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41B1 -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 Google Patents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41B1
KR102157341B1 KR1020200079098A KR20200079098A KR102157341B1 KR 102157341 B1 KR102157341 B1 KR 102157341B1 KR 1020200079098 A KR1020200079098 A KR 1020200079098A KR 20200079098 A KR20200079098 A KR 20200079098A KR 102157341 B1 KR102157341 B1 KR 10215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measuring device
wear
wear measur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고창익
한영칠
Original Assignee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모베나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 F16C17/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positions, e.g. for preventing overheating, for safety
    • F16C17/246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with devices affected by abnormal or undesired positions, e.g. for preventing overheating, for safety related to wear, e.g. sensors for measuring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의 후미에 설치되어 배의 조향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러더스톡; 물의 저항을 받도록 좌우측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러더스톡과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 원형의 중공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러더스톡과 결합되는 러더트렁크; 및 상기 러더스톡 및 러더트렁크의 결합간에 위치되는 넥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러더트렁크는 상기 넥베어링과 동일한위치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 및 상기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마모측정장치; 를 포함하는 러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RUDDER HAV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EAR OF RUDDER BEARING}
본 발명은 러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넥 베어링의 마모량 측정자치가 구비된 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들을 위한, 큰 러더들의 경우에, 러더가 완전한 스페이드 러더로 설계될 때, 러더스톡은 러더 트렁크의 수단에 의해 러더 블레이드의 내부 내로 안내되는 것은 알려져 있다. 또한, 러더 트렁크의 자유단에서 러더 베어링는 러더 트렁크 및 러더스톡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저널베어링은 러더 트렁크 및 러더스톡의 사이에서 다른 위치들에서 변경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널 베어링은 선박 운항 중 해수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저널 베어링에 대한 공차 관리와 성능의 이상유무는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러더의 작동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베어링은 회전체와 접촉부분이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베어링마모정도의 측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러더 블레이드의 분리가 필요하며, 수중에서 다이버에 의해서 복잡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수중 환경에 따라 측정부위에서 적정의 시계확보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측정부위에 대한 측정장비의 정상적인 진입이 매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측정정비를 사용함에 있어 작업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선행특허 10-2017-0007272는 샤프트, 특히 러더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 전기적인 베어링 클리어런스 측정 장치,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러더 그리고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닳음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마모를 측정하기 위해서 비파괴측정 방법 및 비분해측정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7272
본 발명의 목적은 러더에 있어서 넥 베어링이 마모된 정도를 결합된 부품을 모두 분해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넥 베어링 마모정도를 확인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되는 러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의 후미에 설치되어 배의 조향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러더스톡; 물의 저항을 받도록 좌우측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러더스톡과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 원형의 중공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러더스톡과 결합되는 러더트렁크; 및 상기 러더스톡 및 러더트렁크의 결합간에 위치되는 넥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러더트렁크는 상기 넥베어링과 동일한위치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 및 상기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마모측정장치; 를 포함하는 러더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더는 러더트렁크와 러더스톡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삽입된 마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마모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베어링의 교환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러더의 구성 전체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더트렁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측정장치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마모바삽입부의 다른 실시예로 러더트렁크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마모측정장치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마모측정장치의 헤드부의 상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마모측정장치의 하부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풀림방지장치의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 (b), (c), (d)는 도 6에 도시된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마모측정장치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러더는 배의 후미에 설치되어 배의 내부에 구비된 동력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러더스톡(100)과 내부에 결합되는 중공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는 러더트렁크(300)와, 러더스톡(100)의 끝단에 결합되어 좌우 조향되며, 좌우측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물의 저항을 받는 것이 용이하게 형성된 러더블레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러더트렁크(300)에는 한 개 이상의 마모측정장치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더는 러더스톡을 포함할 수 있다. 러더스톡(100)은 배의 후미에 설치될 수 있다. 러더스톡(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의 형태로 형성되면 배의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배의 러더스톡(100)는 배의 추진력이 발생되는 모터에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러더스톡(100)는 배에 구비된 동력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러더스톡(100)는 배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구동축이 될 수 있다. 이때, 동력장치(미도시)는 배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와 별개의 동력장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에 구비된 동력장치(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러더스톡(100)는 회전동작 될 수 있다. 러더스톡(100)는 배를 조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 러더블레이드(2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러더스톡(100)와 러더블레이드(200)의 결합간에는 러더트렁크(300)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더트렁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더는 러더트렁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더트렁크(300)는 원통형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러더트렁크(300)는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원통형의 중공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러더트렁크(300)의 내부의 중공공간은 러더스톡(100)가 결합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터트렁크(300)의 내부공간은 러더스톡(10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러더트렁크(300)와 러더스톡(100)의 결합간에는 넥베어링(400)이 배치될 수 있다. 넥베어링(400)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베어링부재가 될 수 있다. 넥베어링(400)은 외주면이 러더트렁크(300)와 접촉되며 내주면은 러더스톡(100)과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넥베어링(400)의 내주면은 테플론소재로 코팅 및 제작될 수 있다.
러더트렁크(300) 및 넥베어링(400)에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는 러더트렁크(300) 및 넥베어링(400)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는 일 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측정장치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러더트렁크(300)에 형성된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는 삽입구(311), 나사체결부(312), 마모바삽입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11)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11)는 소정크기의 원통형의 공간형태가 될 수 있다. 삽입구(311)의 직경의 크기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의 외곽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311)의 공간의 높이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가 매립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311)는 원통형의 내주면(311a)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플랜지안착면(311b)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안착면(311b)은 원형의 형태로 중공이 있는 일측면이 될 수 있다. 플랜지안착면(311b)은 소정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안착면(312b)의 크기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의 플랜지부(5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안착면(311b)의 하부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원형 형태의 중공은 나사체결부(312)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체결부(312)의 상단에는 씰링안착부(312a)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안착부(312a)는 플랜지안착면(311b)과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안착부(312a)는 플랜지안착면(311b)의 원형 형태의 중공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링안착부(312a)는 씰링안착부외주면(A1)과 씰링안착부바닥면(A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안착부외주면(A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씰링안착부외주면(A1)이 형성하는 원의 크기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에 포함되는 씰링재(52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씰링안착부외주면(A1)의 높이는 씰링재(521)의 높이보다 소정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씰링안착부외주면(A1)의 높이는 씰링재(521)의 7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씰링안착부외주면(A1)의 높이는 러더가 사용되는 수중의 환경을 고려하여 씰링재(521)가 충분한 밀폐효과를 형성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링안착부외주면(A1)에 하단에는 수직하게 씰링안착부바닥면(A2)이 형성될 수 있다. 씰링안착부바닥면(A2)은 씰링재(521)가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안착부바닥면(A2)은 씰링재(521)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사체결부(312)에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면(312b)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가공면(312b)은 씰링안착부바닥면(A2)에 연결된 하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가공면(312b)은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가공면(312b)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가공면(312b)의 나사가공형태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 결합부(530)와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사체결부(312)의 하부에는 마모바삽입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바삽입부(313)는 후술할 마모측정장치(500)에 포함되는 마모바(53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모바삽입부(313)는 나사가공면(312b)의 하부의 중심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는 마모바삽입부의 다른 실시예로 러더트렁크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마모바삽입부(313)는 나사가공면(312b)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마모바삽입부(313)는 러더스톡(100)과 넥베어링(400)의 접촉의 편향성이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러더에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삽입되는 마모측정장치(5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a는 마모측정장치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500)는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510), 헤드부(510)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520) 및 플랜지부(520)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53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마모측정장치(500)의 헤드부(510)의 상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고하면, 헤드부(51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510)의 기둥형상의 높이는 삽입구(311)보다 소정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510)가 수중에서 외부영향에 의해 풀리는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부(510)는 상부면의 중심에 체결공구삽입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구삽입부(511)는 러더트렁크(300)에 마모측정장치(500)을 체결하는 공구가 삽입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체결공구삽입부(511)는 헤드부(510)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홈 또는 육각홈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체결공구삽입부(511)는 마모측정장치(500)를 러더트렁크(300)에 장착할 경우 사용되는 체결공구와 대응되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510)의 외주면은 치형면(512)이 형성될 수 있다. 치형면(512)은 소정길이의 원통형의 기둥형태의 헤드부(510)의 외주면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형면(512)은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치형홈(512a)이 형성될 수 있다. 치형홈(512a)은 마모측정장치(500)를 해제하는 작업 시 수중에서 사용되는 사용되는 부품의 특성상 염분이나 수중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체결공구삽입부(511)의 형태가 변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치형홈(512a)는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해제하는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렌치와 같은 공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헤드부(510)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부(510)에 형성된 치형홈(512a)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형홈(512a)은 사각홈 또는 부분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형홈(512a)은 치형면(51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510)의 하단에는 플랜지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520)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와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플랜지부(520)는 소정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된 원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520)의 직경은 헤드부(510)의 직경보다 소정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520)는 플랜지안착면(311b)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520)의 두께는 마모측정장치(500)가 러더트렁크(300)에 체결될어 지지될 경우 변형 또는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520)의 두께는 헤드부(510)의 높이와 더해져 삽입구(311)보다 소정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모측정장치(500)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체결되어 매립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520)의 하부면의 일측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씰링재(521)가 결합될 수 있다. 씰링재(521)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재(521)는 원형 또는 사각홈의 단면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씰링재(521)는 플랜지부(520)와 결합부(530)의 경계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씰링재(521)는 마모측정장치(500)의 결합될 경우 씰링안착부(312a)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씰링재(521)는 마모측정장치(500)가 체결되며 압착될 수 있다. 씰링재(521)의 압착된 크기는 원크기의 약70%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러더의 사용환경에 따라 설계된 씰링안착부에 따라 씰링재의 압착정도는 가변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520)의 하단에는 결합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의 나사체결부(312)에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결합면(53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면(531)은 나사체결부(312)의 나사가공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면(531)이 형성된 높이는 마모측정장치(500)가 체결되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면(531)의 높이는 나사체결부(312)와 결합될 경우 러더트렁크(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면(531)은 나사체결부(312)와 결합되어 씰링재(521)가 약70%의 크기로 압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30)는 결합부(530)의 하부면에 마모바삽입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c는 마모측정장치의 하부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마모바삽입부(313)는 결합면(531)이 형성된 결합부(5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바삽입부(313)는 마모바(533)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모바삽입부(313)는 결합부의 중심에 한 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러더스톡(100)과 넥베어링(400) 사이의 편향접촉을 확인하기위해 마모바삽입부(313)는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대칭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바삽입부(313)는 마모바(533)와 대응되는 형태의 공간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바삽입부(313)에 결합되는 마모바(53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모바(533)는 사각기둥, 팔각기둥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형성한다면 어떠한 형상도 무방하다. 마모바(533)의 재질은 태플론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모바(533)는 테플론소재 뿐만 아니라 넥베어링(400)의 내주면(400a)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마모바(533)의 길이는 마모바삽입부(313)에 결합되어 러더트렁크(300)의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바(533)의 돌출된 끝단은 넥베어링(400)의 내측면과 같은 위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모측정장치(500)가 러더트렁크(300)에 결합될 경우 마모바(533)의 끝단은 넥베어링(400)의 내측면과 같도록 위치되며 러더스톡(100)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는 풀림방지장치(600)가 배치될 수 있다. 풀림방지장치(600)는 마모측정장치(500)가 러더트렁크(3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풀림방지장치(600)는 삽입구(311)에 일측면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풀림방지장치(600)는 삽입구(311)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풀림방지장치(600)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의 삽입구(311)의 일측에는 후퇴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후퇴홈(314)은 풀림방지장치(600)가 후퇴이동될 경우 인입되어 안착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후퇴홈(314)은 소정공간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후퇴홈(314)은 풀림방지장치(600)에 대응되는 형태의 공간이 될 수 있다. 후퇴홈(314)은 후술할 풀림방지장치(60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퇴홈(314)은 일측에 이퀄라이징유로(3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퀄라이징유로(315)는 풀림방지장치(600)의 후퇴이동 시 물이 밀려 이동되는 후퇴홈(314)의 후방으로 개방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이퀄라이징유로(315)는 후퇴홈(314)이 개방된 측면의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러더트렁크(3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저항이 적어져 풀림방지장치(600)의 후퇴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도 5b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풀림방지장치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고하면, 풀림방지장치(600)는 삽입구(31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장치(600)는 4개가 상하좌우에 삽입구(311)에 수직한 형태로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풀림방지장치(600)는 러더가 사용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개수와 배치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풀림방지장치(600)는 도 5b의 아래 그림과 같이 일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풀림방지장치(600)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마모측정장치(500)의 치형면(512)에 형성된 치형홈(512a)은 이와 대응되어 상하 소정각도로 경사진 대각선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풀림방지장치(600)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수직하게 작용되는 외력의 영향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소정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의 풀림방지장치(600)는 후술할 풀림방지판(620)의 접촉단부분이 고정단부분보다 소정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넓어진 풀림방지판(620)의 단부는 소정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직선형태의 경로로 삽입되는 마모측정장치(500)에 의해 후퇴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배치되는 풀림방지장치(600)는 토션스프링(610) 및 풀림방지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610)은 중심부에 소정의 권취부분이 형성되며 양끝에 소정길이의 직선형태로 형성된 일단(610a) 및 타단(61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610)의 일단(610a) 및 타단(610b)은 권취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션스프링(610)은 일단(610a)이 삽입구(311)의 일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토션스프링(610)의 고정된 일단(610a)은 삽입구(311)에 매립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610)의 타단(610b)은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삽입구(311)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단(610b)의 길이는 삽입구(311)의 높이보다 소정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단(610b)의 길이는 마모측정장치(500)가 결합되어 헤드부(510)의 치형홈(512a)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토션스프링(610)의 타단(610b)은 풀림방지판(620)과 결합될 수 있다. 풀림방지판(620)은 토션스프링(610)과 결합되어 일측이 삽입구(311)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풀림방지판(620)은 소정두께의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판(620)은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풀림방지판(620)의 두께는 풀림방지장치(600)의 치형면(512)에 형성된 치형홈(512a)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풀림방지판(620)의 치형홈(512a) 접촉되는 모서리는 곡단부(620a)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c는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c를 참고하면, 곡단부(620a)는 부분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곡단부(620a)의 크기는 치형홈(512a)과 대응되어 소정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단부(620a)는 마모측정장치(500)의 치형면(512)에 형성된 치형홈(512a)에 삽입 및 접촉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곡단부(620a)는 치형면(512a)에 치형구조와 같이 삽입되어 상호보완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단부(620a)는 부분 구체의 형태로 인해 마모측정장치(500)를 체결 또는 풀림작업에 곡단부(620a)의 저항없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반면, 마모측정장치(500)의 외측면에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의 (a), (b), (c), (d)는 도 6에 도시된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마모측정장치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500)는 결합부(530)가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500)는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모측정장치(500)의 플랜지부(520)는 풀림방지판(620)과 접촉하며 회동되도록 후퇴이동될 수 있다. 이때, 풀림방지판(620)은 측면에 구비된 후퇴홈(314)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500)의 삽입이 더 진행될 경우 풀림방지판(620)은 토션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치형홈(512a)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복귀될 수 있다. 도 6의 (d)를 참고하면, 마모측정장치(500)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와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5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씰링재(521)는 압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더는 러더에 포함되는 러더트렁크와 러더스톡의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마모측정장치삽입부에 삽입된 마모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마모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베어링의 교환주기를 파악하기위해 러더의 구성 전체를 분해작업 없이 작업이 가능하여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도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러더스톡 200 : 러더블레이드
300 : 러더트렁크 310 : 마모측정장치삽입부
311 : 삽입구 312 : 나사체결부
313 : 마모바삽입부 400 : 넥베어링
500 : 마모측정장치 510 : 헤드부
520 : 플랜지부 530 : 결합부
533 : 마모바

Claims (5)

  1. 배의 후미에 설치되어 배의 조향을 위한 동력이 전달되는 러더스톡(100);
    물의 저항을 받도록 좌우측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러더스톡(100)와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200);
    원형의 중공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러더스톡(100)와 결합되는 러더트렁크(300); 및
    상기 러더스톡(100) 및 러더트렁크(300)의 결합간에 위치되는 넥베어링(400); 을 포함하며
    상기 러더트렁크(300)는
    상기 넥베어링(400)과 동일한위치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 및
    상기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마모측정장치(500); 를 포함하며
    상기 마모측정장치(500)는
    상단에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공구와 대응되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체결공구삽입부(5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치형홈(512a)이 복수개 형성되는 치형면(512)으로 형성되는 헤드부(510);
    상기 헤드부(5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소정 큰 원반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510)와 형성되는 높이가 상기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에 매립되도록 두께가 형성되는 플랜지부(520); 및
    상기 플랜지부(520)의 하단에 형성되며 높이가 상기 러더트렁크(300)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나사가공되는 결합면(531)으로 형성되며 결합부(530);
    상기 플랜지부(520)의 하부면의 일측에 결합되며 링형상의 탄성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520)와 상기 결합부(530)의 경계부분에 위치되는 씰링재(521); 및
    상기 결합부(530)의 하부면에 소정공간으로 형성되는 마모바삽입부(313)에 삽입되는 테플론 소재 또는 상기 넥베어링(400)의 내측소재로 형성되는 마모바(533)를 포함하며
    상기 마모측정장치(500)는
    상기 치형홈(512a)이 상기 치형면(512)에 상하로 연장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진 대각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러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모측정장치삽입부(310)는
    소정크기의 원통형의 공간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모측정장치(500)의 외곽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마모측정장치(500)가 매립될 수 있는 높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삽입구(311);
    상기 삽입구(311)의 하부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원형형태의 중공으로 상단에 상기 삽입구(311)와 소정의 단차형태로 형성되는 씰링안착부(312a)가 형성되며 내주면이 나사가공이 형성되는 나사체결부(312); 및
    상기 나사체결부(312)의 하부에 형성되며 한 개 이상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형상으로 배치되는 마모바삽입부(313)가 형성되는 러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모측정장치(500)는
    상기 마모바(533)가 결합되어 상기 러더트렁크(3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넥베어링(400)의 내측면과 같은 위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더.
  5. 삭제
KR1020200079098A 2020-06-29 2020-06-29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KR10215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98A KR102157341B1 (ko) 2020-06-29 2020-06-29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98A KR102157341B1 (ko) 2020-06-29 2020-06-29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41B1 true KR102157341B1 (ko) 2020-09-17

Family

ID=7270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98A KR102157341B1 (ko) 2020-06-29 2020-06-29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107U (ja) * 1983-11-24 1985-06-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ボルト締結部のシ−ル構造
JPS61199605U (ko) * 1985-06-04 1986-12-13
KR20130050927A (ko) * 2010-03-23 2013-05-16 반 데르 벨덴 발케마이어 게엠베하 선박용 방향타
KR20170007272A (ko) 2014-04-01 2017-01-18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샤프트, 특히 러더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 전기적인 베어링 클리어런스 측정 장치,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러더 그리고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닳음을 측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107U (ja) * 1983-11-24 1985-06-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ボルト締結部のシ−ル構造
JPS61199605U (ko) * 1985-06-04 1986-12-13
KR20130050927A (ko) * 2010-03-23 2013-05-16 반 데르 벨덴 발케마이어 게엠베하 선박용 방향타
KR20170007272A (ko) 2014-04-01 2017-01-18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샤프트, 특히 러더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 전기적인 베어링 클리어런스 측정 장치,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러더 그리고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닳음을 측정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529B2 (en) Detection of effort on a flight-control actuator
KR102332849B1 (ko) 샤프트, 특히 러더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 전기적인 베어링 클리어런스 측정 장치,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러더 그리고 샤프트 또는 러더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닳음을 측정하는 방법
JP4673410B2 (ja) スペードラダー
JP4938631B2 (ja) ロッド付アクチュエータ
KR20090067058A (ko)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위치 검출 장치
KR102157341B1 (ko) 베어링 마모량 측정장비가 구비된 러더
NO20131151A1 (no) System for tilstandskontroll
JP5993152B2 (ja) 長さ調節可能な船舶エンジン用タイバー
DE10228737A1 (de) Reifenzustandssensor für Luftreifen
CN102844236A (zh) 用于船的舵
CN104114446B (zh) 船舶的船舵装置及具备该船舵装置的船舶
KR20220071008A (ko) 볼팅 장치
US6863248B2 (en) Pipe support apparatus
KR101228050B1 (ko) 러더 캐리어 스러스트 베어링 마모량 측정 장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E4127683A1 (de) Sensor zum ermitteln der spannung einer materialbahn
CN107143690A (zh) 阀门位置传感器及智能定位器
KR20150039115A (ko) 선박용 러더
US20210025485A1 (en) Ball screw with a load condition feedback mechanism
CA3195012A1 (en) Steerable drilling device
JP2018141538A (ja) 軸力を検出するための締結ボルト装置
WO2013072688A2 (en) Improved clamping device
KR20200029401A (ko) 선박용 추진 나셀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 및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TMI20110286A1 (it) Chiave idraulica
KR200478615Y1 (ko) 블레이드 각도조절용 지그
KR20240053959A (ko) 용접 없이 러더의 회전이 차단 가능한 조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