based on input coffee information.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커피 음료는 크게 인스턴트 커피와 원두 커피로 구분된다.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여과법과 달임법, 우려내기, 가압추출법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여과법인 드립(Drip)식 커피와 가압추출법인 에스프레소 커피이다.Coffee drinks made using coffee beans are largely divided into instant coffee and coffee beans. Methods of extracting coffee from coffee beans include filtration, decoction, brewing, and pressurized extraction, and the most commonly used are drip coffee, a filtration method, and espresso coffee, a pressurized extraction method.

에스프레소 커피란, 공기를 압축하여 뽑아낸 커피를 데미타세(Demtasse) 잔에 마시는 아주 진한 이탈리아식 커피로서,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추출된 커피이다.Espresso coffee is a very strong Italian coffee that is extracted by compressing air and is drunk in a Demtasse cup.It is coffee extracted by brewing coffee in a short time by providing high-pressure hot water to ground coffee beans. to be.

이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포타 필터(porta filter))과,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The device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includes a filter unit (porta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y receiving ground coffee beans, a boiler for providing hot water, and a pump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ffee beans. Includes.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 가정 등에서 사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특히, 종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 중 하나로는, 볶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역삼각 원추형의 필터에 담은 후에, 커피 드립이라고 하는 추출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커피 원두를 필터 위에 놓고, 가열수를 부어준 다음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커피를 받는 컵의 고리를 잡고서 추출기의 필터 위치 아래에 형성된 배출구 밑으로 서랍처럼 밀면, 추출기에 설치된 스위치가 작동하여 가열 수단이 동작하도록 하며, 이때 물이 가열되어 커피 위에 고이면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며,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에스프레소가 아래로 추출 되도록 하는 장치가 있다. Thes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for use in coffee shops, industries, companies, and homes. In particular, as one of the conventional espresso coffee extraction apparatuses, after pulverizing roasted coffee beans and placing them in an inverted triangular cone-shaped filter, using an extractor called coffee drip, place the ground coffee beans on the filter and pour heated water. E, when the user grabs the loop of the cup for receiving coffee with one hand and pushes it like a drawer under the outlet formed under the filter position of the extractor, the switch installed in the extractor operates to activate the heating means, and at this time, the water is heated to the top of the coffee. When it is high, the espresso is extracted, and ther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espresso to be extracted downwards by the influence of gravity.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커피 생두의 종류와, 로스팅(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이다. 커피나무의 열매(Cherry) 안에는 두 개의 씨앗이 있는데 이를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 없고 그저 딱딱한 씨앗에 불과나, 로스팅 과정을 거칠 경우 생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풍미를 나타낸다.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lavor of espresso coffee is the type of green coffee beans and roasting (how much coffee beans are roasted). There are two seeds in the fruit of the coffee tree, which are called green beans. In the state of the green beans, they have no taste and are just hard seeds, but when they are roasted, they have different flavors depending on the type of green beans.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키고 화학 변화를 일으켜 맛과 향을 끌어내는 작업으로서, '시간과 온도에 의존하는 공정(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이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불쾌한 향미의 생두가 진한 갈색의 고소한 원두로 탈바꿈되면서 비로소 원두커피로 재탄생된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생두에는 6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asting is a process that expands tissue by applying heat to green beans and causes chemical changes to bring out taste and aroma. It is a'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 Through the roasting process, green beans with an unpleasant flavor are transformed into dark brown savory beans, and finally, coffee beans are reborn. It is known that more than 600 different chemical substances are generated in green beans through the roasting process.

상술한 생두의 종류 및 로스팅 정도는 에스프레소 머신 수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머신 수준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조절변수는 입자 분쇄도, 템핑 압력, 수압, 수온 및 추출량이다.The types and degree of roasting of green beans described above are areas that cannot be controlled at the espresso machine level, and the five control variables that affect the flavor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ed at the machine level are the degree of grain grinding, tempering pressure, water pressure, water temperature and extraction volume. to be.

커피 풍미의 조절이 가능한 에스프레소 머신과 관련된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5-7027732호(발명의 명칭 : 커피 풍미를 복제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brewing)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커피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브루 파라미터(brew parameter)의 세트와 연관되는, 상기 커피 음료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단계; 및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a patent document related to an espresso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coffee flavor, KR Patent Application No. 10-2015-7027732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coffee flavor) describes brewing of coffee beverage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ising: providing instructions for receiving an identifier for the coffee beverage associated with a set of brew parameters used to make a coffee beverage; And retrieving the set of brew parameters using the identifier from a database storing a set of brew parameter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ntrolling brewing of a coffee beverage is disclosed.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의 경우 상기 브루 파라미터가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a specific method of implementing the brew parameter in an espresso machine cannot be presented.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 number of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enced and citations are indicated. The disclosure contents of the cited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and the level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re clearly described.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원두의 로스팅 상태 및 그라인딩 상태에 따라 반자동 커피머신의 온도, 압력 및 커피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이 하우징,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보일러, 포타필터,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된 제2 히터, 압력조절부, 온수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입력된 원두 정보 및 상기 원두의 그라인딩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온도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조절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can control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roasting and grinding conditions of the coffee beans. As a result, the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housing,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first heater, a porta filter, a group head,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 pressure control unit, a sens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ot wat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ion and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the fact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whe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coffee extracted based on the input bean information and the grinding information of the bean. Found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은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원두의 로스팅 상태 및 그라인딩 상태에 따라 반자동 커피머신의 온도, 압력 및 커피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이 하우징, 제1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보일러, 포타필터,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된 제2 히터, 압력조절부, 온수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입력된 원두 정보 및 상기 원두의 그라인딩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온도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조절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can control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roasting and grinding conditions of the coffee beans. As a result, the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housing,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first heater, a porta filter, a group head,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 pressure control unit, a sens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ot wat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rtion and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the fact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whe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coffee extracted based on the input bean information and the grinding information of the bean. Confirm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압력조절부, 제1 히터, 제2 히터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tank and a supply pipe to supply water used when extracting coffee, and a first hea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A hot water boiler that generates hot water by heating the supplied water, a pota filter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powder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he pota filter is detachable, the hot water boiler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A group head that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porta filter to extract coffee,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nd reheats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A pressur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adjusting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sensor unit measur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amount of extracted coffee of the hot water, and the pressure contro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the unit, a first heater, a second heater, and the extracted coffe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a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ased on the input coffee bean information. Provides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adjust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포타필터’는 커피수용부 하측에 필터 및 커피 배출구가 형성되고, 반자동 커피머신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일체의 커피 필터를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porta filter” used herein may refer to an entire coffee filter having a filter and a coffee outlet formed below the coffee receiving unit, and used by being attached to and attached to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그룹헤드’는 포터 필터를 고정하고, 가열시키며, 포터 필터 안에 온수를 공급하는 반자동 커피머신의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group head” used herein may mean a part of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at fixes and heats a porter filter and supplies hot water to the porter filt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은 원두 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변수들이 커피 맛에 끼치는 영향과 조합에 따른 예상 결과를‘경우의 수 실험’ 및/또는‘예측 시뮬레이션’으로 최적의 커피 맛을 도출할 수 있는 일체의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umber of cases experiment' and/or'predicts the effect of a number of variables included in the bean information on coffee taste and the expected resul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It can mean any algorithm that can derive the optimum coffee taste through'simul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로스팅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bean roas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원두 정보가 원두 로스팅 정보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추출된 커피 맛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원두 로스팅 정보이고,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를 바탕으로 반자동 커피머신의 온수 온도, 온수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결정하기 때문이다.It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ean information is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key factor determining the taste of the extracted coffee is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and the hot water temperature, hot water pressure, and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QR 코드, RFID, NFC 인식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QR 코드, NFC 인식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QR 코드 인식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입력을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 있 가장 바람직하게는 QR 코드 인식을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input through a QR code, RFID, NFC recognition or a dedicated application input, more preferably a QR code, NFC recognition or a dedicated application It may be input through an input, more preferably through a QR code recognition or a dedicated application input, and most preferably through a QR code recogn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QR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패키징에 인쇄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printed on bean packaging.

본 발명에서 원두 패키징에 인쇄된 QR 코드를 바탕으로 원두 로스팅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반자동 커피머신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제어하는데, 다양한 원두 로스팅 정보를 원두 패키징에 인쇄된 QR 코드를 통해 입력할 경우 복잡한 원두 로스팅 정보 입력 과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important to input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QR code printed on the bean packaging. This is because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roduct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when various coffee roastin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QR code printed on the bean packaging,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cess of entering the complicated coffee roas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과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rolled by manipula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App).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통해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에 포함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커피머신 제어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ling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operation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This is because various coffee machine control solutions can be provided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d in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a)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두 로스팅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c) 추출될 커피의 맛을 세팅하는 단계.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operate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b) recognizing a QR code including coffee roasting information using a smartphone; And (c) setting a taste of coffee to be extra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커피의 맛을 세팅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산미(Acidity), 향미(Flavor), 밀도(Body) 및 후미(Aftertaste)를 세팅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etting the taste of the coffe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setting acidity, flavor, density (Body) and aftertas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종류, 원두 산지, 원두 로스팅 정도, 원두 함수율 및 원두 경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type of beans, the origin of the beans, the degree of roasting bean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eans and the hardness of the b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압력조절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밸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include a bypass valve that selectively drains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nd adjusts the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상기 원두 정보를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ubstitutes the inputted bean information into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to determin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t may b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본 발명에서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원두 종류, 원두 산지, 원두 로스팅 정도, 원두 함수율 및 원두 경도 등 다양한 원두 조건에 따라 최적의 반자동 커피머신 세팅 값을 계산하는 것은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 알고리즘을 이용하지 않고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It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to use the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optimal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etting value according to various bean conditions such as bean type, bean origin, bean roasting degree, bean moisture content and bean hardness without using the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압력조절부, 제1 히터, 제2 히터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원두 정보는 원두 로스팅 정보 및 원두 분쇄기의 원두 분쇄도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과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tank and a supply pipe to supply water used when extracting coffee, and a first hea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A hot water boiler that generates hot water by heating the supplied water, a pota filter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powder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he pota filter is detachable, the hot water boiler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A group head that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porta filter to extract coffee,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nd reheats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A pressur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adjusting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sensor unit measur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amount of extracted coffee of the hot water, and the pressure contro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the unit, a first heater, a second heater, and the extracted coffe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a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ased on the input coffee bean information. And the coffee bean information is coffee roasting information and coffee grinding degree information of the coffee bean grinder, and the control unit is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to provide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분쇄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과 정보 교환을 위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or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for information exchange.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과 연동된 분쇄기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과 연동된 분쇄기를 포함할 경우 입력된 원두 로스팅 정보를 바탕으로 최족의 원두 분쇄도를 자동으로 연산하여 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to include a grinder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or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including a grinder linked with a smart phone or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the best coffee grind degree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inputted based on the input roas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분쇄기는 바람직하게는 로스팅된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n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roasted beans.

본 발명에서 복수의 호퍼를 구비한 분쇄기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분쇄기 호퍼에 다양한 종류의 로스팅된 원두를 보관할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분쇄 원두를 혼합하여 매우 다양한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o include a grinder having a plurality of hoppers. This is because, when various types of roasted beans are stored in the grinder hopper, various types of coffee can be extracted by mixing various types of ground bea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른 상태의 로스팅된 원두가 보관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oasted beans in different states may be preferably stored in a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상기 원두 정보를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 및 상기 원두 분쇄기의 원두 분쇄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ubstitutes the input coffee bean information into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to determin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It may b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beans and the degree of grinding beans in the coffee bean grin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종류, 원두 산지, 원두 로스팅 정도, 원두 함수율 및 원두 경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type of beans, the origin of the beans, the degree of roasting bean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eans and the hardness of the bea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호퍼(Hopper)에 각각 보관된 원두의 종류에 따라 각각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put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an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pp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압력조절부, 제1 히터, 제2 히터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커피머신, 상기 반자동 커피머신과 정보 교환을 위해 연결되고, 로스팅된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를 구비하는 원두 분쇄기 및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tank and a supply pipe to supply water used when extracting coffee, and a first heater provided therein to provide the water tank. A hot water boiler that generates hot water by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a pota filter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for receiving the ground coffee powder,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he pota filter is detachable, the hot water boiler and the hot water A group head connected to a supply pipe and configured to supply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porta filter to extract coffee, and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to reheat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 A pressur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controlling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sensor unit measur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amount of extracted coffee of the hot water, and the pressure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including a control unit, a first heater, a second he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connected to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a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roasted beans (Hopper It provides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comprising a coffee bean grinder having a) and a smartphone hav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pp)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원두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로스팅 정보 및 원두 분쇄기의 원두 분쇄도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adjust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ased on the input bean information, and the bean information is preferably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roasting coffee beans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grinding beans in a coffee bean grin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분쇄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자동 커피머신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by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른 상태의 로스팅된 원두가 보관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asted beans in different states may be preferably stored in a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에 포함된 각각 다른 상태의 로스팅된 원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상기 로스팅된 원두의 분쇄도 및 배합 비율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sted beans in different stat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th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pulverized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nd It may be to determine the blending rati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에는 바람직하게는 원두 로스팅 정포를 포함하는 QR 코드 생성부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include a QR code generation unit including a coffee bean roasting tablet.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에 원두 로스팅 정보를 입력할 경우 자동으로 QR 코드를 생성하는 QR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QR 코드 생성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QR 코드 생성을 위한 절차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입력된 로스팅 정보를 직접 반자동 커피머신에 전달하여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ery important configuration to include a QR code generator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QR code when the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martphone. This is because when a separate program is used to generate the QR code, the procedure for generating the QR cod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input roasting information cannot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for us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압력조절부, 제1 히터, 제2 히터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을 제공한다.(a)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provided in the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tank and a supply pipe to supply water used when extracting coffee, and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by a first heater provided therein. A hot water boiler that generates hot water, a porta filter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for receiving the pulverized coffee powder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he porta filter is detachable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iler and a hot water supply pipe, and the A group head that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hrough a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porta filter to extract coffee,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to reheat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an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A pressure control unit that is provided and adjusts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amount of extracted coffee, and the first heater , A second he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extracted coffe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ustomized for a user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ased on the input coffee bean information. We provid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s.

(b) 본 발명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은 원두의 종류, 원두의 로스팅 상태, 로스팅된 원두의 배합 비율 및 그라인딩 상태에 따라 반자동 커피머신의 온도, 압력 및 커피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추출된 원두커피의 산미(Acidity), 향미(Flavor), 밀도(Body) 및 후미(Aftertaste)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b) The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of coffee according to the type of coffee beans, the roasting state of the beans, the blending ratio of the roasted beans, and the grinding stat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freely controlling the acidity, flavor, density, and aftertaste of coffee beans.

도 1은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입력된 원두 정보와 관련된 참고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메뉴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메뉴 중‘로스팅 정보 입력’을 클릭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로스팅 정보 입력 페이지 중‘로스팅 정보 스캔’을 클릭하여 QR 코드 인식부를 통해 원두 정보를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메뉴 중‘커피 맛 자동 선택’을 클릭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커피 맛이 자동으로 선택된 경우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 알고리즘을 통해 커피 맛을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메뉴 중‘커피 맛 수동 선택’을 클릭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메뉴 중‘메뉴’를 클릭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메뉴 중‘커뮤니티’를 클릭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2 shows a reference diagram related to input coffee information.
3 shows an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IG. 4 shows a case of clicking'Enter roasting information' in the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IG. 5 shows an example of recognizing bean information through a QR code recognition unit by clicking'Scan Roasting Information' in the roasting information input page.
6 shows a case where'automatic coffee taste selection' is clicked in the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7 shows a state in which coffee taste is determined through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when coffee taste is automatically selected.
8 shows a case where'manual selection of coffee taste' is clicked in the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9 shows an example of clicking'Menu' in the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10 shows a case where'Community' is clicked in the initial menu of a smartphone applic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100)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100)은 하우징(10), 온수보일러(20), 공급관(21), 제1 히터(22), 물탱크(23), 포타필터(30), 추출구(31), 온수공급관(40), 압력조절부(41), 그룹헤드(50), 제2 히터(51), 센서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는 반자동 커피머신(1), 멀티 호퍼(2-1)를 포함하는 원두 분쇄기(2), 스마트폰(3) 및 QR 코드(4-1), QR 코드 생성부(4-2), QR 코드 인식부(4-3), 사용자 입력부(4-4) 및 연산부(4-5)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hot water boiler 20, a supply pipe 21, a first heater 22, and a water tank. 23), a porta filter 30, an extraction port 31, a hot water supply pipe 40, a pressure control unit 41, a group head 50, a second heater 51, a sensor unit 60, and a control unit 70 ), including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a coffee bean grinder (2) including a multi-hopper (2-1), a smartphone (3) and a QR code (4-1), a QR code generation unit (4-2) , A QR code recognition unit 4-3, a user input unit 4-4, and an application 4 including an operation unit 4-5.

상기 반자동 커피머신(1)은 하우징(10), 온수보일러(20), 공급관(21), 제1 히터(22), 물탱크(23), 포타필터(30), 추출구(31), 온수공급관(40), 압력조절부(41), 그룹헤드(50), 제2 히터(51), 센서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includes a housing (10), a hot water boiler (20), a supply pipe (21), a first heater (22), a water tank (23), a pota filter (30), an extraction port (31), and hot water. It includes a supply pipe 40, a pressure control unit 41, a group head 50, a second heater 51, a sensor unit 60, and a control unit 70.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반자동 커피머신(1)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온수보일러(20)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보일러(20)는 상기 하우징(10) 외부의 물탱크(23)과 공급관(2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상기 물탱크(23)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용수를 공급받게 된다.Referring to FIG. 1, first, a housing 10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is provided, and a hot water boiler 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The hot water boiler 20 is connected by a water tank 23 outside the housing 10 and a supply pipe 21, and is used when extracting coffee from the water tank 23 through the supply pipe 21. Water will be supplied.

상기 물탱크(23)에는 상기 온수보일러(20)로 공급되는 용수가 저장되며, 그 내부에는 수용되는 용수의 수위에 따라 외부에서 입수관(미도시)을 통해 인입되는 용수를 차단하는 부구밸브(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tank 23 stores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rein, a bugu valve for blocking water drawn from the outside through an intake pipe (not sh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received ( Not shown) is preferably provided.

상기 온수보일러(20)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23)로부터 공급받은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제1 히터(22)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보일러(20)의 내부에는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에서 상기 제1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센서부, 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센서부, 60)이 측정한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는 후술되는 제어부(70)로 전송된다.A first heater 22 is provided inside the hot water boiler 20 to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3, and the hot water boiler 20 is inside the hot water boiler 20. )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sensor (sensor unit) 6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heated by the first heater 22 is provide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sensor unit) 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온수보일러(20)에는 생성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온수배출관(미도시)가 연결되는데, 상기 온수배출관(미도시) 상에는 온수배출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적인 개폐에 따라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한다.A hot water discharge pipe (not shown) capable of discharging the generated hot water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and a hot water discharge val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not show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물탱크(23)에 수용된 용수는 상기 공급관(21)에 구비되는 용수공급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온수보일러(20)로 공급되며, 상기 공급관(21)에는 상기 공급관(21)과 분기되는 회귀배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회귀배관(미도시)는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다시 물탱크(23)로 회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water received in the water tank 23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by a water supply pump (not shown) provided in the supply pipe 21, and the supply pipe 21 is branched from the supply pipe 21 A return pipe (not shown) is provided, and the return pipe (not shown) serves to return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21 back to the water tank 23.

상기 회귀배관(미도시) 상에는 릴리프밸브(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릴리프밸브(미도시)는 상기 공급관(21)의 내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용수를 다시 상기 물탱크(23)로 회귀시켜 상기 공급관(21)의 내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A relief val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return pipe (not shown), and the relief valve (not shown) is selectively open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pply pipe 21 to return water to the water tank 23 It serves to adjus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pply pipe (21).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온수보일러(20)과 온수공급관(40)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를 공급받는 그룹헤드(50)이 구비되고, 상기 그룹헤드(50)에는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는 포타필터(30)이 탈부착되며, 상기 포타필터(30)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는 추출구(31)이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group head 50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and a hot water supply pipe 40 to receiv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group head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a filter 30 for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porta filter 30 has an extraction port 31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at the bottom.

상기 그룹헤드(50)은 상기 온수보일러(20)과 온수공급관(40)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4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 그룹헤드(50)의 내부에는 제2 히터(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히터(51)는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를 식음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재가열하여 식음자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그룹헤드(50) 내에는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센서부, 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센서(센서부, 60)가 측정한 온도는 제어부(70)로 전송된다.The group head 5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nd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to the porta filter 30 to extract coffee. A second heater 51 is provided inside the group head 50, and the second heater 51 selectively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according to a temperature set by a drinker or a user. Reheat to supply hot water at a set temperature selected by a food or drinker or a user. In the group head 50, a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is preferably provided, and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is The measured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상기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 및 상기 그룹헤드(50)을 통해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와 제1센서(센서부, 60) 및 제2센서(센서부, 60)가 측정한 온도를 비교하여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와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히터(22) 및 제2 히터(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70)이 PID 제어를 통해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와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설정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70 includes a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set by a user and a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through the group head 50 and a first sensor (sensor unit, 60). )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and PID (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are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er 22 and the second heater 51 through control. The control unit 70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at a set temperature through PID control.

상기 그룹헤드(50)로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를 공급하는 상기 온수공급관(40) 상에는 바이패스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밸브(미도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관(40)로 공급되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50)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바이패스밸브(미도시)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70)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공급관(40) 상에는 상기 온수공급관(40)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ypass val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for supplying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to the group head 50. The bypass valve (not shown) serves to selectively drain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o adjust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5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ss valv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a pressure gaug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is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상기 온수보일러(20)과 상기 그룹헤드(50)에는 센서부(60)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와 상기 그룹헤드(50) 내에서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에는 제1센서(센서부, 60)가 구비되고 상기 그룹헤드(50) 내에는 제2센서(센서부, 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group head 50 ar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60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in the group head 50. Measure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sensor (sensor unit) 60 is provided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a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is provided within the group head 50.

상기 제1센서(센서부, 60)와 상기 제2센서(센서부, 60)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는 상기 제어부(7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70)은 상기 제1센서(센서부, 60) 및 제2센서(센서부, 60)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한 후 상기 센서부(60)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히터(22) 및 제2 히터(51)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룹헤드(50)의 하부에는 배수트레이가 위치하며, 상기 배수트레이로는 상기 온수공급관(40)에서 분기되는 잔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수가 수용된다.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sensor unit, 60) and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and the control unit 70 includes the first sensor (sensor unit, 60)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is received and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and t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60 is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er 22 and the second heater 51 through PID (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contro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ypass valve (not shown). A drain tray is located under the group head 50, and the drain tray accommodates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a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branching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공급관(40)에서 가변압용퇴수관(미도시)가 분기되는데, 상기 가변압용퇴수관(미도시)은 상기 그룹헤드(50)로 공급되는 온수의 내압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그룹헤드(50)로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트레이로 배출한다.1, a variable pressure drainage pipe (not shown) is branched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variable pressure drainage pipe (not shown) controls the internal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50 For this purpose, a part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50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drain tray.

상기 가변압용퇴수관(미도시) 상에는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그룹헤드(50)로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50)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 역시 그 동작은 상기 제어부(70)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variable pressure discharge pipe (not shown), and the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group head 50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portion of the hot water is drained to control the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50.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is also preferab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

상기 바이패스밸브(미도시) 및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는 상기 제어부(70)이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70)가 아닌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의 위치는 상기 온수공급관(40)과 상기 가변압용퇴수관(미도시) 상에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bypass valve (not shown) and the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are preferably configured in an electronic manner in which the control unit 70 can adjust the opening amount, but the control unit 70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user may manually adjust the opening amount,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may be provided anywhere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variable pressure drainage pipe (not shown).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반자동 커피머신(1)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물탱크(23)에 수용된 용수는 용수공급펌프(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공급관(21)을 통해 온수보일러(20)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관(21)에는 회귀배관(미도시)이 분기되며,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설정 압력이상으로 공급되면 상기 회귀배관(미도시) 상에 구비되는 릴리프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일부를 다시 물탱크(23)로 회귀시켜 상기 공급관(21)의 압력을 조절한다.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23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boiler 20 through the supply pipe 21 by driving a water supply pump (not shown). A return pipe (not shown) is branched into the supply pipe 21, and a relief valve (not shown) provided on the return pipe (not shown) whe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21 is supplied above a set pressure Is opened to return part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21 back to the water tank 23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supply pipe 21.

상기 온수보일러(20) 내로 공급된 용수는 제1 히터(22)에 의해 가열되면서 온수로 생성되며, 생성된 온수는 온수공급관(40)을 통해 상기 그룹헤드(50)을 거쳐 커피분말이 수용된 포타필터(30)로 공급된다.The water supplied into the hot water boiler 20 is heated by the first heater 22 and is generated as hot water, and the generated hot water passes through the group head 50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t is supplied to the filter 30.

이때 온수는 상기 온수보일러(20)에서 생성된 압력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되는데, 온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잔수배출관(미도시) 및 가변압용퇴수관(미도시)를 온수공급관(40)에서 분기시켜 미리 설정된 압력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압력으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바이패스밸브(미도시) 및 제2바이패스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배수트레이로 배수하여 온수공급관(40) 내의 압력이 조절된다.At this time, hot water is supplied at high pressure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hot water boiler 20,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not shown) and a variable pressure discharge pipe (not shown) are branched from the hot water supply pipe 40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The bypass valve (not shown) and the second bypass valve (not shown) are opened so that hot water is supplied at a preset pressure or at a specified pressure by the user's operation, and a part of the supplied hot water is drained to the drain tray to supply hot water. The pressure in 40 is regulated.

상기 온수보일러(20)와 상기 그룹헤드(50) 내에는 각각 제1센서(센서부, 60)과 제2센서(센서부, 60)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와 그룹헤드(50)를 통해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A first sensor (sensor unit, 60) and a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are provided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group head 50, respectively, and the temperature and group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boiler 20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through the head 50 is measured,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0.

상기 제어부(70)는 제1센서(센서부, 60) 및 제2센서(센서부, 60)이 측정한 온도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1센서(센서부, 60) 및 제2센서(센서부, 60)에서 측정한 온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PID 제어를 통해 온도보일러(110) 내의 제1 히터(22)와 그룹헤드(50) 내의 제2 히터(51)을 동작시켜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30)로 공급한다.The control unit 70 compar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sensor unit, 60) and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the first sensor (sensor unit, 60) And the first heater 22 and the group head 50 in the temperature boiler 110 through PID contro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sensor unit, 60) is low. The second heater 51 is oper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to supply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to the porta filter 30.

따라서, 포터필터(1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압력조절에 의해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추출할 수 있고, 에스프레소 뿐만 아니라 여과식인 드립식 커피를 재현할 수 있어 식음자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70)가 PID 제어를 통해 온수보일러(20) 내의 제1 히터(22)와 그룹헤드(50) 내의 제2 히터(51)을 동작시켜 온수보일러(20) 내의 온수의 온도와 포타필터(30)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filter 13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so that the coffee can be extracted while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coffee by pressure control, an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not only espresso, but also a filtered drip coffee, so that the taste of the food and drinker It is possible to provide suitable coffee, and the controller 70 operates the first heater 22 in the hot water boiler 20 and the second heater 51 in the group head 50 through PID control, so that the hot water boiler 2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insid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30 can be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so that high-quality coffee can be extracted.

상기 원두 분쇄기(2)는 멀티 호퍼(2-1)를 포함한다. 멀티 호퍼(2-1)를 포함하는 원두 분쇄기(2)는 원두 분쇄기 상단에 다수의 호퍼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호퍼에 각기 다른 원두를 수용할 수 있고,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매번 다른 비율의 원두를 블렌딩하여 분쇄할 수 있다.The coffee bean grinder 2 includes a multi hopper 2-1. Since the coffee bean grinder 2 including the multi-hopper 2-1 includes a plurality of hoppers at the top of the bean grinder, different beans can be accommodated in each hopper,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Different ratios of beans can be blended and ground each time.

상기 제어부(70)는 스마트폰(3)에 포함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원두의 종류, 배합비율, 분쇄도,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량을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type of coffee beans, the blending ratio, the degree of grinding,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of hot water through the smart phone application 4 included in the smart phone 3.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4)은 QR 코드 생성부(4-2), QR 코드 인식부(4-3), 사용자 입력부(4-4) 및 연산부(4-5)를 포함한다.The smartphone application 4 includes a QR code generation unit 4-2, a QR code recognition unit 4-3, a user input unit 4-4, and an operation unit 4-5.

상기 QR 코드 생성부(4-2)는 원두의 로스팅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4-1)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스터가 상기 QR 코드 생성부(4-2)에 로스팅한 원두의 종류, 비율 및 로스팅 정도를 입력할 경우 입력된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4-1)가 생성된다. 이 때, 로스터는 생성된 QR 코드(4-1)를 인쇄하여 원두 포장용 패키징에 붙이거나 인터넷 판매 사이트 등에 개시하여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두 로스팅 정보를 상기 QR 코드(4-1)를 통해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QR code generation unit 4-2 serves to generate a QR code 4-1 including roasting information of coffee beans. When the roaster inputs the type, ratio, and degree of roasting of roasted beans to the QR code generator 4-2, a QR code 4-1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roaster prints the generated QR code (4-1) and attaches it to the packaging for bean packaging or discloses it to an internet sales site so that the user can download the coffee roasting information at any time through the QR code (4-1). do.

상기 QR 코드 생성부(4-2)를 통해 생성된 QR 코드(4-1)는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4)에 포함된 QR 코드 인식부(4-3)를 통해 인식한다.The QR code 4-1 generated through the QR code generation unit 4-2 is recognized through the QR code recognition unit 4-3 included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4.

사용자가 직접 원두를 로스팅할 경우 상기 QR 코드(4-1) 인식 과정 없이, 사용자 입력부(4-4)를 통해 로스팅된 원두의 종류, 배합 비율 및 로스팅 정도 등의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user directly roasts coffee beans, data such as the type, blending ratio, and roasting degree of roasted beans can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4-4 without the QR code 4-1 recognition process.

사용자가 로스팅된 원두의 정보와 음용하고 싶은 커피의 맛(산미, 향미, 밀도, 후미 등의 정도)을 입력할 경우 연산부(4-5)는 입력된 정보들을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최적의 원두 배합비율, 원두 분쇄도, 온수 온도, 추출 압력 및 추출량 등을 결정한다.When a user inputs information on roasted beans and the taste of coffee he wants to drink (the degree of acidity, flavor, density, aftertaste, etc.), the operation unit 4-5 uses the input information into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Substitute in to determine the optimum blending ratio of beans, grinding degree of beans, hot water temperature, extraction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도 3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100)에 포함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4)의 사용방법과 관련된 참고도가 도시되어 있다.3 to 10 are reference diagrams related to a method of using the smart phone application 4 included in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100 customized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100)에 포함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4)은 1) 로스팅 정보 입력 파트, 2) 커피 맛 자동 선택 파트, 3) 커피 맛 수동 선택 파트, 4) 메뉴 파트 및 5) 커뮤니티 파티를 포함한다.3, a smartphone application 4 included in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100 customized for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roasting information input part, 2) an automatic coffee taste selection part, 3) It includes a manual selection of coffee flavors, 4) a menu part, and 5) a community party.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팅 정보 입력 파트는 상기 QR 코드 인식부(4-3)를 통한 로스팅 정보 스캔 파트, 로스팅 정보 수동입력 파트, 멀티호퍼 원두 선택 파트, 원수 선택 완료 파트 및 내 로스팅 보관함 파트를 포함한다.4 and 5, the roasting information inpu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sting information scan part, a manual roasting information input part, and a multi-hopper bean selection part through the QR code recognition unit 4-3. , Including raw water selection completed part and my roasting bin part.

도 5를 참조하면, 로스팅 정보 스캔 파트는 상기 QR 코드 인식부(4-3)를 통해 상기 QR 코드(4-1)를 인식하여 원두 로스팅 정보를 상기 멀티 호퍼(2-1) 중 하나의 호퍼에 입력한다. 이 때, 각각의 호퍼에는 각기 다른 상태의 로스팅된 원두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the roasting information scan part recognizes the QR code 4-1 through the QR code recognition unit 4-3, and sends the roasting information to one of the multi-hoppers 2-1. Enter i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information about roasted beans in different states is input to each hopper.

도 4를 참조하면, 로스팅 정보 수동입력 파트는 사용자가 직접 로스팅된 원두 정보를 상기 멀티 호퍼(2-1) 중 하나의 호퍼에 입력한다. 이 때, 각각의 호퍼에는 각기 다른 상태의 로스팅된 원두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in the roasting information manual input part, the user directly inputs roasted bean information into one of the multi-hoppers 2-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information about roasted beans in different states is input to each hopper.

도 4를 참조하면, 멀티호퍼 원두 선택 파트는 복수의 상기 멀티 호퍼(2-1) 중 사용자가 원두 로스팅 정보를 입력할 호퍼를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호퍼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원두 로스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ulti-hopper bean selection part serves to designate a hopp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ulti-hoppers 2-1 to which a user inputs roasting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one or more hoppers and input the roasting information they want.

도 4를 참조하면, 내 로스팅 보관함 파트는 사용자가 그동안 입력했던 원두 정보를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보관된 복수의 원두 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원두 정보를 상기 멀티 호퍼(2-1) 중 하나의 호퍼에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y Roasting Box part serves to store coffee bean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input so far, and select one bean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stored bean information to one of the multi-hopper (2-1). Enter into the hopper.

도 4를 참조하면, 원두 선택 완료 파트는 상기 멀티 호퍼(2-1) 각각에 원두 정보가 모두 입력된 후, 원두 선택 완료 파트를 클릭할 경우 입력된 원두 정보들이 반자동 커피머신(1)에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4, for the bean selection completed part, after all the bean information is inputted to each of the multi-hoppers (2-1), when clicking the bean selection completed part, the input bea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do.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맛 자동 선택 파트는 사용자가 직접 추출된 커피의 산미, 향미, 밀도 및 후미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에 맞춰 원두의 종류, 원두의 분쇄도, 온수의 온도, 온수의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 취향에 맞는 커피를 추출하도록 한다.6 and 7, in the automatic coffee taste sel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directly inputs the acidity, flavor, density, and tail of the extracted coffee, the type of coffee beans and the coffee beans are The degree of grind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and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are adjusted to extract coffee that suits the user's taste.

여기서, 원두의 종류, 원두의 분쇄도, 온수의 온도, 온수의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은 제어부(70)에 포함된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의 연산과정을 거쳐 결정된다.Here, the type of beans,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bean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and the amount of the extracted coffee are determined through a calculation process of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70.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맛 수동 선택 파트는 원두의 종류, 원두의 배합비율, 원두의 분쇄도, 온수의 온도, 온수의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커피를 추출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manual coffee taste sel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beans, the blending ratio of beans,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beans,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and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Make sure to brew your own coffee.

도 9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파트는 사용자가 커피머신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저장한 원두커피 추출 레시피를 보관하고, 보관된 레시피를 한번 터치하여 커피를 추출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a menu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recipe for extracting coffee beans stored in the process of using a coffee machine by a user, and extracts coffee by touching the stored recipe onc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파트는 반자동 커피머신(1) 사용자들이 각자 사용하는 원두커피 추출 레시피를 업로드하여, 무료 또는 유료로 배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communit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of uploading a recipe for extracting coffee beans each user of the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uses, and distributing it for free or for a fee.

여기서, 원두커피 추출 레시피를 다운로드한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정보에 자신만의 노하우를 추가하여 원두커피 추출 레시피를 개량하여, 다시 상기 커뮤니티 파트에 재공유할 수 있다.Here, the user who has downloaded the coffee beans extraction recipe can improve the coffee beans extraction recipe by adding his own know-how to the downloaded information, and share it again in the community part.

반자동 커피머신 1 원두 분쇄기 2
멀티 호퍼 2-1 스마트폰 3
어플리케이션 4 QR 코드 4-1
QR 코드 생성부 4-2 QR 코드 인식부 4-3
사용자 입력부 4-4 연산부 4-5
하우징 10 온수보일러 20
공급관 21 제1 히터 22
물탱크 23 포타필터 30
추출구 31 온수공급관 40
압력조절부 41 그룹헤드 50
제2 히터 51 센서부 60
제어부 70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시스템 100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1 Coffee bean grinder 2
Multi Hopper 2-1 Smartphone 3
Application 4 QR Code 4-1
QR code generation unit 4-2 QR code recognition unit 4-3
User input section 4-4 Operation section 4-5
Housing 10 Hot water boiler 20
Supply pipe 21 1st heater 22
Water tank 23 Porta filter 30
Spout 31 Hot water supply pipe 40
Pressure regulator 41 Group head 50
2nd heater 51 sensor part 60
Control unit 70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system customized for users 100

Claims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물탱크와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수가 공급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히터로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가열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
분쇄된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구가 하부에 구비되는 포타필터,
상기 포타필터가 탈부착되고, 상기 온수보일러와 온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온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하여 커피가 추출되도록 하는 그룹헤드,
상기 그룹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온수를 재가열하는 제2 히터,
상기 온수공급관 상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상기 온수의 온도, 압력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압력조절부, 제1 히터, 제2 히터 및 추출된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반자동 커피머신과 정보 교환을 위해 연결되고, 로스팅된 원두 보관을 위한 복수의 호퍼(Hopper)를 구비하는 원두 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원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원두 정보는 원두 로스팅 정보이며,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QR 코드 인식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QR 코드는 원두 패키징에 인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과 연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작동하고: (a)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두 로스팅 정보가 포함된 QR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c) 추출될 커피의 맛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QR 코드 생성부, QR 코드 인식부, 사용자 입력부 및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의 맛을 세팅하는 단계는 산미(Acidity), 향미(Flavor), 밀도(Body) 및 후미(Aftertaste)를 세팅하며,
상기 원두 로스팅 정보는 원두 종류, 원두 산지, 원두 로스팅 정도, 원두 함수율 및 원두 경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하고,
상기 압력조절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수하여 상기 그룹헤드로 공급되는 온수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바이패스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원두 정보를 레퍼런스 매칭 테이블(Reference Matching Table)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압력조절부의 압력 및 상기 제1 히터 및 상기 제2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housing,
A hot water boiler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is connected to a water tank and a supply pipe to supply water used when extracting coffee, and generates hot water by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with a first heater provided therein,
A porta filter that accommodates the ground coffee powder and has an extraction port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is discharged,
A group head in which the porta filter is detachable a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iler and a hot water supply pipe, and supplies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porta filter to extract coffee;
A second heater installed inside the group head and reheating hot water supplied to the porta filter;
A pressur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ot water supply pipe and adjusting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amount of extracted coffee of the hot water,
The pressure control unit, the first heater, the second he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and
A coffee bean grinder connected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a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nd having a plurality of hoppers for storing roasted beans,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ased on the input bean information,
The bean information is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The bean roasting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QR code recognition, the QR code is printed on the bean packaging,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smart phone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pp),
The smartphone application operates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a user-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b) recognizing a QR code including coffee roasting information using a smartphone; And (c) setting a taste of coffee to be extracted,
The smartphone application includes a QR code generation unit, a QR code recognition unit, a user input unit and an operation unit,
In the step of setting the taste of the coffee, acidity, flavor, body, and aftertaste are set,
The coffee bean roasting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bean type, bean origin, bean roasting degree, bean moisture content, and bean hardness,
The pressure control unit includes a bypass valve for selectively draining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nd controlling a pressing pressur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group hea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er and the second heater by substituting the inputted bean information into a reference matching table algorithm.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84323A 2018-07-19 2018-07-19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161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3A KR102161569B1 (en) 2018-07-19 2018-07-19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3A KR102161569B1 (en) 2018-07-19 2018-07-19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69A KR20200009669A (en) 2020-01-30
KR102161569B1 true KR102161569B1 (en) 2020-10-05

Family

ID=6932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23A KR102161569B1 (en) 2018-07-19 2018-07-19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5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794A (en) 2021-12-21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167B1 (en) * 2020-11-09 2022-08-23 주식회사 후로웰 Espresso coffee machine linked with a porta filt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1824705B1 (en) * 2015-12-16 2018-02-01 서인원 Coffee dispenser on internet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611A (en) * 2013-12-17 2015-06-25 대상 주식회사 extration method for neopolitan coffee improved flavor and aftertaste
KR101900920B1 (en) * 2016-05-20 2018-11-08 주식회사 후로웰 Group head heating system of espresso coffee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1824705B1 (en) * 2015-12-16 2018-02-01 서인원 Coffee dispenser on internet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794A (en) 2021-12-21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69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ew process of a coffee maker
CA2833784C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CN10286929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JP2003506184A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delayed filtration to provide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US20130220137A1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EP3116354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rewing and/or steeping tea
KR102161569B1 (en)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070509B1 (en)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070510B1 (en)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US8789458B2 (en) Brewing system
EP4044877B1 (en) Infusion module and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said infusion module
KR101900920B1 (en) Group head heating system of espresso coffee machine
JP7292758B2 (en) Coffee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and coffee beverage production program
CN108078387A (en) Hot drink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king tea or beverage using boiled water with brew chamber identification device
CN109008635A (en) For repeatedly rushing the automatic tea-making machine and its operation method that infuse
KR20200009097A (en) User customized coffee machine management system
KR20200009098A (en) IoT based real-time coffee machine management system
CH710134A2 (en) Machine for brewing tea.
AU2012222219B2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US10506893B2 (en) Chai tea brewer
JP2021529022A (en) A method of producing a caffeine-containing hot beverage, particularly a coffee beverage, by an apparatus that produces a caffeine-containing hot beverage.
US20220400890A1 (en) Coffee maker with custom brew
JP2005131308A (en) Black tea brewing/serving apparatus and black tea brewing/serving method
KR101297554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KR20020057913A (en) Vending machine of premium coffee packed by the 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