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86B1 - 전기변색소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86B1
KR102160686B1 KR1020170140163A KR20170140163A KR102160686B1 KR 102160686 B1 KR102160686 B1 KR 102160686B1 KR 1020170140163 A KR1020170140163 A KR 1020170140163A KR 20170140163 A KR20170140163 A KR 20170140163A KR 102160686 B1 KR102160686 B1 KR 10216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hange material
color change
material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399A (ko
Inventor
장해성
이춘엽
김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to KR102017014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oxidation-reduction reactions in organic liquid solutions, e.g. viologen solu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변색물질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소자 측에서, 환원변색물질, 산화변색물질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색물질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소자 측에서, 환원변색물질, 산화변색물질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변색소자는 전장이 가해지는 경우, 전류의 흐름에 의해 그 색상이 변하는 소자로써, 최근, 스마트 윈도우, 거울,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4-3783호(명칭: 실리콘 태양전지를 가지는 자가충전형 전기변색소자)(2014.1.1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51165호(명칭: 전기변색소자 디바이스)(2014.4.3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132025호(명칭: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선루프와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2014.11.17.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소자는 용액형(Solution type) 전기변색소자(10), 전지형(Battery-like type) 전기변색소자(20),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전기변색소자(30) 등으로 분류된다.
이때, 상기 용액형 전기변색소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1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11), 제 2 투명전극(1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15), 제 1 기판(11) 및 제 2 기판(1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13), 격벽(1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16), 전해질용액(16)에 혼합되는 변색물질(17)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변색물질(17)은 특정 색상을 나타내는 1종류의 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10) 측으로 변색물질(17)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1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지형 전기변색소자(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2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21), 제 2 투명전극(2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25), 제 1 기판(21) 및 제 2 기판(2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23), 격벽(2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26), 제 1 투명전극(22) 상에 배치되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7), 제 2 투명전극(24) 상에 배치되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8) 등은 특정 색상을 나타내는 1종류의 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20) 측으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8) 등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2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형 전기변색소자(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3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31), 제 2 투명전극(3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35), 제 1 기판(31) 및 제 2 기판(3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33), 격벽(3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36), 제 1 투명전극(32) 상에 배치되는 변색물질 레이어(38), 전해질용액(36)에 혼합되는 변색물질(37)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변색물질(37), 변색물질 레이어(38) 등은 특정 색상을 나타내는 1종류의 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30) 측으로 변색물질(37), 변색물질 레이어(38) 등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3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 전기변색소자(10,20,30)의 심미적 기능이 전기변색소자(10,20,30)의 품질을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로 대두되면서, 전기변색소자(10,20,30)의 표현색상을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변색소자(10,20,30)에 구비된 변색물질(17,37), 변색물질 레이어(27,28,38) 등은 모두 특정 색상을 나타내는 1종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생산주체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10,20,30)의 표현색상을 다채롭게 구현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3783호(명칭: 실리콘 태양전지를 가지는 자가충전형 전기변색소자)(2014.1.1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51165호(명칭: 전기변색소자 디바이스)(2014.4.30.자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4-132025호(명칭: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선루프와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2014.11.17.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색물질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소자 측에서, 환원변색물질, 산화변색물질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을 이루는 상기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을 이루는 상기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와; 상기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와; 상기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또는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를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또는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변색물질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소자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 산화변색물질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전기변색소자(100,200,300)는 용액형(Solution type) 전기변색소자(100)(도 4 및 도 5), 전지형(Battery-like type) 전기변색소자(200)(도 6 및 도 7),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전기변색소자(300(도 8 및 도 9) 등으로 분류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용액형 전기변색소자(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10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101), 제 2 투명전극(10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105),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103), 격벽(10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106), 전해질용액(106)에 혼합되는 변색물질(107)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제 1 투명전극(102)이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104)은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비해, 제 1 투명전극(102)이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104)은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100) 측으로 변색물질(107)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1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하에서도, 소자(100) 측에서,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제품의 전체적인 심미적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변색물질(107)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107a,107c,‥‥) 및 산화변색물질(107b,107d,‥‥)의 혼합물로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변색물질(107)을 이루는 상기 환원변색물질(107a,107c,‥‥)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색물질(107)을 이루는 상기 산화변색물질(107b,107d,‥‥)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변색물질(107)이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107a,107c,‥‥) 및 산화변색물질(107b,107d,‥‥)의 혼합물로 형성된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 변색물질(107)의 변색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변색물질(107)을 이루고 있던 상기 환원변색물질(107a,107c,‥‥)(WO3, TiO2, MoO3, V2O5, Nb2O5 등)은 환원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고, 변색물질(107)을 이루고 있던 상기 산화변색물질(107b,107d,‥‥)(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역시,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게 되며, 결국, 전기변색소자(100)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107a,107c,‥‥)(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107b,107d,‥‥)(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전기변색소자(100) 측에서, 환원변색물질(107a,107c,‥‥)(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107b,107d,‥‥)(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상황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100)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변색물질(107)이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107a,107c,‥‥) 및 산화변색물질(107b,107d,‥‥)의 혼합물로 형성되게 되는 경우, 전자의 급속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앞의 이점에 더하여, 부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까지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전지형 전기변색소자(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20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201), 제 2 투명전극(20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205), 제 1 기판(201) 및 제 2 기판(20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203), 격벽(20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206), 제 1 투명전극(202) 상에 배치되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제 2 투명전극(204) 상에 배치되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에도, 제 1 투명전극(202)이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204)은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비해, 제 1 투명전극(202)이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204)은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도, 전기변색소자(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200) 측으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 등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소자(200) 측에서,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제품의 전체적인 심미적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의 각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의 각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 등이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된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 등의 변색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의 각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을 이루고 있던 상기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은 환원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고,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의 각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을 이루고 있던 상기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역시,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게 되며, 결국,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상황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200)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체제 하에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7a,207b,207c,207d‥‥)(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전자의 급속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앞의 이점에 더하여, 부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까지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지형 전기변색소자(200)의 색상표현 기능개선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써,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207e,207f,‥‥)(208e,208f,‥‥)로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혼합물(207e,207f,‥‥)(208e,208f,‥‥)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물(207e,207f,‥‥)(208e,208f,‥‥)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207e,207f,‥‥)(208e,208f,‥‥)로 형성된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 등의 변색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혼합물(207e,207f,‥‥)(208e,208f,‥‥)을 이루고 있던 상기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은 환원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고, 혼합물(207e,207f,‥‥)(208e,208f,‥‥)을 이루고 있던 상기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역시,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게 되며, 결국,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상황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200)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체제 하에서, 제 1 변색물질 레이어(207)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2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207e,207f,‥‥)(208e,208f,‥‥)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자의 급속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앞의 이점에 더하여, 부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까지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전기변색소자(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전극(302)을 구비하는 제 1 기판(301), 제 2 투명전극(304)을 구비하는 제 2 기판(305), 제 1 기판(301) 및 제 2 기판(305)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303), 격벽(303)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306), 제 1 투명전극(302) 또는 제 2 투명전극(304) 상에 배치되는 변색물질 레이어(308), 전해질용액(306)에 혼합되는 변색물질(307)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참고로, 도 8에는 변색물질 레이어(308)가 제 1 투명전극(302) 상에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음).
이때에도, 제 1 투명전극(302)이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304)은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비해, 제 1 투명전극(302)이 카운터 전극으로 선택될 경우, 제 2 투명전극(304)은 작업전극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도, 전기변색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는 전기변색소자(200) 측으로 변색물질 레이어(308), 변색물질(307) 등의 변색 및 환원에 필요한 정 전압 및 역 전압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전기변색소자(3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소자(300) 측에서,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제품의 전체적인 심미적 품질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변색물질(307)을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7a,307b,‥‥)로 형성시키는 조치>, <변색물질 레이어(308)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혼합물(307a,307b,‥‥), 각 층(208a,208b,208c,208d‥‥) 등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물(307a,307b,‥‥), 각 층(208a,208b,208c,208d‥‥) 등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변색물질(307)이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7a,307b,‥‥)로 형성되고, 아울러, 변색물질 레이어(3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되는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 변색물질 레이어(308), 변색물질(307) 등의 변색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혼합물(307a,307b,‥‥), 각 층(208a,208b,208c,208d‥‥) 등을 이루고 있던 상기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은 환원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고, 혼합물(307a,307b,‥‥), 각 층(208a,208b,208c,208d‥‥) 등을 이루고 있던 상기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역시,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게 되며, 결국,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전기변색소자(200) 측에서,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상황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300)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체제 하에서, 변색물질(307)이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7a,307b,‥‥)로 형성되고, 아울러, 변색물질 레이어(3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208a,208b,208c,208d‥‥)이 적층된 구조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전자의 급속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앞의 이점에 더하여, 부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까지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형 전기변색소자(300)의 색상표현 기능개선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써, <변색물질 레이어(308)를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8e,308f,‥‥)로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혼합물(308e,308f,‥‥)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물(308e,308f,‥‥)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변색물질 레이어(3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8e,308f,‥‥)로 형성된 상황 하에서, 전기변색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구동회로(도시 안됨) 측에서, 변색물질(307), 변색물질 레이어(308) 등의 변색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혼합물(307a,307b,‥‥), 혼합물(308e,308f,‥‥) 등을 이루고 있던 상기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은 환원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고, 혼합물(307a,307b,‥‥), 혼합물(308e,308f,‥‥) 등을 이루고 있던 상기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역시,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되게 되며, 결국, 전기변색소자(300) 측에서는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전기변색소자(300) 측에서, 환원변색물질(WO3, TiO2, MoO3, V2O5, Nb2O5 등), 산화변색물질(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 등) 등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내는 여러 유형의 감법 혼색 메커니즘(Subtractive color mixture mechanism)을 토대로 하여, 자가 표현색상을 좀더 다채롭게 구현시키는 상황 하에서,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소자(200)의 심미적 기능을 극대화시키면서,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체제 하에서, 변색물질 레이어(308)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308e,308f,‥‥)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자의 급속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억제되기 때문에, 생산주체 측에서는 앞의 이점에 더하여, 부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까지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전기변색소자의 활용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20,30,100,200,300: 전기변색소자
11,21,31,101,201,301: 제 1 기판
12,22,32,102,202,302: 제 1 투명전극
13,23,33,103,203,303: 격벽
14,24,34,104,204,304: 제 2 투명전극
15,25,35,105,205,305: 제 2 기판
16,26,36,106,206,306: 전해질용액
17,27,107,307: 변색물질
27,207: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28,208: 제 2 변색물질 레이어
38,308: 변색물질 레이어

Claims (7)

  1.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을 이루는 상기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을 이루는 상기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2. 삭제
  3.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와;
    상기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4.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1 변색물질 레이어와;
    상기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제 1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제 2 변색물질 레이어를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5.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또는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로 형성된 여러 개의 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6. 제 1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면서, 전해질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의해 정의된 전해질 수용공간 내에 채워지는 전해질용액과;
    상기 전해질용액에 혼합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과;
    상기 제 1 투명전극 또는 제 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변색을 이루는 변색물질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색물질은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는 복수의 색상표현이 가능한 환원변색물질 또는 산화변색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원변색물질 및 산화변색물질은 상기 소자구동회로 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각기 환원반응 및 산화반응을 일으켜 변색 되면서, 상호 연계되어, 감법 혼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환원변색물질은 WO3, TiO2, MoO3, V2O5, Nb2O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변색물질 레이어, 또는 변색물질을 이루는 산화변색물질은 LixCoO2, CoOx, IrOx, Ir(OH)x, (NH4)Fe[Fe(CN)6], LiNiOx, NiOx, Ni(OH)2, Rh2O3, Li0.5Ni0.5O, InO2:Sn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7. 삭제
KR1020170140163A 2017-10-26 2017-10-26 전기변색소자 KR10216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63A KR102160686B1 (ko) 2017-10-26 2017-10-26 전기변색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63A KR102160686B1 (ko) 2017-10-26 2017-10-26 전기변색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99A KR20190046399A (ko) 2019-05-07
KR102160686B1 true KR102160686B1 (ko) 2020-09-29

Family

ID=6665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63A KR102160686B1 (ko) 2017-10-26 2017-10-26 전기변색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6361A (zh) * 2018-07-11 2020-0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及制备方法、壳体、电子设备
KR102397828B1 (ko) * 2020-05-14 2022-05-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변색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WO2024034957A1 (ko) * 2022-08-08 2024-02-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기 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718A (ja) * 2008-03-24 2011-05-19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デュアルアクティブフィルム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5019B1 (en) 2011-04-06 2016-03-23 ChromoGenics AB Electrochromic device
KR101764319B1 (ko) 2012-06-28 2017-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리콘 태양전지를 가지는 자가충전형 전기변색소자
KR20140132025A (ko) 2013-05-06 2014-11-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 변색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선루프와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
KR20150122319A (ko) * 2014-04-22 2015-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0753B1 (ko) * 2016-03-08 2019-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718A (ja) * 2008-03-24 2011-05-19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デュアルアクティブフィルム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99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686B1 (ko) 전기변색소자
USRE30835E (en) Self-supporting pigment layers for electrochromic display
KR102010755B1 (ko) 전기변색소자,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투과율 제어방법
US8482840B2 (en) Display device
Wang et al. Manipulating nanowire assemblies toward multicolor transparent electrochromic device
JP2019507910A (ja) 電気変色素子
Imaizumi et al. Multicolored electrochromism in 4, 4′-biphenyl dicarboxylic acid diethyl ester
KR20150076778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구동방법
JP6932141B2 (ja) 電気変色素子
US4303310A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JPS5781242A (en) All solid state complementary type electrochromic display element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GB2050666A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JPS5827484B2 (ja) 表示セル
JPS56149019A (en) Electrocoloring display element
JPS592908B2 (ja) 電気化学発色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式
KR20190131171A (ko) 전기변색소자
JPS58139129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素子
CN203882064U (zh) 电致色变元件结构
JPH0152736B2 (ko)
US3955879A (en) Nonlinear electrochromic device
JPS63157132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素子
JPS5588029A (en) Solid electrochromic element
KR20230030780A (ko) 텅스텐산화막을 이용한 전기변색미러 및 이를 포함하는 광모듈레이터
KR20170123975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