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20B1 - Air clea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lean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8020B1 KR102158020B1 KR1020190082842A KR20190082842A KR102158020B1 KR 102158020 B1 KR102158020 B1 KR 102158020B1 KR 1020190082842 A KR1020190082842 A KR 1020190082842A KR 20190082842 A KR20190082842 A KR 20190082842A KR 102158020 B1 KR102158020 B1 KR 102158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water
- unit
- vehicle
- pur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humidifying the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의 공간 활용성과 복수회 정화 단계를 갖도록 하여 공기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that improves the air purifying ability by allowing the air purifier to have space utilization and multiple purification steps.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미세 분진, 각종 유해가스, 잡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 매개체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구이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discharges clean air after removing contaminants through a purification medium of air containing fine dust, various harmful gases, various bacteria, molds, and viruses.
최근 각종 오염물질로 인해 대기환경이 극심하게 악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도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배기가스 등과 같은 공해물질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실내공기를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가 거의 모든 차량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atmospheric environment has been extremely deteriorated due to various pollutants, and pollutants such as exhaust gas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due to an increase in traffic volume even in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 thereby threatening the health of drivers and passengers. Accordingly, an air purifier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of the vehicle in a more comfortable state is essentially installed in almost all vehicles.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purifier.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2)의 일측에는 공기 흡입구(2a)가 형성되고, 케이스(2)의 타측에는 공기 토출구(2b)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중간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2b)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는 송풍기(4)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2a)측에는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는 집진필터(6)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8)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취필터(8)를 지난 공기에 음이온은 가하는 음이온 발생기(10)가 상기 송풍기(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차량 실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는 팬수단과 상기 팬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가 공기 청정기 본체의 필터 수납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집진필터와 탈취필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A conventional air purifier comprises an air purifier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vehicle interior, a fan means for forcibly inhaling indoor air through the inlet,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by the fan means back into the room. And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installed in the filter storage room of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and a dust collecting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are sequentially installed.
이러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작동될 때, 상기 필터에 의한 흡기 저항이 발생되고, 이러한 문제점은 오랜 기간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흡기 저항이 더욱 증가되어 차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능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When such a conventional air purifier is operated by inhaling ai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a filter, intake resistance is generated by the filter, and this problem is that if the filte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intake resistance is further increased, and thus contamin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to purify the filtered air is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수회의 정화 단계로 공기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capable of improving an air purification effect throug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step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되며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한 후에 차량 실내로 배출하도록 상부 일측에 흡입구 및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공기가 유동하여 정화되는 정화부; 및 상기 정화부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와 분사노즐부에 의해 정화부에 분사되는 물이 접촉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배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using installed in a vehicle, each having an inlet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an upper side thereof so as to discharg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fter the air is introduced and purified, and water is fresh water therein; A purifying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paced above the water, and purifying by flowing air; And a spray nozzle part for spraying water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urification part. Including, a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water sprayed to the purification unit by the injection nozzle unit come into conta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collected by the water,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정화부는 하부에 수평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 격벽 상에는 중공인 구 형상의 충진재가 구비되어 있다.A horizontal partition wall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urification unit, and a hollow spherical filler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상기 수평 격벽 상에는 중공인 구 형상의 충진재가 구비되어 있다.A hollow spherical filler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상기 충진재의 외면에는 중공인 반구 형상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ler,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are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상기 토출구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어 있다.A discharge fan for discharging air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되도록 구동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구동과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모드설정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button unit for driving to supply or cut off power, a mode set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button unit and voltage application, and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복수회의 정화 단계를 거쳐 공기 청정 효과가 우수하다.First, the air cleaning effect is excellent throug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steps.
둘째, 부품수가 적고 가벼우며 콤팩트한 구조를 가진다.Second,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it is light and has a compact structure.
셋째, 공기 정화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Third, it can provide not only an air purification effect, but also a humidification effect.
넷째,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consumers by reducing the cost.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purifier.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schematic drawings for easy explan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implementation form.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는 차량에 설치되며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한 후에 차량 실내로 배출하도록 흡입구(112) 및 토출구(113)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공기가 유동하여 정화되는 정화부(120) 및 상기 정화부(12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와 분사노즐부(130)에 의해 정화부(120)에 분사되는 물이 접촉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고, 정화된 공기가 공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113)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흡입구(112) 및 상기 토출구(11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113)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팬(114)이 구비되어 있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구조이되, 상기 토출구(113)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에는 누수 방지 격벽(115)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있어 차량이 출발과 정지를 반복하여 물이 유동하는 경우에도 하우징(110) 내부에 담수되어 있는 물의 누수가 방지되고, 상기 흡입구(112)측으로는 상기 정화부(120)에 의해 물의 누수가 방지된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는 착탈식 결합구(116)와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착탈식 결합구(116)가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의 장착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착탈식 결합구(116)에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장착하거나 탈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 밸브(118)와 공급 밸브(119)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오염되기 전의 물은 상기 공급 밸브(119)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하고, 오염된 물은 상기 배출 밸브(118)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In this structure, 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화부(12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되, 각각의 상기 정화부(120)에는 중공인 구 형상의 복수개의 충진재(122)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정화부(120)는 하우징(11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urifying
여기서 상기 충진재(122)는 중공의 구 형상이며 외면에는 반구 형상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홈들(122-1)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정화부(120)에는 하부에 수평 격벽(124)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수평 격벽(124)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메시 구조가 바람직하다.In one specific example, a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로드 형상으로 복수개의 분사구가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일측으로 급수 파이프(14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급수 파이프(142)는 펌프(140)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14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분사구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132)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분사된다.In this structure,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는 버튼부(150)와, 모드설정 제어부(160)와, 배터리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내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The
상기 버튼부(150)는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에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동하고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의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스위치(152)와, 상기 모드스위치(152)가 이격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드스위치 커버부(15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스위치(152)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택트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택트 스위치는 누르는 순서에 의해서 스위치 기능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상기 택트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고 재차 길게 누르면 전원이 차단되며 짧게 누르면 모드가 변경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모드는 토출팬의 세기 또는 분사노즐부의 분사량 조절 등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모드설정 제어부(160)는 버튼부(150)의 구동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고 해당 모드에 맞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LED를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de
한편 상기 배터리부(170)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전원은 건전지, 충전지 및 어댑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이에 추가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물탱크(180)가 구비되어 있어 물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공급 밸브(119)와는 별도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이와 같은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버튼부(150)의 모드스위치(152)를 눌러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하도록 한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흡입구(112)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정화부(120)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되, 먼저 분사노즐부(130)의 분사노즐(132)로부터 상기 정화부(120)에 물이 분사되어 정화하면서 상기 정화부(120)에 충진되어 있는 중공인 구 형상의 복수개의 충진재(122)에 물이 흐르게 된다.Power is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충진재(122)에는 복수개의 오목홈들(122-1)이 형성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상기 충진재(122)에 흐르는 물과 접촉하여 정화되고, 이어서 하우징(110) 내측 하부에 물과 접촉하여 재차 정화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22-1 are formed in the
상기 정화부(120)는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어 있되, 흡입구(112)로부터 각각의 상기 정화부(120)에 공기가 유입되어 정화된다. 이와 같이 복수회 정화된 공기는 토출구(113)에 구비되어 있는 토출팬(114)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A plurality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의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200)는 차량에 설치되며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한 후에 차량 실내로 배출하도록 흡입구(112) 및 토출구(113)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공기가 유동하여 정화되는 정화부(120) 및 상기 정화부(12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와 분사노즐부(130)에 의해 정화부(120)에 분사되는 물이 접촉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13)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흡입구(11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 유동로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고, 여기서 상기 토출구(113)는 상방으로 배출하도록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112)로부터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에는 누수 방지 격벽(115)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누수를 방지한다.In one specific exampl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는 착탈식 결합구(116)와 결합되어 착탈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 밸브(118)와 공급 밸브(119)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물탱크(180)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화부(120)에는 중공인 구 형상의 복수개의 충진재(122)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정화부(120)에는 하부에 수평 격벽(124)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122)는 중공의 구 형상이며 외면에는 반구 형상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홈들(122-1)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low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로드 형상으로 복수개의 분사구가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일측으로 급수 파이프(14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급수 파이프(142)는 펌프(140)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14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분사구에 구비되어 있는 분사노즐(132)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분사된다.In this structure, the
또한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200)는 버튼부(150)와, 모드설정 제어부(160)와, 배터리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내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에 추가하여 상기 토출구(113)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팬(114)이 구비되어 있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며 다른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a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복수 단계를 통해 정화하므로 공기 청정 효과가 우수하고, 부품수가 적고 가벼우며 콤팩트한 구조를 가져 공기 정화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효과도 제공하며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contaminated air through a plurality of stages, so it has excellent air cleaning effect, has a small number of parts, is light, and has a compact structure to provide not only air purification effect but also humidification effect, and reduce cost. Thus, it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of consumer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s selected and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mong various possible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presented embodiments. ,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100: 차량용 공기 청정기
110: 하우징
112: 흡입구
113: 토출구
114: 토출팬
115: 누수 방지 격벽
116: 착탈식 결합구
118: 배출 밸브
119: 공급 밸브
120: 정화부
122: 충진재
122-1: 오목홈들
124: 수평 격벽
130: 분사노즐부
132: 분사노즐
140: 펌프
150: 버튼부
152: 모드스위치
154: 모드스위치 커버부
160: 모드설정 제어부
170: 배터리부
180: 물탱크
200: 차량용 공기 청정기100: car air purifier
110: housing
112: inlet
113: discharge port
114: discharge fan
115: leak-proof bulkhead
116: removable coupling
118: discharge valve
119: supply valve
120: purification unit
122: filler
122-1: recessed grooves
124: horizontal bulkhead
130: injection nozzle part
132: injection nozzle
140: pump
150: button part
152: mode switch
154: mode switch cover part
160: mode setting control unit
170: battery unit
180: water tank
200: car air purifier
Claims (5)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공기가 유동하여 정화되는 정화부; 및
상기 정화부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부는 하부에 수평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 격벽 상에는 중공인 구 형상의 충진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재의 외면에는 반구 형상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에는 누수 방지 격벽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담수되어 있는 물의 누수가 방지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와 분사노즐부에 의해 정화부에 분사되는 물이 접촉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물에 의해 포집되어 정화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A housing installed in a vehicle, each having an intake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discharge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after the air is introduced and purified, and water is fresh water therein;
A purifying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paced above the water, and purifying by flowing air; And
A spray nozzle part for spraying water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urification part; Including,
The purific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artition wall at the bottom, and a hollow spherical filler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concave inwardly in a hemispherical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ler,
In the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water leakage prevention partition wall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water stored in the hous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water sprayed to the purification unit by the injection nozzle unit contact each other,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collected by the water,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Car air purifier.
상기 토출구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fan for discharging air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Car air purifier.
상기 차량용 공기 청정기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되도록 구동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구동과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모드설정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button unit for driving to supply or cut off power, a mode set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and voltage application of the button unit, and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Car air purifi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842A KR102158020B1 (en) | 2019-07-09 | 2019-07-09 | Air clean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842A KR102158020B1 (en) | 2019-07-09 | 2019-07-09 | Air cleaner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8020B1 true KR102158020B1 (en) | 2020-09-22 |
Family
ID=7270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842A KR102158020B1 (en) | 2019-07-09 | 2019-07-09 | Air clean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802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5322Y1 (en) * | 2002-07-27 | 2002-12-05 | 보람이엔티 (주) | Sanitation apparatus of odor and noxious gas using ball venturi |
KR200399678Y1 (en) * | 2005-08-12 | 2005-10-26 | 정세군 | An air cleaner |
-
2019
- 2019-07-09 KR KR1020190082842A patent/KR1021580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5322Y1 (en) * | 2002-07-27 | 2002-12-05 | 보람이엔티 (주) | Sanitation apparatus of odor and noxious gas using ball venturi |
KR200399678Y1 (en) * | 2005-08-12 | 2005-10-26 | 정세군 | An air clea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9788B1 (en) | Combined air purifier combined with water washing and adsorption filtration | |
KR101791677B1 (en) | Wet air cleaner | |
KR20200107336A (en) | Multi-functional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1152015B1 (en) | air purifing apparatus with water | |
US20060102000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080013585A (en) | Ventilation unit with integrated wet air purifier | |
US20060230713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CN113587331A (en) | Liquid washing air purification sterilizer | |
KR20180107656A (en) | Air Cleaner | |
KR20190122357A (en) | Humidifier | |
KR20160090222A (en) | Air washer of portable type | |
KR102158020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US20060102001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0309268Y1 (en) | An air purifier by waterwashing | |
KR102042830B1 (en) | Wet air purifier | |
WO2006054849A2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101247807B1 (en) | Appratus for purifying indoor air of vehicle and baseplate used to the same | |
JP2006175336A (en) | Wet gas purifier | |
CN113944976B (en) | Household air purifier | |
KR20040019589A (en) | Apparatus for cleaning air using clean filter and oxygen generator | |
KR200396400Y1 (en) | Air cleaner | |
JP2004033939A (en) | Air cleaner | |
US20060102002A1 (en) | Cleaning unit for wet type air cleaner | |
CN210410155U (en) | UV photodissociation sprays deodorization tower | |
KR20110024656A (en) | Car air cleaner with telephone number display me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