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046B1 - 섬유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046B1
KR102161046B1 KR1020160078541A KR20160078541A KR102161046B1 KR 102161046 B1 KR102161046 B1 KR 102161046B1 KR 1020160078541 A KR1020160078541 A KR 1020160078541A KR 20160078541 A KR20160078541 A KR 20160078541A KR 102161046 B1 KR102161046 B1 KR 10216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ftener
softener composition
flower
vineg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949A (ko
Inventor
조윤진
차경온
김세훈
심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0220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0046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022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2551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0220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10046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8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이 90 ppm 이하인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섬유 내 잔존하는 세제 불용성 성분인 탄산칼슘의 용해 및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섬유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유연제는 의류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고 섬유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위생 및 청결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며, 보다 쾌적한 의생활을 추구하려 함에 따라, 의류에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악취제거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에 발생하는 꿉꿉한 냄새는 땀냄새 등의 성분인 유기화합물이 피부 상재균이 분해되어 생성된 불포화 저급 지방산 및 암모니아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반응하거나 세탁세제 또는 섬유유연제 잔류성분과 반응하여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장마철의 경우, 실내 건조시 건조시간이 지연되므로 악취균인 Morxella asloensis로 인해 꿉꿉한 냄새가 더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꿉꿉한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했는데, 종래 섬유유연제에 포함되는 항균제는 인체에 유해하다. 최근에는 합성 항균제 사용시 인체에 유해하다는 내용이 보도됨에 따라 이러한 항균제의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섬유유연제는 1950년 대에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이후로 60년이 넘도록 유연성분으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근래에 들어 이러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인체 유해성이 밝혀져 이를 기피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0861호
본 발명은 종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유연성분으로 포함되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섬유 내 잔존하는 세제 불용성 성분인 탄산칼슘의 용해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이 90 ppm 이하인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섬유 내 잔존하는 세제 불용성 성분인 탄산칼슘의 용해 및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이 90 ppm 이하인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EL306의 시험방법은 EL306 내 시험방법 중 유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세탁 및 헹굼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pH 조절제는 세제 찌꺼기 제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유연제 본연의(옷감을 부드럽게 하고 촉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유기산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구연산, 초산, 주석산, 호박산, 사과산 및 젖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0 중량%, 또는 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탄산칼슘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pH 조절제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해도 우수한 탄산칼슘 제거 효과를 나타내나, pH 조절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헹굼수의 pH가 낮아지므로, 3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세제 찌꺼기 제거 효과가 우수하므로, 섬유유연제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서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은 90 ppm 이하, 65 ppm 이하, 50 ppm 이하, 45 ppm 이하, 40 ppm 이하, 37 ppm 이하 또는 0 pp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을 5 내지 300 ppm, 10 내지 250 ppm, 또는 30 내지 200 ppm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전술한 조성성분 외에 식초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식초는 주성분으로 초산을 함유하여 시고 약간 단맛이 있는 조미료로서, 초산, 구연산 및 각종 아미노산 등 수십여 가지 유기산이 들어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체내 노폐물을 없애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강력한 방부제이자 강력한 살균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식초는 세제 찌꺼기 제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0.5 내지 5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살균 효과 및 세제 찌꺼기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전술한 조성성분 외에 강력한 탈취의 역할을 담당하는 꽃 발효식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 발효식초는 꽃잎을 수세 및 건조하고 과량의 식초 및 당물과 혼합하여 3일 내지 7일 동안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초는 시판되는 양조식초일 수 있으며, 꽃잎 1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물을 포도당, 설탕, 과당, 올리고당, 또는 물엿 등 각종 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물은 꽃 추출물을 알코올 발효시키는 역할을 하며, 꽃잎 1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꽃 발효식초는 꽃 원물을 멸균하고, 100 내지 15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상기의 열수 추출물과 종초 및 당물을 혼합한 후 20 내지 40℃에서 72 내지 96시간 동안 발효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상기 종초는 전통방식으로 제조된 이미(異味), 이취(異臭)가 없는 양조식초에서 분리된 야생식초균을 증식시켜 발효시킨 것을 말하며, 상기 종초는 야생초산균 아세토박터균(Acetobacter sp.)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초의 첨가량은 꽃 열수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종초의 첨가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숙성된 꽃 열수 추출물의 식초 발효를 유도하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첨가량에 비하여, 식초 발효의 효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당물을 포도당, 설탕, 과당, 올리고당, 또는 물엿 등 각종 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물은 꽃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 발효시키는 역할을 하며, 꽃 열수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꽃 발효식초는 pH가 2.70 내지 3.30, 산도는 3 내지 7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꽃 발효식초 제조에 사용하는 꽃의 종류는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도화꽃, 살구꽃, 아카시아꽃, 카모마일꽃, 자스민꽃 또는 연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꽃 발효식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0.05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살균 작용 및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내용물의 상 안정성을 위해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0.5 내지 8 중량% 또는 1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내용물의 상 안정성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향가용화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가용화제는 발효식초 등에 의한 식초취를 완화시켜 섬유유연제의 향취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식초취 등의 악취제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물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감잎, 녹차 및 진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소량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항균 성분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일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또는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섬유유연제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90 중량% 또는 60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 과립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액체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9
하기 표 1의 함량(중량%) 구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유기산, 식초, 꽃발효초를 넣고 30 분간 교반한 후, 여기에 에탄올, 향료, 향가용화제 및 소포제를 용해한 용액을 투입하고 30 분간 교반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H 조절제로는 유기산 중 구연산을 사용하였다.
식초는 양조식초(천연식품)를 사용하였다.
또한, 꽃 발효식초는 자스민 꽃잎을 수세하고 건조한 후, 꽃잎 1 중량부 대비 식초 15 중량부 및 당물 15 중량부를 상기 건조된 꽃잎과 혼합하고 약 7일 동안 자연 발효 과정을 거쳐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섬유유연제 조성물 대신 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섬유유연제 조성물 대신 지표섬유유연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지표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인증기준 중 EL306(섬유유연제) 내 시험방법 중 지표섬유유연제 조성물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의 함량(중량%) 구성을 가지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TEA Ester Quaternary(INCI Name: dihydrogenated palmoylethyl hydroxyethylmonium methosulfate, active 90%)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3
구연산 20 5 - - - - - 5 5 -
초산 - - 5 - - - - - - -
사과산 - - - 5 - - - - - -
주석산 - - - - 5 - - - - -
호박산 - - - - - 5 - - - -
젖산 - - - - - - 5 - - -
양이온 계면활성제 - - - - - - - - - 5
꽃발효식초 - - - - - - - 1 1 -
식초 - - - - - - - - 1
향료 0.5
에탄올 5
향가용화제 5
소포제 0.05
정제수 100 중량% 까지
실험예 1. 세탁후 의류 내 잔존탄산칼슘의 함량 측정
전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탁 헹굼 후 의류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의류는 KS K 0905에 규정된 백색 표준 면포(10 X 10 cm) 3장을 사용하였고, 세탁세제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 가능한 탄산칼슘이 함유된 분말 세제(LG 생활건강, 테크)를 사용하였다.
세탁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인증기준 중 EL306(섬유유연제) 내 시험방법에 준하며, 마지막 헹굼 시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0.67 mL/L였다.
세탁 헹굼 후 의류 내 탄산칼슘 잔류량에 대한 분석은 세탁 헹굼이 완료된 면포를 0.5 g 분취해 염산/불산/질산/붕산의 혼합액으로 산 처리한 후, 24시간 추출해 ICP(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스마)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상기 의류 내 잔존 탄산칼슘 함량(ppm)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탄산칼슘 함량 0 37 65 45 40 56 50 25 30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 3
탄산칼슘 함량 155 158 150
물 또는 지표섬유유연제로 헹군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세탁세제 불용성분인 탄산칼슘을 제거하지 못해 의류 내 잔존량이 많았다. 그러나, 유기산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로 헹군 실시예에서는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탄산칼슘을 용해시켜 의류 내 탄산칼슘의 잔존량이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기산 중 구연산을 이용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탄산칼슘 제거 능력이 우수했으며, 유기산과 동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3에서는 탄산칼슘의 제거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pH 조절제를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꽃 발효식초를 포함하는 환경마크 EL306의 시험방법에 따른 세탁 및 헹굼을 마친 섬유 내 잔존하는 탄산칼슘의 함량이 90 ppm 이하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는 구연산, 초산, 주석산, 호박산, 사과산 및 젖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산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꽃 발효식초는 도화꽃, 살구꽃, 아카시아꽃, 카모마일꽃, 자스민꽃 및 연꽃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꽃잎을 수세 및 건조하고 식초 및 당물과 혼합하여 3일 내지 7일 동안 발효시켜 얻은 것인 섬유유연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꽃 발효식초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식초를 추가로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식초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0160078541A 2014-02-25 2016-06-23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161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927 2014-02-25
KR20140021928 2014-02-25
KR1020140021927 2014-02-25
KR1020140021928 2014-02-25
KR1020140052634 2014-04-30
KR20140052634 2014-04-30
KR1020140102206 2014-08-08
KR1020140102207 2014-08-08
KR1020140102207A KR20150100465A (ko) 2014-02-25 2014-08-08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140102208A KR20150125514A (ko) 2014-04-30 2014-08-08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140102206A KR20150100464A (ko) 2014-02-25 2014-08-08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140102208 2014-08-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433A Division KR20150100544A (ko) 2014-02-25 2015-02-23 섬유유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49A KR20160082949A (ko) 2016-07-11
KR102161046B1 true KR102161046B1 (ko) 2020-10-05

Family

ID=5649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541A KR102161046B1 (ko) 2014-02-25 2016-06-23 섬유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434A (ja) * 2003-03-17 2006-09-07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織物処理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46B1 (ko) 2007-08-10 2007-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434A (ja) * 2003-03-17 2006-09-07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織物処理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49A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701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00464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67702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6629220B2 (ja) 繊維柔軟剤組成物
JP6817065B2 (ja) 繊維柔軟剤組成物
KR102161046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6833248B2 (ja) 繊維柔軟剤組成物
KR101809786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1703138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58480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123613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20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1780249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60084334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90104129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14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00544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15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60084335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21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00546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22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7009039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16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50125518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