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14B1 -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 Google Patents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14B1
KR102159314B1 KR1020190147419A KR20190147419A KR102159314B1 KR 102159314 B1 KR102159314 B1 KR 102159314B1 KR 1020190147419 A KR1020190147419 A KR 1020190147419A KR 20190147419 A KR20190147419 A KR 20190147419A KR 102159314 B1 KR102159314 B1 KR 10215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icrophone
auricle
human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민
노승탁
Original Assignee
(주)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컴 filed Critical (주)바이컴
Priority to KR102019014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5Manufacture of mono- or stereophonic headphone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이어-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가 구비된 세트 본체를 귀걸이 부재가 구비된 회동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하나의 이어-마이크를 좌측 귀 또는 우측 귀에 호환하여 장착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를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좌측 귀에 맞는 양호한 피팅감이 우측 귀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프트 홀더 부재와 라이트 홀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양쪽 귀 각각에서의 착용감을 보다 더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right and left compatable ear-mic set device}
본 발명은 하나의 이어-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가 구비된 세트 본체를 귀걸이 부재가 구비된 회동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킴에 따라 하나의 이어-마이크를 좌측 귀 또는 우측 귀에 호환하여 장착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를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좌측 귀에 맞는 양호한 피팅감이 우측 귀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이어-마이크 세트는 이어폰 기능과 마이크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어-마이크 세트는 보통 좌측 귀에 전용으로 착용하는 타입이나 우측 귀에 전용으로 착용하는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진 제품(예: 핸즈프리 제품)도 시판된다.
여기서, 좌우 대칭형으로 이루어진 제품은 그 좌우 대칭형 제품을 사용자가 좌측 귀에 착용하면 좌측 착용형이 되는 것이고 그 좌우 대칭형 제품을 사용자가 우측 귀에 착용하면 우축 착용형이 되는 것이다.
그 결과, 현재 시판되고 있는 좌우 대칭형 제품으로서의 이어-마이크 세트는 착용감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좌측 귀에 맞는 양호한 피팅감이 우측 귀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이어-마이크 세트를 통해서도 좌측 귀에 맞는 양호한 피팅감이 우측 귀에서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는 이어폰과 마이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세트 본체(110); 인체의 귀에 삽입되도록 세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이어삽입 부재(120); 이어삽입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이어삽입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이어삽입 부재에 끼워지는 인-이어 캡(130); 마이크에 연결되도록 세트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세트 본체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마이크연결 부재(140); 인-이어 캡이 인체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입 주변에 자신이 위치할 수 있도록 마이크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마이크 부재(150); 마이크연결 부재에 대향하는 세트 본체의 측벽에 세트 본체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블록(160); 인-이어 캡이 인체의 귀(이하, '타겟 귀'라 함)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겟 귀에 걸쳐질 수 있도록 회동 블록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는 귀걸이 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일단부가 회동 블록과 마주하는 세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타단부가 세트 본체와 마주하는 회동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동 부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연결 부재로부터 마이크 부재를 향하는 연장선이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할 때, 귀걸이 부재(170)는 y축의 양의 방향에 대응하는 회동 블록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x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되고 연속적으로 y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된 후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인체의 좌측 귀에 인-이어 캡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세트 본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세트 본체의 일부 외표면과 회동 블록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세트 본체와 회동 블록에 연결됨에 따라 세트 본체와 회동 블록 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레프트 홀더 부재(210); 인체의 우측 귀에 인-이어 캡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세트 본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세트 본체의 일부 외표면과 회동 블록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세트 본체와 회동 블록에 연결됨에 따라 세트 본체와 회동 블록 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라이트 홀더 부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프트 홀더 부재와 라이트 홀더 부재는 자체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레프트 홀더 부재(210)는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를 구비하고,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는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좌측 귀에 걸쳐질 때 그 좌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좌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라이트 홀더 부재(220)는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를 구비하고,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는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우측 귀에 걸쳐질 때 그 우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우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가 구비된 세트 본체를 귀걸이 부재가 구비된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대략 18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쪽 귀에서의 양호한 착용감이 다른 한 쪽 귀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호환을 위해 별도의 구성 분리없이 이어삽입 부재와 마이크 부재가 구비된 세트 본체를 간편하게 회동시키기만 하면 좌우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레프트 홀더 부재와 라이트 홀더 부재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양쪽 귀 각각에서의 착용감을 보다 더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가 좌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다른 각도에서 인-이어 캡과 레프트 홀더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인-이어 캡, 레프트 홀더 부재, 회동 블록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가 우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인-이어 캡과 라이트 홀더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좌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의 이어-마이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우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의 이어-마이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가 좌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각도에서 인-이어 캡과 레프트 홀더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인-이어 캡, 레프트 홀더 부재, 회동 블록을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가 우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인-이어 캡과 라이트 홀더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는 세트 본체(110), 이어삽입 주재(120), 인-이어 캡(130), 마이크연결 부재(140), 마이크 부재(150), 회동 블록(160), 귀걸이 부재(170), 회동 부재(180), 레프트 홀더 부재(210), 라이트 홀더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트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이어삽입 부재(120)와 마이크 부재(1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7]에서의 회동 블록(160)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동 블록(160)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하ㄷ조록 구성될 수 있다.
세트 본체(110)를 기준으로 보면 세트 본체(110)를 기준으로 회동 블록(160)이 소정 각도 회전한다고 볼 수도 있다.
이어삽입 부재(12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인체의 귀에 삽입되도록 세트 본체(1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이어삽입 부재(120)는 내측에 스피커의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인체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진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이어삽입 부재(120)가 인체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팅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어삽입 부재(120)의 외표면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인 이어 캡(130)이 씌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이어 캡(130)은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이어삽입 부재(120)를 감싸는 형태로 이어삽입 부재(120)의 선단부로부터 이어삽입 부재(120)에 끼워지며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예: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연결 부재(140)는 마이크 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세트 본체(1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세트 본체(110)로부터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마이크 부재(150)는 인-이어 캡(130)이 인체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입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마이크연결 부재(140)의 선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연결 부재(140)는 플렉시블하게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목적하는 위치로 구부림에 따라 마이크 부재(150)의 위치를 인체의 입 주변으로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회동 블록(160)은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마이크연결 부재(140)에 대향하는 세트 본체(110)의 측벽에 체결되며 그 체결된 상태에서 세트 본체(110)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처럼, 좌우 호환을 위해 별도의 구성 분리없이 이어삽입 부재(120)와 마이크 부재(150)가 구비된 세트 본체(110)를 회동 블록(160)을 기준으로 간편하게 회동시키기만 하면 이어-마이크 장치의 좌우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귀걸이 부재(170)는 인-이어 캡(130)이 인체의 귀(이하, '타겟 귀'라 함)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타겟 귀에 걸쳐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회동 블록(160)에 고리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귀걸이 부재(170)는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에 따라 귀에 착용시 그 귀 모양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마이크연결 부재(140)로부터 마이크 부재(150)를 향하는 연장선이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할 때, 귀걸이 부재(170)는 y축의 양의 방향에 대응하는 회동 블록(160)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x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되고 연속적으로 y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된 후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된다.
회동 부재(180)는 [도 4]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일단부가 회동 블록(160)과 마주하는 세트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타단부가 세트 본체(110)와 마주하는 회동 블록(16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부재(180)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자신의 하부는 세트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자신의 상부는 회동 블록(16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동 부재(180)를 매개로 하여 회동 블록(160)에 대해 세트 본체(110)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체의 좌측 귀 착용형으로 전환하거나 인체의 우측 귀 착용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부재(180)의 상부 형태와 회동 블록(160)의 삽입 부분 간의 연결 구조에 따라 회동 부재(180)를 매개로 한 회동 블록(160)과 세트 본체(110) 간의 회동 각도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회동 부재(180)를 매개로 한 회동 블록(160)과 세트 본체(110) 간의 회동시 이어삽입 부재(120)와 마이크 부재(150)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이어삽입 부재(120)가 좌측 귀 또는 우측 귀 중 어느 귀의 착용형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마이크 부재(150)는 인체의 입쪽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서 좌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의 이어-마이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우측 착용형으로 조작된 상태의 이어-마이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레프트 홀더 부재(2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인체의 좌측 귀에 인-이어 캡(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 블록(160)을 기준으로 세트 본체(110)가 회전한 상태에서 세트 본체(110)의 일부 외표면과 회동 블록(160)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세트 본체(110)와 회동 블록(160)에 연결됨에 따라 세트 본체(110)와 회동 블록(160) 간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그리고, 레프트 홀더 부재(21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는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좌측 귀에 걸쳐질 때 [도 8]에서와 같이 그 좌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좌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이트 홀더 부재(220)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인체의 우측 귀에 인-이어 캡(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동 블록(160)을 기준으로 세트 본체(110)가 회전한 상태에서 세트 본체(110)의 일부 외표면과 회동 블록(160)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세트 본체(110)와 회동 블록(160)에 연결됨에 따라 세트 본체(110)와 회동 블록(160) 간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그리고, 라이트 홀더 부재(220)는 [도 5] 내지 [도 7] 및 [도 9]에서와 같이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는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우측 귀에 걸쳐질 때 [도 9]에서와 같이 그 우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우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와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됨에 따라 귀에 착용시 그 귀의 귓바퀴 모양에 따라 쉽게 휘어질 수 있다.
이처럼, 레프트 홀더 부재(210)와 라이트 홀더 부재(220)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세트 본체(110)와 회동 블록(160) 간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양쪽 귀 각각에서의 착용감 및 좌,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11, 221)로 인한 안정감을 보다 더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레프트 홀더 부재(210)와 라이트 홀더 부재(220)는 자체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110 : 세트 본체
120 : 이어삽입 부재
130 : 인-이어 캡
140 : 마이크연결 부재
150 : 마이크 부재
160 : 회동 블록
170 : 귀걸이 부재
180 : 회동 부재
190 : 플러그 잭
210 : 레프트 홀더 부재
211 :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
220 : 라이트 홀더 부재
221 : 우측 귓바퀴 고정부

Claims (6)

  1. 이어폰과 마이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세트 본체(110);
    인체의 귀에 삽입되도록 상기 세트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이어삽입 부재(120);
    상기 이어삽입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이어삽입 부재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어삽입 부재에 끼워지는 인-이어 캡(130);
    마이크에 연결되도록 상기 세트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세트 본체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마이크연결 부재(140);
    상기 인-이어 캡이 인체의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입 주변에 자신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연결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마이크 부재(150);
    상기 마이크연결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세트 본체의 측벽에 상기 세트 본체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동 블록(160);
    상기 인-이어 캡이 인체의 귀(이하, '타겟 귀'라 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타겟 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블록에 고리 형태로 연결되는 귀걸이 부재(170);
    인체의 좌측 귀에 상기 인-이어 캡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세트 본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세트 본체의 일부 외표면과 상기 회동 블록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세트 본체와 상기 회동 블록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세트 본체와 상기 회동 블록 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레프트 홀더 부재(210);
    인체의 우측 귀에 상기 인-이어 캡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회동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세트 본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세트 본체의 일부 외표면과 상기 회동 블록의 일부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세트 본체와 상기 회동 블록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세트 본체와 상기 회동 블록 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라이트 홀더 부재(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 홀더 부재(210)는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귓바퀴 고정부재(211)는 상기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좌측 귀에 걸쳐질 때 그 좌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좌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이트 홀더 부재(220)는 자신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플렉서블한 바 형태의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를 구비하고,
    상기 우측 귓바퀴 고정부재(221)는 상기 귀걸이 부재가 인체의 우측 귀에 걸쳐질 때 그 우측 귀의 귓바퀴를 따라 휘어지면서 그 우측 귀의 귓바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회동 블록과 마주하는 상기 세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자신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세트 본체와 마주하는 상기 회동 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회동 부재(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연결 부재로부터 상기 마이크 부재를 향하는 연장선이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할 때, 상기 귀걸이 부재(170)는 y축의 양의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회동 블록의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x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되고 연속적으로 y축의 음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된 후 x축의 양의 방향을 향해 라운딩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 홀더 부재와 상기 라이트 홀더 부재는 자체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KR1020190147419A 2019-11-18 2019-11-18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KR10215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419A KR102159314B1 (ko) 2019-11-18 2019-11-18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419A KR102159314B1 (ko) 2019-11-18 2019-11-18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314B1 true KR102159314B1 (ko) 2020-09-23

Family

ID=7270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419A KR102159314B1 (ko) 2019-11-18 2019-11-18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33B1 (ko) *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KR101653753B1 (ko) * 2015-12-31 2016-09-05 주식회사 라인텍 헤드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33B1 (ko) *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KR101653753B1 (ko) * 2015-12-31 2016-09-05 주식회사 라인텍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445B2 (en) Earphone assemblies with wingtips for anchoring to a user
US11026023B2 (en) Wireless earphone
US9900681B2 (en) Earbud headphone adapter
US9167334B2 (en) Adjustable mechanism for securing in-ear audio device
US3562816A (en) Attachment mounting means for hearing protector earcups
JP3061590B2 (ja) イヤーフック付の耳栓式イヤーレシーバー
US8320603B2 (en) Earphone ear loop
KR100865959B1 (ko)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US20110170731A1 (en) Earbud Stabilization System
JP2017526308A (ja) イヤーピース用保持構造
JP2012170136A (ja) 改良された耳ユニットと呼ばれる装置
JP4740317B2 (ja) 骨伝導デバイスのメガネへの取付構造
CN110958517B (zh) 线卡合件及具备该线卡合件的耳机
EP3035697B1 (en) Headset ear hook with wire holder
CN209911685U (zh) 一种眼镜
JP5281436B2 (ja) イヤホン
US10219066B2 (en) Interchangeable wearing modes for a headset
KR102159314B1 (ko) 좌우 호환형 이어-마이크 세트 장치
WO2021095570A1 (ja) イヤホン
JP6217539B2 (ja) 耳掛け式イヤホン,耳掛け式ヘッドセット,及び耳掛けハンガ
KR101653753B1 (ko) 헤드셋
KR200379160Y1 (ko) 귀거리식 이어폰
JPH05316583A (ja) 外耳道挿入型イヤピース
CN216057424U (zh) 一种耳机支架及耳机
KR101485005B1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및 이를 갖는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