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447B1 -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447B1
KR102161447B1 KR1020170094299A KR20170094299A KR102161447B1 KR 102161447 B1 KR102161447 B1 KR 102161447B1 KR 1020170094299 A KR1020170094299 A KR 1020170094299A KR 20170094299 A KR20170094299 A KR 20170094299A KR 102161447 B1 KR102161447 B1 KR 10216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iven
driving
assembl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588A (ko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비
Priority to KR102017009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provided with radially-actuatable elements carrying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발전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경보다 큰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1 구동벨트; 상기 구동풀리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나머지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2 구동벨트;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는 제1 종동벨트; 상기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는 제2 종동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고, 진동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전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T APPARATUS OF ENGINE GENERATOR}
본 발명은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이용한 엔진발전기는 가정에 구비되어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야외무대 또는 건설현장 등에 설치되어 야외무대나 산업현장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엔진발전기는 공급되는 연료를 기반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그 엔진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와, 엔진의 회전력을 발전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마찰클러치, 기어박스 등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84-7469호(1984. 12. 22. 공개일)에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직접 발전기에 전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폐차 엔진에 발전기를 연결하는 엔진 발전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폐차 엔진을 이용하게 되므로 자원의 재활용과 함께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게 되어 적극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의 폐차 엔진을 이용한 엔진 발전기에서, 폐차 엔진은 최대 토크가 2000 ~ 3000 rpm에서 효율이 극대화된다. 하지만, 발전기의 경우 1800 rpm을 유지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폐차 엔진에서 발생되는 엔진 토크를 그대로 발전기에 전달하게 될 경우 폐차 엔진의 엔진 토크를 낮추어야 하므로 폐차 엔진의 엔진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전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발전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경보다 큰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1 구동벨트; 상기 구동풀리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나머지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2 구동벨트;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는 제1 종동벨트; 상기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제2 종동벨트;를 포함하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풀리의 중심축선과 종동풀리의 중심축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중심축선과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구동측 중간풀리와 종동측 중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구동측 중간풀리와 종동측 중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벨트와 제2 구동벨트의 수는 각각 복수 개이며, 제1 구동벨트의 수와 제2 구동벨트의 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종동벨트와 제2 종동벨트의 수는 각각 복수 개이며, 제1 종동벨트의 수와 제2 종동벨트의 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풀리의 외경이 종동풀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구동풀리와, 제1,2 구동벨트들과,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들과, 제1,2 종동벨트들과 종동풀리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면서 엔진에서 발생된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발전기로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폐차 엔진의 엔진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발전기에서 설정된 주파수대의 전력을 발전시키게 되어 엔진발전기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한쪽에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가 위치하고 다른 한쪽에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가 위치하게 되어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로 분산되어 전달되고 그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로 분산되어 전달된 회전력이 종동풀리로 모두 전달되므로 구동풀리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종동풀리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최소화되어 구동풀리에 연결된 동력전달축의 변형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종동풀리에 연결된 회전축의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전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제1,2 구동벨트에 의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되고 제1,2 종동벨트에 의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이 종동풀리로 전달되므로 장시간 엔진발전기를 운전시 부품의 마모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엔진발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풀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종동풀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제1,2 구동벨트와 제1,2 종동벨트의 다른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엔진발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T)는 엔진(E)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발전기(G)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V)의 일실시예는, 구동풀리(100), 종동풀리(200),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 제1 구동벨트(500), 제2 구동벨트(600), 제1 종동벨트(700), 제2 종동벨트(800)를 포함한다. 구동풀리(100), 종동풀리(200),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 제1 구동벨트(500), 제2 구동벨트(600), 제1 종동벨트(700), 제2 종동벨트(800)는 케이싱(C)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C)은 여섯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풀리(100)는 엔진(E)의 동력전달축(1)에 연결된다. 구동풀리(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벨트홈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동력전달축(1)과 인접한 순서로 제1,2,3,4 벨트홈(101)(102)(103)(104)이라 한다. 구동풀리(100)는 케이싱(C)의 내측 한쪽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종동풀리(200)는 발전기(G)의 회전축(2)에 연결된다. 종동풀리(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벨트홈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발전기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순서로 제1,2,3,4 벨트홈(201)(202)(203)(204)이라 한다.
구동풀리(100)의 외경이 종동풀리(200)의 외경보다 크다. 구동풀리(100)의 크기와 종동풀리(200)의 크기의 비는 엔진의 최대 효율인 회전속도와 발전기의 설정 주파수에 따라 정해진다.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는 구동풀리(100) 및 종동풀리(200)와 간격을 두고 한쪽 옆에 구비된다.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일실시예로,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는 구동풀리(1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측 중간풀리(310)와, 종동풀리(2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320)와, 구동측 중간풀리(310)와 종동측 중간풀리(320)를 연결하는 연결축(330)과, 구동측 중간풀리(310)와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축(330)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340)을 포함한다. 구동축 중간풀리(310)는 구동풀리(100)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구동풀리(100)와 반경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구동축 중간풀리(310)는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경우 축지지유닛(340)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순서로 제1,2,3,4 벨트홈(311)(312)(313)(314)이라 한다.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외경은 구동풀리(100)의 외경보다 크고 종동풀리(20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측 중간풀리(320)는 종동풀리(200)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종동풀리(200)와 반경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종동측 중간풀리(320)는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경우 축지지유닛으로부터 인접하게 위치한 순서로 제1,2,3,4 벨트홈(321)(322)(323)(324)이라 한다.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외경은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축지지유닛(340)의 일예로, 축지지유닛(34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지지부재(341)와, 그 지지부재(341)들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축(330)을 지지하는 베어링(342)을 포함한다.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는 구동풀리(100) 및 종동풀리(200)와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옆에 구비된다.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일실시예로,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는 구동풀리(1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축 중간풀리(410)와, 종동풀리(20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420)와, 구동축 중간풀리(410)와 종동측 중간풀리(420)를 연결하는 연결축(430)과, 구동축 중간풀리(410)와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축(430)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440)을 포함한다. 구동축 중간풀리(410)는 구동풀리(100)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구동풀리(100)와 반경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구동축 중간풀리(410)는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경우 축지지유닛(440)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순서로 제1,2,3,4 벨트홈(411)(412)(413)(414)이라 한다.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외경은 구동풀리(100)의 외경보다 크고 종동풀리(20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측 중간풀리(420)는 종동풀리(200)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종동풀리(200)와 반경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종동측 중간풀리(420)는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의 벨트홈을 갖는 경우 축지지유닛(440)으로부터 인접하게 위치한 순서로 제1,2,3,4 벨트홈(421)(522)(423)(424)이라 한다.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외경은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축지지유닛(440)의 일예로, 축지지유닛(440)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지지부재(441)와, 그 지지부재(441)들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축(330)을 지지하는 베어링(442)을 포함한다.
구동풀리(100)의 중심축선과 종동풀리(200)의 중심축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는 구동풀리(100)와 종동풀리(200)의 중심축선과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를 연결하여 구동풀리(100)의 회전력의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에 전달한다.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와 연결된다.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를 연결하여 구동풀리(100)의 회전력의 나머지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에 전달한다.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와 연결된다.
제1 구동벨트(500)와 제2 구동벨트(600)의 수는 각각 복수 개이며, 제1 구동벨트(500)의 수와 제2 구동벨트(600)의 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제1,2 구동벨트(500)(600)의 수는 각각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제1,2 구동벨트(500)(600)의 수가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제1 구동벨트(500)들 중 한 개의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의 제1 벨트홈(101)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제1 벨트홈(311)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의 제2 벨트홈(102)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제2 벨트홈(312)에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구동벨트(600)들 중 한 개의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의 제3 벨트홈(103)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제3 벨트홈(413)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의 제4 벨트홈(104)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제4 벨트홈(414)에 연결된다.
한편, 제1,2 구동벨트(500)(600)를 연결하는 다른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구동벨트(500)들 중 한 개의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의 제1 벨트홈(101)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제1 벨트홈(311)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1 구동벨트(500)는 구동풀리(100)의 제3 벨트홈(103)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구동축 중간풀리(310)의 제3 벨트홈(313)에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구동벨트(600)들 중 한 개의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의 제2 벨트홈(102)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제2 벨트홈(412)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구동벨트(600)는 구동풀리(100)의 제4 벨트홈(104)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구동축 중간풀리(410)의 제4 벨트홈(414)에 연결된다.
제1 종동벨트(700)는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와 종동풀리(200)를 연결하여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200)에 전달한다. 제1 종동벨트(700)는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와 종동풀리(200)를 연결한다.
제2 종동벨트(800)는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와 종동풀리(200)를 연결하여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회전력을 종동풀리(200)에 전달한다. 제2 구동벨트(600)는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종동측 중간풀리(420)와 종동풀리(200)를 연결한다.
제1 종동벨트(700)와 제2 종동벨트(800)의 수는 각각 복수 개이며, 제1 종동벨트(700)의 수와 제2 종동벨트(800)의 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제1,2 종동벨트(700)(800)의 수는 각각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제1,2 종동벨트(700)(800)의 수가 두 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제1 종동벨트(700)들 중 한 개의 제1 종동벨트(700)는 종동풀리(200)의 제1 벨트홈(201)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제1 벨트홈(321)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1 종동벨트(700)는 종동풀리(200)의 제2 벨트홈(202)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제2 벨트홈(322)에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종동벨트(800)들 중 한 개의 제2 종동벨트(800)는 종동풀리(200)의 제3 벨트홈(203)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제3 벨트홈(423)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종동벨트(800)는 종동풀리(200)의 제4 벨트홈(204)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제4 벨트홈(424)에 연결된다.
한편, 제1,2 종동벨트(700)(800)를 연결하는 다른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종동벨트(700)들 중 한 개의 제1 종동벨트(700)는 종동풀리(200)의 제1 벨트홈(201)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제1 벨트홈(321)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1 종동벨트(700)는 종동풀리(200)의 제3 벨트홈(203)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의 제3 벨트홈(323)에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종동벨트(800)들 중 한 개의 제2 종동벨트(800)는 종동풀리(200)의 제2 벨트홈(202)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제2 벨트홈(422)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2 종동벨트(800)는 종동풀리(200)의 제4 벨트홈(204)과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의 종동측 중간풀리(420)의 제4 벨트홈(424)에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엔진발전기는 엔진(E)에 연료가 공급되면서 엔진(E)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그 엔진(E)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축(1)으로 전달되어 동력전달축(1)이 회전하게 된다. 엔진(E)의 동력전달축(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력이 구동풀리(100)에 전달되어 구동풀리(100)를 회전시킨다. 구동풀리(100)의 회전에 따라 구동풀리(100)의 회전력이 제1,2 구동벨트들(500)(600)에 의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들(300)(400)의 구동측 중간풀리(310)(410)에 각각 전달되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들(300)(400)의 구동측 중간풀리들(310)(410)과 연결축(330)(430) 그리고 종동측 중간풀리(320)(420)가 회전하게 된다.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300)(400)의 종동측 중간풀리(320)(420)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이 제1,2 종동벨트(320)(420)에 의해 종동풀리(200)로 전달되어 종동풀리(2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풀리(100)의 외경이 종동풀리(200)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종동풀리(200)의 회전속도가 구동풀리(100)의 회전속도보다 감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종동풀리(200)의 회전에 의해 그 종동풀리(200)에 연결된 발전기(G)의 회전축(2)이 회전하게 된다. 발전기(G)의 회전축(2)이 회전함에 따라 발전기(G)에서 전력을 발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E)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구동풀리(100)와, 제1,2 구동벨트들(500)(600)과,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들(300)(400)과, 제1,2 종동벨트들(700)(800)과 종동풀리(200)를 통해 발전기(G)의 회전축(2)으로 전달되면서 엔진(E)에서 발생된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발전기(G)로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폐차 엔진의 엔진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발전기(G)에서 설정된 주파수대의 전력을 발전시키게 되어 엔진발전기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풀리(100)와 종동풀리(200)의 한쪽에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300)가 위치하고 다른 한쪽에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400)가 위치하게 되어 구동풀리(100)의 회전력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300)(400)로 분산되어 전달되고 그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300)(400)로 분산되어 전달된 회전력이 종동풀리(200)로 모두 전달되므로 구동풀리(100)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종동풀리(200)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최소화되어 구동풀리(100)에 연결된 동력전달축(1)의 변형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종동풀리(200)에 연결된 회전축(2)의 변형을 최소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전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풀리(100)의 회전력이 제1,2 구동벨트(500)(600)에 의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300)(400)에 전달되고 제1,2 종동벨트(700)(800)에 의해 제1,2 중간풀리어셈블리(300)(400)의 회전력이 종동풀리9200)로 전달되므로 장시간 엔진발전기를 운전시 부품의 마모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100; 구동풀리 200; 종동풀리
300;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 400;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
500; 제1 구동벨트 600; 제2 구동벨트
700; 제1 종동벨트 800; 제2 종동벨트

Claims (7)

  1. 엔진의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발전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구동풀리의 외경보다 큰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옆에 구비되는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
    상기 구동풀리와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1 구동벨트;
    상기 구동풀리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를 연결하여 구동풀리의 회전력의 나머지 일부를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에 전달하는 는 제2 구동벨트;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는 제1 종동벨트;
    상기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는 제2 종동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중심축선과 종동풀리의 중심축선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와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중심축선과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구동측 중간풀리와 종동측 중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풀리어셈블리는 상기 구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동측 중간풀리와, 상기 구동측 중간풀리와 종동측 중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지하는 축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94299A 2017-07-25 2017-07-25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16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99A KR102161447B1 (ko) 2017-07-25 2017-07-25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99A KR102161447B1 (ko) 2017-07-25 2017-07-25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88A KR20190011588A (ko) 2019-02-07
KR102161447B1 true KR102161447B1 (ko) 2020-10-05

Family

ID=6536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99A KR102161447B1 (ko) 2017-07-25 2017-07-25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74B1 (ko) 2009-05-12 2011-08-23 최대호 발전장치
KR101336428B1 (ko) 2012-09-05 2013-12-04 김수종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72B1 (ko) * 2002-08-02 2005-07-14 (주)크린파워 차량에 일체로 부착된 발전장치
KR20070084749A (ko) * 2006-02-21 2007-08-27 우두용 기계식 증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74B1 (ko) 2009-05-12 2011-08-23 최대호 발전장치
KR101336428B1 (ko) 2012-09-05 2013-12-04 김수종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88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1161B2 (en) Electric motor drive device
US4725259A (en) Belt drive method and apparatus
US20210316608A1 (en) Electric vehicle propulsion system
CN104024699B (zh) 电动车辆的驱动力传递装置
KR20100124330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 장치
JPH02130224A (ja) 補機駆動装置
CN101960173B (zh) 行星变速器
CN102678867B (zh) 被动式机械变矩器
US20120013211A1 (en) Electric motor having a selectively adjustable base speed
KR102161447B1 (ko) 엔진발전기의 동력전달장치
CN203239449U (zh) 发动机动力输出端连接装置
KR100797544B1 (ko) 변속기어 어셈블리
KR20140077664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10961089B2 (en) Cable machine with multiple bearings
CN100491776C (zh) 车辆变速箱
CN110953308B (zh) 齿圈偏心旋转无级变速法
CN102747668B (zh) 一种可转换为圆振动或振荡或复合振动的压路机振动轮
CN208417438U (zh) 用于五轴复合加工中心的机械单摆头变速结构
CN218761017U (zh) 一种直连式动力输出装置
US20040104089A1 (en) Torque transmission system for a vehicle
AU2021103222A4 (en) An apparatus for multidirectional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ts working process
KR101074730B1 (ko) 2단 변속모터
CN101634356B (zh) 少齿差减速传动装置
JP6685191B2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駆動力伝達システム
RU26612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от двух или большего числа при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