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10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103B1
KR102158103B1 KR1020130127647A KR20130127647A KR102158103B1 KR 102158103 B1 KR102158103 B1 KR 102158103B1 KR 1020130127647 A KR1020130127647 A KR 1020130127647A KR 20130127647 A KR20130127647 A KR 20130127647A KR 102158103 B1 KR102158103 B1 KR 10215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upled
tub
deformable memb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575A (ko
Inventor
이중희
백재호
이효상
최지훈
전갑진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11,77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00350A1/en
Priority to EP14174027.4A priority patent/EP2818592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포량감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터브, 일측은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캐비닛에 결합되어 캐비닛으로부터 터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터브 내측의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로 전달되는 터브의 하중을 이용하도록 일측은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터브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은 캐비닛의 일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포량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포의 양을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포량감지장치를 캐비닛에 고정시켜 터브 작동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어 발생하는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포량감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제가 포함된 세제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캐비닛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여 캐비닛의 개구부를 통해 드럼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고 터브에 일정량의 세제수를 공급한 후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하면 터브 내의 세탁포의 무게를 감지하여 세탁수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세탁수량에 따라 터브 내부에 세탁물을 충분히 적실 수 있는 양의 세탁수와 세제를 함께 투입한 후 드럼의 회전으로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을 수행한다.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포의 무게를 정확히 감지하면, 그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세탁수를 공급하고 세탁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와 전기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세탁기의 모터에 걸리는 부하량을 측정하여 세탁포의 양을 유추하였으나, 이는 주위환경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터브 내측의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로 전달되는 상기 터브의 하중을 이용하도록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포량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포랑감지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장치는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상기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되는 변형부재와 상기 변형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변형부재의 인장 또는 압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된 제1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는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어 유동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폭이 좁게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닛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변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세탁포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량, 세탁수의 양, 세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터브 내측의 세탁포의 양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탄성운동 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재, 상기 변형부재의 인장 또는 압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포량감지장치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상기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고, 상기 세탁포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의 양, 세탁수의 양, 세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는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어 유동성을 가지도록 일정 공간이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소재로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일측은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변형부재,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결합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가 관통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포의 양을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포량감지장치를 캐비닛에 고정시켜 터브 작동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어 발생하는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량 측정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드럼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시키는 모터(43)를 구비한다.
터브(20)와 드럼(30)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0)에 담겨진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 중앙측 일부가 개방된 투입구(20a, 30a) 형성되어 있으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투입구(20a, 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전면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도어(15)가 설치된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50, 15)에 의해서 캐비닛(10)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50, 15)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0)나 오일댐퍼와 같은 댐핑부재(15)가 이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50, 15)는 모터(43)에 의해서 발생하는 터브(20)와 드럼(30)의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재(50)가 터브(20)의 상부에서 터브(20)를 지지하며, 댐핑부재(15)가 터브(20)의 하부에서 터브(20)를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지부재(50)는 탄성부재(5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2)이 설치된다. 급수관(12)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12)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16)는 연결관(1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2)을 개폐하기 위한 급수밸브(13)가 급수관(12)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43)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2)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43) 사이에는 구동축(41)이 배치된다. 구동축(4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4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3)가 구동축(41)을 구동하면, 구동축(4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면판에는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 하우징(4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42)과 구동축(41) 사이에는 구동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44)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닛(70)이 위치할 수 있다. 배수유닛(70)은 배수펌프(72)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7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72)를 연결하는 연결호스(71)가 마련된다. 또한 배수펌프(72)에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15)를 개방한 후 세탁포를 드럼(20)으로 투입할 수 있고, 세탁기 완료된 후에는 도어(15)를 개방한 후 세탁포를 드럼(2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1)는 세탁포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포량감지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포량감지장치(60)는 지지부재(50)에 결합되어 터브(20)의 하중에 따라 변화하는 지지부재(50)의 변형량을 통해 터브(20) 내측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량감지장치(60)는 캐비닛(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량감지장치(60)는 지지부재(50)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 유닛(61, 63)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량 측정 유닛(61, 63)은 지지부재(50)의 변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재(61)와, 변형부재(61)에 결합되어 변형부재(61)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량감지장치(60)는 변형량 측정 유닛(61, 63)에서 지지부재(50)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터브(20)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재(61)는 캐비닛(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변형부재(61)는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브라켓(11)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변형부재(61)는 지지부재(5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61a)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61a)는 적어도 일부분이 캐비닛(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변형부재(61)의 제1결합부(61a)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지지부재(50)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재(61)의 변형량을 스트레인 게이지(63)가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61a)가 캐비닛(10)에 대해 유동성을 가지도록 브라켓(11)은 브라켓(11)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이 좁게 마련되는 함몰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1a)는 제1결합부(61a)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련되기 때문에, 제1결합부(61a)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11a)는 브라켓(11)의 중간에 마련되며, 브라켓(11)의 양측에는 변형부재(6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b)가 마련된다.
지지부(11b)에는 변형부재(61)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11c)이 마련된다. 지지부(11b)의 체결홀(11c)은 변형부재(61)의 체결홀(61c)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이에 체결부재(미도시)가 변형부재(61)의 체결홀(61c)과 지지부(11b)의 체결홀(11c)을 관통하여 변형부재(61)를 브라켓(11)에 결합시킨다.
제1결합부(61a)는 변형부재(61)의 중간부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변형부재(61)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61d)는 브라켓(11)과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된다. 제1결합부(61a)는 제2결합부(61d)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제1결합부(61a)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61a)의 내측에는 슬릿(61b)이 마련되어 지지부재(50)의 유동에 따라 변형부재(61)가 변형될 수 있다. 제1결합부(61a)의 일측에는 지지부재(50)가 결합되는 결합홀(61e)이 마련된다. 지지부재(50)는 결합홀(61e)을 관통하여 변형부재(61)에 결합된다. 제2결합부(61d)에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체결홀(61c)이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재(61)에는 변형부재(61)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63)가 결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63)는 변형부재(61)의 인장 또는 압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변형부재(61)의 일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63)는 변형부재(61)의 제1결합부(61a)의 양측에 결합되어 변형부재(61)가 신장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스트레인 게이지(63)는 그 양 단에 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부재(61)의 물리적 변형에 대응하는 전기저항을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변형부재(61)의 변형량에 비례하여 스트레인 게이지(63)의 전기저항의 출력값이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스트레인 게이지(63)의 전기저항의 출력값을 통하여 변형부재(61)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64)는 스트레인 게이지(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63)의 전기저항 출력값을 역으로 환산하여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63)의 전기 저항 출력값은 변형부재(61)의 변형량과 비례하고, 변형부재(61)의 변형량은 지지부재(50)의 변형량과 비례하고, 지지부재(50)의 변형량은 세탁포의 양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포량감지장치(60)는 변형부재(61)와 지지부재(5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62)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터브(20)의 진동으로 인해 변형부재(61)와 지지부재(50)가 흔들려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완충부재(62)는 변형부재(61)의 결합홀(61e)에 끼워지고, 완충부재(62)가 끼워진 후에 지지부재(50)가 결합홀(61e)에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재(61)가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캐비닛(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부재(50)가 결합하기 때문에 포량감지장치(60)가 터브(2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탁포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60)는 스트레인 게이지(63)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터브(20) 내의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세탁포의 무게를 의미하며, y축은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값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동일한 출력값에서 세탁포의 무게의 측정 범위는 3~4kg으로 오차범위가 컸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출력값에서 세탁포의 무게의 측정 범위는 500g으로 오차범위가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에는 모터의 부하량을 통해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세탁기(1)의 작동여부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컸으나, 본 발명의 경우 세탁기(1)의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터브(20) 내의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량감지장치(160)는 캐비닛(100)의 상면(100a)에 결합될 수 있다. 포량감지장치(160)의 변형부재(161)는 캐비닛(100)의 상면(100a)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부재(161)는 지지부재(5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16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61a)는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결합부(161a)는 캐비닛(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161a)가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슬릿 없이도 변형부재(161)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변형부재(161)는 지지부재(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161e)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면에는 결합홀(161e)과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부재(50)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50)는 결합홀(161e)과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변형부재(161)는 제1결합부(161a)의 양측에 캐비닛(10)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161b)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161b)는 캐비닛(100)에 고정된다. 제2결합부(161b)는 캐비닛의 상면(100a)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64)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곡부(164)는 하나 마련된다. 절곡부(164)는 캐비닛의 상면(100a)에 마련되는 삽입홀(100c)을 통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변형부재(161)와 캐비닛(100a)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캐비닛의 상면(100a)에는 제2결합부(161b)의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100b)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변형부재(161)와 캐비닛(100a)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변형부재(161)의 일측에는 변형부재(161)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163)가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63)는 변형부재(161)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부재(161)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변형부재(161)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레인 게이지(163)가 변형부재(161)의 상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세탁포의 하중으로 인해 지지부재(50)가 하방으로 처지기 때문에 변형부재(161)는 인장되며 스트레인 게이지(163)는 이러한 변형부재(161)의 인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63)가 변형부재(161)의 하면에 마련되는 경우, 변형부재(161)의 하면은 상면과 반대로 세탁포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스트레인 게이지(163)는 이러한 압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인 게이지(163)가 변형부재(161)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변형부재(161)의 인장과 압축 정도를 모두 측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세탁포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량 측정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량감지장치(260)은 캐비닛(10)의 일면(10a)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량감지장치(260)은 변형량 측정 유닛(261, 263)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량 측정 유닛(261, 263)은 지지부재(50)의 하중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정부분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재(261)와, 변형부재(261)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2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재(261)는 캐비닛(10)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263)는 변형부재(261)의 일 표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량감지장치(260)는 변형부재(261)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터브(10)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여, 세탁포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의 양, 세탁수의 양, 세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부재(261)는 바디부(261b)와, 바디부(261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부(261c)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61c)는 바디부(261b)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61b)는 캐비닛의 일면(10a)에 마련되는 관통홀(10b)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부재(261)는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261c)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261f)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261f)는 헤드부(261c)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61c)는 캐비닛(10)에 마련되는 관통홀(10b)에 끼워지기 위해 폭이 좁게 마련되는 관통부(261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61c)는 관통홀(261b)에 변형부재(261)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26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261e)는 관통부(261d)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61a)에는 지지부재(50)가 관통되어 캐비닛(10)의 관통홀(10b)로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홀(261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263)는 결합홀(261a)에 결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량감지장치(260)는 변형부재(261)를 고정시키도록 캐비닛(10)과 변형부재(26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64)는 관통홀(1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10b)에 끼워지는 부분을 결합부(264b)로 정의한다. 결합부(264b)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홀(10b)에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264)가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64)는 지지부재(50)가 관통되어 관통홀(10b)에 결합되도록 관통홀(10b)과 중첩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 홀(264a)을 포함할 수 있다.
포량감지장치(260)는 변형부재(261)에 결합되어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부재(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264)와 제2고정부재(262)의 사이에 변형부재(26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262)는 변형부재(261)의 결합홀(261a)에 끼워질 수 있다. 제2고정부재(262)는 결합홀(261a)에 결합되는 결합부(262a)와,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키는 홀더(26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62a)와 홀더(262b)는 연결부재(262c)로 연결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홀더(262b)가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50)가 끼워지고 홀더(262b)를 결합시켜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10)의 관통홀(10b)에 제1고정부재(264)가 끼워지고 변형부재(261)가 결합된다. 제2고정부재(262)가 결합되고 지지부재(50)가 캐비닛(10)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제2고정부재(262)의 홀더(262b)가 결합되어 지지부재(50)를 고정시킨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1: 브라켓 11a: 함몰부
11b: 지지부 20: 드럼
30: 터브 43: 모터
50: 지지부재 60, 160, 260: 포량감지장치
61, 161, 261: 변형부재 61a, 161a: 제1결합부
61b: 슬릿 61c: 체결홀
61d, 161b: 제2결합부 62: 완충부재
63, 263; 스트레인 게이지 64, 264: 제어부
264: 제1고정부재 262: 제2고정부재

Claims (2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터브 내측의 세탁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로 전달되는 상기 터브의 하중을 이용하도록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포량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량감지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되는 변형 부재와 상기 변형 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유동에 따라 상기 변형부재가 변형되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내측에는 슬릿이 마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감지장치는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상기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변형 부재의 인장 또는 압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 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된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어 유동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폭이 좁게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캐비닛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 측정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터브 내측의 세탁포의 양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탄성운동 하는 것을 인식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재;
    상기 변형부재의 인장 또는 압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량을 입력받아 상기 터브 내의 세탁포의 양을 산출하고, 상기 세탁포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의 양, 세탁수의 양, 세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마련되는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되어 유동성을 가지도록 일정 공간이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소재로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일측은 상기 터브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상기 터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일측은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변형부재;
    상기 변형부재의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변형부재의 일 표면에 결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결합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변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가 관통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27647A 2013-06-27 2013-10-25 세탁기 KR10215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1,778 US20150000350A1 (en) 2013-06-27 2014-06-23 Washing machine
EP14174027.4A EP2818592B1 (en) 2013-06-27 2014-06-26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77 2013-06-27
KR20130074377 201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75A KR20150001575A (ko) 2015-01-06
KR102158103B1 true KR102158103B1 (ko) 2020-09-21

Family

ID=5247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647A KR102158103B1 (ko) 2013-06-27 2013-10-25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65B1 (ko) * 2019-09-05 2021-06-23 주식회사 스마트센서 드럼세탁기 포량감지용 로드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673B1 (ko) * 2009-11-16 2016-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포량감지장치
KR101331951B1 (ko) * 2010-03-12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841125B1 (ko) * 2011-11-17 2018-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75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552B2 (en) Washing machine and laundry amount detection device thereof
KR101568905B1 (ko) 드럼 세탁기
KR101841125B1 (ko) 무게감지수단을 구비한 세탁기
US10697108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dynamic damping force optimization
KR102158103B1 (ko) 세탁기
US959881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1950338B1 (en) Household appliance column assembly
EP2818592B1 (en) Washing Machine
JP5823070B2 (ja) 洗濯機
WO2012089442A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load sensor
JP2011250852A (ja) 洗濯機
KR101144785B1 (ko) 드럼세탁기
EP2432927B1 (en) A horizontal axis washing machine
KR102268465B1 (ko) 드럼세탁기 포량감지용 로드셀
JP2013153994A (ja) 洗濯機
CN110195320B (zh) 滚筒式洗衣机
CN103459704A (zh) 滚筒洗衣机
KR20170041414A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40139841A (ko) 드럼 세탁기
KR20120101796A (ko) 세탁장치
KR20100070856A (ko) 진동센서를 이용한 세탁기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