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820B1 -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820B1
KR102157820B1 KR1020190155430A KR20190155430A KR102157820B1 KR 102157820 B1 KR102157820 B1 KR 102157820B1 KR 1020190155430 A KR1020190155430 A KR 1020190155430A KR 20190155430 A KR20190155430 A KR 20190155430A KR 102157820 B1 KR102157820 B1 KR 102157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mera
image
ptt
transmiss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형
Original Assignee
(주)제이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코어 filed Critical (주)제이코어
Priority to KR1020190155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820B1/ko
Priority to JP2020100940A priority patent/JP696838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카메라를 장착하지 않은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가 액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비디오 서버를 통해 영상 재생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IP-PTT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over the IP-PTT terminal}
본 발명은 무전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Internet Protocol-Push To Talk: IP-PTT, 이하 'IP-PTT'라 칭함) 장치는 이동통신 망에서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을 사용한 1:1, 1:N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음성 서비스는 IP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PTT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IP-PTT 장치에 제공하는 PTT 서비스이다. VoIP 서비스는 송수신기들 간에서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서 운반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이다. PTT 서비스는 다이얼 작업이나 전화 연결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송수신 전환 버튼인 PTT 버튼을 누르고 말함으로써 손쉽고 빠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IP-PTT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IP-PTT 장치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는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헬멧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가 내장되므로 단가가 올라가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장착 없이도 영상을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는 IP-PT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가 미장착된 IP-PTT 장치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은, IP-PTT 장치가 등록된 액션 카메라를 검색하여 검색된 액션 카메라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접속하는 단계와, 무선 접속된 액션 카메라에 요청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영상 전송을 위해 비디오 서버에 인증 요청하여 인증 받는 단계와, 액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모바일 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 전송방법은, 액션 카메라 검색을 위해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활성화 하는 단계는 서비스 기본 화면에서 클리어(CLEAR)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누르는 동작신호 입력을 통해 카메라 기능으로 바로 진입 가능하다.
무선 접속하는 단계에서, 등록된 액션 카메라가 없으면, 주변의 Wi-Fi AP 장치를 모두 검색하여 그 중 액션 카메라를 선택하고 인증암호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Wi-Fi 접속할 수 있다.
인증 받는 단계는, 영상 송신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와, 영상 송신기능 활성화에 따라 모바일 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에 카메라 SSID 및 서비스 ID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카메라 SSID 및 서비스 ID를 이용한 인증에 따라 비디오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액션 카메라로부터 UDP 포맷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의 형식에 맞게 TCP 포맷으로 변환한 후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전송방법은, 액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방법은, 영상 전송 도중에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면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송방법은, 비디오 서버가 영상 재생장치에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와, 영상 재생장치가 수신된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에 따르면, 영상 전송을 위해 IP-PTT 장치 내부에 카메라가 장착될 필요가 없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며 경제적이다. IP-PTT 장치 내부에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는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헬멧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는 헬멧에 액션 카메라를 부착하거나 주머니에 넣고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또한, 기존 액션 카메라를 Wi-Fi 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영상 전송이 가능하므로 카메라가 내장된 IP-PTT 장치보다 가격 경쟁력이 있다.
카메라는 내장되어 있지 않음에도 현장상황, 특히 재난이 발생한 경우 IP-PTT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상황을 음성통화와 함께 현장영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재난본부 등의 센터에서 이 현장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하여 음성통화를 통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상황을 대처하며 긴급구조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를 이용한 영상 전송을 위한 주체 간 정보 전송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Internet Protocol-push-to-talk: IP-PTT, 이하 'IP-PTT'라 칭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P-PTT 시스템(1)은 IP-PTT 장치(2), IP-PTT 서버(3), 액션 카메라(Action Camera)(4), 비디오 서버(Video server)(5) 및 영상 재생장치(6)를 포함한다.
IP-PTT 장치(2)는 이동통신 망에서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을 사용한 1:1, 1:N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2)에는 카메라는 내장되어 있지 않음에도 현장상황, 특히 재난이 발생한 경우 현장상황 영상을 음성통화와 함께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없는 IP-PTT 장치(2)에서 Wi-Fi 접속기능을 통해 액션 카메라(4)와 접속함에 따라 액션 카메라(4)에서 전송하는 영상을 수신한 후, 영상을 모바일 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5)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영상 재생장치(6)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비디오 서버(5)에 접속하여 IP-PTT 장치(2)에서 전송한 영상을 재생한다. 이 경우, 음성통화와 함께 현장의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본부 등의 센터에서 이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하여 음성통화를 통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상황을 대처하며 긴급구조를 받을 수 있다.
IP-PTT 장치(2) 내부에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는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헬멧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2)는 헬멧이나 주머니 등에 액션 카메라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기존 액션 카메라를 Wi-Fi 망으로 접속하여 영상 전송 기능이 제공되므로 카메라가 내장된 IP-PTT 장치보다 가격 경쟁력이 있다.
IP-PTT 서버(3)는 발신 IP-PTT 장치와 수신 IP-PTT 장치 간 호를 설정하고 음성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IP-PTT 장치 간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수신 IP-PTT 장치는 개별적일 수 있고 그룹 내 다수 개일 수 있다. IP-PTT 서버(3)는 IP-PTT 장치(2)에 발언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IP-PTT 장치(2)로부터 발언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IP-PTT 장치(2)와 호를 설정할 수 있다.
IP-PTT 장치(2)에 제공하는 음성통화 서비스는 IP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PTT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IP-PTT 장치(2)에 제공하는 PTT 서비스이다. VoIP 서비스는 송수신기들 간에서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서 운반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이다. PTT 서비스는 다이얼 작업이나 전화 연결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송수신 전환 버튼인 PTT 버튼을 누르고 말함으로써 손쉽고 빠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통화 송수신 전환 기능을 가진 PTT 버튼은 VOX(Voice activated Transmission) 기능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음성통화 서비스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 다른 통신 서비스로 확장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IP-PTT 장치(2)는 프로세서(100), 디스플레이(102), 입력부(104), 전원부(106), 이동통신 모듈(110), 무선통신 모듈(112), PMIC(114), 오디오 코덱(116), AMP(118), 마이크(MIC)(120), 스피커(SPK)(122) 및 메모리(1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02)는 서비스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멤버 리스트 확인과 선택 및 다양한 기능을 메뉴를 선택하여 제공한다. 디스플레이(102)는 TFT 컬러 LCD일 수 있다.
입력부(104)는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IP-PTT 장치(2)의 앞면, 옆면 등에 구비된 키(key), PTT 버튼, 음량 조절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음량조절 스위치는 회전형(Rotary) 스위치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하기 편리하다.
입력부(104)의 PTT 버튼이 눌림 상태이면 마이크(MIC)(120)를 통해 입력 받은 음성신호를 다른 IP-PTT 장치에 송신하며, PTT 버튼 눌림이 해제되면 다른 IP-PTT 장치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SPK)(122)를 통해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Audio Codec)(116)은 마이크(MIC)(120)를 통해 입력 받은 음성신호나 스피커(SPK)(122)를 통해 출력할 음성신호를 오디오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는 음성 데이터 압축 등이 있다.
이동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이동통신 망은 3세대 이동통신 망(3G), LTE(Long Term Evolution) 망, 4세대 이동통신 망(4G) 등일 수 있으며, 앞으로 도래할 모든 이동통신 망이 이에 해당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LTE 망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디오 서버(5)와 이동통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무선통신 모듈(112)은 무선통신 망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이때, 외부는 액션 카메라(4)일 수 있다. 무선통신 망은 Wi-Fi 망, 블루투스(Bluetooth) 망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Wi-Fi 망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 모듈(112)은 Wi-Fi 기능을 이용하여 Wi-Fi AP와 접속하여 IP-PT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액션 카메라(4)와 접속하여 카메라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IP-PTT 장치(2)는 이동통신 모듈(110)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LTE 클라이언트 단말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112)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Wi-Fi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다.
전원부(106)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거나, 자체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PMIC(Power Management IC)(114)는 전원(power)을 조정해주는 IC이다. 전원부(106)의 배터리 구동시간을 늘리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4)에는 IP-PTT 장치(2)의 동작 수행을 위한 정보 또는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된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124)의 예로서, DDR 메모리, 플래시(Flash) 메모리 등이 있다.
프로세서(100)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무선통신 모듈(112)을 이용한 액션 카메라와의 무선 접속, 영상 요청 및 수신, 이동통신 모듈(110)을 이용한 비디오 서버로의 영상 전송 등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0)의 영상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IP-PTT 장치 구성과 대비했을 때, 도 3의 프로세서(100)가 오디오 코덱(Audio Codec)이 내장되고 저전력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PTT 장치를 이용한 영상 전송을 위한 주체 간 정보 전송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IP-PTT 장치(2)가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되면, IP-PTT 서버(3)에 접속함에 따라 1:1, 1:N 음성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카메라가 미장착된 IP-PTT 장치(2)에서 영상을 전송하고자 하면, 사용자에 의해 IP-PTT 장치(2)에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서비스 기본 화면에서 클리어(CLEAR)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간) 누르는 동작 신호 입력에 따라 카메라 기능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영상 전송 도중에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면 1:1, 1:N 음성통화로 전환된다. 즉, 음성통화와 영상전송은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영상 전송을 위해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면, IP-PTT 장치(2)는 등록된 액션 카메라(4)를 검색한다(Wi-Fi Scan)(500). 등록된 액션 카메라(4)를 검색하면, IP-PTT 장치(2)는 검색된 액션 카메라(4)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이하 'SSID'라 칭함) 및 인증암호를 이용하여 Wi-Fi 접속한다(Wi-Fi Connect)(502). 만일 등록된 액션 카메라가 없으면, 주변의 Wi-Fi AP 장치를 모두 검색하여 그 중 액션 카메라를 선택하고 인증암호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Wi-Fi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액션 카메라(4)와 Wi-Fi 접속이 이루어지면, IP-PTT 장치(2)는 접속된 액션 카메라(4)에 영상전송 요청 메시지(VIDEO_REQUEST)를 전송한다(504). 그러면, 이를 수신한 액션 카메라(4)로부터 영상 데이터(VIDEO_DATA_CAMERA)를 수신한다(506). IP-PTT 장치(2)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VIDEO_DATA_CAMERA)를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에 맞도록 조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한 사용자에 의해 영상 송신기능이 활성화(508) 되면, IP-PTT 장치(2)는 모바일 망을 통해 인증요청(AUTH_REQUEST: Camera SSID, 서비스 ID) 메시지를 비디오 서버(5)에 송신한다(510). 인증요청 메시지에는 카메라 SSID와 서비스 ID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송신기능 활성화는 사용자가 비디오 전송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서버(5)로부터 인증이 이루어지면, IP-PTT 장치(2)는 비디오 서버(5)로부터 인증확인(AUTH_CONFIRM) 메시지를 수신한다(512).
이어서, IP-PTT 장치(2)는 액션 카메라(4)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비디오 서버(5)에 전송한다(514). 이때, 액션 카메라(4)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포맷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VIDEO_DATA_CAMERA)를 비디오 서버(5)의 형식에 맞게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포맷으로 변환(VIDEO_DATA_IPPTT)한 후 송신한다.
비디오 서버(5)는 IP-PTT 장치(2)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영상 재생장치(6)에 전송(516) 하며, 영상 재생장치(6)가 이를 재생한다. 영상 재생장치(6)는 PC나 스마트 폰 등으로, 브라우저(예: Chrome)에서 비디오 서버 주소, 포트, 서비스 ID를 입력하면 영상이 재생된다. 영상 재생장치(6)는 스마트폰, PC 등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IP-PTT 장치(2)는 액션 카메라(4)에 영상 종료 메시지(VIDEO_STOP) 메시지를 전송한다(518).
IP-PTT 장치(2)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는 현장에서 재난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IP-PTT 장치(2)가 액션 카메라(4)와의 Wi-Fi 연결을 통해 영상을 수신한 후 비디오 서버(5)를 통해 원격의 영상 재생장치(6)에서 재생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통화와 함께 현장의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본부 등의 센터에서 이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하여 음성통화를 통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상황을 대처하며 긴급구조를 받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카메라가 미장착된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Internet Protocol-Push To Talk: IP-PTT, 이하 'IP-PTT'라 칭함) 장치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에 있어서, IP-PTT 장치가:
    등록된 액션 카메라를 검색하여 검색된 액션 카메라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접속하는 단계;
    무선 접속된 액션 카메라에 요청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 전송을 위해 비디오 서버에 인증 요청하여 인증 받는 단계; 및
    액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모바일 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액션 카메라는 사용자에 부착하여 사용되고,
    클리어(CLEAR) 버튼 선택 시 카메라 기능 활성화를 통한 영상전송과, PTT 버튼 선택을 통한 음성통화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전송방법은
    액션 카메라 검색을 위해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활성화 하는 단계는
    서비스 기본 화면에서 클리어(CLEAR) 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누르는 동작신호 입력을 통해 카메라 기능으로 바로 진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접속하는 단계는
    등록된 액션 카메라가 없으면, 주변의 Wi-Fi AP 장치를 모두 검색하여 그 중 액션 카메라를 선택하고 인증암호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Wi-Fi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증 받는 단계는
    영상 송신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
    영상 송신기능 활성화에 따라 모바일 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에 카메라 SSID 및 서비스 ID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카메라 SSID 및 서비스 ID를 이용한 인증에 따라 비디오 서버로부터 인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을 비디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액션 카메라로부터 UDP 포맷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서버의 형식에 맞게 TCP 포맷으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전송방법은,
    액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전송방법은,
    영상 전송 도중에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면 음성통화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영상 전송방법은
    비디오 서버가 영상 재생장치에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영상 재생장치가 수신된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송방법.
KR1020190155430A 2019-11-28 2019-11-28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KR102157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0A KR102157820B1 (ko) 2019-11-28 2019-11-28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JP2020100940A JP6968388B2 (ja) 2019-11-28 2020-06-10 Ip基盤プッシュ・ツー・トーク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映像伝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0A KR102157820B1 (ko) 2019-11-28 2019-11-28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820B1 true KR102157820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430A KR102157820B1 (ko) 2019-11-28 2019-11-28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68388B2 (ko)
KR (1) KR102157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103A (ja) * 2001-03-19 2002-09-27 Nippon Hoso Kyokai <Nhk> 蓄積連続メディア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蓄積連続メディア転送プログラム
KR20060088758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ptt 화상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497021B1 (ko) * 2013-03-21 2015-03-02 (주)정직한기술 스마트폰을 이용한 ip 카메라 네트워크 설정방법
KR101600801B1 (ko) * 2014-12-30 2016-03-08 (주)사이버텔브릿지 Ptt 그룹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103A (ja) * 2001-03-19 2002-09-27 Nippon Hoso Kyokai <Nhk> 蓄積連続メディア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蓄積連続メディア転送プログラム
KR20060088758A (ko) * 2005-02-02 2006-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ptt 화상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497021B1 (ko) * 2013-03-21 2015-03-02 (주)정직한기술 스마트폰을 이용한 ip 카메라 네트워크 설정방법
KR101600801B1 (ko) * 2014-12-30 2016-03-08 (주)사이버텔브릿지 Ptt 그룹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8388B2 (ja) 2021-11-17
JP2021087214A (ja)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2778B (zh) 建立无线连接的方法及装置
CN109076561B (zh) 资源配置方法及装置
CN104980884B (zh) 信息传输方法以及信息传输装置
US201202361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forming User&#39;s Location
JP2009118474A (ja) 携帯電話装置及び腕時計型端末装置からなるシステム、携帯電話装置、及び腕時計型端末装置。
US10827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JP2002330099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をもつシステム
CN114128361B (zh) 定位参考信号配置方法及装置、用户设备、存储介质
CN109151619A (zh) 数据通信方法及装置
CN111385349B (zh) 通信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JP2005117141A (ja) 半二重無線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06684B1 (en)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KR102157820B1 (ko) 아이피 기반 푸시 투 토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전송방법
WO2020164052A1 (zh) 资源确定方法及装置
CN107528964B (zh) 通信系统、方法及装置
CN110213531B (zh) 监控录像处理方法及装置
EP4203409A1 (en) Method and devices for configuring device
JP4477079B2 (ja) 携帯電話装置
KR101476281B1 (ko)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49968A1 (zh) 一种组网方法、装置和系统
CN116981108B (zh) 无线投屏连接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37708B2 (en) Mobile telephone unit, informing method, and program
CN110945941B (zh) 标识发送、标识接收、信息发送方法和装置
EP4152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070059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