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939B1 - 온수 매트 - Google Patents

온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939B1
KR102158939B1 KR1020190147181A KR20190147181A KR102158939B1 KR 102158939 B1 KR102158939 B1 KR 102158939B1 KR 1020190147181 A KR1020190147181 A KR 1020190147181A KR 20190147181 A KR20190147181 A KR 20190147181A KR 102158939 B1 KR102158939 B1 KR 10215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t water
mat
slid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인
Original Assignee
강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주인 filed Critical 강주인
Priority to KR102019014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온수 매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킨 뒤 공급하는 온수탱크; 양 단부가 상기 온수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킨 뒤 상기 온수탱크로 다시 전달하는 온수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상부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유도홈이 상기 하부 유도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 매트{WARM-WATER CIRCULATION MAT}
본 발명은 온수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온수 매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겨울철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이동식 난방기구로는 전기매트와 온수매트가 있다.
상기 전기매트는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토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매트는 사용과정에서 과도한 전력소모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된다는 점에서 사용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온수매트는 전기매트와 달리 온수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난방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전기를 사용치 않음으로써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것과,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온수매트의 일반적인 구조는 쿠션력을 가지는 베드와, 상기 베드 상면 전체에 걸쳐 지그재그로 배관 형성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이 깔려있는 베드 전체면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한다.
하지만, 종래의 온수 매트, 특히 자연석을 이용한 돌침대형 온수 매트는, 그 구조상의 한계로 한계로 인해 딱딱한 질감으로 인해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잠자리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9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8473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석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상하 자연석 간에 탄성 지지 구조를 구바하고 쿠션을 추가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온수 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탄성 지지대를 구비하는 온수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높이 조절 프레임의 높이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프레임의 충격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온수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는,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킨 뒤 공급하는 온수탱크; 양 단부가 상기 온수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킨 뒤 상기 온수탱크로 다시 전달하는 온수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상부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유도홈이 상기 하부 유도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시트는, 평판 형태의 자연석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기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 상기 하부 유도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상기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시트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시트는, 평판 형태의 자연석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탄성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상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는, 상기 하부시트를 올려놓기 위한 평평한 공간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매트 프레임; 및 상기 매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매트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매트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높이 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매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석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상하 자연석 간에 탄성 지지 구조를 구바하고 쿠션을 추가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앉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흔드는 등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프레임의 높이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프레임의 충격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발명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시트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3의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에 의한 충격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1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10)는, 온수탱크(100), 온수관(200),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를 포함한다.
온수탱크(100)는, 온수관(200)을 경유하면서 냉각된 물이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면, 냉각된 물을 가열시킨 뒤 온수관(200)으로 다시 공급하며, 온수의 가열 정도, 구동 제어 등을 위한 제어장치(110)를 구비할 수 있다.
온수관(200)은, 양 단부가 온수탱크(100)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의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온수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킨 뒤 온수탱크(100)로 다시 전달한다.
하부시트(30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온수관(200)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 유도홈(300h)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시트(40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을 따라 온수관(200)의 상부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유도홈(400h)이 하부 유도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도 2는 참조하면, 하부 유도홈(300h)과 상부 유도홈(400h)은, 온수관(200)을 유도하기 위한 각각 아치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합에 의해 온수관(200)의 다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온수관(200)이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를 전체적으로 경유하면서 온수에 의한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는, 도 3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연석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10)는, 매트 전체에 걸쳐 고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감 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석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상하 자연석 간에 탄성 지지 구조를 구바하고 쿠션을 추가하여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20)는, 온수탱크(100), 온수관(200),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수탱크(100) 및 온수관(2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하부시트(300)는,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 다수 개의 안착홈(32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는, 평판 형태의 자연석(예를 들어, 맥반석, 흙 또는 대리석 등)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면을 따라 안착홈(320)이 형성된다.
안착홈(320)은, 하부 유도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탄성 지지대(700)가 안착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20)에 각각 안착되어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시트(40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시트(400)는,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410) 및 쿠션(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의 자연석(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과 동일한 맥반석, 흙 또는 대리석 등)으로 형성되어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310)의 상측에 안착되어 탄성 지지대(700)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부면을 따라 상부 유도홈(400h)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메모리폼 등으로 제작되는 쿠션(420)은,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4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6은 도 3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제1 상부 지지판(710), 제2 상부 지지판(720), 제1 하부 지지판(730), 제2 하부 지지판(740), 제1 링크(750), 제2 링크(760), 제1 탄성체(770) 및 제2 탄성체(78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지지판(710)은,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제1 링크(75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상부 지지판(720)은,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410)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제2 링크(7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대향하며 안착홈(320)에 안착되며, 제2 링크(76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하부 지지판(740)은, 제2 상부 지지판(720)과 대향하며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이격되어 안착홈(320)에 안착되며, 제1 링크(75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링크(750)는, 상부가 제1 상부 지지판(7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7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7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5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링크(7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허리(751)가 형성되고, 제2 링크(760)는 제1 링크(750)와의 교차 위치에 제1 링크(750)의 허리(75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76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체(770)는,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을 지지한다.
제2 탄성체(780)는,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52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도 9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520)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자연석 플레이트(520)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앉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흔드는 등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761) 및 두 개의 돌출부(761)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762)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7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구조는, 다른 지지판과 링크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연결 관계의 설명은 이후의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관계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지지 플레이트(731), 슬라이딩홀(732), 체결부(733) 및 수평 탄성체(73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홀(7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32)은, 지지 플레이트(73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체결부(733)는, 슬라이딩홀(732)에 안착된 제2 링크(760)의 연장 바아(762)를 체결하고, 슬라이딩홀(732)의 공간에서 수평 탄성체(7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장 바아(762)를 지지한다.
수평 탄성체(734)는, 체결부(733)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홀(732)에서 체결부(733)를 지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30)는, 온수탱크(100), 온수관(200), 하부시트(300), 상부시트(400), 매트 프레임(500) 및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온수탱크(100), 온수관(200), 하부시트(300) 및 상부시트(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매트 프레임(500)은, 하부시트(300)를 올려놓기 위한 평평한 공간이 상측면에 형성되고, 하측에 설치된 높이 조절 프레임(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매트 프레임(5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매트 프레임(500)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매트 프레임(50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 매트(3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높이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충격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발명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 및 하부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610)은, 매트 프레임(5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매트 프레임(50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매트 프레임(500)을 전체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거나, 매트 프레임(500)의 전체적인 수평을 맞춰준다.
하부 프레임(620)은, 바닥면에 안착에 안착되며,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매트 프레임(5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을 유지시키 주는 승하강 지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 프레임(611) 및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매트 프레임(50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12)은, 지지 프레임(611)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612)과의 일 대향면에는 피니언 기어(6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렉 기어(6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6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홈(622)은,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62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피니언 기어(62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628)이 형성된다(도 14 참조).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4 개의 슬라이딩홈(622)의 각 일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6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622)에서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렉 기어(6121)에 맞물려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4 개의 피니언 기어(623), 브레이크액 파우치(624), 피스톤(625), 상부 지지대(626) 및 하부 지지대(6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는, 도 12 내지 도 1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는, 슬라이딩홈(622)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관(6241)을 통해 피스톤(625)으로 공급한다.
피스톤(625)은,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6251)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이때, 피스톤(625)에 의한 실린더(6251)의 승강 정도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될 수 있는 피스톤(625)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부 지지대(626)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628)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7)는, "U"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625)의 실린더(62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린더(6251)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하측에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대(627)는, 내측 공간에는 회전축(6231)과의 마찰에 따른 밀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동부재(62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620)은,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슬라이딩홈(622)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매트 프레임(500)가 더 이상 하강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온수 매트
100: 온수탱크
200: 온수관
300: 하부시트
400: 상부시트
500: 매트 프레임
600: 높이 조절 프레임
700: 탄성 지지대

Claims (11)

  1.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킨 뒤 공급하는 온수탱크;
    양 단부가 상기 온수탱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킨 뒤 상기 온수탱크로 다시 전달하는 온수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을 따라 상기 온수관의 상부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유도홈이 상기 하부 유도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시트를 올려놓기 위한 평평한 공간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매트 프레임; 및
    상기 매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매트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매트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높이 조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매트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는,
    평판 형태의 자연석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따라 상기 하부 유도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
    상기 하부 유도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상기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하부 자연석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시트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
KR1020190147181A 2019-11-15 2019-11-15 온수 매트 KR10215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81A KR102158939B1 (ko) 2019-11-15 2019-11-15 온수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81A KR102158939B1 (ko) 2019-11-15 2019-11-15 온수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939B1 true KR102158939B1 (ko) 2020-09-22

Family

ID=727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81A KR102158939B1 (ko) 2019-11-15 2019-11-15 온수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93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508U (ko) * 1997-07-11 1999-02-18 이재명 실외용 온수 좌대
KR20060034670A (ko) * 2006-03-31 2006-04-24 김동기 황토 침대
KR200423979Y1 (ko) 2006-05-11 2006-08-14 주식회사 에스엠 온수매트
KR20070113957A (ko) * 2006-05-26 2007-11-29 (주)씨에스이 침대용 온수매트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KR20110132778A (ko) * 2010-06-03 2011-12-09 김성웅 열선관이 내장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20130006759A (ko) * 2011-06-23 2013-01-18 이재영 구급차 메인들것용 온수장치
KR101284739B1 (ko) 2010-12-06 2013-07-17 이병성 온수장판
KR101346320B1 (ko) * 2013-07-23 2014-01-24 주식회사 베노 효율성을 제고한 기능성 온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508U (ko) * 1997-07-11 1999-02-18 이재명 실외용 온수 좌대
KR20060034670A (ko) * 2006-03-31 2006-04-24 김동기 황토 침대
KR200423979Y1 (ko) 2006-05-11 2006-08-14 주식회사 에스엠 온수매트
KR20070113957A (ko) * 2006-05-26 2007-11-29 (주)씨에스이 침대용 온수매트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
KR20110132778A (ko) * 2010-06-03 2011-12-09 김성웅 열선관이 내장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101284739B1 (ko) 2010-12-06 2013-07-17 이병성 온수장판
KR20130006759A (ko) * 2011-06-23 2013-01-18 이재영 구급차 메인들것용 온수장치
KR101346320B1 (ko) * 2013-07-23 2014-01-24 주식회사 베노 효율성을 제고한 기능성 온수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939B1 (ko) 온수 매트
KR101745500B1 (ko) 다기능 건강 침대
KR20160101712A (ko) 돌침대
CN204364288U (zh) 一种腿部骨折护理床
CN207355795U (zh) 一种电动控制坐垫抬高的休闲椅
KR101377258B1 (ko) 매트 양면이 온돌과 쿠션으로 전환되는 소파와 침대
KR101403414B1 (ko)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102089982B1 (ko) 시트 가변형 소파
KR20120128026A (ko)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승강장치
KR101576594B1 (ko) 욕창 방지 장치
KR100897723B1 (ko) 높이조절 침대
KR20110009947U (ko) 전열매트 내장형 실내 의자
KR102122869B1 (ko) 친환경 온열 매트리스 침대
CN203483753U (zh) 远红外线理疗仪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KR102532508B1 (ko) 매뉴얼 치료와 냉온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재활 시스템
CN211795399U (zh) 可折叠教师按摩椅
TWM589548U (zh) 電動床
KR20180001413U (ko) 틸팅가능한 온열의자
CN21303031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沙发
KR200438934Y1 (ko) 원적외선방사매트 겸용 이불
CN211021755U (zh) 一种座椅
CN215899264U (zh) 一种具有防滑功能的远红外发热保健椅
KR102147956B1 (ko) 슬라이딩 방식의 각도 조절 침대
CN217185420U (zh) 一种可以两面使用的按摩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