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57B1 -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57B1
KR102159757B1 KR1020200040809A KR20200040809A KR102159757B1 KR 102159757 B1 KR102159757 B1 KR 102159757B1 KR 1020200040809 A KR1020200040809 A KR 1020200040809A KR 20200040809 A KR20200040809 A KR 20200040809A KR 102159757 B1 KR102159757 B1 KR 10215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circular frame
guide rod
crush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욱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이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욱 filed Critical 이창욱
Priority to KR102020004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이물질을 분쇄하여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쇄작업의 진행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강한 추진력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호스와, 바이트가 돌출된 원형테를 구비하고 원형테의 중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몸체의 전방에서 회전하는 파쇄용 회전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결합되어 고압수의 압력을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발생수단과, 상기 회전력발생수단을 경유한 고압수가 후방을 향해 배출되어 몸체에 전방을 향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고압수배출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LIEN-MATERIAL 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내부에 적체되는 슬러지, 고형물, 식물의 뿌리 등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파쇄용 회전체에 의해 제거하여 하수관의 내부를 청소하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은 크기 및 재질이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된 오폐수가 흘러내려가는 부분으로서, 각종 중량체, 토사 등이 적층되거나, 나무뿌리, 폐자재 등 이물질이 걸리거나 적체됨으로써 토사가 퇴적되고 배수를 불량하게 한다.
도 1은 공개특허 제10-2011-0029778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종래 하수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하수관 이물질 제거장치는 본체(1)와,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퇴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2), 및 본체(1)를 이동시키는 바퀴(5)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부(2)는 회전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된 커터날(3)을 포함하고, 모터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추진력과 분쇄부(2)의 회전력으로 상하수관 내의 퇴적물을 분쇄한다.
후방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4)이 연결설치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조에서는 단단한 퇴적물을 모터의 회전력으로 분쇄하므로, 출력이 충분하지 않고 분쇄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도 2는 다른 구조의 종래 하수관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공개특허 제10-2011-0029778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분쇄부(6)와, 고압수가 분출되는 노즐부(7)와, 몸체부(1) 및 동력공급부(4)를 포함한다.
분쇄부(6)는 다이아몬드 코팅된 체인으로서, 노즐부(7)의 회전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하수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동력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는 다수의 노즐공(7a)을 통해 분출되면서 노즐부(7)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에 의해 분쇄부(6)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이물질 제거장치들의 구성을 살펴볼 때, 하수관이 단단한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경우, 분쇄부(2,6)가 강한 추진력을 받아 이물질을 강한 밀착력으로 밀어붙이면서 분쇄작용이 이루어져야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종래의 하수관 이물질 제거장치의 경우,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는 강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1과 같이 원반 또는 원형테 형태의 분쇄부를 가진 경우, 이물질을 바이트가 분쇄한 후, 후방으로 신속히 배출되지 못함으로 인해, 전방에 쌓인 분쇄된 이물질을 계속 밀고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의 단단한 이물질을 분쇄하여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쇄작업의 진행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강한 추진력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단부에 위치한 바이트가 분쇄한 이물질을 바이트의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하여, 전방에 쌓인 분쇄된 이물질을 계속 밀면서 이동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분쇄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호스와, 전방으로 바이트가 돌출된 원형테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테의 중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 회전하는 파쇄용 회전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고압수의 압력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발생수단과, 상기 회전력발생수단을 경유한 고압수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에 전방을 향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고압수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가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하수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관체접촉장치가 설치되되, 각 상기 관체접촉장치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봉체와, 상기 가이드봉체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봉체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봉체에 고정된 상태인 롤러설치대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설치대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에서 각각의 접촉부가 상기 가이드봉체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관체접촉장치결합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쇄용 회전체가, 상기 원형테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원형테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상기 원형테와 상기 허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림과, 상기 복수의 림의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하수관의 내부의 하수 및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창과, 상기 유동창에 설치되어 전방의 하수 및 이물질을 강제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동창의 둘레면에 외면 둘레가 밀착하도록 고리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리형상의 내면 둘레 중, 상기 허브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양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이 상기 허브의 회전시 전방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강제이송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이물질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형테의 둘레에 하수관에 침범한 식물의 잔뿌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홈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절단홈은, 상기 원형테의 전면과 외주면이 만나는 원형의 전단모서리가 패일 수 있도록 상기 원형테의 전면과 외주면에 걸쳐, 삼각형 형상의 제1면과 제2면에 의해 V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V자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모두 상기 원형테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관체접촉장치의 상기 가이드봉체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상기 파쇄용 회전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파쇄용 회전체와 동심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롤러가 모두 상기 가이드봉체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롤러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봉체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보다 크면서, 상기 파쇄용 회전체와 동심을 이루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고압수공급호스가 연결되고, 고압수의 압력이 회전력발생수단을 통해 회전력으로 전환된 후, 고압수가 몸체의 후단부에서 고압수배출공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어 몸체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쇄용 회전체의 회전력에 더해 이물질을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고압수의 후방배출로 인해 더해짐으로써, 하수관의 단단한 이물질을 분쇄하여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쇄작업의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하수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관체접촉장치가 설치되고, 관체접촉장치에 가이드봉체가 설치됨으로써, 관체접촉장치의 롤러가 장애물을 만나 외력에 의해 눌려지는 상황에서도 롤러를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파쇄용 회전체의 림 사이의 공간인 유동창에 전방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강제이송하는 이물질이송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바이트가 분쇄한 이물질을 바이트의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하여, 전방에 쌓인 분쇄된 이물질을 계속 밀고 나가는 문제를 방지하고 분쇄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원형테의 둘레에 하수관에 침범한 식물의 잔뿌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홈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그 절단홈이 삼각형 형상의 제1면과 제2면에 의해 V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모두 원형테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V자형상의 절단홈에 끼이는 잔뿌리를 회전하는 원형테가 잡아챔으로써 순간적으로 절단시키는 작용이 보다 원활할 수 있으므로, 하수관을 침범한 유연한 잔뿌리가 회전하는 바이트를 타고 넘어 제거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구성의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단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몸체로부터 관체접촉장치를 분해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이물질이송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이물질이송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파쇄용 회전체의 절단홈이 하수관을 침범한 식물뿌리를 절단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에서 파쇄용 회전체의 절단홈의 구조를 보다 확대하여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호스(20)와, 전방으로 바이트(31a)가 돌출된 원형테(31)를 구비하고 원형테(31)의 중심부에 회전축(32)이 결합되어 몸체(10)의 전방에서 회전하는 파쇄용 회전체(3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고 회전축(32)이 결합되어 고압수의 압력을 회전축(32)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발생수단(40)과, 상기 회전력발생수단(40)을 경유한 고압수가 몸체(10)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0)에 전방을 향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고압수배출공(51)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원통형으로서 후단에 고압수공급호스(20)가 연결되고 전단에 파쇄용 회전체(30)가 회전축(32)에 의해 연결되며, 내부에는 회전력발생수단(40)이 구비된다.
몸체(10)의 둘레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몸체(10)에 결합되고 하수관(8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관체접촉장치(60)가 설치된다. 관체접촉장치(60)는 몸체(10)를 하수관(8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몸체(10)의 착지다리의 역할을 한다.
관체접촉장치(60)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4~8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6개가 설치되며, 하수관(80)의 내면에 접촉하여 몸체(10)를 지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각 상기 관체접촉장치(60)는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봉체(61)와, 상기 가이드봉체(61)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10)와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64)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봉체(61)의 하측에서 가이드봉체(61)에 고정된 상태인 롤러설치대(62)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설치대(62)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몸체(10)를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에서 각각의 접촉부(63a)가 가이드봉체(61)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6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봉체(61)의 양 단부(61a,61b)는 진행시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몸체(10)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휘어 있는 형상이고, 외력에 의해 롤러(63)가 과대하게 압축시 가이드봉체(61)가 하수관(80)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미끄럼 마찰이동을 한다.
이를 위해, 롤러(63)의 외주 둘레인 접촉부(63a)가 가이드봉체(61)의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고, 그 돌출량이 작으므로 그 돌출된 접촉부(63a)가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가이드봉체(61)가 하수관(8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몸체(10)의 주행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봉체(61)의 설치는 장애물이나 턱이 많이 존재할 수 있는 하수관(80) 내에서 롤러(63)가 과도한 힘을 받아 압축되고 손상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고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체(61)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파쇄용 회전체(30)의 직경보다 크고 파쇄용 회전체(30)와 동심을 이루고 있으며, 몸체(10)와도 동심을 이룬다.
또한, 롤러(63)가 모두 가이드봉체(61)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됨으로써 몸체(10)의 전체 둘레에서 롤러(63)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가이드봉체(61)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보다 크면서, 파쇄용 회전체(30)와 동심을 이루며, 몸체(10)와도 또한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64)는 관체접촉장치(60)가 몸체(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관체접촉장치결합부재(70)와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관체접촉장치결합부재(7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인 몸체(1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기워져 몸체(10)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 둘레를 따라 관체접촉장치(60)의 설치개수만큼 결합돌기(74)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64)의 볼트공(64a)에 상기 결합돌기(74)의 볼트공(74a)을 일치시켜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관체접촉장치(60)가 몸체(10)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설치대(62)는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봉체(61)의 하측에서 가이드봉체(61)에 고정된 상태이다. 즉, 가이드봉체(61)의 하측에서 가이드봉체(61)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롤러(63)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소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복수의 롤러(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0)를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에서 각각의 접촉부(63a)가 가이드봉체(61)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압수공급호스(20)는 몸체(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고압수를 몸체(10)의 내부로 공급하고 있고, 몸체(10)의 진행에 따라 고압수공급호스(20)가 계속 하수관(80) 내로 공급됨으로써 몸체(10)의 진행을 보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0)의 내부에서 고압수공급호스(20)와 연결된 공급유로(44)가 형성되어 고압수가 회전력발생수단(40)이 설치된 동력전환실(43)까지 공급된다.
동력전환실(43)에서 고압수는 회전력발생수단(40)으로 설치된 임펠러를 회전구동시킨 후, 배수로(52)를 통해 후방으로 다시 배출된다.
동력전환실(43)에서 고압수와 임펠러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은 회전축(32)을 회전시키고 회전축(32)에 결합된 파쇄용 회전체(30)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파쇄용 회전체(30)는, 전방으로 바이트(31a)가 돌출된 원형테(31)를 구비하고 원형테(31)의 중심부에 회전축(32)이 결합되어 몸체(10)의 전방에서 회전하면서, 나뭇가지, 고형물 등 이물질을 분쇄 또는 파쇄한다. 회전축(32)는 몸체(10) 내부의 베어링(42)에 의해 지지된다.
파쇄용 회전체(30)에는 원형테(31)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회전축(32)이 결합되는 허브(37)와, 상기 원형테(31)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원형테(31)와 허브(37)를 연결하는 복수의 림(33)과, 상기 복수의 림(33)의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하수관(80) 내부의 하수 및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창(34)를 포함한다.
원형테(31)의 전면에는 파쇄용 바이트(31a)가 다수개 결합되어 몸체(10)의 진행 및 파쇄용 회전체(30)의 회전 시, 이물질과 접촉 및 가압됨으로써 이물질을 파쇄하는 작용을 한다.
원형테(31)의 중심부에 허브(37)가 설치되고 허브(37)와 원형테(31)를 바퀴의 형태와 같이 복수의 림(33)이 둘레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서로 결합시키고 있다.
복수의 림(33) 사이사이에는 비어있는 공간인 유동창(34)이 형성되어 파쇄용 회전체(3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음과 함께, 파쇄용 회전체(30)가 파쇄한 이물질이 후방으로 넘어갈 수 있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작용를 위해, 이물질이송부재(35)를 설치하되, 모든 유동창(34)에 각각 설치하거나, 회전대칭이 되도록 복수의 일부 유동창(3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이물질이송부재(35)는, 전방의 하수 및 이물질을 강제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유동창(34)의 둘레면에 외면 둘레가 밀착하도록 고리형상을 이루고, 관통창(35c)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내면 둘레 중, 허브(37)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양 측면에 경사면(35a,35b)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5a,35b)은 허브(37)의 회전시 전방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강제이송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파쇄용 회전체(30)가 회전시 경사면(35a,35b)이 이물질을 밀 때, 경사면(35a,35b)이 이물질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경사방향을 설정한 것으로서, 회전방향에 대하여 도 6과 같이 기울어진 경사면(35a,35b)을 이룬다.
이에 따라, 파쇄용 회전체(30)가 회전 시 도 7과 같이 이물질이송부재(35)의 경사면(35a,35b)이 분쇄 또는 파쇄되어 하수와 섞인 이물질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분쇄 또는 파쇄된 전방의 이물질을 파쇄용 회전체(30)가 계속 밀고 나가야 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이송부재(35)는 양 측면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35d)가 양측의 림(33)에 설치된 끼움홈(33a)에 끼움으로써 유동창(3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33a)은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이송부재(35)의 돌기(35d)가 끼움 된 상태에서 작동시, 전방의 이물질에 의해 이물질이송부재(35)가 후방으로 밀려나 빠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압수배출공(51)은 회전력발생수단(40)을 경유한 고압수가 몸체(10)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0)에 전방을 향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즉, 몸체(10)의 후단면에서 중심의 둘레에 복수의 고압수배출공(51)이 형성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는 고압수를 분사하면, 반력에 의해 몸체(10)는 전방으로 진행하는 추진력을 받을 수 있다.
동력전환실(43)에서 회전력발생수단(40)인 임펠러를 통과한 고압수가 동력전환실(43)의 전단부에 연결된 별도의 배수로(52)를 통해 고압수배출공(5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몸체(10)의 후단에 고압수배출공(51)을 설치하고, 공급되는 고압수를 후방으로 분사함에 의해, 몸체(10)가 높은 추진력을 받을 수 있으며, 몸체(10)의 추진력에 의해, 파쇄용 회전체(30)의 회전력에 더해 이물질을 파쇄용 회전체(30)가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더해짐으로써, 하수관(80)의 단단한 이물질을 분쇄 또는 파쇄하여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쇄 또는 파쇄작업의 진행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파쇄용 회전체(30)에서 원형테(31)의 둘레에는 하수관(80)에 침범한 식물의 잔뿌리(81)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홈(38)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통상, 종래의 파쇄용 회전체(30)도 식물의 잔뿌리(81)를 제거할 수 있으나, 잔뿌리(81)가 유연하고 얇은 굵기인 경우, 원반형태의 파쇄용 회전체(30)가 회전 시 바이트(31a)가 잔뿌리(81)에 접촉하더라도, 잔뿌리(81)를 절단하지 못하고 유연한 잔뿌리(81)가 바이트(31a)를 타고 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파쇄용 회전체(30)가 통과한 후에도 하수관(80)에 식물의 잔뿌리(81)가 남아 이물질의 걸림을 촉진하고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반형태의 본 실시예의 파쇄용 회전체(30)에서 유연성 있는 식물의 잔뿌리(81)의 절단이 보다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절단홈(38)은, 원형테(31)의 전면과 외주면이 만나는 원형의 전단모서리(39)가 패일 수 있도록 원형테(31)의 전면과 외주면에 걸쳐, 삼각형 형상의 제1면(38a)과 제2면(38b)에 의해 V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V자형상을 형성하는 제1면(38a)과 제2면(38b)은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모두 상기 원형테(3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면(38a)이 제2면(38b)보다 크게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서 V자형상을 이룬다.
이에 따라, 파쇄용 회전체(30)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바이트(31a)를 식물의 유연한 잔뿌리(81)가 타고 넘은 상황에서도 원형테(31)의 전단모서리(39)에 식물의 잔뿌리(81)가 접촉하여 절단홈(38)에 진입하게 되고, 진입한 후에는 V자형상의 골(38c)에 끼임으로서 절단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그러한 작용이 보다 원활히 발생하도록, V자형상을 형성하는 제1면(38a)과 제2면(38b)은 도 9의 확대된 그림에서와 같이,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원형테(31)가 회전하는 방향 측으로 모두 경사(α1,α2)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V자형상에 끼이는 잔뿌리(81)를 회전하는 원형테(31)가 잡아챔으로써 순간적으로 절단시키는 작용이 보다 원활할 수 있다. 제1면(38a)과 제2면(38b)의 표면을 줄가공 등으로 미세한 요철로 거칠게 형성시키는 경우, 잡아채는 잔뿌리(81)와의 마찰을 증가시켜 절단시키는 작용이 더 원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몸체 20; 고압수공급호스
30; 파쇄용 회전체 31; 원형테
31a; 바이트 32; 회전축
33; 림 33a; 끼움홈
34; 유동창 35; 이물질이송부재
35a,35b; 경사면 35d; 돌기
37; 허브 38; 절단홈
38a; 제1면 38b; 제2면
38c; V자형상의 골 39; 전단모서리
40; 회전력발생수단 43; 동력전환실
44; 공급유로 51; 고압수배출공
52; 배수로 60; 관체접촉장치
61; 가이드봉체 61a,61b; 가이드봉체의 양 단부
62; 롤러설치대 63; 롤러
63a; 접촉부 64; 고정구
64a; 고정구의 볼트공 70; 관체접촉장치결합부재
74; 결합돌기 74a; 결합돌기의 볼트공
80; 하수관 81; 잔뿌리

Claims (5)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호스(20)와, 전방으로 바이트(31a)가 돌출된 원형테(31)를 구비하고 상기 원형테(31)의 중심부에 회전축(32)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전방에서 회전하는 파쇄용 회전체(30)와, 상기 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32)이 결합되어 상기 고압수의 압력을 상기 회전축(32)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력발생수단(40)과, 상기 회전력발생수단(40)을 경유한 고압수가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체(10)에 전방을 향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고압수배출공(51)을 포함하되,
    상기 파쇄용 회전체(30)는,
    상기 원형테(31)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2)이 결합되는 허브(37)와,
    상기 원형테(31)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상기 원형테(31)와 상기 허브(37)를 연결하는 복수의 림(33)과,
    상기 복수의 림(33)의 사이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하수관(80)의 내부의 하수 및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창(34)과,
    상기 유동창(34)에 설치되어 전방의 하수 및 이물질을 강제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동창(34)의 둘레면에 외면 둘레가 밀착하도록 고리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리형상의 내면 둘레 중, 상기 허브(37)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의 양 측면에 경사면(35a,35b)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5a,35b)이 상기 허브(37)의 회전시 전방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강제이송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이물질이송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상기 몸체(10)에 결합되고 하수관(8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관체접촉장치(60)가 설치되되,
    각 상기 관체접촉장치(60)는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봉체(61)와,
    상기 가이드봉체(61)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몸체(10)와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64)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봉체(61)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봉체(61)에 고정된 상태인 롤러설치대(62)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설치대(62)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몸체(10)를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에서 각각의 접촉부(63a)가 상기 가이드봉체(61)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63)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고정구(64)와 결합되는 결합돌기(74)가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관체접촉장치결합부재(7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테(31)의 둘레에는 하수관(80)에 침범한 식물의 잔뿌리(81)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홈(38)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절단홈(38)은,
    상기 원형테(31)의 전면과 외주면이 만나는 원형의 전단모서리(39)가 패일 수 있도록 상기 원형테(31)의 전면과 외주면에 걸쳐, 삼각형 형상의 제1면(38a)과 제2면(38b)에 의해 V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V자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제1면(38a)과 제2면(38b)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모두 상기 원형테(3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체접촉장치(60)의 상기 가이드봉체(61)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상기 파쇄용 회전체(3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파쇄용 회전체(30)와 동심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롤러(63)가 모두 상기 가이드봉체(61)보다 외측으로 균일하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롤러(63)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봉체(61) 전체가 이루는 형상의 외경보다 크면서, 상기 파쇄용 회전체(30)와 동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00040809A 2020-04-03 2020-04-03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5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09A KR102159757B1 (ko) 2020-04-03 2020-04-03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09A KR102159757B1 (ko) 2020-04-03 2020-04-03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57B1 true KR102159757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09A KR102159757B1 (ko) 2020-04-03 2020-04-03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7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411B1 (ko) * 1999-08-20 2002-08-01 이상영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쉬를 가지는 관 내부 청소장치
KR20060048277A (ko) * 2004-06-29 2006-05-18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2065939B1 (ko) * 2019-09-25 2020-01-14 노창근 수압에 의한 자동 회전식 노즐을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411B1 (ko) * 1999-08-20 2002-08-01 이상영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쉬를 가지는 관 내부 청소장치
KR20060048277A (ko) * 2004-06-29 2006-05-18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2065939B1 (ko) * 2019-09-25 2020-01-14 노창근 수압에 의한 자동 회전식 노즐을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97785A (zh) 排水管道的疏通清淤装置
US10316846B2 (en) Hybrid radial axial cutter
CN106193269A (zh) 一种下水道清淤设备
WO2022171152A1 (zh) 水体杂污治理装置
US20070161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pipe lining
KR100345411B1 (ko) 선단부에 슬러지 제거용 코어와 팬 브러쉬를 가지는 관 내부 청소장치
CA2161996C (en) Internal pipe cutter
CN113172051A (zh) 一种水利工程管道清障设备
KR102159757B1 (ko) 하수관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4472391B (zh) 隧道施工中泥浆管道用管道清渣装置
CN213358909U (zh) 用于地下污水管道的疏通装置
KR102141295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CN212597682U (zh) 一种市政工程用管道清淤装置
WO2007143853A1 (en) Shredder for organic sludges, fertilizers and the like
CN114797278B (zh) 一种工业水过滤处理装置
CN111705913A (zh) 一种基于筒状式管道清淤机器人行走及清淤机构装置
US6058547A (en) Device for removing objects from enclosed areas
CN110485522B (zh) 杂物撕碎机
CN212926433U (zh) 一种城市给排水用疏通装置
CN2058867U (zh) 组合式涡轮清管器
FI127001B (en) Rörrengöringsanordning
CN220277082U (zh) 一种水利工程用水下污物粉碎装置
CN219491253U (zh) 一种市政污水管网疏通装置
CN217711000U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
CN114849342B (zh) 一种高效除杂工业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