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90B1 -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90B1
KR102159490B1 KR1020180009868A KR20180009868A KR102159490B1 KR 102159490 B1 KR102159490 B1 KR 102159490B1 KR 1020180009868 A KR1020180009868 A KR 1020180009868A KR 20180009868 A KR20180009868 A KR 20180009868A KR 102159490 B1 KR102159490 B1 KR 10215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optical laminate
retardation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990A (ko
Inventor
문병준
이중훈
황성호
박문수
정재호
이남정
박지성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H01L51/5203
    • H01L51/529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두께가 얇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감 특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간단한 코팅 공정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상기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는 원편광판,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Optical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s thereof}
본 출원은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편광판에는 반사 방지를 위해 1/4 파장판(QWP, Quarter wave plate)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4 파장판은 2층 또는 3층으로 구성되며, 제 1 위상차층으로서 COP(Cyclo olefin polymer) 또는 역분산 PC(Polycarbonate) 필름에 +C 특성의 액정층을 코팅하는 방식이나 제로 위상차 필름에 λ/4 특성의 역분산 액정층을 코팅한 후 +C 특성의 액정층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로 위상차 필름에 λ/4 특성의 역분산 액정층을 코팅한 후 +C 특성의 액정층을 코팅하는 방식의 경우 3층으로 구성되어 두 번의 코팅 공정을 거처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며 코팅층이 두 층이라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36441호
본 출원은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적인 광학 적층체는 위상차 필름(101) 및 상기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액정층(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하기 수식 2 및 수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광축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의 합은 λ/4 위상지연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식 1]
nx > nz > ny
[수식 2]
nx > ny = nz
[수식 3]
Rin(450) < Rin (550)
수식 1 및 수식 2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x축 방향은 지상축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진상축 방향이고, z축은 두께 방향이다. 도 2는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100)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수식 3에서 Rin(450) 및 R(550)은 각각 450nm 및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이다.
본 명세서에서 지상축(slow axis)은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상에서 가장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는 방향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진상축(fast axis)은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의 면상에서 가장 낮은 굴절률을 나타내는 방향의 축을 의미하고, 상기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은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에서 x축 및 y축이 이루는 평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정의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정 화합물이 막대 형상인 경우 x축 방향은 막대 형상의 장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축 방향은 막대 형상의 단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축 방향은 상기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의 법선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이 디스크 형상인 경우 x축 방향은 디스크 형상의 원판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축 방향은 디스크 형상의 지름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z축 방향은, 상기 x축과 y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의 법선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상 위상차는 하기 수식 4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는 하기 수식 5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다.
[수식 4]
Rin = d × (nx - ny)
[수식 5]
Rth = d × (nz - ny)
수식 4 및 5에서 Rin은 면상 위상차이고, Rth는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d는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의 두께이며, nx, ny 및 nz는 각각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4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는 수식 4 및 수식 5에서 nx, ny 및 nz로서 4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적용되고,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는 수식 4 및 수식 5에서 nx, ny 및 nz로서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적용되며, 6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는 수식 4 및 수식 5에서 nx, ny 및 nz로서 6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적용된다.
수식 1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은 +B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상기 +B 플레이트는 양의 Rin 값 및 양의 Rth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10nm 내지 60nm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는 구체적으로 10nm 이상, 30nm 이상 또는 50nm 이상일 수 있고, 60n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면상 위상차 범위 내에서,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으로 인해 역분산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 값을 낮춰줄 수 있다. 따라서, 역분산 액정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는 20nm 내지 120n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는 구체적으로 20nm 이상, 40nm 이상 또는 50nm 이상일 수 있고, 120nm 이하, 100nm 이하, 80nm 이하 또는 70n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방향 위상차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를 원 편광판에 적용 시 정면뿐만 아니라 시야각에서 반사 특성 및 컬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60㎛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구체적으로 20㎛ 이상, 30㎛ 이상 또는 35㎛ 이상일 수 있고, 60㎛ 이하, 50㎛ 이하 또는 45㎛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범위 내에서, 위상차의 충분한 구현 및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위상차 필름은 하기 수식 6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식 6의 특성을 정분산성으로 호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광학 적층체는 액정층의 역분산성과 위상차 및 위상차 필름의 정분산성과 위상차의 다양한 조합으로 시감 등의 화질 튜닝에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층과 위상차 필름의 조합으로 위상차 값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Bluish해지고 전체 파장 분산에 따라 위상차 값이 커지는 경우에는 파장 분산성 값에 따라 Greenish 또는 Redish해지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다만, 반사 특성에 따라 시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경향은 특정한 반사율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수식 6]
R(450)>R(550)
수식 6에서 R(450) 및 R(550)는 각각 위상차 필름의 450nm 및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위상차 필름의 R(450)/R(550) 값은 1 초과일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R(450)/R(550) 값은 예를 들어 1.01 내지 1.19, 1.02 내지 1.18, 1.03 내지 1.17, 1.04 내지 1.16, 1.05 내지 1.15, 1.06 내지 1.14, 1.07 내지 1.13 또는 1.08 내지 1.12일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R(650)/R(550) 값은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R(650)/R(550) 값은 예를 들어 0.81 내지 0.99, 0.82 내지 0.98, 0.83 내지 0.97, 0.84 내지 0.96, 0.85 내지 0.95 또는 0.86 내지 0.94 정도일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고분자 연신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분자 연신 필름」은 고분자 필름을 연신한 필름을 의미할 수 있고, 「고분자 미연신 필름」은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미연신 상태의 고분자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연신에 의해 광학 이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광 투과성의 고분자 필름을 적절한 방식으로 연신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필름은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의 복굴절」은 폴리머를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켰을 경우에 그 연신 방향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 필름을 연신하는 경우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상축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종 방향(MD; Mechanical Direction, 기계적 흐름 방향) 또는 횡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 기계적 흐름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종 방향 또는 횡 방향과 소정 각도, 예를 들어,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광축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액정층의 광축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반사 방지 특성 및 시감 대칭성을 포함하는 시감 특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축은 입 사광이 해당 영역을 투과할 때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광축은 지상축을 의미할 수 있다.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고리나 카르보닐기 등의 분극 이방성이 큰 화학 결합이나 관능기가 곁사슬에 도입된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예를 들어, 50 중량% 초과로 포함한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 t-부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이거나 또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티렌계 수지란 스티렌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예를 들어, 50 중량% 초과로 포함한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란 그 구조 중에 스티렌 골격을 가지는 단량체를 의미할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스티렌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 스티렌, p-니트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p-카르복시 스티렌, p-페닐스티렌, 2,5-디클로로스티렌, p-t-부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이거나 또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수지는 예를 들면 말레이미드계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모 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에틸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 페닐) 말레이미드, N-(2-에틸 페닐) 말레이미드, N-(2-프로필페닐) 말레이미드, N-(2-이소프로필 페닐) 말레이미드, N-(2,6-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2,6-디프로필 페닐) 말레이미드, N-(2,6-디이소프로필페닐) 말레이미드, N-(2-메틸-6-에틸 페닐) 말레이미드, N-(2-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2,6-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2-브로모 페닐) 말레이미드, N-(2,6-디브로모페닐) 말레이미드, N-(2-비페닐) 말레이미드, N-(2-시아노페닐)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수지는 상기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이거나 또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또는 말레이미드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캐스트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음이온 중합 등의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위상차 필름은 주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 스티렌기를 포함하는 수지 및/또는 이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 스티렌기를 포함하는 수지로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MS), 스티렌-말레인산무수물(SMA), 스티렌-말레인산무수물-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차 필름은 치환 또는 비치환 스티렌기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N-치환 말레이미드, 락톤환, 글루탈이미드, 말레인산 무수물 등의 환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하기 제조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지를 압출한 원단(미연신 고분자 필름)을 일축 연신 또는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기재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는 별도의 기재 필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코팅 공정에 따른 내구성 저하 및 두께 증가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수식 2를 만족하는 액정층은 +A 플레이트로 호칭할 수 있다. 상기 +A 플레이트는 양의 Rin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의 합은 λ/4 위상지연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n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적어도 일부의 파장 범위 내에서, 입사 광을 그 입사 광의 파장의 n배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1/4 파장 위상 지연 특성은 입사된 선편광을 타원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고, 반대로 입사된 타원 편광 또는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는 특성일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의 합은 90nm 내지 160nm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면상 위상차의 합은, 90nm 이상, 100nm 이상, 105nm 이상, 110nm 이상, 115nm 이상, 120nm 이상, 125nm 이상 또는 130nm 이상일 수 있고, 160nm 이하, 150nm 이하 또는 145n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상기 광학 적층체를 원 편광판에 적용 시 정면뿐만 아니라 시야각에서 반사 특성 및 컬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정층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상기 면상 위상차의 합을 만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정층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80nm 내지 150nm 일 수 있다. 상기 면상 위상차는 구체적으로 80nm 이상일 수 있고, 150nm 이하, 130nm 이하, 110nm 이하 또는 90nm 이하일 수 있다.
액정층의 두께는 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구체적으로, 1㎛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10㎛ 이하, 8㎛ 이하, 6㎛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의 면상 위상차 값으로 인해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 값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액정층의 두께를 감소 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액정층은, 면상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과 면상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의 차이가 0.05 내지 0.2, 0.07 내지 0.2, 0.09 내지 0.2 또는 0.1 내지 0.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굴절률은, 550nm 또는 589nm의 파장의 광에 대하여 측정한 굴절률일 수 있다. 상기 굴절률의 차이는, 예를 들면, Axomatrix사의 Axoscan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액정층은 상기 수식 3을 만족할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을 역 분산성으로 호칭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역분산성을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역분산성을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은 액정 화합물을 단독으로 경화시켜 형성한 액정층(경화층)이 역분산성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의미하고, 이 때 역분산성은 상기 수식 3에 기술된 특성을 의미한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R(450)/R(550) 값이 0.99 이하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식 3의 R(450)/R(550)은, 0.6 내지 0.99의 범위 내일 수 있다. R(450)/R(550)은, 다른 예시에서 0.61 이상, 0.62 이상, 0.63 이상, 0.64 이상, 0.65 이상, 0.66 이상, 0.67 이상, 0.69 이상, 0.70 이상, 0.71 이상, 0.72 이상, 0.73 이상, 0.74 이상, 0.75 이상, 0.76 이상, 0.77 이상, 0.78 이상, 0.79 이상, 0.80 이상, 0.81 이상, 0.82 이상, 0.83 이상 또는 0.8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450)/R(550)은, 다른 예시에서 0.98 이하, 0.97 이하, 0.96 이하, 0.95 이하, 0.94 이하, 0.93 이하, 0.92 이하, 0.91 이하, 0.90 이하, 0.89 이하, 0.88 이하, 0.87 이하, 0.86 이하 또는 0.8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R(650)/R(450) 값이 1.0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650)/R(550)은, 1.00 내지 1.19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R(650)/R(550)은, 1.18 이하, 1.17 이하, 1.16 이하, 1.15 이하, 1.14 이하, 1.13 이하, 1.12 이하 또는 1.11 이하일 수 있다. 수식 1 R(650)/R(550)은, 다른 예시에서 1.01 이상, 1.02 이상, 1.03 이상, 1.04 이상, 1.05 이상, 1.06 이상, 1.07 이상, 1.08 이상 또는 1.0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450)/R(550) 및/또는 R(650)/R(550) 값을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서 역분산성을 가지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상기 범위의 R(450)/R(550) 및/또는 R(650)/R(550)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복굴절은, 주로 분자 공액(Molecular Conjugation) 구조, differential oscillator strength, 및 오더 파라미터(order parameter)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높은 복굴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주축 방향으로 큰 전자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장축 방향으로 고도로 공액화(highly conjugation)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역분산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축과 그에 수직하는 축간의 복굴절성을 조율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역파장 분산성을 가지도록 디자인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대부분 T 또는 H 형태의 분자 형상을 가지면서 주축(장축)은, 큰 위상차와 작은 분산값을 가지고, 그에 수직하는 축은 작은 위상차와 큰 분산값을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PCT-JP2015-083728, PCT-JP2015-085342, PCT-JP2016-050322, PCT-JP2016-050660, PCT-JP2016-050661, PCT-JP2016-050984 및 PCT-JP2016-050663 등에서 개시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에서 일부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역분산성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고, 본 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출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가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역분산성을 갖는 한 다양한 종류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 예를 들면, 메소겐(mesogen) 골격 등을 포함하고, 또한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들은 소위 RM(Reactive Mesogen)이라는 명칭으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되어 액정층 내에서 액정 고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와 같은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경화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수평 배향은, 중합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층의 광축이 중합층의 평면에 대하여 약 0도 내지 약 25도, 약 0도 내지 약 15도, 약 0도 내지 약 10도, 약 0도 내지 약 5도 또는 약 0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수평 배향된 상태로 액정층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합물은, 수평 배향 상태로 중합되어 액정층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평 배향」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의 광축이 액정층의 평면에 대하여 약 0도 내지 약 25도, 약 0도 내지 약 15도, 약 0도 내지 약 10도, 약 0도 내지 약 5도 또는 약 0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이고,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2개 내지 10개, 2개 내지 8개, 2개 내지 6개, 2개 내지 5개, 2개 내지 4개, 2개 내지 3개 또는 2개 또는 3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중합성 관능기가 동일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중합성 관능기가 서로 상이한 2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성 관능기는 예를 들어 알케닐기, 에폭시기, 카복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층(액정층) 내에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로 3관능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경화층(액정층)은,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액정 조성물의 경화층(액정층)에서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전환율, 즉 최초 모노머 상태에서 중합된 상태로 전환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비율은, 예를 들면, 50 중량% 내지 10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전환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60 내지 100 중량% 또는 약 70 내지 10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환율에서 경화층(액정층)은,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광학 적층체는 배향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은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배향막으로는 인접하는 액정층에 대하여 배향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향막은 수평 배향막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향막으로는, 예를 들어, 임프린팅(imprinting) 방식으로 형성된 배향막, 러빙 배향막과 같이 접촉식 배향막, 또는 광배향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예를 들면, 직선 편광의 조사 등과 같은 비접촉식 방식에 의해 배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광학 적층체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광학 적층체가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과 배향막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으로는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와 같은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제조 방법은 상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상기 수식 2 및 수식 3을 만족하는 액정층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의 합이 λ/4 위상지연특성을 갖도록 상기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상기 액정층을 코팅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상기 기술한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아크릴 수지 및 위상차 조절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은 아크릴 수지 및 위상차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위상차 조절제를 5wt% 내지 50wt%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조절제의 함량 범위 내에서, 위상차 필름에 목적하는 위상차를 부여하는데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조절제는 스티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기를 포함하는 위상차 조절제로는 상기 기술한 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사출 성형, 시트 성형,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압출 성형, 발포 성형, 캐스트 성형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압공 성형, 진공 성형 등의 2차 가공 성형법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압출 성형, 캐스트 성형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는 롤간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자유단 일축 연신 방법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연신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필름의 연신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위상차는 고분자 필름의 연신에 의한 두께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분자 필름의 연신 배율은 목적하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에 따라 적절한 두께 범위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필름의 연신은 상기 고분자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5℃ 내지 15℃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고분자 필름의 연신은 경사 연신 또는 일축 연신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의 연신의 방향은 고분자 필름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에 대해 0도 내지 10도 또는 40도 내지 50도를 이루도록 수행될 수 있다. 40도 내지 50도를 이루도록 연신하는 경우 후술하는 편광자와 롤투롤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0도 내지 10도를 이루도록 연신하는 경우 40도 내지 50도로 회전시켜 재단하여 후술하는 편광자와 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위상차 필름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은 예를 들면 고분자층에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막을 형성하고 러빙 처리하는 방식, 광배향성 화합물을 코팅하고, 직선 편광의 조사 등을 통하여 배향 처리하는 방식 또는 나노 임프린팅 방식 등과 같은 임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기 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및/또는 경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고분자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배향 방향을 갖도록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을 위상차 필름의 일면 또는 상기 배향막의 일면에 도포하고 상기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배향 방향을 갖도록 액정 조성물을 배향시킨 상태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들의 코팅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 코팅, 인쇄법, 잉크젯 코팅, 슬릿 노즐법, 바 코팅, 콤마 코팅, 스핀 코팅 또는 그라비어 코팅 등과 같은 공지의 코팅 방식을 통한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정 조성물의 경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이 개시될 수 있도록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이나 적절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적정 온도에서의 유지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가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상기 공정은 순차적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예를 들면, 고압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의 파장, 광도 또는 광량 등의 조건은 액정 조성물의 경화 내지 중합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정층을 위상차 필름 상에 코팅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상기 액정층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기 위한 별도의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액정층과 위상차 필름 사이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광학 적층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원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원 편광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예시적인 원 편광판은 편광자(103) 및 광학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액정층(102)이 위상차 필름(101)에 비해 편광자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가지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자이다.
편광자로는 흡수형 선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수형 편광자는 입사 광에 대하여 선택적 투과 및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예를 들어,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 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 편광자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 편광이고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이 상기 선편광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PVA 연신 필름 등과 같은 고분자 연신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한 편광자 또는 배향된 상태로 중합된 액정을 호스트로 하고, 상기 액정의 배향에 따라 배열된 이방성 염료를 게스트로 하는 게스트-호스트형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편광자로는 PVA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선편광자로는, 예를 들면, PVA(poly(vinyl alcohol)) 선편광자와 같은 통상의 선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선편광자는, 이색성 색소 또는 요오드가 흡착 및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및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복실산 화합물, 올레핀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불포화 술폰산 화합물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예시될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겔화도는, 일반적으로 약 85몰% 내지 약 100몰% 또는 98몰% 내지 100몰% 정도이다. 또한, 선편광자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일반적으로 약 1,000 내지 약 10,000 또는 약 1,500 내지 약 5,000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 내지 편광도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은 42.5% 내지 55%일 수 있고, 편광도는 65% 내지 99.9997% 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광축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약 30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예를 들어 35도 이상 또는 40도 이상일 수 있고, 또한 55도 이하 또는 5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의 광축은 상기 위상차 필름 및/또는 상기 액정층의 광축과 평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원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광학 적층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한, 기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광학 적층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적층되어 있는 추가적인 층(이하, 외곽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편광자(103)의 상부에 상기 외곽층(20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시이다.
외곽층의 종류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하드코팅층,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층 또는 액정 코팅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곽층으로 사용되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업계에서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원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상기 편광자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적층되어 있는 추가적인 층(이하, 하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위상차 필름(101)의 상부에 상기 하부층(20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5와 같은 경우에도 도 4와 같은 외곽층(201)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하부층(202)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편광자(103)의 외측에는 하드코팅층이나 저반사층 등의 외곽층이 존재할 수 있고, 편광자(103)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보호 필름이 존재할 수도 있다.
하부층의 종류로는, 리타데이션층이나, 상기 원편광판을 다른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 접착제층 또는 상기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 내지는 이형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원편광판에서 상기 편광자와 광학 적층체의 사이에는 별도의 층이 존재하거나 혹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편광자와 광학 적층체의 사이에 별도의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편광자와 광학 적층체의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상기 편광자와 위상차층을 접착하기 위한 층, 예를 들면, 점착제층, 접착제층 및/또는 프라이머층 등을 제외하고는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상기 편광자(103)와 광학 적층체의 액정층(102)의 사이에 별도의 층(중간층)(203)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상기 중간층으로는 전술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리타데이션층이 예시될 수 있다. 도 6의 구조에서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4의 구조의 외곽층(201) 및/또는 도 5의 구조의 하부층(202)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 및/또는 원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원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반사형 또는 반투과반사형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이거나, 유기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편광판의 배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지의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서 원편광판은, 외부 광의 반시 방지 및 시인성의 확보를 위하여 액정 패널의 원편광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원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장치에 상기 원편광판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유기발광장치는, 반사 전극, 투명 전극, 상기 반사 전극과 투명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고,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층 및 상기 원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반사 전극 또는 투명 전극의 외측에 존재하며, 편광자에 비하여 광학 적층체가 상기 반사 전극 또는 투명 전극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두께가 얇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감 특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간단한 코팅 공정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상기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는 원편광판,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광학 적층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의 모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출원의 원 편광판의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광학 적층체의 제조
아크릴 수지(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및 MA(methacrylate)의 중합체)에 스티렌계 위상차 조절제(Styrene 및 Maleic Anhydride의 중합체)를 25wt%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유리전이온도가 121℃이고, 두께가 60㎛인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분자 필름을 131℃에서 2.2 배율로 45도 방향으로 경사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40㎛ 이고, Rin(550) 값은 55nm 이고, Rth(550) 값은 60nm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을 도포하고 건조 후 러빙천으로 일 방향으로 러빙 처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배향막의 배향 방향(러빙 방향)은 위상차 필름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도록 하였다. 상기 배향막 상에 역분산 액정 조성물(DIC사의 UCL R17 Grade)을 도포하고, 약 80℃ 온도에서 2분 동안 건조 후 125mJ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5㎛이고, Rin(550) 값은 85nm 이며, Rth(550) 값은 0nm이며, Rin(450)/Rin(550) 값은 0.85 이다.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의 최종 두께는 45㎛ 이다.
실시예 2 원 편광판의 제조
실시예 1의 위상차 필름을 PVA계 편광자와, 롤투롤 공정에 의하여, 위상차 필름의 광축이 편광자의 광 흡수축과 45도를 이루도록 합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 상에 배향막 및 액정층을 순차로 형성하여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광학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필름의 연신 방향을 0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광학 적층체의 최종 두께는 45㎛이다.
실시예 4 원 편광판의 제조
실시예 3의 위상차 필름을 45도로 회전시켜 재단한 후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편광자의 광 흡수축이 45도를 이루도록 롤투롤 공정에 의하여 PVA계 편광자와 합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 상에 배향막 및 액정층을 순차로 형성하여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COP(Cyclo olefin polymer)필름 상에 +C (nz>nz=ny) 특성의 액정층을 바(Bar) 코팅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 및 경화함으로써 총 두께 50㎛의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역분산 PC(Polycarbonate) 필름 상에 +C 특성의 액정층을 바(Bar) 코팅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 및 경화함으로써 총 두께 50㎛의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로 위상차 필름 상에 역분산 QWP(Quarter wave plate) 액정층을 코팅한 후, 상기 QWP 액정층에 두께 5㎛의 +C 특성의 액정층을 바(Bar) 코팅함으로써 총 두께 60㎛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C 특성의 전사형 액정 필름을 제작한 후 점착제를 매개로 역분산 QWP 액정층에 적층하여 총 두께 85㎛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2의 원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배향막의 배향 방향을 위상차 필름의 연신 방향과 평행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의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액정층의 광축은 서로 직교한다.
비교예 6
실시예 2의 원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편광자의 광 흡수축이 평행을 이루도록 합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시감 평가
실시예 2, 4 및 비교예 5 및 6에 대하여 시감 평가 결과, 비교예 5 및 6과 같이 본 출원의 광축 관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파장에 따른 원 편광 상태가 바뀌어 반사율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시인성이 나빠진다. 또한, 시감 비대칭이 발생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색감도 달라졌다.
101: 위상차 필름 102: 액정층 100: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층
103: 편광자 201: 외곽층 202: 하부층 203: 중간층

Claims (20)

  1.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 및 상기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하기 수식 2 및 수식 3을 만족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과 상기 액정층의 광축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의 합은 λ/4 위상지연특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
    [수식 1]
    nx > nz > ny
    [수식 2]
    nx > ny = nz
    [수식 3]
    Rin(450) < Rin (550)
    수식 1 및 수식 2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x축 방향은 지상축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진상축 방향이고, z축은 두께 방향이며, 수식 3에서 Rin(450) 및 R(550)은 각각 450nm 및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는 10nm 내지 60nm인 광학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는 20nm 내지 120nm인 광학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의 합은 90nm 내지 160nm인 광학 적층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60㎛인 광학 적층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은 고분자 연신 필름인 광학 적층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은 기재로 기능하는 광학 적층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인 광학 적층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층의 두께는 1㎛ 내지 10㎛인 광학 적층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 사이에 배향막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과 배향막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2.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하기 수식 2 및 수식 3을 만족하는 액정층을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광축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과 액정층의 면상 위상차의 합이 λ/4 위상지연특성을 갖도록, 상기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상기 액정층을 코팅하는 제 1 항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수식 1]
    nx > nz > ny
    [수식 2]
    nx > ny = nz
    [수식 3]
    Rin(450) < Rin (550)
    수식 1 및 수식 2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x축 방향은 지상축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진상축 방향이고, z축은 두께 방향이며, 수식 3에서 Rin(450) 및 R(550)은 각각 450nm 및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이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은 아크릴 수지 및 위상차 조절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위상차 조절제는 스티렌기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은 위상차 조절제를 5 wt% 내지 50 wt%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고분자 필름의 연신은 고분자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5℃ 내지 15℃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고분자 필름의 연신의 방향은 고분자 필름의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에 대해 0도 내지 10도 또는 40도 내지 50도를 이루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액정층을 고분자 필름의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배향 방향을 갖도록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코팅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19. 편광자 및 제 1 항의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고, 편광자의 흡수축과 광학 적층체의 광축은 40도 내지 50도를 이루는 원 편광판.
  20. 반사 전극, 투명 전극, 상기 반사 전극과 투명 전극의 사이에 개재되고,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층 및 제 19 항의 원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원편광판이 상기 반사 전극 또는 투명 전극의 외측에 존재하며, 편광자에 비하여 광학 적층체가 상기 반사 전극 또는 투명 전극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80009868A 2018-01-26 2018-01-26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15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68A KR102159490B1 (ko) 2018-01-26 2018-01-26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68A KR102159490B1 (ko) 2018-01-26 2018-01-26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90A KR20190090990A (ko) 2019-08-05
KR102159490B1 true KR102159490B1 (ko) 2020-09-25

Family

ID=6761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68A KR102159490B1 (ko) 2018-01-26 2018-01-26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976B1 (ko) 2012-01-17 2015-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871B2 (ja) * 2005-10-20 2011-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101436441B1 (ko) 2013-07-23 2014-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150113886A (ko) * 2014-03-31 2015-10-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976B1 (ko) 2012-01-17 2015-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90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611B1 (ko) 역파장 분산 위상 지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9461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137438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および偏光フィルムの視野角改良方法
CN118068574A (zh) 光学系统
CN117706671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有机el显示装置
JP2008242467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および偏光フィルムの視野角改良方法
WO2019009255A1 (ja) 液晶フィルム、光学積層体、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5378521A (zh) 抗反射偏振片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JP7452436B2 (ja) 光学異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円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5723077B1 (ja) 位相差板、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6012134A (ja)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WO2018207798A1 (ja) 液晶表示装置
WO2004063779A1 (ja) 広帯域コレステリック液晶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円偏光板、直線偏光子、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244558B (en)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102028236B1 (ko) 위상차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140552B1 (ko)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90131575A (ko) 액정 표시 장치
CN105988245B (zh) 液晶面板和液晶显示装置
KR102159490B1 (ko) 광학 적층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632787B1 (ko) 광학 필름
WO2018061959A1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7385380B2 (ja) 位相差層およびハードコート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CN113767311A (zh) 偏光板和包含偏光板的光学显示装置
JPH0442202A (ja) 積層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並びに液晶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00050750A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