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770B1 -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770B1
KR102160770B1 KR1020180132716A KR20180132716A KR102160770B1 KR 102160770 B1 KR102160770 B1 KR 102160770B1 KR 1020180132716 A KR1020180132716 A KR 1020180132716A KR 20180132716 A KR20180132716 A KR 20180132716A KR 102160770 B1 KR102160770 B1 KR 10216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ushion
frame
chai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486A (ko
Inventor
이진국
박영임
오종필
고다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덴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덴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덴뷰
Priority to KR102018013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7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퍼쿠션(C10)으로서 어퍼폐구형홈(P3)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C11)과 더불어 이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 및 메인어퍼쿠션(C11)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어퍼쿠션(C12)을 포함토록 하여, 폭이 작은 서브어퍼쿠션(C12)으로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견고하면서도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P1)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 방석의자(10)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이거니와 쿠션력의 극대화까지 도모케 할 수 있으며, 바디(40)에 설치된 하부통(60), 하부승강체(81), 상부통(70), 수평회동체(82) 및 상부승강체(83)에 의해 작업용 의자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나아가 용이하고 수월하게 대량 양산하여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WORK CHAIR}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퍼쿠션으로서 어퍼폐구형홈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과 더불어 이 메인어퍼쿠션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 및 메인어퍼쿠션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어퍼쿠션을 포함토록 하여, 폭이 작은 서브어퍼쿠션으로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견고하면서도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 방석의자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이거니와 쿠션력의 극대화까지 도모케 할 수 있으며, 어퍼피복재 및 언더피복재 속에 어퍼쿠션 및 언더쿠션을 신속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의자는 농어촌이나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무릎을 굽힌 상태로, 즉 무릎을 쪼그린 상태로 작업을 할 때 방석의자가 둔부에 위치되면서 지면에 맞닿도록 하여 체중의 분산을 통한 무릎 및 허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보조장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 출원인이 2017.12.24. 출원한 특허출원 제2017-0178960호의 작업용 의자(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작업용 의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둔부에 밀착되어 쿠셔닝(Cushioning)되는 방석의자(10)와, 방석의자(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골반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는 골반벨트(20)를 포함한다.
방석의자(10)는 옆면에 횡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지퍼가 달린 피복재 속에 스티로폼 등과 같은 쿠션재를 내장하여 원기둥형상 또는 반원기둥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골반벨트(20)는 방석의자(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면서 일명 찍찍이라 불리는 벨크로테이프(상표명 Velcro을 따서 호칭되는 Velcrotape; 20a)나 버클(Buckle) 등이 구비되어 골반에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착용된다.
이때, 도면 부호 30은 방석의자(10)의 하측과 골반벨트(2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방석의자(10)를 항문 주의의 둔부에 센터링시킬 수 있도록 착용되는 안전띠를 지시한다.
2017.12.24. 출원의 특허출원 제2017-0178960호(작업용 의자)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쿠션으로서 어퍼폐구형홈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과 더불어 이 메인어퍼쿠션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 및 메인어퍼쿠션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어퍼쿠션을 포함토록 하여, 폭이 작은 서브어퍼쿠션으로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견고하면서도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 방석의자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이거니와 쿠션력의 극대화까지 도모케 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용 의자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나아가 용이하고 수월하게 대량 양산하여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피스톤의 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을 상부하프고정통에 근접시켜 상부내부홀의 폭을 좁혀 그 외부로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의 끼움을 용이하게 한 후 수평피스톤의 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을 상부하프고정통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내부홀의 폭을 넓혀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를 팽팽하게 벌린 상태에서 어퍼쿠션 또는 언더쿠션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피스톤의 전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이 상부하프고정통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때 중단폐구형테두리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를 따라 상프하프회동통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정감 있게 상부내부홀의 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단폐구형테두리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를 따라 상부하프회동통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될 때 가이드축에 끼워진 가이드홀에 의해 상부하프회동통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목라인을 통해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어퍼쿠션 또는 언더쿠션이 어퍼폐구형홈 또는 언더폐구형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면서 하부승강체의 상승에 따라 상부통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오목라인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통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하부승강체의 하부받침을 흐트러짐 없이 하부내부홀 속에서 하부피스톤의 승강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피복재 및 언더피복재 속에 어퍼쿠션 및 언더쿠션을 신속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용 의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퍼탑면 아래로 어퍼쿠션이 끼워지는 어퍼폐구형홈을 형성하는 어퍼측면의 하단에 어퍼테두리착탈수단을 지닌 어퍼피복재와 더불어 언더베이스면 위로 언더쿠션이 끼워지는 언더폐구형홈을 형성하는 언더측면의 상단에 상기 어퍼테두리착탈수단에 착탈되는 언더테두리착탈수단을 지닌 언더피복재를 수직띠로 상하 연결시켜 마련된 방석의자와, 상기 방석의자 양측에 고정되어 골반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는 골반벨트를 포함하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어퍼쿠션은
상기 어퍼폐구형홈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상기 어퍼탑면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과,
상기 메인어퍼쿠션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상기 어퍼탑면 및 메인어퍼쿠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어퍼탑면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는 서브어퍼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에 직립된 서포터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탑프레임을 지닌 바디와,
중단폐구형테두리 아래로 마련된 하부앞입구 및 하부뒷벽에 의해 에워싸여진 하부내부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서포터의 전방으로 장착된 하부통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상기 하부내부홀을 따라 승강되는 하부승강체와,
상기 중단폐구형테두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하프고정통 및 상기 상부하프고정통에 대향되는 수평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하부내부홀에 연속되는 상부내부홀을 형성하는 상부하프회동통을 지닌 상부통과,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하프고정통을 향하여 상기 상부하프회동통을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수평회동체와,
상기 탑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부통을 향해 승강되는 상부승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퍼쿠션으로서 어퍼폐구형홈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과 더불어 이 메인어퍼쿠션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 및 메인어퍼쿠션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어퍼쿠션을 포함토록 하여, 폭이 작은 서브어퍼쿠션으로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견고하면서도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 방석의자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이거니와 쿠션력의 극대화까지 도모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퍼탑면 및 어퍼측면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나아가 용이하고 수월하게 대량 양산하여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피스톤의 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을 상부하프고정통에 근접시켜 상부내부홀의 폭을 좁혀 그 외부로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의 끼움을 용이하게 한 후 수평피스톤의 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을 상부하프고정통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내부홀의 폭을 넓혀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를 팽팽하게 벌린 상태에서 어퍼쿠션 또는 언더쿠션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피스톤의 전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이 상부하프고정통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때 중단폐구형테두리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를 따라 상프하프회동통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정감 있게 상부내부홀의 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단폐구형테두리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를 따라 상부하프회동통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될 때 가이드축에 끼워진 가이드홀에 의해 상부하프회동통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목라인을 통해 어퍼피복재 또는 언더피복재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어퍼쿠션 또는 언더쿠션이 어퍼폐구형홈 또는 언더폐구형홈에 긴밀하게 끼워지면서 하부승강체의 상승에 따라 상부통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오목라인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통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하부승강체의 하부받침을 흐트러짐 없이 하부내부홀 속에서 하부피스톤의 승강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퍼피복재 및 언더피복재 속에 어퍼쿠션 및 언더쿠션을 신속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용 의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 출원인이 2017.12.24. 출원한 특허출원 제2017-0178960호의 작업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작업용 의자를 포함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석의자(10)와 골반벨트(20)로 이루어진다.
방석의자(10)는 어퍼탑면(P1) 아래로 어퍼쿠션(C10)이 끼워지는 어퍼폐구형홈(P3)을 형성하는 어퍼측면(P2)의 하단에 어퍼테두리착탈수단(J1)을 지닌 어퍼피복재(P)와 더불어 언더베이스면(D1) 위로 언더쿠션(20)이 끼워지는 언더폐구형홈(D3)을 형성하는 언더측면(D2)의 상단에 어퍼테두리착탈수단(J1)에 착탈되는 언더테두리착탈수단(J2)을 지닌 언더피복재(D)를 수직띠(S)로 상하 연결시켜 마련되고, 골반벨트(20)는 방석의자(10) 양측에 고정되어 골반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된다.
방석의자(10)의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폐구형홈(D3)은 작업 편의에 따라 원통형 또는 타원통형 등일 수 있고, 이들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폐구형홈(D3)에 끼워지는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은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제작된 가볍고 쿠션감이 좋은 합성수지 발포폼일 수 있다.
한편,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폐구형홈(D3)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홈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제작의 편의상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 속에 각각 형성시킨 후 이들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를 수직띠(S)로 상하 연결시켜 어퍼테두리착탈수단(J1) 및 언더테두리착탈수단(J2)으로 착탈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보장토록 한다.
이때,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을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에 끼워 넣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고[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이 타이트하게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에 끼워져야만 쿠션감과 더불어 내구성(체중에 대한 버팀력)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억지 끼워 넣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고], 이러한 이유로 작업용 의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어퍼쿠션(C10)은 어퍼폐구형홈(P3)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C11)과,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 및 메인어퍼쿠션(C11) 사이에 개재되어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P1)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는 서브어퍼쿠션(C12)을 포함한다.
어퍼쿠션(C10)은 작업자의 체중에 대한 버팀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어퍼폐구형홈(P3)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직각으로 형성케 함으로 인하여 특히 쿠션감을 요구하는 방석의자(10)의 부드러운 느낌을 크게 기대할 수 없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어퍼쿠션(C10)으로서 어퍼폐구형홈(P3)에 합치되는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을 향하여 끼워지는 메인어퍼쿠션(C11)과 더불어 이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니면서 어퍼탑면(P1) 및 메인어퍼쿠션(C11) 사이에 개재되는 서브어퍼쿠션(C12)을 포함토록 하여, 폭이 작은 서브어퍼쿠션(C12)으로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견고하면서도 라운딩지게 함과 동시에 어퍼탑면(P1)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의 타이트한 조임으로 상대적으로 서브어퍼쿠션(C12)의 중심이 부풀어올라 어퍼탑면(P1)을 상대적으로 볼록지게 하여] 방석의자(10)의 부드러운 느낌은 물론이거니와 쿠션력의 극대화까지 도모케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서브어퍼쿠션(C12)은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3∼10㎝ 작도록 하여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서브어퍼쿠션(C12)의 폭이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3㎝ 이하로 작을 경우 어퍼탑면(P1) 및 어퍼측면(P2) 사이의 경계를 여전히 직각 형태로 구현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서브어퍼쿠션(C12)의 폭이 메인어퍼쿠션(C11)의 폭보다 10㎝ 이상으로 작을 경우 어퍼탑면(P1)에 서브어퍼쿠션(C12)의 테두리가 뾰족하게 돌출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서브어퍼쿠션(C12)은 1∼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서브어퍼쿠션(C12)은 1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3개 이상일 경우 생산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작업용 의자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는 도 3a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41)의 후방에 직립된 서포터(4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탑프레임(43)을 지닌 바디(40)와, 중단폐구형테두리(50) 아래로 마련된 하부앞입구(61) 및 하부딧벽(62)에 의해 에워싸여진 하부내부홀(63)을 형성하면서 서포터(42)의 전방으로 장착된 하부통(60)과, 베이스프레임(41)에 고정되면서 하부내부홀(63)을 따라 승강되는 하부승강체(81)와, 중단폐구형테두리(5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하프고정통(71) 및 이 상부하프고정통(71)에 대향되는 수평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하부내부홀(63)에 연속되는 상부내부홀(73)을 형성하는 상부하프회동통(72)을 지닌 상부통(70)과, 서포터(42)에 고정되어 상부하프고정통(71)을 향하여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수평회동체(82)와, 탑프레임(43)에 고정되면서 상부통(70)을 향해 승강되는 상부승강체(83)를 포함하고, 이러한 하부통(60), 하부승강체(81), 상부통(70), 수평회동체(82) 및 상부승강체(83)는 바디(40)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도 2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용 의자의 구성이 되는 어퍼폐구형홈(P3)에 어퍼쿠션(C10)을 그리고 언더폐구형홈(D3)에 언더쿠션(20)을 동시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이때, 바디(40)의 구성 중 베이스프레임(41)의 후방에 직립된 서포터(42) 그리고 이 서포터(4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탑프레임(43)은 현장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디(40)는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생산자가 용이하게 작업용 의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통(60)은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을 받아주면서 하부승강체(81)의 상승에 따라 되어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을 중단폐구형테두리(50) 속으로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통(70)은 수평회동체(82)의 전진에 따라 상부하프고정통(71)에 근접한 상부하프회동통(72)에 의해 폭이 좁은 상부내부홀(73)을 형성하여 그 외부로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의 끼움을 용이하게 한 후 수평회동체(82)의 후진에 따라 상부하프고정통(71)으로부터 멀어진 상부하프회동통(72)에 의해 폭이 넓은 상부내부홀(73)을 형성하여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를 팽팽하게 벌린 상태에서 하부승강체(81)의 상승에 따라 중단폐구형테두리(50)를 경유하여 밀려오는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으로 하여금 상부내부홀(73)을 거쳐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부승강체(83)는 상부통(70)의 상단에 근접하여 어퍼탑면(P1) 및 언더베이스면(D1)을 받쳐주면서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의 견고한 삽입을 보장케 한 후 후퇴, 즉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디(40)에 설치된 하부통(60), 하부승강체(81), 상부통(70), 수평회동체(82) 및 상부승강체(83)에 의해 작업용 의자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나아가 용이하고 수월하게 대량 양산하여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하부승강체(81)는 베이스프레임(41)에 고정되는 하부실린더(81a)와, 하부실린더(81a)에 의해 승강되는 하부피스톤(81b)과, 하부피스톤(81b)에 장착되어 하부내부홀(63)을 따라 승강되는 하부받침(81c)을 구비하여,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을 하부받침(81c)으로 받쳐주면서 하부내부홀(63) 및 중단폐구형테두리(50)를 거쳐 상부내부홀(73)을 향해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부승강체(83)는 탑프레임(43)에 고정되는 상부실린더(83a)와, 상부실린더(83a)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피스톤(83b)과, 상부피스톤(83b)에 장착되어 상부통(70)을 향해 승강되는 상부받침(83c)을 구비하여, 상부피스톤(83b)의 하강으로 상부통(70)의 상단에 근접할 때 상부받침(83c)으로 어퍼탑면(P1) 또는 언더베이스면(D1)을 받쳐주면서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이 삽입될 때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가압한 후 후퇴, 즉 상승하게 된다.
수평회동체(82)는 서포터(42)에 고정되는 수평실린더(82a)와, 수평실린더(82a)에 의해 상부하프고정통(71)을 향하여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전후진시키는 수평피스톤(82b)을 구비한다.
수평피스톤(82b)의 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72)을 상부하프고정통(71)에 근접시켜 상부내부홀(73)의 폭을 좁혀 그 외부로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의 끼움을 용이하게 한 후 수평피스톤(82b)의 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72)을 상부하프고정통(71)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내부홀(73)의 폭을 넓혀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를 팽팽하게 벌린 상태에서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이때, 하프(Half)라는 용어는 정확하게 절반임을 뜻하는 것이 아닌 상부통(70)을 서로 나눌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중단폐구형테두리(50)는 상부하프회동통(72)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받쳐주도록 수평피스톤(82b)을 향하여 연장된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더 구비하고, 상부하프회동통(72)은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수평피스톤(82b)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를 더 구비한다.
수평피스톤(82b)의 전후진으로 상부하프회동통(72)이 상부하프고정통(71)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때 중단폐구형테두리(50)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따라 상부하프회동통(72)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정감 있게 상부내부홀(73)의 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의 양단으로부터 솟아오른 가이드축(51a)과,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의 양단에 뚫려져 수평피스톤(82b)의 전후진에 따라 가이드축(51a)에 끼워져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홀(7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단폐구형테두리(50)의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따라 상부하프회동통(72)의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가 슬라이딩되면서 전후진될 때 가이드축(51a)에 끼워진 가이드홀(72b)에 의해 상부하프회동통(72)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부하프고정통(71)은 상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라인(71a)을 더 포함하여, 오목라인(71a)을 통해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를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이 어퍼폐구형홈(P3) 또는 언더폐구형홈(D3)에 긴밀하게 끼워지면서 하부승강체(81)의 상승에 따라 상부통(70)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오목라인(71a)을 통해 더욱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오목라인(71a)이 없을 경우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를 끼우는 동작도 어렵고 어퍼쿠션(C10) 또는 언더쿠션(20)이 삽입된 어퍼피복재(P) 또는 언더피복재(D)의 분리 동작도 타이트하여 부드럽지 않게 된다].
한편, 하부통(60)은 하부앞입구(61) 및 하부딧벽(62) 아래에 하단폐구형테두리(64)를 더 포함하여, 하부통(60)의 견고한 구조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하부승강체(81)의 하부받침(81c)을 흐트러짐 없이 하부내부홀(63) 속에서 하부피스톤(81b)의 승강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를 별도로 마련한 후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각각 끼워 넣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직띠(S)로 일체화된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 속에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동시에 끼워 넣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때 골반벨트(20) 역시 방석의자(10)에 고정되어 있으나 도면 및 설명 상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골반벨트(20)를 삭제한 상태로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승강체(81)가 하강하고 상부승강체(83)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부통(60)의 하부앞입구(61)를 통해 하부내부홀(63)로 어퍼쿠션(C10)[이때, 어퍼쿠션(C10)은 메인어퍼쿠션(C11) 및 서브어퍼쿠션(C12)일 수 있다] 및 언더쿠션(20)을 각각 넣어 하부승강체(81)의 하부받침(81c)에 안착시키고, 이와 더불어 수평회동체(82)가 전진하여 상부하프고정통(71)에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켜 상부내부홀(73)의 폭이 작아진 상태에서 어퍼피복재(P)의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피복재(D)의 언더폐구형홈(D3)을 벌려 상부통(70)의 외부로 각각 씌운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미 도시됨)를 누르면 수평회동체(82)의 수평피스톤(82b)이 후진하면서 상부하프고정통(71)으로부터 상부하프회동통(72)을 이격시켜 상부통(70)의 폭을 넓혀 어퍼피복재(P)의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피복재(D)의 언더폐구형홈(D3)을 팽팽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하부승강체(81)의 하부피스톤(81b)이 상승하여 하부받침(81c)으로 받치고 있던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동시에 상승시켜 중단폐구형테두리(50) 및 상부내부홀(73)을 경유하여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부승강체(83)의 상부피스톤(83b)이 하강하면서 상부받침(83c)으로 어퍼탑면(P1) 및 언더베이스면(D1)을 가압하면서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이 어퍼피복재(P)의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피복재(D)의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긴밀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승강체(81)의 하부피스톤(81b)이 하부받침(81c)을 통해 어퍼피복재(P)의 어퍼폐구형홈(P3) 및 언더피복재(D)의 언더폐구형홈(D3) 속으로 긴밀하게 삽입된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더 밀어올리면서 상부승강체(83)의 상부받침(83c)을 함께 상승시켜 상부통(70)으로부터 방석의자(10)의 분리를 실현한다.
끝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70)으로부터 분리된 방석의자(10)의 어퍼테두리착탈수단(J1) 및 언더테두리착탈수단(J2)을 슬라이더(J3)의 전진으로 잠궈 작업용 의자를 완성하고, 다시 상부승강체(83)의 상승 그리고 하부승강체(81)의 하강으로 새로운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받을 준비상태로 대기함과 더불어 수평회동체(82)의 전진으로 상부하프고정통(71)으로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켜 상부통(70)의 폭을 좁게 하여 새로운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준비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는 어퍼피복재(P) 및 언더피복재(D) 속에 어퍼쿠션(C10) 및 언더쿠션(20)을 신속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용 의자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릎을 굽힌 상태로, 즉 무릎을 쪼그린 상태로 작업을 하는 각종 산업현장에 활용되는 작업용 의자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방석의자 P : 어퍼피복재
P1 : 어퍼탑면 P2 : 어퍼측면
P3 : 어퍼폐구형홈 D : 언더피복재
D1 : 언더베이스면 D2 : 언더측면
D3 : 언더폐구형홈 S : 수직띠
J : 지퍼 J1 : 어퍼테두리착탈수단
J2 : 언더테두리착탈수단 J3 : 슬라이더
20 : 골반벨트 C10 : 어퍼쿠션
C11 : 메인어퍼쿠션 C12 : 서브어퍼쿠션
C20 : 언더쿠션 40 : 바디
41 : 베이스프레임 42 : 서포터
43 : 탑프레임 50 : 중단폐구형테두리
51 : 중단호형연장테두리 51a : 가이드축
60 : 하부통 61 : 하부앞입구
62 : 하부뒷벽 63 : 하부내부홀
64 : 하단폐구형테두리 70 : 상부통
71 : 상부하프고정통 71a : 오목라인
72 : 상부하프회동통 72a : 상부호형연장테두리
72b : 가이드홀 73 : 상부내부홀
81 : 하부승강체 81a : 하부실린더
81b : 하부피스톤 81c : 하부받침
82 : 수평회동체 82a : 수평실린더
82b : 수평피스톤 83 : 상부승강체
83a : 상부실린더 83b : 상부피스톤
83c : 상부받침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베이스프레임(41)의 후방에 직립된 서포터(4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탑프레임(43)을 지닌 바디(40)와,
    중단폐구형테두리(50) 아래로 마련된 하부앞입구(61) 및 하부딧벽(62)에 의해 에워싸여진 하부내부홀(63)을 형성하면서 상기 서포터(42)의 전방으로 장착된 하부통(6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41)에 고정되면서 상기 하부내부홀(63)을 따라 승강되는 하부승강체(81)와,
    상기 중단폐구형테두리(5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하프고정통(71) 및 상기 상부하프고정통(71)에 대향되는 수평방향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상기 하부내부홀(63)에 연속되는 상부내부홀(73)을 형성하는 상부하프회동통(72)을 지닌 상부통(70)과,
    상기 서포터(42)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하프고정통(71)을 향하여 상기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하는 수평회동체(82)와,
    상기 탑프레임(43)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부통(70)을 향해 승강되는 상부승강체(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체(8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1)에 고정되는 하부실린더(81a)와, 상기 하부실린더(81a)에 의해 승강되는 하부피스톤(81b)과, 상기 하부피스톤(81b)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내부홀(63)을 따라 승강되는 하부받침(81c)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승강체(83)는 상기 탑프레임(43)에 고정되는 상부실린더(83a)와, 상기 상부실린더(83a)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피스톤(83b)과, 상기 상부피스톤(83b)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통(70)을 향해 승강되는 상부받침(8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동체(82)는 상기 서포터(42)에 고정되는 수평실린더(82a)와, 상기 수평실린더(82a)에 의해 상기 상부하프고정통(71)을 향하여 상기 상부하프회동통(72)을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전후진시키는 수평피스톤(8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폐구형테두리(50)는 상기 상부하프회동통(72)의 전후진 슬라이딩을 받쳐주도록 상기 수평피스톤(82b)을 향하여 연장된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하프회동통(72)은 상기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를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평피스톤(82b)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호형연장테두리(51)의 양단으로부터 솟아오른 가이드축(51a)과,
    상기 상부호형연장테두리(72a)의 양단에 뚫려져 상기 수평피스톤(82b)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51a)에 끼워져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홀(72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프고정통(71)은 상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라인(7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60)은 상기 하부앞입구(61) 및 하부딧벽(62) 아래에 하단폐구형테두리(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60), 하부승강체(81), 상부통(70), 수평회동체(82) 및 상부승강체(83)는 상기 바디(40)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KR1020180132716A 2018-11-01 2018-11-01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KR10216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16A KR102160770B1 (ko) 2018-11-01 2018-11-01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16A KR102160770B1 (ko) 2018-11-01 2018-11-01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486A KR20200050486A (ko) 2020-05-12
KR102160770B1 true KR102160770B1 (ko) 2020-10-05

Family

ID=7067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16A KR102160770B1 (ko) 2018-11-01 2018-11-01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7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436A (ja) * 2010-11-22 2012-06-14 Inoac Corp クッション体
KR101338273B1 (ko) * 2013-05-15 2013-12-09 박준필 작업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742A (ko) * 2010-12-01 2012-06-11 김상식 작업용 방석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436A (ja) * 2010-11-22 2012-06-14 Inoac Corp クッション体
KR101338273B1 (ko) * 2013-05-15 2013-12-09 박준필 작업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486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7523A1 (en) Adjustable cushion
EP0107847B1 (de) Liege oder Liegestuhl aus einem schwimmfähigen Kunststoff-körper
US6640365B1 (en) Electric bed
US2869623A (en) Chair with liftable arm rests
US11576491B2 (en) Shampoo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548399B2 (en) Reclining collapsible chair
US20160199687A1 (en) Collapsible exercise machine
KR102160770B1 (ko) 작업용 의자 제조장치
DE102018106403A1 (de) Beinstützenoptionen für liegesitze
JP5624246B1 (ja) 摺動板付車椅子
KR101241663B1 (ko) 휠체어
CN204687888U (zh) 车辆座椅保存系统
KR101044750B1 (ko) 조립형 작업 의자
US20240041269A1 (en) Shampoo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same
AU2014262176A1 (en) Slicer
US2888977A (en) Reclining chair extensible leg rest
US4364134A (en) Bed construction
KR200480283Y1 (ko) 여행용 캐리어
CN109414852A (zh) 底切处理机构、成型用模具及成型品
KR200483447Y1 (ko) 침대 및 소파겸용 여행용 캐리어
CN213282287U (zh) 一种新型腰部顶出电动床
CN211512917U (zh) 一种可放平移动式肌肉注射凳
JP2015066194A (ja) 椅子
CN211092954U (zh) 一种方便调节的儿童用安全座椅
CN207758059U (zh) 滑块内部斜顶内抽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