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28B1 -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28B1
KR102160628B1 KR1020180142295A KR20180142295A KR102160628B1 KR 102160628 B1 KR102160628 B1 KR 102160628B1 KR 1020180142295 A KR1020180142295 A KR 1020180142295A KR 20180142295 A KR20180142295 A KR 20180142295A KR 102160628 B1 KR102160628 B1 KR 10216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tower
base
repowering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954A (ko
Inventor
정연주
박민수
김정수
송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02D27/425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사용수명이 경과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시, 부분적 리파워링(Partial Repowering)을 위해 기존의 기초부를 재활용함에 따라 터빈과 타워부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손상에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손상에 강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하여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리파워링되는 풍력발전기의 전체적인 안전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IND TURBINE STRUCTURE FOR RETROFITTING SPREAD FOOTING IN PARTIAL REPOWERING ,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풍력발전 구조물의 리파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Repowering) 공사에 있어서, 부분적 리파워링(Partial Repowering)을 위해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는 발전기의 회전축에 블레이드(또는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블레이드, 변속장치 및 발전기로 구성되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이때 발생한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파일 기초 및 타워를 구비한 풍력발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모노파일 기초 및 타워를 구비한 풍력발전기는, 크게 기초부(Foundation) 및 지지 구조물(Support Structure)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모노파일 기초(20), 타워(30), 나셀(Nacelle: 40) 및 블레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나셀(40)에는 피치 시스템, 허브(Hub), 메인 축(Main Shaft), 기어 박스(Gear Box), 고속축(High Speed Shaft), 발전기 및 요(Yaw) 시스템 등이 구비된다.
모노파일 기초(20)는 지반(10)에 매입되고, 상기 모노파일 기초(20) 상에 타워(30)가 매입되거나 앵커로드로 체결된다.
타워(30)는 풍력발전기에서 목표하고 원하는 전력을 얻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에 풍력발전이 가능한 나셀(40)을 위치시킨다.
블레이드(50)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고, 변속장치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메인 축을 통해서 기어 박스에 전달되고,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임으로써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장치이고, 발전기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그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하기 때문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설치되는 환경조건에 따라 육상용(onshore)과 해상용(offshore)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육상용 풍력발전기의 기초부는 세계적으로 확대기초(Spread Footing) 형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확대기초는 타워부와 기초부가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타워매입형(Tower Imbedded) 확대기초와 앵커로드(Anchor Rod)형 확대기초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풍력발전 구조물의 기초부 형식 중에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측면도이고, 도 2의 b)는 평면도이며, 또한, 도 3은 풍력발전 구조물의 기초부 형식 중에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는 기초부 매입 형식의 확대기초로서, 타워(30)의 일부가 기초부(20)에 매입되어 보호 콘크리트(60)로 보호되는 형식으로, 타워(30) 하단부가 기초부(20)에 매입되어, 타워(30)의 전도 저항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는 터빈하중에 의한 타워(30)의 진동이 기초부(2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진동하중에 의한 기초부(20)의 피로저항성이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는 타워(30) 하단부의 페데스탈과 기초부(20)가 앵커로드(7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타워(3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 앵커로드(70)의 긴장력이 확실히 보장되어야 하며, 또한, 타워(30) 하단부가 기초부(20) 상단면에 거치되어 시공이 간편한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최근 초창기 육상용 풍력발전기의 터빈 사용수명이 한계수명인 20년이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수명이 경과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려는 리파워링(Repowering)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리파워링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8-71131호에는 "풍력발전 타워의 보강 및 증고를 위한 구조 보강체 및 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풍력발전 타워의 보강 및 증고를 위한 구조 보강체 및 시공방법의 경우, 사용수명에 가까운 풍력발전설비를 재사용하여 높이를 증가시키면서 대용량 터빈을 설치하여 풍력발전기의 발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부보강타워를 설치하여 풍력발전 타워의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하부에 발생되는 수직 사하중 및 추력에 의한 전단력 및 휨모멘트를 견딜 수 있어 기존의 노후화된 설비를 재사용하면서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풍력발전 타워의 보강 및 증고를 위한 구조 보강체의 경우, 하부보강타워를 설치함으로 타워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고효율의 대용량 터빈을 설치하여 발전효율을 증가시키고, 타워의 높이 증가에 따른 수직 사하중 및 추력에 의한 전단력, 휨모멘트 및 좌굴하중에 견딜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파워링의 경우, 기초부를 포함하는 전체 풍력발전기를 신규 풍력발전기로 교체하기 보다는, 비용절감 측면에서 기초부는 기존 기초부를 재활용하면서 터빈과 타워만 신규 터빈과 타워로 교체하려는 부분적 리파워링(Partial Repower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적 리파워링의 경우, 전술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는 피로에 취약하여 피로성능에 보강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의 상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초부를 재활용하는 측면에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효율적으로 보강하는 공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8-71131호(공개일: 2018년 6월 27일), 발명의 명칭: "풍력발전 타워의 보강 및 증고를 위한 구조 보강체 및 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80537호(출원일: 2012년11월7일), 발명의 명칭: "풍력 터빈을 위한 기초부"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7-5824호(공개일: 2017년 1월 16일), 발명의 명칭: "풍력터빈의 선회 베어링 해체 및 들어올림 방법과 배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71201호(출원일: 2011년 12월 26일), 발명의 명칭: "강관말뚝 기초와 조립식 구조물을 사용한 해상풍력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수명이 경과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존의 기초부를 재활용함에 따라 터빈과 타워부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손상에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손상에 강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하여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리파워링되는 풍력발전기의 전체적인 안전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은,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Repowering)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에 있어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로서, 원형 강관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에서 절단된 노후 타워가 매입된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충진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원형 강관; 상기 기초부를 신규 기초부인 앵커로드형 확대기초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원형 강관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기초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긴장재; 상기 기초부를 상기 원형 강관에 전단연결하도록 상기 노후 타워 외측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 상기 전단연결재 내에 수직방향으로 매입 설치되는 앵커로드; 상기 기초부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노후 타워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긴장재; 및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이 완료된 기초부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 사이에 설치되는 신규 타워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부(120)는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되며, 상기 전단연결재는 상기 노후 타워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해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되고, 상기 앵커로드는 상기 기초부에 수직홀을 뚫어 기초부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로드를 상기 기초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은, 상기 수직 긴장재에 긴장력이 도입되면 상기 수직 긴장재를 고정하는 수직 긴장재 정착부; 및 상기 수평 긴장재에 긴장력이 도입되면 상기 수평 긴장재를 고정하는 수평 긴장재 정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직 긴장재와 상기 수평 긴장재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 강관은 상기 기초부에 매입된 노후 타워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를 굴착 제거한 상태에서 설치되며, 상기 충진 콘크리트는 상기 노후 타워 하단부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의 원형강관 사이에 타설되어 상기 원형 강관을 상기 노후 타워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수평 긴장재는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구성하는 원형 강관에 미리 형성된 수평홀을 통하여 다수 설치되는 다웰-바로서, 상기 노후 타워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시켜 일체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인 기초부에 매입된 노후 타워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를 굴착 제거하는 단계; b) 신규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원형 강관을 상기 노후 타워의 외측에 설치하는 단계; c) 기존 기초부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직 긴장재, 전단연결재 및 앵커로드를 설치하는 단계; d) 기존 기초부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평 긴장재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원형 강관 내에 충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 긴장재 및 수평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f)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된 기초부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에 신규 타워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에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기초부가 보강되며, 상기 a) 단계에서 노후 타워는 상기 원형 강관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에서 절단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후 타워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단연결재가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초부에 수직홀을 뚫어 기존 기초부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한 앵커로드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로드를 상기 기초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굴착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노후 타워 하단부와 상기 기초부 사이의 지반의 일부와 상기 노후 타워 하단부 외주면에 타설된 보호 콘크리트가 굴착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수직 긴장재와 상기 수평 긴장재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신규 타워를 상기 앵커로드 상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앵커로드를 긴장하여 상기 신규 타워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수명이 경과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존의 기초부를 재활용함에 따라 터빈과 타워부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에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손상에 강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하여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리파워링되는 풍력발전기의 전체적인 안전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파일 기초 및 타워를 구비한 풍력발전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풍력발전 구조물의 기초부 형식 중에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풍력발전 구조물의 기초부 형식 중에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보강 완료된 기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1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100)은,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로서, 기초부(120), 노후 타워(130), 원형 강관(150), 수직 긴장재(160), 전단연결재(170), 앵커로드(180), 수평 긴장재(190), 그라우트(Grout: 210), 수직 긴장재 정착부(220), 수평 긴장재 정착부(230), 충진 콘크리트(240) 및 신규 타워(250)를 포함한다.
기초부(120)는 노후 타워(130)가 매입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에서, 원형 강관(150), 수직 긴장재(160) 및 수평 긴장재(190)에 의해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의 경우, 소정 높이에서 절단된다. 여기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의 경우, 보호 콘크리트(140)가 타설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 콘크리트(140)는 굴착 제거된다. 즉, 굴착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상기 기초부(120) 사이의 지반(110)의 일부와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에 타설된 보호 콘크리트(140)를 굴착 제거한다.
원형 강관(150)은 상기 기초부(1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충진 콘크리트(240)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기초부(120)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140)를 굴착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원형 강관(150)이 설치된다. 이후, 상기 충진 콘크리트(240)는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의 원형강관(150) 사이에 타설되어 상기 원형 강관(150)을 상기 노후 타워(130)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수직 긴장재(160)는, 예를 들면, 앵커(Anchor)일 수 있고, 상기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인 앵커로드형 확대기초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원형 강관(150)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기초부(120)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단연결재(170)는 상기 기초부(120)를 상기 원형 강관(150)에 전단연결하도록 상기 노후 타워(130) 외측에 설치되고, 그라우트(210)가 주입된다. 즉, 상기 전단연결재(170)는 상기 노후 타워(130)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해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된다.
앵커로드(180)는 상기 전단연결재(170) 내에 수직방향으로 매입 설치되고,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이 완료된 기초부(120)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180)에 신규 타워(25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앵커로드(180)는 상기 기초부(120)에 수직홀을 뚫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210)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로드(180)를 상기 기초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 긴장재(190)는, 예를 들면, 다수의 다웰-바(Dowel Bar)일 수 있고, 상기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노후 타워(130)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긴장재(190)는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구성하는 원형 강관(150)에 미리 형성된 수평홀을 통하여 다수 설치되고,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체화된다.
수직 긴장재 정착부(220) 및 수평 긴장재 정착부(230)는 각각 상기 수직 긴장재(160) 및 수평 긴장재(190)에 긴장력을 도입한다. 즉, 상기 수직 긴장재(160)와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킬 수 있다.
신규 타워(250)는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이 완료된 기초부(120)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180) 사이에 설치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100)은, 풍력발전기의 사용수명이 경과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리파워링 공사에 있어서, 비용절감 측면에서 기존의 기초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손상에 대해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인 기존 기초부를 효율적으로 보강하여 풍력발전기의 구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이 이루어진 앵커로드형 확대기초인 신규 기초부는 신규 타워(250)와 연결되는 신규 기초부 상부의 콘크리트 단면적이 증대되어, 후속 설치될 신규 터빈의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손상에 대해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하여 기초부(120)를 보강함으로써, 부분적 리파워링되는 풍력발전기의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보다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보강 완료된 기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Repowering)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먼저,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인 기초부(120)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140)를 굴착 제거한다(S110). 이때,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의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강관(150)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에서 절단되며,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상기 기초부(120) 사이의 지반(110)의 일부와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에 타설된 보호 콘크리트(140)가 굴착 제거된다.
다음으로, 신규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원형 강관(150)을 상기 노후 타워(130)의 외측에 설치한다(S120). 구체적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후 타워(130)의 외곽으로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구성하는 원형강관(15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존 기초부(120)를 앵커로드형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직 긴장재(160), 전단연결재(170) 및 앵커로드(180)를 설치한다(S130). 구체적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120)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의 연결용 수직 긴장재(160), 예를 들면, 앵커(Anchor)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노후 타워(130)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단연결재(170)를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하고, 후술한 신규 타워(250)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로드(18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초부(120)에 수직홀을 뚫어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한 앵커로드(18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210)를 주입하여 앵커로드(180)를 상기 기초부(12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기존 기초부(120)를 앵커로드형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평 긴장재(190)를 설치한다(S140). 구체적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초부(120)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연결하는 수평 긴장재(190), 예를 들면, 다수의 다웰-바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때,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구성하는 원형 강관(150)에 미리 형성된 수평홀을 통하여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시켜 일체화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형 강관(150) 내에 충진 콘크리트(240)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 긴장재(160) 및 수평 긴장재(190)에 긴장력을 도입한다(S150). 구체적으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의 원형강관(150) 사이에 충진 콘크리트(240)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고, 또한, 상기 수직 긴장재(160)와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는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최종적으로 기초부(120)가 보강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된 신규 기초부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180)에 신규 타워(250)를 연결한다(S160). 구체적으로,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타워(250)를 상기 앵커로드(180) 상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앵커로드(180)를 긴장하여 상기 신규 타워(18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킨다. 이후, 상기 굴착부를 충진하여 풍력발전구조물의 부분적 리파워링을 완료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수명이 경과된 노후 터빈을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존의 기초부를 재활용함에 따라 터빈과 타워부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후 풍력발전기의 리파워링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상에 취약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를 손상에 강한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하여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리파워링되는 풍력발전기의 전체적인 안전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풍력발전 구조물
110: 지반 120: 기초부
130: 노후 타워(Old Tower) 140: 보호 콘크리트
150: 원형 강관(Cylinderical Steel Tube)
160: 수직 긴장재(Anchor) 170: 전단연결재(Shear Connector)
180: 앵커로드(Anchor Rod) 190: 수평 긴장재(Dowel Bar)
210: 그라우트(Grout) 220: 수직 긴장재 정착부
230: 수평 긴장재 정착부 240: 충진 콘크리트
250: 신규 타워(New Tower)

Claims (14)

  1.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Repowering)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에 있어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로서, 원형 강관(150)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에서 절단된 노후 타워(130)가 매입된 기초부(120);
    상기 기초부(1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충진 콘크리트(240)가 충진되는 원형 강관(150);
    상기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인 앵커로드형 확대기초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원형 강관(150)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기초부(120)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긴장재(160);
    상기 기초부(120)를 상기 원형 강관(150)에 전단연결하도록 상기 노후 타워(130) 외측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170);
    상기 전단연결재(170) 내에 수직방향으로 매입 설치되는 앵커로드(180);
    상기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노후 타워(130)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긴장재(190); 및
    상기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이 완료된 기초부(120)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180) 사이에 설치되는 신규 타워(250)를 포함하되, 상기 기초부(120)는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보강되며,
    상기 전단연결재(170)는 상기 노후 타워(130)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해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되고,
    상기 앵커로드(180)는 상기 기초부(120)에 수직홀을 뚫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210)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로드(180)를 상기 기초부(1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긴장재(160)에 긴장력이 도입되면 상기 수직 긴장재(160)를 고정하는 수직 긴장재 정착부(220); 및 상기 수평 긴장재(190)에 긴장력이 도입되면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고정하는 수평 긴장재 정착부(2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직 긴장재(160)와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강관(150)은 상기 기초부(120)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140)를 굴착 제거한 상태에서 설치되며, 상기 충진 콘크리트(240)는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보강될 신규 기초부의 원형강관(150) 사이에 타설되어 상기 원형 강관(150)을 상기 노후 타워(130)에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긴장재(190)는 보강될 신규 기초부를 구성하는 원형 강관(150)에 미리 형성된 수평홀을 통하여 다수 설치되는 다웰-바(Dowel-Bar)로서,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시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7. 풍력발전기의 노후 터빈 교체를 위한 리파워링 공사시,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타워매입형 확대기초인 기초부(120)에 매입된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의 보호 콘크리트(140)를 굴착 제거하는 단계;
    b) 신규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원형 강관(150)을 상기 노후 타워(130)의 외측에 설치하는 단계;
    c) 기존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직 긴장재(160), 전단연결재(170) 및 앵커로드(180)를 설치하는 단계;
    d) 기존 기초부(120)를 신규 기초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평 긴장재(190)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원형 강관(150) 내에 충진 콘크리트(240)를 타설하고, 상기 수직 긴장재(160) 및 수평 긴장재(190)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f)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된 기초부 상에서 상기 앵커로드(180)에 신규 타워(250)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e) 단계에서 타워매입형 확대기초가 앵커로드형 확대기초로 전환되어 기초부(120)가 보강되며,
    상기 a) 단계에서 노후 타워(130)는 상기 원형 강관(150)의 높이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에서 절단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후 타워(130) 외주면에 신규 기초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단연결재(170)가 용접 또는 볼트로 부착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기초부(120)에 수직홀을 뚫어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의 결합을 위한 앵커로드(18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홀에 그라우트(210)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로드(180)를 상기 기초부(1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굴착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와 상기 기초부(120) 사이의 지반(110)의 일부와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 외주면에 타설된 보호 콘크리트(140)가 굴착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수평 긴장재(190)는 상기 원형 강관(150)에 미리 형성된 수평홀을 통하여 다수 설치되는 다웰-바(Dowel-Bar)로서, 상기 노후 타워(130) 하단부에 용접 고정시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수직 긴장재(160)와 상기 수평 긴장재(190)를 각각 긴장하여 보강될 신규 기초부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기존 기초부(12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신규 타워(250)를 상기 앵커로드(180) 상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앵커로드(180)를 긴장하여 상기 신규 타워(180)와 신규 기초부를 일체화 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80142295A 2018-11-19 2018-11-19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6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95A KR102160628B1 (ko) 2018-11-19 2018-11-19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295A KR102160628B1 (ko) 2018-11-19 2018-11-19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54A KR20200057954A (ko) 2020-05-27
KR102160628B1 true KR102160628B1 (ko) 2020-09-29

Family

ID=7091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295A KR102160628B1 (ko) 2018-11-19 2018-11-19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94337B2 (es) 2020-08-07 2022-08-19 Hws Concrete Towers S L Procedimiento de extension de cimientos en parques eolicos
EP4323642A1 (en) * 2021-04-12 2024-02-21 RWE Renewables Europe & Australia GmbH Retrofit for existing wind turbine foundations, retrofitted wind turbine foundation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wind turbine found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8935A1 (en) * 2000-09-27 2004-05-27 Henderson Allan P. Perimeter weighted foundation for wind turbines and the like
JP2017133248A (ja) * 2016-01-28 2017-08-03 三井造船株式会社 塔状構造物の基礎構造
US20170233975A1 (en) * 2014-10-07 2017-08-17 Allan P. Henderson Retrofit reinforcing structure addition and method for wind turbine concrete gravity spread foundations and the like
CN107100192A (zh) * 2017-06-19 2017-08-29 湖南科技大学 一种风力发电机组基础环局部加固装置及加固方法
CN108643221A (zh) * 2018-07-27 2018-10-1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海上风电装配式承台基础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5947A1 (de) 2011-11-08 2013-05-08 Wobben Properties Gmbh Turmfußsektion einer Windenergieanlage
KR101171201B1 (ko) 2011-12-26 2012-08-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강관말뚝 기초와 조립식 구조물을 사용한 해상풍력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U2015254843B2 (en) 2014-04-30 2019-10-03 Windcare India Pvt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moving and lifting a slewing ring bearing of a wind turb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8935A1 (en) * 2000-09-27 2004-05-27 Henderson Allan P. Perimeter weighted foundation for wind turbines and the like
US20170233975A1 (en) * 2014-10-07 2017-08-17 Allan P. Henderson Retrofit reinforcing structure addition and method for wind turbine concrete gravity spread foundations and the like
JP2017133248A (ja) * 2016-01-28 2017-08-03 三井造船株式会社 塔状構造物の基礎構造
CN107100192A (zh) * 2017-06-19 2017-08-29 湖南科技大学 一种风力发电机组基础环局部加固装置及加固方法
CN108643221A (zh) * 2018-07-27 2018-10-1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海上风电装配式承台基础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954A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0192B (zh) 一种风力发电机组基础环局部加固装置及加固方法
AU2017219230B2 (en) Foundation for a wind mill
US9435096B2 (en) Underwater support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EP17419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wind turbine at an offshore location
KR101171201B1 (ko) 강관말뚝 기초와 조립식 구조물을 사용한 해상풍력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318111B1 (ko) 파력 저감형 다열 파일 하이브리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205960B1 (ko) 풍력터빈의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한 기초부 구조물의 타워 연결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95490B1 (ko) 지지구조물용 기초부 시공방법
KR102160628B1 (ko) 부분적 리파워링을 위해 기초부를 보강한 풍력발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60265514A1 (en) Support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ing and constructing a support device
TWI807091B (zh) 樁基礎及樁基礎之施工方法
EP4039969A1 (en) Support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JP6786419B2 (ja) 風力発電機の構築方法、及び風力発電機の構築構造
JP2018021322A (ja) 杭基礎および鉄塔建替工法
KR101656694B1 (ko) 회전두부정착장치를 이용한 해상풍력기초부 시공방법
EP3103924A1 (en) Monopile foundation for an offshore tower structure
CN111594390A (zh) 将塔架连接到基座的方法
US20210214909A1 (en) Pile foundation
GB2505192A (en) A pile sleeve connection for a monopole foundation
JP2019100070A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0395407U (zh) 一种锚杆重力式海上风电基础
KR101656691B1 (ko) 힌지두부정착장치를 이용한 해상풍력기초부 시공방법
KR20230105487A (ko) 풍력발전기 기초부 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3165680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wind turbine to upgrade an existing wind farm and wind turbine obtained
KR20140140440A (ko) 하이브리드 지지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