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836B1 -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836B1
KR102158836B1 KR1020190036774A KR20190036774A KR102158836B1 KR 102158836 B1 KR102158836 B1 KR 102158836B1 KR 1020190036774 A KR1020190036774 A KR 1020190036774A KR 20190036774 A KR20190036774 A KR 20190036774A KR 102158836 B1 KR102158836 B1 KR 10215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restaurant
vo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4Calling systems, e.g. pa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식당의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로서,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 호출벨; 및 식당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과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식당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Apparatus for wireless call with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로서,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식당의 무선호출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는 각 손님 테이블 마다 메뉴판이 구비되어 있고 방문한 손님이 이를 보고 메뉴를 선택한 후 직원을 불러 주문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기존의 다양한 음식점에서는 사장 또는 카운터(counter) 담당직원이 항시 대기하여 음식비용을 결제받고 직접 주문 접수도 받고 있다.
따라서 술집이나 레스토랑, 식당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점에서는 해당 음식점에 입장한 고객이 자리를 잡고 앉은 상태에서 개별 메뉴판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메뉴판의 내용을 확인한 후 종업원을 통해 특정 음식을 직접 주문하게 된다. 또한, 주문을 통해 나온 음식을 모두 취식한 후에는 별도의 빌지 등을 갖고 카운터로 이동하여 현금 또는 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취식한 음식에 대한 지불을 행하게 된다.
음식을 주문할 때, 주문 편의를 위하여 무선 호출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무선호출벨은 손님이 호출벨을 눌렀을 때 종업원이 손님에게 다가가서 호출벨을 누른 이유를 묻고 다시 돌아와 손님이 요구하는 것을 가져다주는 번거러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45281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식당에서 무선호출벨을 이용하여 카운터나 종업원과 음성통화하여 손쉬운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식당의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로서,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 호출벨; 및 식당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과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식당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은, 음성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이크와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는 스피커;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테이블 번호가 저장된 테이블 식별 DB; 호출을 입력받는 호출 버튼;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 처리부; 및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으로부터 호출 버튼이 눌리어지면, 상기 테이블 번호와 함께 호출 신호를 무선통신 처리부를 통해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착석 감지 센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테이블의 고객 인원을 고려하여,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호출 버튼이 눌리어지는 눌림 형태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호출 버튼이 한 번 눌리어지는 경우, 카운터에 있는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이 두 번 눌리어지는 경우, 서빙하는 종업원이 사용하는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이 세 번 눌리어지는 경우, 식당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은, 카운터 단말기를 호출하는 카운터 호출 버튼; 종업원을 호출하는 종업원 호출 버튼; 및 주차 관계자를 호출하는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종업원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은, 음성 인식을 통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 음성을 인식하여, 고객의 주문 사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는, 고객의 주문 내용을 테이블 번호와 함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식당에서 무선호출벨을 이용하여 카운터나 종업원과 음성통화하여 손쉬운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통화 호출벨을 이용한 카운터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호출벨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 버튼이 연달아 눌리어지는 횟수에 따라서 호출 대상을 달리하는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분화된 호출 버튼을 구분하여 호출 대상을 달리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통화 호출벨을 이용한 카운터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호출벨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 버튼이 연달아 눌리어지는 횟수에 따라서 호출 대상을 달리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분화된 호출 버튼을 구분하여 호출 대상을 달리하는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음성통화기능이 있는 호출벨로서, 즉, 기존의 식당 등에 무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호출벨과 달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벨을 누르면 카운터에 호출벨이 울리고 카운터에서 버튼을 누른 후 음성으로 답하면 호출벨을 누른 손님이 음성으로 필요한 사항을 요청하게 된다. 그리하여 종업원은 손님이 요구사항을 질문하러 손님에게 갔다고 오는 일 없이 한번에 손님이 원하는 것을 가지고 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통화 호출벨(100)과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와, 식당의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로서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와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 호출벨(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는, 식당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 단말기, 종업원이 사용하는 종업원 단말기, 식당 주차장 관계자가 사용하는 주차장 관계자 단말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는, 음성통화 호출벨(100)과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데,이러한 음성 통화 기능은, 이동통신망의 무선 주파수 대역, 업무용 무전기의 주파수 대역인 146.5∼146.6㎒, 또는 222.45∼222.975 ㎒ 대역을 사용하여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각 테이블에 설치된 음성통화 호출벨(100)과 음성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무전기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전기의 120개 채널 각각의 채널마다 테이블을 할당하여 각 테이블에 설치된 음성통화 호출벨(100)과 음성 통화할 수 있다.
음성통화 호출벨(100)은, 식당의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로서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와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성통화 호출벨(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110)와, 스피커(120)와, 오디오 처리부(130)와, 테이블 식별 DB(140)와, 호출 버튼(150)과, 무선통신 처리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0)는 고객의 음성을 입력받는 모듈이며, 스피커(120)는 식당 관계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모듈이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120)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 식별 DB(140)는, 테이블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식당의 각 테이블마다 할당된 고유의 테이블 번호가 기록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호출 버튼(150)은, 식당의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으로부터 호출을 입력받는 버튼이다.
무선통신 처리부(160)는,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이동통신망의 무선 주파수 대역, 업무용 무전기의 주파수 대역인 146.5∼146.6㎒, 또는 222.45∼222.975 ㎒ 대역이 사용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음성통화 호출벨(1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으로부터 호출 버튼(150)이 눌리어지면, 상기 테이블 번호와 함께 호출 신호를 무선통신 처리부(160)를 통해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로 무선 전송한다. 그리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마이크(110)와 스피커(120)를 통하여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은 호출 버튼(150)을 눌러 카운터, 종업원 등의 식당 관계자와 음성 통화하며 음식 주문 등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당에서 종사하는 식당 관계자는 다양한 관계자가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고객 안내 및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카운터 관계자, 음식 서빙을 수행하는 종업원, 식당 주차장에서 고객 차량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계자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식당 테이블에 앉은 고객은 필요에 따라서 카운터 관계자와 음성 통화를 원할 수 있으며, 또는 종업원(서빙)과 음성 통화를 원할 수 있으며, 주차 관계자와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값에 대한 결제 금액 관련하여 카운터 관계자와 음성 통화를 원할 수 있으며, 음식 주문 관련하여 종업원과 음성 통화를 원할 수 있으며, 고객이 몰고 온 차량의 주차 위치를 묻기 위해 주차 관계자와 음성 통화를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고객 필요에 의한 각 상황별로 고객이 원하는 식당 관계자와 직접 음성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통화 호출벨(100)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1) 착석 감지 센서를 이용한 호출할 식당 관계자 결정
제어부(170)는, 착석 감지 센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테이블의 고객 인원을 고려하여,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착석 감지 센서는, 식당 테이블마다 구비된 의자의 상면에 마련된 압력 센서를 통해 손님의 착석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테이블마다의 손님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테이블 고객 인원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A 테이블에 고객 인원이 3명 이내의 소수인 경우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반면에 A 테이블에 고객 인원이 4명 이상의 다수인 경우 대량으로 주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운터에서 직접 주문을 받을 수 있도록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2) 호출 버튼(150)의 눌림 형태에 따라서 호출할 식당 관계자 결정;
제어부(170)는, 호출 버튼(150)이 연달아 눌리어지는 눌림 형태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호출 버튼(150)이 길게 눌리어지는지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호출 버튼(150)을 짧게 누른 경우 종업원 단말기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150)을 길게 누른 경우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버튼(150)이, 연달아 눌리어지는 눌림 횟수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버튼(150)이 한 번 눌리어지는 경우, 카운터에 있는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150)이 두 번 눌리어지는 경우, 서빙하는 종업원이 사용하는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150)이 세 번 눌리어지는 경우, 식당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3) 호출 버튼(150)을 세분화하여 호출할 식당 관계자 결정
호출 버튼(150)을 세분화하여 호출할 식당 관계자 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호출 버튼(150)은, 카운터 단말기를 호출하는 카운터 호출 버튼(150)과, 종업원을 호출하는 종업원 호출 버튼(150)과, 주차 관계자를 호출하는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1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호출 버튼(150)이 눌리어진 경우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종업원 호출 버튼(150)이 눌리어진 경우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150)이 눌리어진 경우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음성통화 호출벨(100)은,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음성인식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성통화 호출벨(100)은, 음성 인식을 통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미도시)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미도시)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 음성을 인식하여, 고객의 주문 사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로 무선 전송하며,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는, 고객의 주문 내용을 테이블 번호와 함께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음성 인식 주문 버튼(미도시)을 누른채로 "짜장면 1개 주문해요"라고 말하게 되면, 음성인식되어 변환된 '짜장면 1개'라는 텍스트가 식당 관계자 단말기(200)에 식당 테이블 번호와 함께 표시되어 손쉬운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음성통화 호출벨
200:식당 관계자 단말기

Claims (7)

  1. 식당의 각 테이블에 설치된 호출벨로서,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통화 호출벨;
    식당의 각 테이블 마다 구비되는 의자의 상면에 마련되어, 손님의 착석여부를 파악하는 착석 감지 센서; 및
    식당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과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식당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은, 음성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이크와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는 스피커;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 처리부; 테이블 번호가 저장된 테이블 식별 DB; 호출을 입력받는 호출 버튼;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통신 처리부; 및 테이블에 착석한 고객으로부터 호출 버튼이 눌리어지면, 상기 테이블 번호와 함께 호출 신호를 무선통신 처리부를 통해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식당 관계자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 감지 센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테이블의 고객 인원을 고려하여,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호출 버튼이 눌리어지는 눌림 형태에 따라서 호출 신호를 수신할 식당 관계자 단말기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하되, 호출 버튼이 한 번 눌리어지는 경우, 카운터에 있는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이 두 번 눌리어지는 경우, 서빙하는 종업원이 사용하는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출 버튼이 세 번 눌리어지는 경우, 식당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 버튼은,
    카운터 단말기를 호출하는 카운터 호출 버튼;
    종업원을 호출하는 종업원 호출 버튼; 및
    주차 관계자를 호출하는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터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카운터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카운터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종업원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종업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종업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주차 관계자 호출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주차 관계자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주차 관계자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 호출벨은,
    음성 인식을 통한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주문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 음성을 인식하여, 고객의 주문 사항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식당 관계자 단말기는, 고객의 주문 내용을 테이블 번호와 함께 화면상에 표시하는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KR1020190036774A 2019-03-29 2019-03-29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KR10215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74A KR102158836B1 (ko) 2019-03-29 2019-03-29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74A KR102158836B1 (ko) 2019-03-29 2019-03-29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836B1 true KR102158836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74A KR102158836B1 (ko) 2019-03-29 2019-03-29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8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81B1 (ko) 2008-01-15 2008-07-10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8127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폰콜 주문 시스템
KR20110094685A (ko) * 2010-02-17 2011-08-24 주식회사 큐필드 무선 호출 시스템용 무선 수신기
KR20160068403A (ko) * 2014-12-05 2016-06-15 노성국 식당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81B1 (ko) 2008-01-15 2008-07-10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8127A (ko) *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폰콜 주문 시스템
KR20110094685A (ko) * 2010-02-17 2011-08-24 주식회사 큐필드 무선 호출 시스템용 무선 수신기
KR20160068403A (ko) * 2014-12-05 2016-06-15 노성국 식당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097A (en) Communicating apparatus having a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device
US5042063A (en) Telephone apparatus with voice activated dialing function
US20080101576A1 (en) Tag interrogator and microphone array for identifying a person speaking in a room
US4959850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US20110159855A1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to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pplying the method
CN102959884A (zh) 利用声音调制数据信号的近距离耦合识别对象并触发交互的方法和装置
CN106067996B (zh) 语音再现方法、语音对话装置
US7555533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server via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20258692A1 (en) Bluetooth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997574B (zh) 获取语音服务的方法和装置
KR102158836B1 (ko) 음성통화기능을 가진 무선호출 장치
US10599452B2 (en) Service request system and method using service request device for multiple language supported room
US9118802B2 (en) Video ticket office
KR101728327B1 (ko) 인터폰 통화 연결 시스템
TWI502582B (zh) 服務點之語音客服系統
US200300439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tting a telephone call on hold and determining called party presence
CN1571523B (zh) 专用小交换机
US10419896B1 (en) Walkie-talkie messaging system
KR101498642B1 (ko) 스마트 음성출력장치
KR102227062B1 (ko) 실시간 방송중계장치
WO2022191325A1 (ja) 配車管理装置、および配車管理方法
CN108983587A (zh) 一种耳聋患者智能手表系统
KR20050020523A (ko) 휴대단말기의 착신벨 박자 연동 애니메이션 출력장치 및방법
CN103369151A (zh) 信息输出方法和装置
TWM463395U (zh) 服務點之語音客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