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04B1 -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04B1
KR102157604B1 KR1020180088908A KR20180088908A KR102157604B1 KR 102157604 B1 KR102157604 B1 KR 102157604B1 KR 1020180088908 A KR1020180088908 A KR 1020180088908A KR 20180088908 A KR20180088908 A KR 20180088908A KR 102157604 B1 KR102157604 B1 KR 10215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user
unit
atten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826A (ko
Inventor
백태규
Original Assignee
백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태규 filed Critical 백태규
Priority to KR102018008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출석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는 출결기록모듈과,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학습시간기록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서실 내에 구비되는 책상유닛,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목표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회원가입부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학습목표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여 분류별로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회원관리모듈과,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석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을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별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학습습관 분석부와,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Smart reading room management system for self-directed study}
본 발명은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하여 학습습관 및 학습능력을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관리를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유학기제, 플립러닝, 독서논술 열풍, 혼공족 등 자기주도 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교육 시스템 또한 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교육 및 독서실 관리 유형도 변화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단순히 독서실 내부에 의자와 책상으로 놓여지고, 개인의 자리가 책상 측면의 격벽에 의해 단순히 구분되어 형성된 독서실의 형태에 그쳤다.
2000년대 중반이후에는 토즈, 그린램프 등 카페형 시설이 적용된 일반 프리미엄 독서실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최근 개인 맞춤형 학습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독서실에서도 사용자 맞춤의 관리형 프리미엄 독서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독서실 시장의 최대 고객인 중고등학생을 비롯하여, 각종 고시와 공시, 전문자격증, 기업공채 등을 준비하는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과, 이에 더불어 자기계발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직장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는 이른바 샐러던트 등 성인들까지 학습 공간을 필요로 하면서 독서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독서실 이용에 있어 독서실 이용 공간, 사용자 맞춤 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독서실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개인 학습, 과외 학습, 그룹 스터디, 회의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전문화된 공간을 제공해주고자, 독서실의 차별화된 서비스 범위가 다각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독서실 관리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6056호와 같이 독서실 예약 관리 등 독서실 운영에 대한 기술기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용자의 학습관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학습관리를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석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는 출결기록모듈과,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학습시간기록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서실 내에 구비되는 책상유닛,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목표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회원가입부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학습목표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여 분류별로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회원관리모듈과,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석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을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별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학습습관 분석부와,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책상유닛은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학습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학습목표별로 대응되는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학습능력 평가콘텐츠가 학습목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별로 각 사용자의 학습목표에 대응되는 평가콘텐츠를 상기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학습단말기로 제공하는 평가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평가콘텐츠에 대한 답안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제공된 상기 평가콘텐츠에 대한 각 사용자의 학습능력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학습능력 분석부 및 상기 학습능력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능력 산출정보를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학습능력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능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출석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 분석정보 및 학습능력 산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순위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운영서버에 사용자의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독서실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습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학습습관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운영서버에 학습능력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학습능력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력 개선 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운영서버에 순위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을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거나 자신의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습관 및 학습능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습관 관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 관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 상에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제1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 상에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제2예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크게 책상유닛(100), 사용자단말기(200), 운영서버(300)를 포함한다.
우선, 책상유닛(100)은 사용자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서실 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하여 학습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출석정보가 기록되도록 하는 출결기록모듈(110)과,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이 구비된다.
출결기록모듈(110)은 사용자의 출석정보를 기록하여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출결기록모듈(110)은 사용자의 출석정보를 기록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지문인식기에 사용자의 지문이 인식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출석정보가 기록 및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출석정보는 출석일자, 출석시각, 소속독서실명, 독서실좌석번호와 더불어 해당사용자의 로그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로그인정보는 후술할 운영서버(300)의 회원관리모듈(310)의 회원가입부(311)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로그인정보로, 로그인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출결기록모듈(110)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출석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출결기록모듈(110)에 출석정보가 기록되어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운영서버(300)로 전송됨에 따라 운영서버(300)에 구비되는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1)에 각 사용자별로 출석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출결기록모듈(110)의 출석인증수단이 지문인식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로그인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은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시간정보는 사용자의 학습시작시각, 학습종료시각, 소속독서실명, 독서실좌석번호와 더불어 해당사용자의 로그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로그인정보는 후술할 운영서버(300)의 회원관리모듈(310)의 회원가입부(311)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로그인정보로, 로그인정보가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시간기록모듈(120)에 출석정보가 기록되어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운영서버(300)로 전송됨에 따라 운영서버(300)에 구비되는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2)에 각 사용자별로 학습시간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학습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기록할 수 있도록 버튼이 구비되는 스톱워치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은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앉아있는 의자의 좌석에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압력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학습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책상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졸거나 자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여 졸거나 자고 있는 동안은 학습시간으로 기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학습시간기록모듈(120)의 예시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학습시간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에 효과적인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함에 따라 학습시간을 기록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거나 휴식을 취한 시간을 학습시간에서 제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실제 학습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단말기(200)는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며, 사용자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출석정보, 학습정보 및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제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출석정보, 학습정보 및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학습습관을 확인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단말기(200)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별도의 버튼이나 키패드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에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입력부와 출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운영서버(300)는 크게 회원관리모듈(310)과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을 포함한다.
우선, 회원관리모듈(310)은 회원가입부(311)와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2)를 포함한다.
회원가입부(311)는 사용자단말기 또는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2)는 회원가입부(31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회원 가입시 입력되는 사용자정보는 성명, 학습목표, 로그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목표는 사용자의 학습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학습목표는 다수의 전문자격시험명, 공무원시험, 수능시험, 학년명을 포함하는 학습목표군 중에서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어 지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정보는 사용자가 독서실을 이용할 때 출결사항 및 학습시간 체크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 사용자의 성명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설정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이루어지거나, 지문과 같은 생체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은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1),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2), 학습습관 분석부(323) 및 학습습관정보 제공부(324)를 포함한다.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1)는 책상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출석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2)는 책상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학습시간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사용자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학습습관 분석부(323)는 사용자별로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1) 및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322)에 저장된 출석정보 및 학습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을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으로, 생성되는 학습습관 분석정보는 출결사항인 주간 출석일자, 주간 출석률, 월간 출석일자, 월간 출석률, 연간 출석일자, 연간 출석률을 포함하고, 학습시간인 일간 총 학습시간, 주간 누적 학습시간, 주간 평균 학습시간, 월간 누적 학습시간, 월간 평균 학습시간, 연간 누적 학습시간, 월간 누적 학습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습관 관리모듈은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분석옵션 설정부(32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옵션 설정부(326)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됨으로써 분석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례로 분석옵션은 분석항목과 분석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항목은 출석률, 출석일자, 평균 학습시간, 누적 학습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분석구간은 일간, 주간, 월간, 연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옵션을 다중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학습습관정보 제공부(324)는 사용자의 학습습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습관 분석부(323)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학습습관 분석정보에 대한 제공요청이 있는 경우에 학습습관 분석부(323)에서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은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 설정부(327)를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에 따라서 설정된 제공옵션에 해당되는 때에 자동적으로 학습습관 분석부(323)에서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은 제공시각, 제공주기, 제공요일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 설정부(327)를 통해 사용자가 제공주기는 매일, 제공시각은 오후9시로 제공옵션을 설정한 경우에는, 매일 기설정된 오후9시 마다 학습습관 분석정보가 생성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시로,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이 제공주기는 매주, 제공요일은 일요일, 제공시각은 오후9시로 설정된 경우에는, 매주 일요일 오후9시마다 학습습관 분석정보가 생성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생성부(3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람 생성부(325)는 사용자가 올바른 학습습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또는 기설정 되는 주기마다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기설정되는 알람 생성기준과 비교하여, 생성된 학습습관 분석정보가 알람 생성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학습습관 개선 유도를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람 생성기준은 특정 한계값으로 이루어지거나, 특정 한계범위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한계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습습관 분석정보의 상세 종류별로 대응되는 알람 생성기준이 정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알람 생성기준이 복수의 한계범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한계범위별로 생성되는 알람의 내용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알람 생성기준의 복수의 한계범위로 이루어지는 경우, 학습습관 관리모듈(320)는 한계범위별로 대응되는 학습습관 개선 유도를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분류되어 저장되는 알람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328)를 더 포함하여, 학습습관 분석정보와 알람 생성기준을 비교한 결과 알람 생성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알람 생성기준 중 해당하는 한계범위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알람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328)에서 추출하여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례로, 학습습관 분석정보는 월간 출석률을 포함하고, 월간 출석률에 대응되는 알람 생성기준은 출석률 95%이상, 70%이하부터 50%초과, 50%이하로 구성되는 경우, 알람 생성부(325)는 매일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의 월간 출석률을 해당 알람 생성기준과 비교하여, 월간 출석률이 95%이상인 경우에는 높은 출석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칭찬 및 응원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람을, 월간 출석률이 70%이하부터 50%초과하는 경우에는 출석률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한 주의를 주는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람을, 월간 출석률이 50%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출석률 개선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경고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람이 생성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운영서버(300)에 사용자의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을 포함함으로써, 독서실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습관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학습습관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크게 책상유닛(100), 사용자단말기(200), 운영서버(300), 학습단말기(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책상유닛(100), 사용자단말기(200)와, 운영서버(300)의 회원관리모듈(310)과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의 기능, 동작특성 및 구조는, 도 1을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책상유닛(100), 사용자단말기(200)와, 운영서버(300)의 회원관리모듈(310)과 학습습관 관리모듈(320)의 기능, 동작특성 및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학습단말기(130)을 포함하여,
학습단말기(130)은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휴대단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며, 학습단말기(130)에는 사용자의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학습단말기(130)에 기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의 운영서버(300)는 학습능력 관리모듈(330)과 순위정보 생성모듈(34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능력 관리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능력 관리모듈(330)은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331), 평가콘텐츠 제공부(332), 학습능력 분석부(333), 학습능력정보 제공부(334)를 포함한다.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331)는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학습능력 평가콘텐츠가 저장되는 것으로, 학습목표별로 각 학습목표에 대응되는 학습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각 학습목표에 따라 문제수, 문제 난이도, 문제 내용으로 구성되는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콘텐츠 제공부(332)는 사용자가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사용자의 학습목표에 대응되는 평가콘텐츠를 추출하여 학습단말기(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학습능력 분석부(333)는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단말기(1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콘텐츠에 대한 답안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각 사용자의 학습능력 산출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학습능력 산출정보는 제공된 평가콘텐츠에 대한 정답여부, 정답률, 획득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능력정보 제공부(334)는 학습능력 분석부(333)에서 생성된 학습능력 산출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학습능력 관리모듈(330)은 평가콘텐츠별로 대응되는 보충학습자료가 저장되는 보충자료 데이터베이스부(335)를 더 포함하여, 학습능력정보 제공부(334)는 학습능력 분석부(333)에서 생성된 학습능력 산출정보에 따라 정답여부가 오답으로 분석된 평가콘텐츠에 대응되는 보충학습자료를 추출하여 학습능력 산출정보와 함께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위정보 생성모듈(340)은 순위정보 생성부(341), 순위생성옵션 설정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순위정보 생성부(341)는 출석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 분석정보 및 학습능력 산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학습단말기(13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순위정보는 순위정보 생성부(341)에서 생성되는 순위정보는 출석률 순위, 일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주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주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월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월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연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연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각 순위정보는 전체 사용자, 학습목표별 사용자, 소속독서실별 사용자 등으로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위생성옵션 설정부(342)는 사용자들의 순위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단말기(13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들의 순위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례로 순위생성옵션은 분석항목, 분석구간, 분석대상독서실, 학습목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분석항목은 출석률, 출석일자, 평균 학습시간, 누적 학습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분석구간은 일자, 주간, 월간, 연간을 포함할 수 있고, 분석대상독서실은 해당 독서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독서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옵션을 다중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순위정보 생성부(341)에서는 순위생성옵션 설정부(342)에서 설정되는 순위생성옵션에 따라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순위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200) 상에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제1예시도로, 도 5에서는 순위생성옵션 설정부(342)에서 분석구간은 월간, 분석항목은 누적 학습시간, 분석대상독서실은 전체, 학습목표는 전체로 선택된 경우의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내며, 도 3을 통해 선택된 월간, 본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을 운영중인 독서실 전체 사용자들의 누적 학습시간 순위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200) 상에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제2예시도로, 도 6에서는 순위생성옵션 설정부(342)에서 분석구간은 월간, 분석항목은 누적 학습시간, 분석대상독서실은 소속독서실만, 학습목표는 전체로 선택된 경우의 순위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내며, 도 4를 통해 선택된 월간, 사용자가 사용 중인 소속독서실 사용자들의 누적 학습시간 순위를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운영서버(300)에 사용자의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320)과,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능력 관리모듈(330)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학습능력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능력 개선 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학습습관과 학습능력 두 가지 모두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상태를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은 순위정보 생성모듈(340)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을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거나 자신의 학습습관과 학습능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어 사용자가 학습 효율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책상유닛
110 : 출결기록모듈
120 : 학습시간기록모듈
130 : 학습단말기
200 : 사용자단말기
300 : 운영서버
310 : 회원관리모듈
311 : 회원가입부
312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
320 : 학습습관 관리모듈
321 :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
322 :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
323 : 학습습관 분석부
324 : 학습습관정보 제공부
325 : 알람 생성부
326 : 분석옵션 설정부
327 :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 설정부
328 : 알람메시지 데이터베이스부
330 : 학습능력 관리모듈
331 :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
332 : 평가콘텐츠 제공부
333 : 학습능력 분석부
334 : 학습능력정보 제공부
335 : 보충자료 데이터베이스부
340 : 순위정보 생성모듈
341 : 순위정보 생성부
342 : 순위생성옵션 설정부

Claims (3)

  1. 사용자의 출석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는 출결기록모듈과,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학습시간기록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독서실 내에 구비되는 책상유닛;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 또는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목표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회원가입부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학습목표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여 분류별로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회원관리모듈과,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출석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책상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출석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시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결사항과 학습시간을 통계 분석하여 사용자별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학습습관 분석부와,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습관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책상유닛은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기기로 이루어지는 학습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학습목표별로 대응되는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학습능력 평가콘텐츠가 학습목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별로 각 사용자의 학습목표에 대응되는 평가콘텐츠를 상기 평가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학습단말기로 제공하는 평가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평가콘텐츠에 대한 답안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제공된 상기 평가콘텐츠에 대한 각 사용자의 학습능력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학습능력 분석부 및 상기 학습능력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능력 산출정보를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학습능력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능력 관리모듈과,
    상기 출석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 분석정보 및 학습능력 산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순위정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습관 관리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됨으로써 상기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옵션을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석옵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옵션은
    출석일자, 출석률, 평균 학습시간, 누적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분석항목과, 일간, 주간, 월간, 연간을 포함하는 분석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습관 관리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은 제공주기, 제공요일, 제공시각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습관정보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학습습관정보 제공옵션에 따라 설정된 제공옵션에 해당되는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학습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학습습관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학습습관 분석정보는
    주간 출석일자, 주간 출석률, 월간 출석일자, 월간 출석률, 연간 출석일자, 연간 출석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결사항에 관한 정보와,
    일간 총 학습시간, 주간 누적 학습시간, 주간 평균 학습시간, 월간 누적 학습시간, 월간 평균 학습시간, 연간 누적 학습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순위정보 생성모듈은
    출석정보, 학습시간정보, 학습습관 분석정보 및 학습능력 산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순위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정보는 출석률 순위, 일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주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주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월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 월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연간 평균 학습시간 순위, 연간 누적 학습시간 순위를 포함하며,
    상기 순위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학습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아 사용자들의 순위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순위생성옵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생성옵션은 분석항목, 분석구간, 분석대상독서실, 학습목표를 포함하고,
    상기 순위생성옵션의 분석항목은 출석률, 출석일자, 평균 학습시간, 누적 학습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순위생성옵션의 분석구간은 일자, 주간, 월간, 연간을 포함하고,
    상기 순위생성옵션의 분석대상독서실은 해당 독서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독서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학습목표는 사용자의 학습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로, 다수의 전문자격시험명, 공무원시험, 수능시험, 학년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8908A 2018-07-31 2018-07-3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10215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08A KR102157604B1 (ko) 2018-07-31 2018-07-3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08A KR102157604B1 (ko) 2018-07-31 2018-07-3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26A KR20200013826A (ko) 2020-02-10
KR102157604B1 true KR102157604B1 (ko) 2020-09-18

Family

ID=6962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08A KR102157604B1 (ko) 2018-07-31 2018-07-3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025A (ko) 2020-06-12 2021-12-22 민성윤 스터디 카페 회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4081B1 (ko) * 2020-08-04 2021-04-01 (주)김엄마교육 하이브리드 IoT 독서실용 관리형 체어 및 이를 이용한 독서실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404882B1 (ko) * 2021-06-22 2022-06-02 최성백 스마트 스탠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15B1 (ko) * 2008-07-08 2010-10-26 주식회사 글맥학원 책상형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47A (ko) * 2003-09-19 2003-10-08 (주)엘프텍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사이버 교육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1291A (ko) * 2013-05-03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학습 플랫폼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824478B1 (ko) * 2016-04-22 2018-02-01 윤효섭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학습집중시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15B1 (ko) * 2008-07-08 2010-10-26 주식회사 글맥학원 책상형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26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chardt Quasi-experimentation: A guide to design and analysis
Allen et al. Single item measures in psychological science
Smith Evaluating the quality of work-integrated learning curricula: A comprehensive framework
Hayman et al. Spirituality among college freshmen: Relationships to self‐esteem, body image, and stress
Aelterman et al. The well‐being of teachers in Flanders: the importance of a supportive school culture
Brown et al. Measuring the intrinsic impacts of arts attendance
Listwan et al. Recidivism among a white-collar sample: does personality matter?
Bryant The effects of involvement in campus religious communities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and development
KR102157604B1 (ko)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독서실 관리 시스템
Ferreira da Silva et al. From party to leader mobilization? The personalization of voter turnout
Abrar-ul-Hassan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roblematic Use of Facebook among University Students
US20100120012A1 (en)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contents
Wilson et al. The role of expectations in adolescent schooling choices: Do youths respond to economic incentives?
US200902804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teractive educational displays
Carr et al. City siz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Reassessing the contingent effects of residential location decisions within urban regions
Wind et al. Exploring the effects of rater linking designs and rater fit on achievement estimates within the context of music performance assessments
Sischka et al. Further evidence for criterion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Luxembourg Workplace Mobbing Scale
US11468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ensus hub in resource constrained regions
Sloane et al. Value-added models of teacher and school effectiveness in Ireland: wise or otherwise?
Song et al. Social Class, Ingroup–Outgroup Comparison, and Citizen Evaluations: Is User Satisfaction Linked to Outcome Disparities?
Sudulich et al. Wired voters: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voters’ electoral uncertainty
Xi Validating TOEFL® iBT Speaking and setting score requirements for ITA screening
Hatcher et al. The IIS–32: A brief inventory of interpersonal strengths
VERNON Questionnaires, Attitude Tests, and Rating Scales
KR20200013825A (ko) 사용자의 학습습관 개선을 유도하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