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56B1 -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56B1
KR102158656B1 KR1020200028721A KR20200028721A KR102158656B1 KR 102158656 B1 KR102158656 B1 KR 102158656B1 KR 1020200028721 A KR1020200028721 A KR 1020200028721A KR 20200028721 A KR20200028721 A KR 20200028721A KR 102158656 B1 KR102158656 B1 KR 10215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moving
glos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인
Original Assignee
정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인 filed Critical 정혜인
Priority to KR102020002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C)을 특정위치로 정렬하기 위한 차량 정렬부(100), 차량 정렬부(10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방향(Y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관절 구동에 의하여 차량(C)에 대하여 광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광택부(200), 및 차량 정렬부(100)와 차량 광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자동광택장치{Automatic polish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자동으로 세차하거나 광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일정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차량(C)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세차 또는 광택할 수 있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세차나 광택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자동차를 위치시킨 후에 세차나 광택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세차나 광택 작업시에 작업 인건비 상승과 인적 노동에 의하여 작업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세차 터널장치나 광택장치에 자동차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자동 세차장치나 광택장치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자동차의 불규칙하게 돌출된 부위나 형상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문제점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자동차를 세차하거나 광택 작업을 수행할 때 자동차에 대하여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자동차를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자동차를 세차하거나 광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자동차를 세차하거나 광택 작업을 수행할 때 자동차에 대하여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자동차를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자동차를 세차하거나 광택할 수 있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C)을 특정위치로 정렬하기 위한 차량 정렬부(100), 차량 정렬부(10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방향(Y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관절 구동에 의하여 차량(C)에 대하여 광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광택부(200), 및 차량 정렬부(100)와 차량 광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으로 이루어지며, 차량 광택부(200)는 지면상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축방향(Y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차량 광택부(200)의 베이스(212)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이동부(210), 베이스(212) 상에 결합되어 상면상에 수평 회전방향(R1)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회동부(220), 제1 회동부(2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직방향(R2)으로 제1 암(28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회동부(230), 제2 회동부(230)에 의하여 회동되는 제1 암(280)의 단부에서 연직방향(R3)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 회동부(240), 일단부는 제3 회동부(240)의 결합축(242)에 결합되며 타단부에서 상기 결합축(242)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R4)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4 회동부(250), 일단부가 제4 회동부(250)에 회동결합는 제2 암(29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4 회동부(25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5 회동부(260), 및 일단부가 제5 회동부(260)에 회동결합되며 타단부에 결합된 브러쉬(B)의 지그(272)에 대하여 제5 회동부(26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6 회동부(270)를 포함하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수평 이동부(210)는 베이스(212), 지면(G)상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축방향(Y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차량 광택부(200)의 베이스(212)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220), 및 레일(220)에 대하여 일정한 피치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구동모터(216)로 이루어지며, 레일(220)에는 수평 구동모터(216)의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기어(216a)에 치합되는 래크기어(214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00)는 차량(C)이 차량 정렬부(100)에 의하여 정렬되도록 제어하며, 차량(C)이 차량 정렬부(100) 상에 정렬이 이루어지면 차량 광택부(200)에 대하여 선택된 차종의 외관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라 브러쉬(B)가 이동하면서 광택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되며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전륜(W1)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130);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상에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되며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가변되는 한 쌍의 제2 이동부(140; 140A, 140B); 및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상에서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후륜(W2)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구동부(150)를 승하강(Z축 방향)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차량(C)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부(160)가 제1 이동부(120; 120A, 120B)와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이동부(120; 120A, 120B)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상에 수평방향인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제1 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서로 대향되어 인접되며, 인접된 부분이 상대적 높이가 낮도록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그 상면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슬라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딩부(12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구동부(130)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차량(C)의 전륜(W1)의 내측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압바(132),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신축되는 신축로드(1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이동부(140; 140A, 140B)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상에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는 한 쌍으로 이루지며, 서로 독립적으로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슬라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딩부(14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이동부(140; 140A, 140B)의 슬라딩부(142)는 한 쌍의 제2 이동부(140; 140A, 140B)의 하면과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에어 볼베이링(14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구동부(150)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차량(C)의 후륜(W2)의 내측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압바(152), 및 한 쌍의 가압바(132)를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신축되는 신축로드(1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가 세차나 광택작업을 자동화함에 있어서 정교한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세차나 광택공정에서 자동차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광택이나 세차를 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에 대한 정렬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 광택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 광택부의 이동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에 대한 차량 정렬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 광택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의 차량 광택부의 이동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의하면, 차량(C)을 특정위치로 정렬하기 위한 차량 정렬부(100), 차량 정렬부(10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방향(Y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관절 구동에 의하여 차량(C)에 대하여 광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광택부(200), 및 차량 정렬부(100)와 차량 광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정렬부(10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되며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전륜(W1)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130),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상에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되며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가변되는 한 쌍의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상에서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후륜(W2)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150), 및 제2 구동부(150)를 승하강(Z축 방향)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의하면,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차량(C)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부(160)가 제1 이동부(120; 120A, 120B)와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사이에 더 구비된다.
제1 이동부(120; 120A, 120B)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상에 수평방향인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이동부(120; 120A, 120B)는 베이스프레임(110) 일측과 타측상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병렬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제1 축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베이스프레임(110) 일측과 타측상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병렬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제1 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서로 대향되어 인접되며, 인접된 부분이 상대적 높이가 낮도록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그 상면이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한편,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슬라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딩부(122)를 각각 구비한다. 슬라딩부(122)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의 하면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LM 가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C)의 전륜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의 연접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차량(C)의 전륜(W1)을 정렬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C)의 전륜(W1)이 정렬된 상태에서 차량(C)의 중심을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에 대하여 중심선이 위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C)의 전륜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의 연접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차량(C)의 전륜(W1)을 정렬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C)의 전륜(W1)이 정렬된 상태에서 차량(C)의 중심을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에 대하여 중심선이 위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130)는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상에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전륜(W1) 양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130)는 차량(C)의 전륜(W1)의 내측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압바(132), 한 쌍의 가압바(132)를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제1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신축되는 신축로드(134)를 더 구비한다. 신축로드(134)는 제1 구동부(130)의 액츄에이터 정역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인 대칭방향으로 한 쌍의 가압바(132)을 이동시키도록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130)의 신축로드(134)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대신에 공압이나 유압실린더 구동으로 동작될 수 있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자동광택광치에 의하면,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축으로부터 제1 구동부(130)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동일하게 신장되는 신축로드(134)에 의하여 차량(C)의 전륜(W1)이 초기에 제1 이동부(120; 120A, 120B)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든 각각 독립적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의 이동에 의하여 차량(C)의 전륜(W1)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즉, 차량(C)의 전륜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의 연접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이동부(120A, 120′A; 120B, 120′B )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1 축에 대하여 차량(C)의 전륜(W1)을 회전시킨 후에 정렬시킴으로써, 차량(C)의 전륜(W1)과 차량(C)의 중심선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40; 140A, 140B)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상에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가변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2 이동부(140; 140A, 140B)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슬라드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딩부(142)를 각각 구비한다.
제2 이동부(140; 140A, 140B)의 슬라딩부(142)는 한 쌍의 제2 이동부(140; 140A, 140B)의 하면과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볼베이링(14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딩부(142)의 볼베이링(144)은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 공급과 배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제2 구동부(150)는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상에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후륜(W2)을 양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2 이동부(140; 140A, 140B)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제2 구동부(150)는 차량(C)의 후륜(W2)의 내측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대향되는 한 쌍의 가압바(152)와, 한 쌍의 가압바(132)를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제1 축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신축되는 신축로드(154)를 더 구비한다. 신축로드(154)는 제2 구동부(150)의 액츄에이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인 대칭방향으로 한 쌍의 가압바(152)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제2 구동부(150)의 신축로드(154)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대신에 공압이나 유압실린더 구동으로 동작될 수 있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제2 구동부(150)를 승하강(Z축 방향)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다.
제3 구동부(160)는 제2 이동부(140; 140A, 140B)에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2 이동부(140; 140A, 140B)를 승강시키며, 이후, 승강된 제2 구동부(150)는 가압바(152)가 신장되도록 하여 차량(C)의 후륜(W2)에 대하여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승강부(70)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차량(C)의 차체 프레임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패드(72)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C)의 전륜(W1)과 후륜(W2)이 각각 제1 이동부(120; 120A, 120B)와 제2 이동부(140; 140A, 140B)의 가변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 후에 차량(C)의 차체 프레임을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승강된 차량(C)는 승강부(70)의 패드(72)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속되는 세차 또는 광택장치(P)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세차나 광택공정에서 차량(C)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C)에 대한 세차나 광택 작업 등이 마무리된 후에 전술한 동작과 반대로 제1 구동부(130), 제2 구동부(150), 제3 구동부(160) 및 승강부(70)가 동작된다.
차량 광택부(200)는 지면상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축방향(Y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차량 광택부(200)의 베이스(212)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이동부(210), 베이스(212) 상에 결합되어 상면상에 수평 회전방향(R1)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회동부(220), 제1 회동부(2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직방향(R2)으로 제1 암(28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회동부(230), 제2 회동부(230)에 의하여 회동되는 제1 암(280)의 단부에서 연직방향(R3)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 회동부(240), 일단부는 제3 회동부(240)의 결합축(242)에 결합되며 타단부에서 상기 결합축(242)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R4)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4 회동부(250), 일단부가 제4 회동부(250)에 회동결합는 제2 암(29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4 회동부(25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5 회동부(260), 및 일단부가 제5 회동부(260)에 회동결합되며 타단부에 결합된 브러쉬(B)의 지그(272)에 대하여 제5 회동부(26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6 회동부(270)를 포함한다.
수평 이동부(210)는 베이스(212), 지면(G)상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축방향(Y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차량 광택부(200)의 베이스(212)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220), 및 레일(220)에 대하여 일정한 피치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구동모터(216)로 이루어진다.
레일(220)에는 수평 구동모터(216)의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기어(216a)에 치합되는 래크기어(214a)가 구비된다.
한편, 베이스(212)와 레일(220) 사이에는 가이드 로드와 가이드 홈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동부(220)는 베이스(212) 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면상에 결합된 제2 회동부(230)에 대하여 수평 회전방향(R1)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2 회동부(230)의 일단부는 제1 회동부(220)의 상면에 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제1 암(280)을 연직방향(R2)으로 제1 암(28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3 회동부(240)는 제2 회동부(230)에 의하여 회동되는 제1 암(280)의 단부에서 연직방향(R3)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4 회동부(250)는 그 일단부가 제3 회동부(240)의 결합축(242)에 대하여 회동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결합축(242)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R4)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5 회동부(260)는 그 일단부가 제4 회동부(250)에 회동결합는 제2 암(29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4 회동부(25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6 회동부(270)는 그 일단부가 제5 회동부(260)에 회동결합되며, 그 타단부는 브러쉬(B)의 지그(272)가 결합되며, 결합된 지그(272)에 대하여 제5 회동부(26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차량(C)이 차량 정렬부(100)에 의하여 정렬되도록 제어하며, 차량(C)이 차량 정렬부(100) 상에 정렬이 이루어지면 차량 광택부(200)에 대하여 선택된 차종의 외관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라 브러쉬(B)가 이동하면서 광택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이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가 세차나 광택작업을 자동화함에 있어서 정교한 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세차나 광택공정에서 자동차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광택이나 세차를 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차량 정렬부
110: 베이스프레임
120, 120A, 120B: 제1 이동부
122: 슬라딩부
130: 제1 구동부
140, 140A, 140B
150: 제2 구동부
160: 제3 구동부
170: 승강부
200: 차량 광택부
210: 수평 이동부
212: 베이스
214: 레일
220: 제1 회동부
230: 제2 회동부
240: 제3 회동부
242: 결합축
250: 제4 회동부
260: 제5 회동부
270: 제6 회동부
272: 지그
280: 제1 암
290: 제2 암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C)을 특정위치로 정렬하기 위한 차량 정렬부(100), 차량 정렬부(10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방향(Y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다관절 구동에 의하여 차량(C)에 대하여 광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광택부(200), 및 차량 정렬부(100)와 차량 광택부(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으로 이루어지며,
    차량 광택부(200)는 지면상에서 차량 정렬부(100)의 종축방향(Y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차량 광택부(200)의 베이스(212)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 이동부(210), 베이스(212) 상에 결합되어 상면상에 수평 회전방향(R1)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회동부(220), 제1 회동부(220)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직방향(R2)으로 제1 암(28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 회동부(230), 제2 회동부(230)에 의하여 회동되는 제1 암(280)의 단부에서 연직방향(R3)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 회동부(240), 일단부는 제3 회동부(240)의 결합축(242)에 결합되며 타단부에서 상기 결합축(242)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R4)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4 회동부(250), 일단부가 제4 회동부(250)에 회동결합는 제2 암(29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4 회동부(25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5 회동부(260), 및 일단부가 제5 회동부(260)에 회동결합되며 타단부에 결합된 브러쉬(B)의 지그(272)에 대하여 제5 회동부(260)의 회동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6 회동부(270)를 포함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되며 제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제1 이동부(120; 120A, 120B) 상에서 차량(C)의 전륜(W1)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전륜(W1)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130);
    베이스프레임(110)의 타측상에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되며 제1축의 평면상(XY 평면)상에서 가변되는 한 쌍의 제2 이동부(140; 140A, 140B); 및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상에서 차량(C)의 후륜(W2)이 안착된 상태에서 차량(C)의 후륜(W2)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 구동부(150)를 승하강(Z축 방향)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
  6.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차량(C)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강부(160)가 제1 이동부(120; 120A, 120B)와 제2 이동부(140; 140A, 140B)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동광택광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28721A 2020-03-08 2020-03-08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KR10215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21A KR102158656B1 (ko) 2020-03-08 2020-03-08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21A KR102158656B1 (ko) 2020-03-08 2020-03-08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656B1 true KR102158656B1 (ko) 2020-09-22

Family

ID=7270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21A KR102158656B1 (ko) 2020-03-08 2020-03-08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6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809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팔레트 로딩장치
KR20130100685A (ko)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와이씨티 차량 유지 관리용 자동 광택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광택 방법
KR20140081049A (ko) * 2012-12-21 2014-07-01 류태호 회전식 세차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809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팔레트 로딩장치
KR20130100685A (ko)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와이씨티 차량 유지 관리용 자동 광택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광택 방법
KR20140081049A (ko) * 2012-12-21 2014-07-01 류태호 회전식 세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337B1 (ko) 연마용 로보트
CN103251357A (zh) 外墙清洗机
CN107598724A (zh) 基于并联机构的玻璃模具抛光机器人
KR20130036138A (ko) 로봇 시스템
CN205765435U (zh) 一种水龙头打磨抛光装置
KR102158656B1 (ko) 자동차 자동광택장치
US6312211B2 (en) Semi-automated load balancing mechanism
CN109108607A (zh) 纱杆定位装置
KR102156435B1 (ko) 자동차 정렬장치
CN110202267A (zh) 一种激光雕刻机器人及雕刻方法
CN112930247A (zh) 研磨夹具、研磨装置及研磨方法
CN113459099A (zh) 一种船体焊缝打磨机器人及其使用方法
KR100873863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N111451876A (zh) 铸件机械臂自动打磨机
CN105773384A (zh) 自动抛光机及其自动抛光方法
CN105773185A (zh) 一种加工头可移动且由电机控制升降的加工装置
CN215660271U (zh) 船体焊缝打磨机器人
CN213104880U (zh) 一种三轴切割机构
CN210938231U (zh) 一种数控车床用高效多功能弹性夹头
CN207326697U (zh) 一种全方位抛光机
JP7243855B2 (ja) バッテリー装着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装着方法
CN108502541A (zh) 玻璃上片装置
CN208961396U (zh) 纱杆定位装置
CN207511444U (zh) 一种全自动上片设备
CN220592278U (zh) 一种工件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