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794A -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794A
KR20230094794A KR1020210184216A KR20210184216A KR20230094794A KR 20230094794 A KR20230094794 A KR 20230094794A KR 1020210184216 A KR1020210184216 A KR 1020210184216A KR 20210184216 A KR20210184216 A KR 20210184216A KR 20230094794 A KR20230094794 A KR 20230094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information
coffee
tast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범
오민규
황인수
유그라미
여준희
황성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794A/en
Publication of KR2023009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7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과 커피의 특성 및 보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달리 결정되는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n extraction profile is differently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characteristics of coffee, and a storage environment. Accordingly,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과 커피의 특성 및 보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달리 결정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offee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n extraction profile is differently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taste, characteristics of coffee, and storage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커피머신은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한 후 제공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coffee machin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extracts and then provides coffee.

이러한 커피머신 중 원두 커피를 이용하는 자동 커피머신의 경우 로스팅된 원두를 미리 공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두는 미리 분쇄된 상태로 제공되거나 혹은,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되어 커피 추출시 필요한 양만 분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Among these coffee machines, an automatic coffee machine using coffee beans is configured to extract and provide coffe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 state in which roasted beans are supplied in advance. At this time, the beans may be provided in a pre-ground state, or may be provided in a non-ground state, and only the amount required for coffee extraction may be ground and provided.

종래 커피머신은 커피의 추출 온도, 압력, 커피의 양 등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2161569호, 등록특허 제10-2070510호, 등록특허 제10-2070509호, 공개특허 제10-2012-0019251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Conventional coffee machines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coffee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amount of coffee, etc. according to user's operation, thereby extracting coffee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Regarding this, it is as suggested in Registered Patent No. 10-2161569, Registered Patent No. 10-2070510, Registered Patent No. 10-2070509, and Publicated Patent No. 10-2012-0019251.

그러나, 상기한 기술의 커피머신은 원두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원두에 따라 커피맛이 달라질 수밖에 없고, 이로써 커피맛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ffee beans are not considered in the coffee machine of the above technology, the coffee taste is inevita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ffee beans, and as a result, the coffee taste is not constant, so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

한편, 최근에는 원두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원두 정보에 따른 추출 온도나 추출량이 자동으로 제어 및 관리되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20-0009098호에 공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automatically control and manage the extraction temperature or extra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bean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bean, and in relation to this, it is a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

상기한 기술의 커피머신은 특정 원두에 관련한 정보를 토대로 추출 온도와 추출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커피맛이 일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일정한 커피맛은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과는 다를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The coffee machine of the above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ffee taste is constant because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amount are controlled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bean. However, this constant coffee taste may be different from the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또한, 원두커피의 경우 로스팅이 이루어진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산패되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해당 원두 고유의 커피맛이 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ffee beans, they are continuously rancid immediately after roasting,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unique coffee taste of the coffee beans changes.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한 원두 커피의 상태에 따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로써 주변 환경에 따라 커피맛이 크게 변하여 사용자 만족감이 저하되었던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consideration was not ma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ffee beans, and as a result, the coffee taste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sulting in a decrease in user satisfaction.

등록특허 제10-2161569호Registered Patent No. 10-2161569 등록특허 제10-2070510호Registered Patent No. 10-2070510 등록특허 제10-2070509호Registered Patent No. 10-2070509 공개특허 제10-2012-0019251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9251 공개특허 제10-2020-0009098호에I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9098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두의 정보를 토대로 커피의 추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커피맛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extract coffee based on information on beans, while adjusting the taste of coffe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ffee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맛이 변할 수 있는 변화 요인을 확인하고, 이 변화 요인에 대한 변화가 발생될 경우 그에 맞는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change factor that can change the coffee taste, and when a change to this change factor occurs, the extraction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so that the user's desired coffee taste is maintained consta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so that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커피맛의 변화를 방지하여 일정한 커피맛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coffee taste by preventing a change in coffee tas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di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을 기초로 원두의 품종, 배전도, 로스팅 경과 기간, 실내 습도 중 적어도 한 정보가 고려되어 보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type of coffee bean, degree of roasting, elapsed roasting period, and indoor humidity may be considered and corrected based on a basic extraction profile. .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추출 프로파일은 원두 판매자나 생두 판매자 혹은, 전문가로부터 제공받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등록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ally set extraction profile may be provided by a bean seller, a green bean seller, or an expert, or may be directly input and registered by a user.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커피맛을 조절하는 조작 혹은, 커피맛의 변화를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에 대한 추출 프로파일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taste of coffee or an extraction profile for at least one factor causing a change in the taste of coffee may be visually express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커피맛의 조절을 위한 조작 수행시 추출 프로파일의 변경 사항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to directly see changes in the extraction profile when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coffee taste is perform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보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ean storage unit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원두 보관부로부터 제공받은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rinding unit for grinding the beans provided from the bean storage unit.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분쇄부는 원두의 분쇄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nd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grinding of coffee beans.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분쇄된 원두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ground coffee bean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추출부는 설정된 추출량만큼 추출하도록 추출량의 조절과 추출온도의 조절과 추출압력의 조절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at least one of the extraction amount control, the extraction temperature control, and the extraction pressure control so as to extract as much as the set extraction amount.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원두 확인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n checking unit for checking information on beans to be extracte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원두 확인부는 원두의 포장지에 프린팅된 바코드나 큐알(QR)코드, 원두의 포장지에 포함된 태그(TAG), 사용자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한 수단으로 해당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n identification unit uses at least one of barcodes or QR codes printed on the packaging of the beans, tags included in the packaging of the beans, and input by the us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beans. It can be configured to check.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서로 다른 원두 정보에 따른 추출 프로파일이 각각 저장되는 추출정보 보관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extraction profiles according to different bea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되는 추출 프로파일에는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취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selectively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aste information requested by a us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취향 정보에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된 단계별 신맛 혹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된 단계별 쓴맛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graded sour tastes or at least two or more graded bitter tastes.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정보 입력부는 취향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n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aste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분쇄도와 추출량과 추출속도와 추출온도와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와 취향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다각형의 도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polygonal fig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nd taste information are displayed together.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취향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다각형으로 도형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polygonal figure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aste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분쇄부와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 정보를 기초하여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change of the change factor that changes the coffee taste, and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hange factor.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제어부는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취향 정보를 기초하여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제어부는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라 분쇄부와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corrected extraction profile.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실내 습도 혹은, 실내 온도를 확인하는 감지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unit for checking indoor humidity or indoor temperatur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제어부는 실내 습도 혹은, 실내 온도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indoor humidity or room temperat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따르면, 감지부는 동일 실내의 여타 가전기기에 존재하는 습도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된 습도 혹은, 온도를 해당 가전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humidity or temperature checked using a humidity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existing in other home appliances in the same room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을 기초로 원두의 품종, 배전도, 로스팅 경과 기간, 실내 습도 중 적어도 한 정보가 고려되어 보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type of coffee bean, degree of roasting, elapsed roasting period, and indoor humidity can be considered and corrected based on the basic extraction profile. .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추출 프로파일은 원두 판매자나 생두 판매자, 추출 전문가 혹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ally set extraction profile can be controlled to be provided by a bean seller, a green coffee seller, an extraction expert, or a user.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커피맛을 조절하는 조작 혹은, 커피맛의 변화를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화 요인에 대한 추출 프로파일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coffee taste or an extraction profile for at least one change factor causing a change in the coffee taste can be controlled to be visually express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커피맛의 조절을 위한 조작 수행시 추출 프로파일의 변경 사항을 직접 볼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trolled to directly see changes in the extraction profile when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coffee taste is perform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hecking information on beans to be extracte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 정보 확인단계에서 확인되는 원두 정보에는 원두의 품종, 생산지, 배전도, 추천 추출 프로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n information checked in the bean information checking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ype of bean, the place of production, the degree of roasting, and a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확인된 원두 정보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을 각각 설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setting each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bea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hecking user's tast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 정보별로 미리 설정된 추출 프로파일로부터 취향 정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보정값을 부여하여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orrecting by applying a correction valu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aste information from an extraction profile preset for each bea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onfirming a change in a change factor that causes a change in coffee taste and correcting an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hange facto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라 분쇄부 및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corrected extraction profil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ff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다각형의 도형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gonal figure displaying at least two pieces of information among the degree of grinding,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together with the tast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각 정보는 사용자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iece of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an adjustable manner by the user.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어느 한 정보의 조절이 발생될 경우 다른 정보는 상기 조절된 정보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된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adjusts one piece of information, other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adjust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온도를 확인하는 온도 확인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check process of checking the room temperatur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온도는 실내의 여타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temperature can be checked with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other electronic devices in the room.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 정보별로 미리 설정된 추출 프로파일로부터 실내 온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보정값을 부여하여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ion process may be included by applying a correction value that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from an extraction profile preset for each bean information.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추출량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ffee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연하게 추출하도록 추출 프로파일이 보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can be corrected so that the extraction becomes softer as the indoor temperature increases.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프로파일에 설정된 커피 추출속도를 증가, 추출온도를 낮춤,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압력을 더욱 낮춤, 추출량 감소 중 어느 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r the room temperature, the higher the coffee extraction speed set in the extraction profile, the lower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coarser grinding, the lower the extraction pressure, and the lower the extraction amount. It can b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습도를 확인하는 습도 확인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umidity check process for checking indoor humidity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설정된 추출 프로파일보다 실내 습도가 높을 수록 연하게 추출하도록 추출 프로파일이 보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may be corrected so as to extract softer as the indoor humidity is higher than the basically set extraction profil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습도에 따라 보정되는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corrected according to the indoor humid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ff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실내 습도가 높을 수록 커피 추출속도 증가, 추출량 감소, 추출온도 낮춤,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 압력을 낮춤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r the indoor humidity, the higher the coffee extraction speed, the lower the extraction amount, the lower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coarser grinding, and the lower the extraction press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가 보관된 기간을 확인하여 원두가 보관된 기간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보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of the coffee beans by checking the storage period of the coffee beans.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추출 프로파일에는 원두별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may include any one of grinding degree for each bean,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의 보관 기간이 길수록 연하게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of the beans, the softer the extraction.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원두의 보관 기간이 길수록 추출 프로파일에 설정된 커피 추출속도의 증가, 추출온도의 하락,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량 감소, 추출압력의 하락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period of the coffee beans increases, the coffee extraction speed set in the extraction profile increases, the extraction temperature decreases, more coarsely ground, extraction amount decreases, and extraction pressure decreases. can do.

본 발명의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추출단계의 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커피맛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extraction step is finished, a process of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by receiving feedback on coffee taste information from the user may be includ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원두의 정보를 토대로 커피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extract coffe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beans.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커피맛이 변할 수 있는 변화 요인을 확인하고, 이 변화 요인에 대한 변화가 발생될 경우 그에 맞는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factors that can change the taste of coffee, and when a change in these factors occurs, an appropriate extraction profile is automatically corrected. As a result, the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can be maintained constant.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주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된다. 이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커피맛의 변화를 방지하여 일정한 커피맛이 유지될 수 있다.In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is automatically correc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a constant coffee taste may be maintained by preventing a change in coffee tas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맛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편의성의 향상으로 인한 사용자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coffee tast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Accordingly, user satisfaction may be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의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중 추출 프로파일의 조절을 위한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중 일 예에 따른 화면 구성으로 추출 프로파일을 조절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중 추출 프로파일의 조절을 위한 화면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중 다른 예에 따른 화면 구성으로 추출 프로파일을 조절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중 주변 환경의 변화를 보정하는 과정에 대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adjusting an extraction profile in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state diagrams for adjusting an extraction profile with a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for adjusting an extraction profile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of adjusting an extraction profile with a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correcting a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attach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의 구성을 개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사용자의 취향과 커피의 특성 및 보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달리 결정되고 자동으로 보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취향에 맞는 커피맛을 일정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xtraction profile is differently determined and automatically correct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the characteristics of coffee, and the storag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constant coffee taste suitable for his or her taste.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원두 보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ean storage unit 100.

상기 원두 보관부(100)는 원두가 보관되는 저장 탱크이다. 이때, 상기 원두는 커피콩(생두)를 로스팅한 상태를 의미한다.The coffee bean storage unit 100 is a storage tank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At this time, the beans mean a state in which coffee beans (green beans) are roas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분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grinding unit 200.

상기 분쇄부(200)는 상기 원두 보관부(100)에 보관된 원두를 제공받아 분쇄하는 그라인더이다. 이때, 상기 원두는 일정량씩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원두를 분쇄부(2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rushing unit 200 is a grinder that receives and crushes the beans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100 . At this time, the beans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by a certain amount. Of course,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beans to the grinding unit 200 .

상기 분쇄부(200)는 상기 원두 보관부(100)와 함께 단일의 케이스(커피머신의 본체) 내에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원두 보관부(100)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grinding unit 200 may be provided in a single case (body of the coffee machine) together with the bean storage unit 10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ean storage unit 100.

또한, 상기 분쇄부(200)는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쇄부(200)는 원두를 조대한 분쇄, 미세한 분쇄, 일반 분쇄 등 적어도 세 단계 이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rinding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grinding. For example, the grind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grind beans in at least three stages, such as coarse grinding, fine grinding, and general grinding.

상기 분쇄부(200)는 0.2~0.5mm 범위내에서 미세한 분쇄도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rind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ine grinding degree within the range of 0.2 to 0.5 mm.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추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extraction unit 300.

상기 추출부(300)는 상기 분쇄된 원두를 제공받아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부위이다.The extraction unit 300 is a part that extracts coffee by receiving the ground beans and supplying high-temperature hot water.

이러한 추출부(300)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예컨대, 보일러)(310)와, 물탱크(310)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예컨대, 급수펌프)(320)와,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예컨대, 히터)(330)와, 추출된 커피량을 확인하는 무게센서(340)가 포함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300 includes a water tank (eg, a boiler) 310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device (eg, a water pump) 320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310, and a temperature of the supplied water.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eg, heater) 33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a weight sensor 340 for checking the amount of extracted coffee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급수장치(320)는 커피의 추출량, 추출압력, 추출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330)는 추출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device 32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pressure, and extraction speed of coffee,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33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extraction temperatur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원두 확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ean checking unit 400 .

상기 원두 확인부(400)는 상기 원두 보관부(100)에 보관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장치이다.The bean checking unit 400 is a device for checking information on beans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100 .

상기 원두 확인부(400)는 태그(TAG) 센서(예컨대, RFID 리더기 등), 바코드(bar-code) 리더기, 큐알코드(QR-code) 리더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장치, 카메라, NFC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바코드 리더기나 큐알코드 리더기는 원두의 포장지에 프린팅된 바코드나 큐알코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센서는 원두의 포장지에 포함된 태그(TAG)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원두 혹은, 원두 포장지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an identification unit 400 is a tag (TAG) sensor (eg, RFID reader, etc.), a bar-code reader, a QR-code reader, a short-distance dat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a camera, and an NFC reader At least one of them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barcode reader or QR code reader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barcode or QR code printed on the wrapping paper of the coffee beans. The tag sensor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information from a tag (TAG) included in the packaging of beans. The camera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f coffee beans or coffee beans wrapping paper.

물론, 상기 원두 확인부(400)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수동 입력으로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원두의 기본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 제공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원두의 정보로 확인하는 것이다.Of course, the bean information may be checked by manual input of the user without using the bean checking unit 400 . For example, a list of basic information on beans is provided, and an item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rovided list is checked as information on beans.

또한, 상기 원두 확인부(400)가 확인하는 원두의 정보는 원두의 품종, 배전도, 로스팅 일자, 생산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원두 정보는 커피맛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원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추출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ea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bean checking unit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ean variety, a degree of roasting, a roasting date, and a place of production. Such bea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affects coffee taste. That is, an extraction profile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bean information.

예컨대, 원두의 품종이 아라비카 품종일 경우 향미가 우수하고 신맛이 좋은 반면, 로부스타 품종일 경우 향미가 약하고 쓴맛이 강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원두의 품종에 따른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추출 프로파일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ffee beans are of Arabica variety, they have excellent flavor and good acidity, whereas, if they are of Robusta coffee beans, they have weak flavor and strong bitter taste. An extraction profile may be determined to make use of the advantages of each type of coffee beans.

한편, 상기 원두의 정보에는 해당 원두에 대한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이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bea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basic extraction profile for the corresponding bean.

상기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에는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이 원두별로 서로 달리 결정되어 추출 프로파일로 제공된다.The basic extraction profile may include extrac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That is, th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r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bean and provided as an extraction profile.

이때, 상기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은 다단계로 설정되는 레벨별로 추출 프로파일에 등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may be registered in an extraction profile for each level set in multiple stages.

상기한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은 원두 판매자나 생두 판매자 혹은, 전문가가 제공하는 추출 레시피로써, 온라인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다.The basic extraction profile described above is an extraction recipe provided by a bean seller, a green bean seller, or an expert, and may be provided online or by requesting a user to directly input the profi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추출정보 보관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500)는 각 원두의 정보별로 추출 프로파일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원두의 품종이나 배전도, 로스팅 일자, 생산지 중 어느 한 정보별로 추출 프로파일이 분류되면서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등록될 수 있다.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may classify and store extraction profiles for each bean information. For example, an extraction profile may be registe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while being classified for each type of bean, degree of roasting, roasting date, and place of produ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정보 입력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상기 정보 입력부(600)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취향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도록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is a component provided to selectively receive taste information requested by a user.

이러한 정보 입력부(600)는 취향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610)와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610 for inputting taste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620 for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상기 입력장치(610)와 디스플레이장치(62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패널과 같이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input device 610 and the display device 620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dividually, o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like a touch panel.

상기 정보 입력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취향 정보는 커피맛의 취향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신맛을 선호하는 취향과 쓴맛을 선호하는 취향에 따라 취향 정보가 달리 입력될 수 있다.The tast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may include the taste of coffee. For example, taste information may be input differently according to a taste that prefers a sour taste and a taste that prefers a bitter taste.

상기 취향 정보(커피맛)는 레벨별로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2 내지 도 9와 같이 취향 정보를 5단계의 레벨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5단계의 레벨 중 제1레벨이 쓴맛일 경우 제5레벨은 신맛이 될 수 있고, 제3레벨은 쓴맛과 신맛의 중간맛(예컨대, 단맛)이 될 수 있다.The taste information (coffee taste) may be input for each level. For exampl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2 to 9, taste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five levels and provided. In this case, if the first level among the five levels is bitter, the fifth level may be sour, and the third level may be intermediate between bitter and sour (eg, sweet).

상기 디스플레이장치(6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상기 취향 정보와 함께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추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각 추출 정보 역시 취향 정보와 같이 5단계의 레벨별로 입력 혹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62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extraction information among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long with the taste information. Each of the aforementioned extracted information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input or displayed for each of five levels, like taste information.

특히, 상기 각 추출 정보는 취향 정보와 함께 다각형의 도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각 추출 정보는 취향 정보는 5각형의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of the extrac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polygonal figure together with taste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7, each extracted information and tast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a pentagonal graph.

상기 5각형의 그래프에서 제1모서리는 취향 정보(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가 레벨별로 표시될 수 있다. 제2모서리는 분쇄도가 레벨별로 표시될 수 있다. 제3모서리는 추출량이 레벨별로 표시될 수 있다. 제4모서리는 추출온도가 레벨별로 표시될 수 있다. 제5모서리는 추출압력이 레벨별로 표시될 수 있다.At the first corner of the pentagonal graph, taste information (a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for each level. In the second corner, the degree of grinding may be displayed for each level. In the third corner, the amount of extraction may be displayed for each level. In the fourth corner, the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displayed for each level. In the fifth corner, extraction pressure may be displayed for each level.

상기 디스플레이장치(620)에 디스플레이되는 다각형의 도형은 각 모서리를 해당 항목에 대한 레벨별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모서리의 항목을 선택(터치 혹은, 스크롤 등의 조작)할 경우 해당 항목의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corner of the polygonal figu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620 may be adjusted for each level of the corresponding item. That is, when an item of a certain corner is selected (by manipulation such as touching or scrolling), the level of the corresponding item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상기 다각형의 도형은 어느 한 정보(모서리 항목)의 조절(변경, 조작) 발생시 다른 정보들은 상기 조절된 정보에 미리 정해진 설정값만큼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adjustment (change, manipulation) of any one piece of information (corner item) occurs in the polygonal figure, other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changed by a set value predetermined for the adjusted information.

일 예로써, 첨부된 도 3 혹은, 도 4와 같이 취향 정보(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를 변경할 경우 분쇄도와 추출온도, 추출량, 추출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레벨이 설정값만큼 변경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taste information (the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is changed as shown in FIG. 3 or FIG. 4, the level of at least one of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amount, and extraction pressure may be changed by a set value. .

물론, 취향 정보 외의 어느 한 항목에 대한 레벨이 변경될 경우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량, 추출압력, 커피맛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예컨대, 변경레벨)만큼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5 혹은, 도 6와 같이 분쇄도가 변경될 경우 커피맛과 추출온도와 추출압력과 추출량이 변경될 수 있다. 첨부된 도 7과 같이 추출온도가 변경될 경우 커피맛이 변경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level of any one item other than taste information is changed, at least one of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pressure, and coffee taste may be changed by a set value (eg, change level). For example, when the grinding degree is changed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5 or 6, the coffee taste,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pressure, and extraction amount may be changed. When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changed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7, the coffee taste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커피맛은 카페인 함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카페인 함량이 많을 수록 쓴맛이 강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ffee taste may be expressed by the caffeine cont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affeine content, the stronger the bitter tast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도 취향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향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입력된 정보는 온라인 상의 서비스 서버를 통해 커피머신에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직접 연결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커피머신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configured to receive taste information from a user's terminal. That is,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s terminal and tast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dicated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s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ffee machine through an online service server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offee machine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user's terminal.

첨부된 도 8 및 도 9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취향 정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한 일 예이다. 이때, 첨부된 도 8은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이고, 도 9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이다.8 and 9 are examples of a process of adjusting taste information with a user's terminal. At this time, attached FIG. 8 is a basic extraction profile, and FIG. 9 is an extraction profile corr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700.

상기 제어부(700)는 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머신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The control unit 700 i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ffee machine for extracting coffee.

이러한 제어부(700)는 분쇄부(200)와 추출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분쇄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할 수 있고, 추출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커피맛이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extraction unit 300 . For example,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may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coffee taste may be adjusted to suit the taste of the us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300.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700 may be configured to check a change in a change factor that causes a change in coffee taste.

여기서, 상기 변화 요인은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원두의 로스팅 일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hange fact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door temperature, indoor humidity, and a roasting date of bean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는 상기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800)는 온도 센서(810) 혹은, 습도 센서(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ing unit 800 for sensing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8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810 or a humidity sensor 820.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감지부(800)로 확인된 실내 습도 혹은, 실내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기초하여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based on the user's tas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door humidity or room temperature checked by the sensor 800 .

예컨대,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높거나 로스팅 후 경과 시간이 오래될 경우 원두의 산폐가 많거나 더욱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설정값의 취향 정보보다 더욱 쓴맛을 내게 된다. 이를 고려할 때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높을 수록 그 단계에 비례하여 추출 프로파일의 적어도 어느 한 추출 정보에 대한 레벨 단계가 낮게 변경되도록(더욱 신맛을 낼 수 있도록) 보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s high, or if the roasting time elapses, the acidification of the beans increases or proceeds more quickly, resulting in a more bitter taste than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basic set values. Considering this, as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ncreases, the level step for at least one piece of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ion profile may be changed to a lower level in proportion to the level (more sour taste) may be corrected.

반대로,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낮거나 로스팅 후 경과 시간이 짧을 경우 원두의 산폐가 적거나 지연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설정값의 취향 정보보다 더욱 신맛을 내게 된다. 이를 고려할 때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낮을 수록 그 단계에 비례하여 추출 프로파일의 적어도 어느 한 추출 정보에 대한 레벨 단계가 높게 변경되도록(더욱 쓴맛을 낼 수 있도록) 보정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s low or the elapsed time after roasting is short, acidification of the beans is less or delayed, so the taste information of the basic set value is more sour. Considering this, as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s lower, the level step for at least one piece of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ion profile may be changed to a higher level (to produce a more bitter taste) in proportion to the level.

한편, 상기 감지부(800)는 커피머신에 구비되지 않고 실내의 여타 가전기기에 구비된 온도 센서 혹은, 습도 센서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에 존재하는 에어컨이 센싱한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를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전송받아 상기 추출 프로파일의 보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에어컨 외에도 공기 청정기나 냉장고,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800 may be configured to use a temperature sensor or a humidity sensor not provided in the coffee machine but included in other home appliances in the room. For example, an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sensed by an air conditioner present in a room may be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used for correction of the extraction profile. At this time, the home appliance may be variously selected, such as an air purifier, a refrigerator, or a home network,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er.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 의한 커피 추출 과정(S100)을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S100) by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10 and 11 attached.

먼저, 원두 보관부(100)에 원두가 보관된다. 이의 경우 제어부(700)는 상기 보관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S110)한다.First, beans are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checks the stored bean information (S110).

상기 원두의 정보에 대한 확인은 태깅, 무선 통신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원두의 포장지에 구비되는 태그, 바코드, 큐알코드, RF칩 혹은, 여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칩 등을 인식하여 원두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원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원두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고, 원두 혹은, 원두 포장지의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원두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The confirmation of the bea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tagging,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like. For example, information on beans may be acquired by recognizing tags, barcodes, QR codes, RF chips, or other chips for data communication provided on the packaging of beans. Of course, the bea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directly inputting the bean information by the user, or the bea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bean or the bean wrapper.

상기 과정을 통해 확인되는 원두의 정보는 원두의 품종, 생산지, 배전도, 추천 추출 프로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ffee bea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offee bean variety, production area, roasting degree, and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이때, 상기 추천 추출 프로파일의 경우 판매자(혹은, 생산자)가 제공하는 프로파일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태깅이나 무선 통신으로 원두의 포장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may be a profile provided by a seller (or producer), and may be provided from the packaging of beans through tag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information on the beans.

그리고, 상기 제공받은 추천 추출 프로파일은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혹은, 등록)된다. 이때, 상기 추출 프로파일은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이 레벨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And, the provided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is stored (or registe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 At this time, the extraction profile is stored by classifying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by level.

한편,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되는 추천 추출 프로파일은 상기 판매자(혹은, 생산자)가 제공하는 프로파일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취득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may be acquired through various paths other than the profile provided by the seller (or producer).

예컨대, 여타의 추천자(예컨대, 약정을 맺은 바리스타 등)가 제공하는 온라인 상의 프로파일을 해당 커피머신이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받아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가 직접 입수한 프로파일이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ffee machine may download online profiles provided by other recommenders (eg, baristas with contracts) and store them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 Alternatively, a profile directly obtained by a user may be stored in the extracted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확인된 원두의 정보와 취득된 추천 추출 프로파일을 기초하여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을 설정 및 등록(S120)하게 된다.Then, the control unit 700 sets and registers a basic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offee beans and the acquired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S120).

만일, 상기 판매자가 제공하는 프로파일이 없을 경우(원두 포장지에 추천 추출 프로파일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확인된 원두의 품종을 토대로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들 중 해당 품종의 원두에 관련된 추출 프로파일을 취득하여 기본 추출 프로파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해당 품종의 원두에 관련된 추출 프로파일이 둘 이상일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설정된 순서 혹은, 사용자의 선택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기본 추출 프로파일이 설정된다.If there is no profile provided by the seller (when a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is not provided on the bean packaging), an extraction profile related to the bean of the corresponding variety among the extraction profiles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identified bean variety. is acquired and set as the default extraction profile. When there are two or more extraction profile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variety of beans, a basic extraction profile is set according to an order set according to priority o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만일, 원두의 품종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해당 원두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판단 가능한 품종이나 산지 혹은, 배전도를 토대로 제어부(700)가 기본 추출 프로파일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는 이미지 파일로 수신받거나 혹은, 카메라(830)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를 이용한 품종이나 산지 혹은, 배전도의 판단은 미리 등록된 이미지 판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If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type of bean, the control unit 700 sets a basic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type or place of production tha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bean or the degree of roasting. At this time, the image may be received as an image file or may be obtained by 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830 . A pre-registered image reading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variety, place of origin, or degree of roasting using the image.

한편, 상기 원두 보관부(100)에 원두가 보관된 이후에는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 프로파일이 보정된다.Meanwhile, after the beans are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100, a change in a change factor that changes the coffee taste is checked, and the extraction profile is corrected based o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hange factor.

예컨대, 첨부된 도 11의 추출 프로파일 보정 과정(S200)과 같이 실내온도나 실내습도 혹은, 로스팅 경과 시간을 확인(S210)하고, 이 확인된 정보에 따라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이 보정(S220,S230,240)된 후 추출정보 보관부(500)에 등록(S250)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extraction profile correction process (S200) of FIG. 11, the room temperature or humidity or the roasting elapsed time is checked (S210), and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according to the checked information. After this correction (S220, S230, 240), it can be registe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500 (S250).

일 예로써,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높거나 로스팅 후 경과 시간이 오래될 경우(보관 기간이 길수록) 그 단계에 비례하여 추출 프로파일의 적어도 어느 한 추출 정보에 대한 레벨 단계가 낮게 변경되도록 보정된다. 예컨대, 상기 경우에는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 포함된 커피 추출량의 감소, 커피 추출속도를 증가, 추출온도를 낮춤,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압력을 낮춤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한다.As an example, if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s high or the elapsed time after roasting is long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the level step for at least one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ion profile is corrected to change lower in proportion to the step. . For example, in this case, correction of any one of reduction in coffee extraction amount included in the extraction profile, increase in coffee extraction speed, lowering of extraction temperature, coarser grinding, and lowering of extraction pressure is performed.

다른 예로써, 실내 온도 혹은, 실내 습도가 낮거나 로스팅 후 경과 시간이 짧을 경우(보관 기간이 짧을수록) 그 단계에 비례하여 추출 프로파일의 적어도 어느 한 추출 정보에 대한 레벨 단계가 높게 변경되도록 보정된다. 예컨대, 상기 경우에는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 포함된 커피 추출량의 증가, 커피 추출속도를 늦춤, 추출온도를 높임, 더욱 미세하게 분쇄, 추출압력을 높임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is low or the elapsed time after roasting is short (the shorter the storage period), the level step for at least one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extraction profile is corrected to be changed to a higher level in proportion to the step. . For example, in this case, any one of corrections among coffee extraction amount included in the extraction profile, slow coffee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increase, finer grinding, and extraction pressure increase are performed.

상기 실내온도나 실내습도 혹은, 로스팅 경과 시간은 감지부(800)의 감지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The indoor temperature, indoor humidity, or elapsed roasting time may be confirmed through detection by the sensing unit 800 .

그리고, 상기 원두가 원두 보관부(100)에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추출 요청이 발생되면,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확인(S130)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raction request is generated by the user while the beans are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100,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s checked (S130).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대한 확인은 정보 입력부(600)를 통해 취득될 수 있다. 즉, 정보 입력부(600)를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취향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취향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Confirmation of the user's tast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 That is, by receiving the tast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the tast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is confirmed.

예컨대, 각 추출 정보와 함께 다각형의 도형으로 표시되는 취향 정보 항목의 레벨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취향 정보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취향 정보 항목의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취향 정보를 확인한다.For example, taste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user is input by a user manipulating the level of a taste information item displayed in a polygonal shape together with each extracte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confirms the taste information by checking the level of the input taste information item. do.

그리고, 상기 취향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취향 정보를 토대로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S140)한다.Then, when the taste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extraction profile is corrected based on the checked taste information (S140).

예컨대, 최초 3레벨로 설정된 취향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2레벨로 신맛에 더욱 가깝게 변경될 경우 분쇄도의 레벨을 4레벨로 변경하여 분쇄도를 높이거나, 추출량, 추출온도 혹은, 추출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2레벨로 낮추는 등의 1차 보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taste information initially set to 3 levels is changed to 2 levels closer to sourness by the user, the level of grinding degree is changed to level 4 to increase the degree of grinding, or at least one of th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temperature, or extraction pressure. It will perform the first correction, such as lowering one to two levels.

상기 취향 정보의 변경에 따라 추출 정보들이 자동 변경되면 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현되는 다각형의 도형으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extrac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aste information, it is displayed as a polygonal figu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it.

만일, 상기와 같은 1차 보정이 자동으로 수행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정보 입력부(600)를 통해 수작업으로 추출 프로파일을 추가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추출량이나 추출온도, 추출압력, 분쇄도 등의 추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보정(2차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취향 정보의 변경과는 달리 어느 한 추출 정보의 변경시에는 여타 추출 정보나 취향 정보가 변경되지는 않도록 제어된다.If the first correc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 user may manually additionally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600 . For example, at least one of extraction information such as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pressure, and grinding degree may be additionally corrected (secondary correction). At this time, unlike the change of taste information, when a certain extraction information is changed,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other extraction information or taste information is not changed.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 보정(1차 보정 혹은, 2차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라 분쇄부(200)와 추출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S150)한다. 이때, 상기 원두의 분쇄 후에는 탭핑 작업이 수행된 후 추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200 and the extra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corrected (first correction or second correction) extraction profile, while controlling the process of grinding beans and extracting coffee. It is performed (S150). At this time, after the grinding of the beans, an extrac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a tapping operation is performed.

이러한 탭핑 작업은 수작업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커피머신이 탭핑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탭핑 작업 역시 해당 커피머신이 직접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is tapp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manually. Of course, if the coffee machine can perform the tapping operation, the tapping operation can also be controlled so that the corresponding coffee machine directly performs the tapping operation.

따라서, 상기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른 추출이 수행되면서 커피가 제공된다.Therefore, coffee is provided whil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corrected extraction profile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커피 추출 및 커피 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커피맛의 정보를 피드백 받는다. 즉, 사용자가 상기 추출된 커피를 시음한 후 해당 사용자의 입맛에 따라 취향 정보 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 정보를 추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추가 수정된 정보를 토대로 추출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업데이트된 추출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취향 정보의 수정을 하지 않는 한 변경없이 다음번 커피 추출시 사용되도록 제어된다.And, after coffee extraction and coffee provision are completed, information on coffee taste is fed back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hat is, after the user tastes the extracted coffee, taste information or at least one extraction information can be addition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n, the extraction profile is updated based on the additionally modified information. The updated extraction profile is controlled to be used at the next coffee extraction without change unless the user modifies the taste information.

물론, 상기한 커피의 추출 과정에서 선택된 해당 사용자의 취향 정보는 개인 취향으로 제어부(70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등록된 개인 취향을 기본적인 취향 정보로 설정하여 추출 프로파일들이 보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f course, the user's taste information selected 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may be registered in the control unit 700 as a personal preference. That is, the registered personal taste is set as basic taste information so that extraction profiles can be corrected.

결국,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원두의 정보를 토대로 커피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extract coffe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beans.

또한,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커피맛이 변할 수 있는 변화 요인을 확인하고, 이 변화 요인에 대한 변화가 발생될 경우 그에 맞는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맛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factors that can change the taste of coffee, and when a change in the factor occurs, an appropriate extraction profile is automatically corrected. As a result, the coffee taste desired by the user can be maintained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주변 환경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이 자동으로 보정된다. 이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커피맛의 변화를 방지하여 일정한 커피맛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profile is automatically correc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a constant coffee taste may be maintained by preventing a change in coffee tas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커피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맛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편의성의 향상으로 인한 사용자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coffee tast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ccordingly, user satisfaction may be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convenience.

100. 원두 보관부 200. 분쇄부
300. 추출부 310. 물탱크
320. 급수장치 330. 온도조절장치
340. 무게센서 400. 원두 확인부
500. 추출정보 보관부 600. 정보 입력부
610. 입력장치 620. 디스플레이장치
700. 제어부 800. 감지부
810. 온도 센서 820. 습도 센서
830. 카메라
100. Bean storage unit 200. Grinding unit
300. Extraction unit 310. Water tank
320. Water supply system 330. Temperature controller
340. Weight sensor 400. Bean check unit
500.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600. Information input unit
610. Input device 620. Display device
700. control unit 800. sensing unit
810. Temperature sensor 820. Humidity sensor
830. Camera

Claims (20)

원두가 보관되는 원두 보관부;
상기 원두 보관부로부터 제공받은 원두를 분쇄하며, 분쇄도의 조절이 가능한 분쇄부;
상기 분쇄된 원두를 추출하며, 추출량의 조절과 추출온도의 조절과 추출압력의 조절, 추출속도의 조절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절이 가능한 추출부;
추출하고자 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원두 확인부;
서로 다른 원두 정보에 따른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인자를 가지는 추출 프로파일이 각 원두 정보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추출정보 보관부;
사용자가 요구하는 취향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 정보와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된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분쇄부와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피머신.
A coffee bean storage unit in which coffee beans are stored;
a pulverizing unit capable of pulverizing the beans provided from the bean storage unit and adjusting the degree of pulverization;
an extraction unit capable of extracting the pulverized coffee beans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pressure, and extraction speed;
Bean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information of the beans to be extracted;
An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extraction profiles having at least two factors of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ccording to different bean information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bean information;
a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selectively receives taste information requested by a user;
A change in a change factor that causes a change in coffee taste is identified, an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s corrected based o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hange factor and the user's tas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the corrected extraction is performed. Coffee machin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of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확인부는 상기 원두의 포장지에 프린팅된 바코드나 큐알(QR)코드, 원두의 포장지에 포함된 태그(TAG), 엔에프씨(NFC), 알에프아이디(RFID), 사용자에 의한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한 수단으로 해당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bean identification unit is at least one of a barcode or QR code printed on the packaging of the coffee beans, a tag (TAG) included in the packaging of the coffee beans, NFC, RFID, and input by a user.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ean by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정보 보관부에 저장되는 추출 프로파일에는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profile stored in the extra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취향 정보에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된 단계별 신맛 혹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분된 단계별 쓴맛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s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stages of sour taste or at least two or more stages of bitter tas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취향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분쇄도, 추출량, 추출속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다각형의 도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input unit include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aste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polygonal figur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taste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취향 정보에 따라 상기 다각형의 도형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5,
Th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al figures are displayed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ast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 습도 혹은, 실내 온도를 확인하는 감지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습도 혹은, 실내 온도에 따라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unit for checking indoor humidity or indoor temperature is further included,
Th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rrect the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the indoor humidity or room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동일 실내의 여타 가전기기에 존재하는 습도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된 습도 혹은, 온도를 해당 가전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humidity or temperature checked using a humidity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existing in other home appliances in the same room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원두 보관부에 보관되는 원두의 정보를 확인하는 원두 정보 확인단계;
확인된 원두의 정보를 기초하여 기본적인 추출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추출 프로파일 설정단계;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제1보정단계;
상기 보정된 추출 프로파일에 따라 분쇄부와 추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Bean information checking step of checking the information of the beans stored in the bean storage unit;
An extraction profile setting step of setting a basic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beans;
a first correction step of checking taste information of a user and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taste information;
A coffee machin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coffee extraction step of grinding beans and extracting coffee while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grinding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corrected extraction profi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 정보 확인단계에서 원두 정보에는,
원두의 품종, 생산지, 배전도, 로스팅 일자, 추천 추출 프로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bean information confirmation step, in the bean inform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ype of beans, the place of production, the degree of roasting, a roasting date, and a recommended extraction profile is inclu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 method of the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profil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향 정보 확인단계에서는 분쇄도와 추출량과 추출속도와 추출온도와 추출압력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와 상기 취향 정보가 일괄 표시되는 다각형의 도형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step of checking the taste information, at least two of the grinding degr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are displayed, and a polygonal figure on which the taste information is collectively displayed is display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보는 사용자가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2,
Each of the above information is control method of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adjus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어느 한 정보의 조절이 발생될 경우 다른 정보는 상기 조절된 정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값만큼 변경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 method of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adjusts any one piece of information, the other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changed by a preset set value according to the adjusted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커피맛에 변화를 주는 변화 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변화 요인의 변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제2보정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 method of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rrection step of confirming a change in a change factor that causes a change in coffee taste and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based o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change facto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요인에는 실내의 습도가 포함되고,
상기 제2보정단계는
실내 습도를 확인하는 습도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된 실내 습도에 따라 상기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보정과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change factor includes indoor humidity,
The second correction step is
A humidity check process for checking the indoor humidity;
A control method of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correction process of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the confirmed indoor humidity is includ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보정과정은 실내 습도가 높을 수록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 포함된 커피 추출량의 감소, 커피 추출속도를 증가, 추출온도를 낮춤,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압력을 낮춤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xtraction profile includes at least one of coff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The correction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r the indoor humidity, the lower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included in the extraction profile, the higher the coffee extraction speed, the lower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coarser grinding, and the lower the extraction pressure. How to control a coffee machin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요인에는 원두가 보관된 경과 기간이 포함되고,
상기 제2보정단계는
원두 보관부에 보관되는 원두가 보관된 경과 기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원두의 보관된 경과 기간에 따라 상기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보정과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change factors include the elapsed period in which the coffee beans are stored,
The second correction step is
A process of checking the elapsed period in which the beans stored in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are stor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ffe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correction process of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according to the stored elapsed period of the identified coffee beans is include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는 커피 추출량, 추출속도, 분쇄도, 추출온도, 추출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보정과정은 원두의 보관 기간이 길수록 상기 추출 프로파일에 설정된 커피 추출량의 감소, 커피 추출속도를 증가, 추출온도를 낮춤, 더욱 조대하게 분쇄, 추출압력을 낮춤 중 어느 한 보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extraction profile includes at least one of coffee extraction amount, extraction speed, grinding degre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ressure,
The correction process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y one of the reduc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set in the extraction profile, the increase in the coffee extraction speed, the lowering of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coarser grinding, and the lowering of the extraction pressure as the storage period of the beans is longer. How to control a coffee machine.
제 9 항에 있어서,
커피 추출단계의 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커피맛의 정보를 피드백 받아 상기 추출 프로파일 설정단계에서 설정되는 추출 프로파일을 보정하는 정보 업데이트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9,
and an information updating step of correcting the extraction profile set in the extraction profile setting step by receiving feedback of coffee taste information from the user after the coffee extraction step is finished.
KR1020210184216A 2021-12-21 2021-12-21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947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16A KR20230094794A (en) 2021-12-21 2021-12-21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16A KR20230094794A (en) 2021-12-21 2021-12-21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794A true KR20230094794A (en) 2023-06-28

Family

ID=8699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16A KR20230094794A (en) 2021-12-21 2021-12-21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794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251A (en) 2010-08-25 2012-03-06 김인국 Coffee extracting machine and the method using it
KR102070509B1 (en) 2018-07-19 2020-01-28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20200009098A (en) 2020-01-06 2020-01-29 주식회사 후로웰 IoT based real-time coffee machine management system
KR102070510B1 (en) 2018-07-19 2020-03-11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161569B1 (en) 2018-07-19 2020-10-05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251A (en) 2010-08-25 2012-03-06 김인국 Coffee extracting machine and the method using it
KR102070509B1 (en) 2018-07-19 2020-01-28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070510B1 (en) 2018-07-19 2020-03-11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161569B1 (en) 2018-07-19 2020-10-05 주식회사 후로웰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20200009098A (en) 2020-01-06 2020-01-29 주식회사 후로웰 IoT based real-time coffee machine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826B2 (en) Espresso coffee machine
CN10593964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partially roasted coffee beans
EP2833076B1 (en) Apparatus control device,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program
US20110038998A1 (en) Automatic machine for user-controlled production of a food product
EP3376915A1 (en) Beverage-making machine, system having a beverage-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20313007A1 (en) Machine to prepare coffee beverages and corresponding regulation method
US20230255396A1 (en) Beverage-parameter setting on a beverage maker
JP2012115670A (en) Brewing process
KR20230094794A (en) coffee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00151835A1 (en) User Driven Feedback Mechanism for Personalized Recipe Changes for Beverages
US20220346591A1 (en) Smart beve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161569B1 (en) User Customized Semi-automatic Coffee Machine
KR101910862B1 (en) Siphon coffee extractor for guiding informartion
KR102288107B1 (en) Coffee Roaster System
KR102467252B1 (en) Coffe machine management system
JP3674590B2 (en) coffee maker
KR102257656B1 (en) Automatic coffee grinder and grind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40108163A1 (en) Drip coffee maker with two dimensional brew selection interface
US20220313008A1 (en) Beverage forming system with remote user interface
AU2022370647A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coffee beverages
KR20160076936A (en) Beverage temperature auto-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vending machine
JP2022139689A (en) coffee machine
TWM620344U (en) Coffee blending system capable of tuning beverage flavor instantly according to preference
WO2019021808A1 (en) Brewing rate management system
KR20230136927A (en) Coffee selecti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ffee aroma, and coffee auto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