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45B1 - 액체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45B1
KR102158645B1 KR1020157032792A KR20157032792A KR102158645B1 KR 102158645 B1 KR102158645 B1 KR 102158645B1 KR 1020157032792 A KR1020157032792 A KR 1020157032792A KR 20157032792 A KR20157032792 A KR 20157032792A KR 102158645 B1 KR102158645 B1 KR 10215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eeve
cap
cov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807A (ko
Inventor
알랭 드팜므
파브리스 메르씨에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Publication of KR2015014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05B11/3052
    • B05B11/305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65D83/224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 B65D83/226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preventing initial depress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65D83/224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 B65D83/228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consisting of a rupturable connection between actuator element and actuator cap or skirt, e.g. tear strips or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65D83/384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comprising an aerosol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in an external container
    • B65D83/386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comprising an aerosol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in an external container actuation occurring by moving the aerosol container relative to the outer shell or external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헤드를 가지는 저장부(2)를 포함하는 액체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출 헤드는 추출 펌프 장치의 축방향 이동부(16), 상기 이동부의 이동 시 결합되어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단부(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펌프 작동을 위한 이동부의 커버 슬리브(20)와 용기의 커버 분리부(22)로 형성된 캡(6)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용기의 최초 사용 시 파열될 수 있는 고정 장치(24)를 통해 슬리브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포장 용기{BOTTLE FOR PACKAGING LIQUID}
본 발명은 액체 배출 용기, 특히 액체 배출을 위한 펌프 장치가 구비된 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한 방울씩 배출되는 안과용 액체 배출 용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유형의 액체 배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유형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용기의 가동 부분을 누름으로써 작동되는 펌프 구조가 사용된다. 그립과 펌프 작동에 필요한 힘을 가동 부분에 가할 수 있게 하는, 최적화된 인체공학적 용기 설계를 위해, 가동 부분, 즉 펌프의 작동을 돕기 위한 캡을 장착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캡은 용기 저장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고, 캡의 최상부에는 용기의 배출 단부가 통과하도록 중심부가 천공된 상단 평면 막을 가진다. 상기 캡은 용기 위에 장착될 때, 상단 막이 펌프의 가동 부분에 놓인다. 이로써 펌프 가동을 위해 누르는 영역의 면적을 넓히고 펌프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캡의 다양한 변형들이 펌프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국제 출원 WO 2010/139883에 개시된 형태에서는 펌프 축에 평행하게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변형된 두 개의 부분을 가진 캡이 사용되며 각각의 부분은 그립용 방사상 날개를 가지고 이에 따라 펌핑 부위의 작동을 더 용이하게 한다.
액체 배출 용기는 일반적으로 점안제 또는 다른 안과용 액체 배출을 위해 사용된다. 흔히, 한 상자에 같이 판매되는 용기의 수로 인해 다수의 용기가 사용자에게 동시적으로 제공되나 이들이 동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 하나 순차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무균 공정에서 생산된 용기들이 개봉전에는 첫 번째 온도에서 보관되어야 하고 개봉 후에는 실온에서 여러 주 동안 보관되어야 할 수 있다. 상기 최초 사용 이후에는, 배출 장치는 규정된 기한 내에서만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배출 장치의 최초 사용 여부에 대한 명확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된 배출 장치들을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기의 최초 사용 여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표시가 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액체 배출 용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출 헤드가 장착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배출 헤드는 추출 펌프 장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결합되어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배출 단부가 고정된 상단면에 플랜지을 가지는, 액체 포장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들에 따르면, 펌프 작동을 위한 상기 이동부의 커버 슬리브와 용기의 커버 분리부로 형성된 캡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슬리브는 원통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횡단벽으로 이어지며, 상기 횡단벽은 플랜지의 상단면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배출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개구를 가지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슬리브의 횡단벽에, 용기의 최초 사용 시 파열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통해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가 횡단벽에 고정되어 있을 때는 분리부가 측벽의 맞은편에서 중앙 개구을 덮고, 상기 고정 장치가 파열되어 분리부가 제거되면 상기 중앙 개구 및 배출 단부가 해제되어 오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에 든 용기가 이미 개봉이 되었는지 아닌지 여부를 눈으로, 특히 분리부의 고정 장치 파열 여부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용기를 동시에 여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권장 사용법에 따라 각각의 용기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가 이동부의 플랜지를 커버할 때, 횡단벽은 플랜지의 상단면에 놓이도록 형성되고, 중앙 개구는 배출 단부의 통과를 허용한다. 또한, 캡을 통해, 첫 사용의 표시 기능 외에도, 펌프의 이동부의 플랜지를 커버하는 부위를 통해 펌프의 작동 기능도 보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측벽 내면에 잠금 수단이 배치되고 잠금 수단과 측벽 사이에 플랜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캡이 사용자가 의도한 행위 외에는 용기에서 풀리지 않도록 보장한다. 캡은 용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분리부만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분리부의 존재 여부 또는 파열 또는 고정 장치의 존재 여부로 최초 사용 표시 기능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의 횡단벽은 슬리브의 외곽으로 그립 날개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슬리브의 원통형 측벽은 축을 따라 플랜지와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슬리브의 측벽은 그립 날개 아래에서 저장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립 날개는 펌프의 이동부 작동을 위해 슬리브에 가해지는 측면 압력이 용이하도록 사용되고, 측벽은 용기 라인을 따라 슬리브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사용되며, 날개 아래 위치는 용기 라인에 따른 슬리브의 슬라이드가 발생할 수 있는 기울기 효과와 마찰을 줄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캡의 상대적 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용기에 대한 캡의 회전 방지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캡의 고정된 각 위치에서, 커버 슬리브의 측벽은 그립 날개 아래에서 및 용기의 라벨이 부착되는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서, 저장부를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분리부는 배출 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부는 최초 사용시 슬리브에 대해 이동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파열될 수 있는 지지 핀에 의해 횡단벽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은 플랜지 평면에서 중앙 개구를 한정하는 에지와 분리부의 단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플랜지의 연장부에서의 이들 조립체의 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캡의 분리부는 배출 단부를 커버하기 위해 배출 단부 형태의 상보적 원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원추 형태를 한정하는 벽 내면에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분리부 내부 부위를 감소하켜, 캡이 장착될 때 단부의 분리부의 부착 또는 단부 위에 이미 배치된 뚜껑의 부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캡의 분리부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단부는 뚜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커버 슬리브의 측벽의 반대편에서 잘린 원추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추형 부분은 외면에 사용자의 그립과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축방향고정 리브를 가진다.
이러한 유형의 횡단벽 위에 배치된 분리부는 커버 슬리브가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개의 파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유리하다. 상부 파트는 펌프의 작동을 위한 이동부를 커버하고 하부 파트는 저장부 하단을 커버하며, 상기 두 파트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파트들을 서로 가까워질 때 펌프 작동을 생성하고, 두 파트들은 이와 같은 밀착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 용기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용기의 방사상 그립 날개를 가진다. 최초 사용 시 고정 장치를 파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그립 위치가 어느 부위인지 상관없이, 커버 슬리브는 분리부에 가해지는 토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상단부를 쥐었다면, 사용자는 용이하게 고정 장치를 파쇄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하단부를 쥐었다면, 상단부는 사용자의 그립과 두 파트 간 회전 고정 수단의 조합된 작용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차적으로 멸균 조건에서 저장부를 액체로 충전하고, 상기 저장부를, 추출 펌프 장치, 시스템 가동을 위한 축방향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 시 결합되어 액체를 분배하는 배출 단부, 및 상기 단부를 덮는 뚜껑를 포함하는 배출 헤드와 조립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이차적으로는, 필수적으로 멸균 공정 조건일 필요는 없는 상태에서, 펌프 가동을 위한 이동부의 커버 슬리브로 형성된 캡과, 파열 가능한 고정 장치를 통해 슬리브에 고정되어 용기과 뚜껑을 커버하는 분리부를 배치한다. 따라서, 멸균공정 조건을 위반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유닛의 생산 및 조립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캡은 제조 말기에 멸균 공정 조건이 아니더라고 조립될 수 있으나 용기는 이미 멸균 상태에서 채워진 후 뚜껑을 통해 밀봉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캡은 뚜껑으로 자체적으로 커버될 때 배출 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크기를 가진다. 이는 생산 시 멸균 공정 조건 및 압력 장치의 설치를 부과하지 않고 안약 배출 장치 사용에 필요한 멸균 조건에 따른 장치의 실행을 용이하게 한다. 배출 단부와 뚜껑을 가진 용기는 멸균 조건에서 구현되고 그 후 뚜껑을 커버하는 캡이 용기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그 이점들을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 도 1은 최초 사용을 표시하는 캡이 장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 포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의 조립 단면도;
- 도 3은 최초 사용을 표시하는 캡이 장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포장 용기의 사시도;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정면도;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측면도;
-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용기에 장착되는 캡을 형성하는 제1 요소의 사시도;
-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용기에 장착되는 캡을 형성하는 제 2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포장 용기는 저장부(2), 저장부 위에 장착된 배출 헤드(4), 및 캡(6)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거의 원통 형태의 측벽(8)과 바닥벽(10)을 가진다. 한방울씩 분배될 액체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배출 헤드를 통해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 헤드는 펌프 장치와 펌프 장치의 출구에 배치된 배출단부(12)를 포함하고, 펌프 장치를 통해 저장부에서 배출된 액체는 단부를 통과하여 중앙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액체 방출 말단 오리피스(14)까지 배출된다. 펌프 장치는 액체 흡입을 위한 진공 생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보이는 부분에 저장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이동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가 형성된 플랜지(18) 상에 축방향 힘을 가함으로써 이동부가 이동된다. 저장부와 적어도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상기 플랜지는 액체방울이 전달되는 배출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캡은 커버 슬리브(20), 분리부(22) 및 분리부를 커버 슬리브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부러질 수 있는 고정 장치(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여기서 부러질 수 있는 핀들(25)(도 2 참조)로 형성되는데, 이 핀들은 일차적으로 분리부와 커버 슬리브를 구속하고 이차적으로는 사용자가 가하는 회전력에 의한 핀 파열를 통해 두 요소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커버 슬리브(20)은 원통 형태의 측벽(26)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6)의 축방향 일 단부는 슬리브의 중앙쪽으로 횡단하여 연장되어 중앙 보어(30)가 제공된 횡단벽(28)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 슬리브는 반대편 단부는 오픈되어 있다.
슬리브가 용기 상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횡단벽(28)은 플랜지(18)의 상단면에 놓인다. 상기 횡단벽은 사용자가 플랜지에 힘을 가하기 위한 지지면을 증가시킨다. 캡의 그립을 용이하게 하는 방사상 날개(32)는 횡단벽을 방사상으로 슬리브의 외곽으로 연장하고 이로써 사용할 수 있는 지지면을 더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는 사용자의 엄지 배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곡선 형태를 가진다.
상기 커버 슬리브의 측벽은 이동부와 슬리브가 용기 상에 장착됐을 때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는, 측벽이 축방향을 따라 용기의 외곽에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뻗어 있을 수 있으며, 저장부상에 부착된 안내 라벨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축방향 공차가 제공될 수 있다. 용기는 회전형 캡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캡이 고정된 각도 위치에서 라벨이 방해물 없이 잘 보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공차를 포함하지 않는 커버 슬리브의 측벽 영역, 즉 더 큰 영역이 저장부 라인을 따라 그립 날개 아래까지 연장될 것이다.
캡은 슬리브의 측벽 내면에 잠금 수단(34)을 포함하여, 이 잠금 수단과 캡의 횡단벽 사이에 플랜지가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수단은 슬리브 내부 지름을 축소하는 기울어진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용기 둘레에 슬리브를 장착할 때, 기울어진 평면 단부에 형성된 잠금 수단의 직선단부의 돌출부와 횡단벽 사이의 잠금 위치로 플랜지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분리부(22)는, 커버 슬리브의 측벽(26)의 반대편에 횡단벽의 상단면(52) 위에 배치되는 원추형 단부(50) 형태이다. 상기 분리부는 횡단벽(28)의 거의 중심에 배치되어 중앙 개구를 덮고, 고정 장치(24)를 형성하는 파열형 핀(25)을 통해 상단 벽에 유지된다. 파열형 핀은 여기서 플랜지의 평면 상 중앙 개구를 한정하는 헤지와 분리부의 말단 사이를 횡단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조립체의 디몰링(demoulding)을 용이하게 한다.
분리부의 원추형태는 배출 단부 형태에 대응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최종 조립 전에 배출 단부에 연결되는 뚜껑(36)과 형태 및 치수가 대응한다.
슬리브 측벽의 개방 단부를 통해 용기 둘레에 뚜껑이 씌워질 시, 횡단벽은 플랜지의 상단면과 접촉하고, 중앙 개구를 통하여 배출 단부가 통과하며, 캡의 분리부는 배출 단부(12)와 기존의 캡을 커버하던 뚜껑(36) 둘레에 배치된다.
분리부의 원추 형태를 한정하는 벽은 내면에 돌기(56)를 가진다. 캡이 용기 둘레에 씌워지고 분리부가 배출 단부 상에 위치한 뚜껑을 커버할 때, 상기 돌기는 분리부의 내부 지름을 국소적으로 축소시켜 뚜껑을 죈다. 이로 인해, 캡을 처음 사용하고 커버 슬리브에 대하여 분리부를 돌려 고정 장치를 파쇄할 때, 뚜껑을 마찰을 통해 분리부의 내부로 끌어들이며, 따라서 분리부가 제거될 때 뚜껑이 함께 제거되어 캡 내부에 남게 된다. 분리부 표면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홈(58)과 같이 그립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분리부를 통한 뚜껑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뚜껑의 조립은 슬리브(20)의 개방 단부를 통해 용기에 씌워 실행되는,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의 횡단벽(28)이 펌프의 플랜지와 맞닿을 때까지 씌워진다. 용기의 배출 단부(12), 및 경우에 따라 단부 상에 올려진 뚜껑(36)은 횡단벽의 중앙 개구를 관통한다. 용기는 잠금 수단(34)을 통해 축방향으로 홀딩된다.
도 1과 도 2에는, 특히 슬리브가 단일부품이고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 따라 분리부가 연결되는 상단면을 가지는, 캡으로 커버된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한 용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아래 설명에서는 동일한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에 100을 더하여 기재된다.
액체 포장 용기는 저장부(102), 그 위에 장착된 배출 헤드(104)와 캡(10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캡(106)은 특정 커버 슬리브를 가진다.
커버 슬리브는 두 개의 파트(40, 42)로 형성되고, 각 파트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방사상 날개(132)를 누르면 서로에 대하여 용기 저장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두 파트의 밀착은 펌프시스템의 작동과 액체 방울의 방출을 생성한다. 인체공학적 그립을 위해 상기 방사상 날개들은 만곡형이며, 상기 두 파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서로를 향해 밀착되도록 그 만곡형의 곡선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여기서 상기 두 파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수직으로 놓였을 때 상대적 위치에 따라 커버 슬리브의 상부 파트(40)과 하부 파트(42)를 지시한다.
커버 슬리브의 상부 파트(40)는 측벽(43)을 포함하며, 이 측벽의 상단부는 횡단벽(128)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부는 상부 파트의 나머지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콜릿(collet)(44)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콜릿은 벽과 용기 사이에 커버 슬리브의 하부 파트(42)의 측벽이 통과하도록 확장되어 있다.
상기 상부 파트의 콜릿 상에는 축방향으로 홈(4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파트의 측벽 상에는 축방향으로 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상대적 슬라이딩하여 커버 슬리브의 두 파트의 축방향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이들은 하부 파트에 대한 상부 파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122)는 원추형 단부(150)의 형태를 가지고 커버 슬리브의 상부 파트(40)의 횡단벽(128) 상에 배치되며, 이전과 같이 배출 단부를 커버하고, 바람직하게는 용기 최종 조립 전 배출 단부에 장착되는 뚜껑(136)을 커버한다.
분리부는 상기 설명한 것과 다른 수 있으나 외면에 홈(158)을 포함하고 내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한다.
두 파트로 구성된 커버 슬리브와 배출 단부를 둘러싸는 분리부의 조합은 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부를 분리할 때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한다.
사용상, 캡의 커버 슬리브를 제자리에 유지하고 분리부를 회전하여야 분리부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한 손을 이동부에 두고 다른 손을 커버 슬리브 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용기의 저장부를 쥐어지더라도 그곳에 손을 위치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두 번째 손을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용기는 허공에서 회전할 수 없으며 이는 캡 일부분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고 축방향으로만 조정하는 돌기로 인한 것이다.
이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를 기술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한 용기들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아래 설명에서는 동일한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에 200을 더하여 기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특히 분리부(222)의 형태에서 이전 실시예들과 다르다. 분리부는 여전히 원추형 단부(250) 형태를 가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즉 슬리브의 반대편 단부(60)에서 개방되어 부분적 원추형을 형성한다. 캡이 용기에 장착될 때 단부(236)가 원추형 단부에서 돌출된다.
분리부(222)는 또한 단부 둘레 상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리브(62)를 포함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들 리브는 분리부의 그립을 용이하게 하고 도 4 내지 7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핀들의 파열를 위한 사용자의 힘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리브의 축방향 배열은 사용자가 원추형 단부의 회전을 실행하도록 하고, 리브들이 원추의 일부에만 연장되어, 뚜껑의 일정 높이의 부위에만 연장되는 점은 사용자가 회전작동을 고정 장치에 가까운 단부의 베이스에 집중하도록 하며, 이는 상기 고정 장치를 형성하는 핀들의 파열를 용이하게 한다.
서술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단부 형태가 원추형, 부분적으로 원추형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외부 형태를 제안할 수 있으며 내부 형태는 모든 경우 배출단부와 연계된 뚜껑의 커버를 가능케 해야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버 슬리브의 두 파트(240, 242)의 축방향 가이드 수단이 이전 실시예들과 다른 것을 볼 수 있으며, 상부 파트(240)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홈(46)과 같이 하단이 오픈되지 않은 개구(64)를 포함한다. 커버 슬리브의 하부 파트(242) 상에 배치된 돌기(248)는 서로 가까워질 때 상부 파트의 하단 가장자리를 넘어 통과할 수 있게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개구에 안착될 수 있는 탄성부를 가진다. 이로써 두 개의 커버 파트의 상대적인 축방향 고정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서술된 액체 포장 용기는 구별된 단계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먼저, 추출 펌프 장치, 시스템 가동을 위한 축방향 이동부, 이동부의 이동 시 결합되어 액체를 분배하는 배출 단부, 및 단부를 덮는 뚜껑를 가진 배출 헤드와 저장부를 조립한다. 그리고, 멸균 상태에서 방수 뚜껑으로 배출 단부를 폐쇄하고 저장부의 밀봉 폐쇄 전에 저장부 액체 충전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곳에서 생산된, 캡 조립의 다음 단계들은 꼭 멸균공정 조건에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용기 둘레에 캡을 씌운다. 파열형 고정 장치로 커버 슬리브에 고정된 분리부가 최초 사용전 고정 장치의 파열로 벗겨질 준비가 된 채로 동일하게 용기 둘레에 장착된다. 이로써, 상기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부와 함께 용기의 최초 사용에 대한 증명을 구비하게 된다. 사용자는 용기가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분리부가 제거 되었는지 또는 분리부가 파열형 장치를 통해 더이상 고정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로 알 수 있다.

Claims (12)

  1. 배출 헤드(4, 104)가 장착된 저장부(2, 102)를 포함하는 액체 포장 용기로서, 상기 배출 헤드는 추출 펌프 장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16)와 상기 이동부의 이동시 결합되어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단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배출 단부가 고정된 상단면에 플랜지(18)을 가지는, 액체 포장 용기에 있어서,
    펌프 작동을 위한 상기 이동부의 커버 슬리브(20; 40, 42; 140, 142)와 용기의 커버 분리부(22; 122; 222)로 형성된 캡(6; 106)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슬리브는 원통형 측벽(26; 126)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횡단벽(28; 128)으로 이어지며, 상기 횡단벽은 상기 플랜지의 상단면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개구(30)를 가지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슬리브의 횡단벽에, 용기의 최초 사용 시 파열될 수 있는 고정 장치(24; 124)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슬리브가 횡단벽에 고정되어 있을 때는 상기 분리부가 측벽(26; 126)의 맞은편에서 중앙 개구을 덮고, 상기 고정 장치가 파열되어 상기 분리부가 제거되면 상기 중앙 개구 및 배출 단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벽(28; 128)에 대한 상기 분리부의 고정 장치는, 용기의 최초 사용 시 커버 슬리브에 대한 상기 분리부의 회전에 의해 파열되는 핀들(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파열형 상기 핀들(25)은, 상기 플랜지 평면상에서 중앙 개구를 한정하는 에지와 상기 분리부의 단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분리부는, 배출 단부(12)와 뚜껑(36)을 커버하도록, 상기 배출 단부(12)와 뚜껑(36)의 형태에 상보적인 원추형 단부(50; 150) 형태를 가지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원추형을 한정하는 벽의 내면에 돌기(5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분리부를 형성하는 원추형 단부는, 상기 커버 슬리브의 횡단벽의 반대편의 말단부(60)로부터 돌출된 뚜껑(36)이 통과하는 원추형 부분(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부분(250)은 외면에 축방향 고정 리브(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6; 106)은 상기 커버 슬리브의 측벽(26; 126)의 내면에 배치된 잠금 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수단과 횡단벽(28; 128) 사이에 상기 플랜지(18)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벽(28; 128)은 상기 슬리브의 외곽으로 그립 날개(32 ;132)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6; 126)은 상기 플랜지(18)과 상기 저장부(2; 102)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벽(28; 128)은 상기 슬리브의 외곽으로 그립 날개(32; 132)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26; 126)은 상기 저장부(2; 102)를 따라 상기 그립 날개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는 캡의 용기에 대한 회전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캡의 고정된 각 위치에서 상기 측벽이 상기 그립 날개 아래에서 저장부를 따라 및 용기의 라벨이 부착되는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슬리브는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두 파트는 펌프 작동을 위한 상기 이동부를 커버하는 상부 파트(40; 240) 및 저장부의 하단을 커버하는 하부 파트(42; 242)이며, 상기 두 파트는 용기의 그립을 위한 방사상 날개(132)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하는 두 파트는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며, 상기 캡의 분리부는 용기의 최초 사용 시 슬리브에 대한 분리부의 회전에 의해 파열될 수 있는 고정 장치(24)를 통해 커버 슬리브의 상부 파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삭제
KR1020157032792A 2013-04-16 2014-04-15 액체 포장 용기 KR10215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00893A FR3004431B1 (fr) 2013-04-16 2013-04-16 Flacon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
FR13/00893 2013-04-16
PCT/IB2014/000546 WO2014170736A1 (fr) 2013-04-16 2014-04-15 Flacon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807A KR20150143807A (ko) 2015-12-23
KR102158645B1 true KR102158645B1 (ko) 2020-09-22

Family

ID=4857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792A KR102158645B1 (ko) 2013-04-16 2014-04-15 액체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2986539B1 (ko)
JP (1) JP6386534B2 (ko)
KR (1) KR102158645B1 (ko)
BR (1) BR112015025985B1 (ko)
CA (1) CA2908800C (ko)
CL (1) CL2015003048A1 (ko)
DK (1) DK2986539T3 (ko)
ES (1) ES2684043T3 (ko)
FR (1) FR3004431B1 (ko)
HR (1) HRP20181314T1 (ko)
HU (1) HUE039160T2 (ko)
MA (1) MA38490B1 (ko)
MX (1) MX361587B (ko)
PL (1) PL2986539T3 (ko)
PT (1) PT2986539T (ko)
RU (1) RU2653790C2 (ko)
SI (1) SI2986539T1 (ko)
TN (1) TN2015000446A1 (ko)
UA (1) UA117926C2 (ko)
WO (1) WO2014170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804B1 (fr) * 2014-04-15 2018-10-12 Laboratoires Thea Flacon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
US11203467B2 (en) 2018-01-24 2021-12-21 Nanodropper, Inc. Assembly and method for delivery of micro-volume droplets from a squeeze bottle
CN111683712B (zh) 2018-01-24 2023-04-18 纳米滴管有限公司 用于从挤压瓶输送微体积液滴的组件和方法
US11872157B2 (en) 2018-04-11 2024-01-16 Nanodropper, Inc. Micro drop adapter for dropper bottles
US10932947B2 (en) 2018-04-11 2021-03-02 Paul Enemark Micro drop adapter for dropper bottles
CN113348007A (zh) * 2019-02-26 2021-09-03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用于医药注射装置的针覆盖件
USD1025353S1 (en) 2019-09-11 2024-04-30 Nanodropper, Inc. Microdrop dispensing adapter for eye dropper bottle
USD1017797S1 (en) 2019-09-11 2024-03-12 Nanodropper, Inc. Microdrop dispensing adapter for eye dropper bottle
FR3107828A1 (fr) 2020-03-03 2021-09-10 Laboratoires Thea Module électronique pour flacon d’un produit ophtalmique liquide à pompe mécanique, ensemble comportant un module et un flacon, et dispositif de suivi d’observance d’un traitement
FR3114085B1 (fr) * 2020-09-15 2022-09-16 Oreal Appareil rechargeable destine a distribuer du liquide, et systeme et procede de rechargement d’un tel appare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215A (ja) * 2004-06-28 2006-01-12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のカバーキャップ
WO2010139883A1 (fr) * 2009-06-03 2010-12-09 Laboratoires Thea Dispositif d'assistance à la délivrance de gouttes d'un liquide contenu dans un pulvérisateur et pulvérisateur équipé d'un tel dispositi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211A (en) * 1990-08-30 1992-10-27 Philip Meshberg Fluid dispensing unit retainer
US5829611A (en) * 1996-10-07 1998-11-03 Creative Packaging Corp. Tamper-evident overcap
FR2816600B1 (fr) * 2000-11-13 2003-03-21 Michel Faurie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s goutte a goutte
FR2835513B1 (fr) * 2002-02-06 2004-08-06 Rexam Sofab Dispositif d'echantillons de parfum
JP2006008238A (ja) * 2004-06-29 2006-01-12 Yoshino Kogyosho Co Ltd 封緘装置付きの縦形ポンプ式液体噴出容器
US20100095957A1 (en) * 2007-03-02 2010-04-22 Corbco, Inc. Manually operated monodose nasal sprayer device
DE102007056380B4 (de) * 2007-11-22 2020-06-25 WestRock Dispensing Systems Hemer GmbH Verschlusskappe für einen Austragkopf
FR2927552B1 (fr) * 2008-02-19 2011-05-27 Becton Dickinson France Pulverisateur, notamment a usage medical
IT1391454B1 (it) * 2008-09-26 2011-12-23 Lameplast Spa Contenitore per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farmaceutici, cosmetici, alimentari o simili
JP5439037B2 (ja) * 2009-05-29 2014-03-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215A (ja) * 2004-06-28 2006-01-12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式吐出容器のカバーキャップ
WO2010139883A1 (fr) * 2009-06-03 2010-12-09 Laboratoires Thea Dispositif d'assistance à la délivrance de gouttes d'un liquide contenu dans un pulvérisateur et pulvérisateur équipé d'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986539T3 (en) 2018-08-27
KR20150143807A (ko) 2015-12-23
MX361587B (es) 2018-12-11
BR112015025985B1 (pt) 2021-03-02
PL2986539T3 (pl) 2018-10-31
UA117926C2 (uk) 2018-10-25
RU2653790C2 (ru) 2018-05-14
EP2986539A1 (fr) 2016-02-24
EP2986539B1 (fr) 2018-06-06
WO2014170736A1 (fr) 2014-10-23
BR112015025985A2 (pt) 2017-07-25
JP2016523771A (ja) 2016-08-12
TN2015000446A1 (fr) 2017-04-06
MA38490A1 (fr) 2016-10-31
JP6386534B2 (ja) 2018-09-05
MA38490B1 (fr) 2017-07-31
HUE039160T2 (hu) 2018-12-28
ES2684043T3 (es) 2018-10-01
CA2908800A1 (fr) 2014-10-23
HRP20181314T1 (hr) 2018-10-19
FR3004431B1 (fr) 2016-01-22
MX2015014567A (es) 2016-03-03
CL2015003048A1 (es) 2016-07-01
PT2986539T (pt) 2018-10-04
RU2015148773A (ru) 2017-05-22
FR3004431A1 (fr) 2014-10-17
SI2986539T1 (sl) 2018-10-30
CA2908800C (fr)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45B1 (ko) 액체 포장 용기
US8490786B2 (en) Inverted dome to supply dose
JP5388232B2 (ja) 内容物放出用の押しボタン付閉止栓
JP3701026B2 (ja) 封印された容器を突き破るための制御されたオリフィスライナ付きねじ合わせぶた
RU2502655C2 (ru) Крышка
HU228559B1 (en) Drip liquid dispenser
RU2563781C2 (ru) Крышечка с емкостью для добав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упаковка
JP5270539B2 (ja) 液体製品、特に医薬用、医療用または化粧用製品の改良されたボトル
ES2725880T3 (es) Cierre con tapa y membrana extraíble
EP2768739B1 (en) Eyewash container
JP6138651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EP2899135B1 (en) Device for pouring liquid contained in a container
ES2797225T3 (es) Envase cosmético con medio de identificación
EP2674371A1 (en) Bottle cap for the conservation of substances to be kept separate until their use
JP4697729B2 (ja) 中栓付きキャップ
RU2698222C2 (ru) Контейнер
US9650188B1 (en) Delayed pierce, sealed container
JP7407130B2 (ja) 少なくとも第1の流体及び第2の流体を包装する装置
JP2011235941A (ja) 蓋装置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CN208160329U (zh) 化妆液保管用安瓿
US10000320B2 (en) Wine cork with built-in gas activated mini-corkscrew
US10207845B2 (en) Child resistant cap with fail-safe breakaway
US11565857B2 (en) Liquid dispensing nozzle and device comprising a cap
EP2093155A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