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34B1 - 염도차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염도차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34B1
KR102157334B1 KR1020190058893A KR20190058893A KR102157334B1 KR 102157334 B1 KR102157334 B1 KR 102157334B1 KR 1020190058893 A KR1020190058893 A KR 1020190058893A KR 20190058893 A KR20190058893 A KR 20190058893A KR 102157334 B1 KR102157334 B1 KR 10215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lution
exchange membrane
ion exchan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조
황교식
김한기
남주연
최지연
한지형
좌은진
박순철
최영우
양승철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5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34B1/ko
Priority to PCT/KR2019/006194 priority patent/WO20200323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5Electro-chemical actuators; Actuators having a material for absorbing or desorbing gas, e.g. a metal hydride; Actuators using the difference in osmotic pressure between fluids; Actuators with elements stretchable when contacted with liquid rich in ions, with UV light, with a salt s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B01D61/46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염도차 발전부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 형태로 이온교환막의 적층구조를 적용하여 염도차 발전모듈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전극구조와 해당되는 용액의 유로를 개선함으로써 염도차 발전부의 전력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도차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서로 다른 염 농도를 갖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염도차 발전 전기를 생산하는 염도차 발전부를 포함하며, 염도차 발전부는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고 원주방향인 제2 방향으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중심부에서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1 전극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3 용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부,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서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되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와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서 서로 격리되는 이온교환막부, 그리고 본체부와 이온교환막부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와 이온교환막부 사이의 공극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도차 발전장치{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LINITY GRADIENT}
본 발명은 염도차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도차발전(salinity gradient power generation)은 농도가 다른 두 유체(예를 들어, 해수와 담수)의 혼합 과정에서 발생한 염 농도차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형태로 회수하여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역전기투석(RED, Reverse Electrodialysis)은 해수와 담수에 포함되어 이온화되어 있는 염의 농도차로 인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각각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을 통해 분리ㅇ이동하게 된다. 이때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사이에는 화학적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온교환막이 복수 개로 번갈아 배열된 양쪽 끝에 위치한 전극(양전극, 음전극)에서 이온교환막에 의해 발생된 전위차를 이용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전자의 이동 현상이 발생되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역전기투석 방식은 해수(염수)에 용해되는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해 담수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전환하는 발전방식으로 기존의 풍력, 태양광과 같은 발전 방식과 비교하여 부하 변동이 거의 없고, 이용률이 90% 이상인 발전장치이다. 다만, 역전기투석 방식의 염도차 발전장치를 실험실 수준의 소규모에서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발전 성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존 단위 염도차 발전부 스택(stack)의 조립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모듈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 극대화 및 대용량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염도차 발전부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 형태로 이온교환막의 적층구조를 적용하여 염도차 발전모듈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전극구조와 해당되는 용액의 유로를 개선함으로써 염도차 발전부의 전력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도차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서로 다른 염 농도를 갖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염도차 발전 전기를 생산하는 염도차 발전부를 포함하며, 염도차 발전부는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고 원주방향인 제2 방향으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중심부에서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1 전극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3 용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부,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서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되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와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서 서로 격리되는 이온교환막부, 그리고 본체부와 이온교환막부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와 이온교환막부 사이의 공극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전극과 이온교환막부를 지지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하는 제1 커버, 그리고 본체부의 하부에서 제1 커버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액은 본체부의 유입 측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유출 측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제2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커버는 적어도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는 적어도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는 적어도 유입 측부에 구비되어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 그리고 유출 측부에 구비되어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는 유입 측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제1 용액 유입부와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입과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유출 측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제1 용액 유출부와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는 이온교환막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는 이온교환막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며, 제1 유로와 제2 유로의 메인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 스페이서, 곡률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극 스페이서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전극 스페이서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전극, 제2 전극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제4 유로를 형성하며, 제3 유로의 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제3 용액이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유출하도록 안내하는 전극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전극체, 전극체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1 전극 지지체, 전극체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2 전극 지지체, 그리고 전극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을 갖고 접촉부로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부, 그리고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을 갖고 접촉부로부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전극 분리부를 포함하며, 전극 분리부는 제11 전극 분리부, 그리고 제11 전극 분리부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제12 전극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는 제11 전극 분리부와 제12 전극 분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체와 제12 전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커버부는 제11 전극체와 제12 전극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 커버부와 제12 전극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커버부는 적어도 제3 용액 유출부로부터 유출되는 제3 용액이 제4 유로로 유입되는 전극용액 유입부, 그리고 전극용액 유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한 제3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전극용액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에서 제1 전극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전극체, 전극체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1 전극 지지체, 전극체와 제1 전극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용액과 제3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커버부, 전극체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2 전극 지지체, 전극체와 제2 전극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용액과 제3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커버부, 그리고 전극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을 갖고 접촉부로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부,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을 갖고 접촉부로부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가이드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제1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제11 전극 분리부, 그리고 제11 전극 분리부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제1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제12 전극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커버부는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구멍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입 커버 본체,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유입홈과 연결되는 커버 유입홀을 갖는 제11 유입 커버 돌출부, 그리고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유입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 커버부는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구멍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출 커버 본체,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1 유출 커버 돌출부, 그리고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유출홈과 연결되는 커버 유출홀을 갖는 제12 유출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전극부를 통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전극부를 통해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제2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커버는 적어도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는 적어도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는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유입홈과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유입과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유출홈과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라 이온교환막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이온교환막부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량에 따라 회전하며 이온교환막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는 이온교환막부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동력에 반응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 그리고 일단이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온교환막부의 청소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온교환막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 지지부, 제1 회전 지지부의 외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 지지부, 그리고 제1 회전 지지부와 제2 회전 지지부 사이에 복수의 회전날개를 갖고 용액의 흐름에 연동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는 회전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액은 고농도 염이 3.0wt% 이상인 고농도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액은 저농도 염이 0.1wt% 이하인 저농도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용액은 제1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는 롤 형태로 감겨 적층될 수 있다.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교환막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용액과 제2 용액의 유로가 되는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표면에 유로 패턴을 갖는 패턴형 이온교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염도차 발전장치에 사용되는 염도차 발전부의 전극 구조와 이온교환막부의 적층구조와 용액 흐름관계를 개선하고, 이온교환막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염도차 발전부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전력 생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의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이온교환막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용액의 흐름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의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이온교환막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용액의 흐름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체부와 이물질 제거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체부와 이물질 제거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의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이온교환막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용액의 흐름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서로 다른 염 농도를 갖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염도차 발전 전기를 생산하는 염도차 발전부를 포함하며, 원통형의 롤 형태로 이온교환막의 적층구조를 적용하여 염도차 발전모듈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제3 용액이 유동되는 전극구조와 해당되는 용액의 유로를 개선함으로써 염도차 발전부의 전력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염도차 발전부는 본체부, 전극부, 그리고 이온교환막부(1120)를 포함하며, 제1 유로를 유동하는 제1 용액과 제2 유로를 유동하는 제2 용액의 염도차에 따라 제2 용액에 포함된 이온성물질이 이온교환막부(1120)를 통해 제1 용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액은 해수일 수 있으며, 제1 용액은 고농도 염이 3.0wt% 이상인 고농도 용액일 수 있다. 제2 용액은 담수일 수 있으며, 제2 용액은 저농도 염이 0.1wt% 이하인 저농도 용액일 수 있다. 즉, 제1 용액은 농도가 0.1wt% 이하인 용액의 사용이 가능하며, 제2 용액은 농도가 3.0wt% 이상인 모든 용액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제1 용액은 농도가 0.1wt% 이하인 용액의 사용이 가능하며, 제2 용액은 농도가 3.0wt% 이상인 모든 용액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제3 용액인 전극용액은 제1 용액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용액은 고농도 염수 및 페로시아나이드(Ferrocyanide: [Fe(CN)6]4-) 계열의 용액 또는 전해질 용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전극 케이스 내에 제1 전극(1110)을 결합한다(S10). 그리고 전극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이온교환막에 접착 필름을 바르면서 유로 형성을 위한 스페이서와 함께 이온교환막부(1120)를 롤 형태로 감으며 적층한다(S20). 이온교환막부(112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2개의 절개면(11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한다(S30). 이온교환막부(1120)에 구비되는 2개의 절개면(1120a)을 통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가 제2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유입되고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는 이온 교환막을 감는 두께가 증가할 경우, 제1 용액의 이동 거리가 늘어나 제2 용액과의 염도차이에 의한 성능 감소와 농도 분극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이 2개인 경우 절개면이 1개인 경우보다 제1 용액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염도차 발전장치의 발전 성능 향상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이온교환막부(1120)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부 마감부(1120b)와 하부 마감부를 구비하여 절개면(1120a)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마감처리한다(S40). 필요한 경우, 이온교환막부(1120)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이온교환막부(1120)에 구비되어 제1 유로와 제2 유로 이외의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는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을 본딩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제1 유로와 제2 유로 이외의 부분을 밀봉함으로써 각각의 유로를 통해서만 해당되는 용액이 흐르도록 실링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는 제3 유로 또는 제4 유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밀봉부를 적용함으로써 해당되는 용액 등이 각각 실링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 또는 전극부 내에서 해당되는 유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전극(1110)과 이온교환막부(1120)를 지지하는 형상을 갖고 이온교환막부(1120)를 감싸도록 본체 케이스(1220)를 결합한다(S50). 본체 케이스(1220)에는 절개면(1120a)과 연결되는 연결구멍(122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와 이온교환막부(1120)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1220)와 이온교환막부(1120) 사이의 공극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는 이온교환막부(11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와 본체 케이스(1220)를 조립할 때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 누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온교환막부(1120)의 상단과 하단에 오링을 이용하여 담수와 해수의 섞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지만 완벽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부(1120)와 본체 케이스(1220)의 조립시 발생된 공극은 레진(resin)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채우고, 경화시켜 이온교환막부(1120)와 본체 케이스(1220)가 완벽하게 실링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와 본체 케이스(1220) 사이의 공극을 레진(예를 들어, FRP, 고분자 접착제 등) 등으로 채워 실링할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1220) 재질과 레진 재질을 고려하여 접합성이 좋은 접착 필름으로 이온교환막부(1120)의 외주면을 한 번 더 감쌀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의 외주면에 전극 스페이서(1130)를 결합한다(S60). 전극 스페이서(1130)의 외주면에 제2 전극(1140)을 결합한다(S70). 제2 전극(1140)의 외주면에 전극 커버부(1150)를 결합한다(S80). 이어서, 제1 커버(1200)와 제2 커버(1300)를 결합한다(S90). 그리고 전극 커버부(1150)를 포함하여 본체부에 해당되는 유로를 연결하여 염도차 발전부를 형성한다(S100, S110).
본체부는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고 원주방향인 제2 방향으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는 본체 케이스(1220), 제1 커버(1200), 그리고 제2 커버(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1220)는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전극(1110)과 이온교환막부(1120)를 지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는 적어도 유입 측부에 구비되어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1224), 그리고 유출 측부에 구비되어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액은 본체부의 유입 측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1120)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유출 측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제2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1120)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커버(1200)는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커버(1200)는 적어도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1222),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200)에는 제2 용액이 유입되어 제2 유로로 안내되는 제2 용액 유입구멍, 제3 용액이 유입되어 안내되는 제3 용액 유입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커버(1300)는 본체부의 하부에서 제1 커버(12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커버(1300)는 적어도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1332),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1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1300)에는 제2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되는 제2 용액 유출구멍, 제3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되는 제3 용액 유출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부는 본체부의 중심부에서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전극(1110)과 제1 전극(111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1140)을 포함하며, 제3 용액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전극부는 전극 스페이서(1130), 전극 커버부(1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전극체(1112e), 전극체(1112e)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전극체(1112e)를 보호하는 제1 전극 지지체(1112d), 전극체(1112e)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전극체(1112e)를 보호하는 제2 전극 지지체(1112c), 그리고 전극체(1112e)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접촉부(1112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10)과 제2 전극(1140)은 내측 중심부와 외측에 각각 구비됨을 고려하여 전극 면적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제1 전극(1110)의 구조를 반응 면적이 극대화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접촉부(1112g)는 제1 전극(1110)의 외주면과 전극 구조체(1116) 사이에 구비되어 제3 유로를 흐르는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극 구조체(1116)는 실질적으로 이온교환막부(1120)와 접하는 부분이며, 필요에 따라 접촉부(1112g)를 전극 구조체(1116)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 구조체(1116)는 제1 전극(1110)을 보호하는 전극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112g)는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반응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중심부의 제1 전극(1110)과 외측의 제2 전극(1140) 간에 전극 면적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112g)는 제1 전극(1110)의 외주면에 접힌형상 또는 굴곡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형상, 해리컬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112g)를 폼(form) 또는 메쉬(mesh)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촉부(1112g)는 제1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10)의 분극 수량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전극(1110)은 접촉부(1112g)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전극(111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1 전극(1110)의 유지세정을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극체(1112e)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1112e1)을 갖고 접촉부(1112g)로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부, 그리고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1112e2)을 갖고 접촉부(1112g)로부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1112e)는 원통 모양의 유입 가이드부와 유출 가이드부의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유입구멍(1112e1)과 유출되는 유출구멍(1112e2)이 뚫려 있는 부분까지만 상단 및 하단에 홈이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용액의 흐름 방향을 살펴보면, 제3 용액은 제1 방향으로 흐르며 원통 모양의 유입 가이드부로 유입된다. 유입 가이드부의 유입구멍(1112e1)을 따라 제1 방향과 직각인 유입 가이드부의 외부 지름 방향으로 흘러 나가 접촉부(1112g)로 공급된다. 접촉부(1112g)로 공급된 제3 용액은 제1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산된다. 그리고 접촉부(1112g)에 공급된 제3 용액은 인접한 이온교환막 중 제1 전극(1110)과 인접한 차폐 분리막(shielding membrane)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촉부(1112g)와 차폐 분리막이 접촉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흘러 내려오는 제3 용액은 유출 가이드부의 유출구멍(1112e2)을 통해 유출 가이드부의 지름 내부 방향으로 유입된 후, 제1 방향의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의 형성시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흐름을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유로는 제1 방향의 상부로 유입되어 전극체(1112e)와 접촉부(1112g)를 통해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한 후 제1 방향의 하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전극체(1112e)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전극 분리부(1112f)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분리부(1112f)는 제11 전극 분리부, 그리고 제11 전극 분리부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제12 전극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1112e)는 제11 전극 분리부와 제12 전극 분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체와 제12 전극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지지체는 제1 전극(1110)을 보호하는 형상을 갖고 제1 전극(1110)의 상부와 하부에서 제1 전극(1110)을 보호하며 이온교환막부(1120)가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 지지체(1112d)와 제2 전극 지지체(1112c)는 실질적으로 이온교환막부(1120)가 감기는 부분이기 때문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부(1120)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 지지체(1112d)와 제2 전극 지지체(1112c)는 각각 해당되는 부분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전극체(1112e)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전극 스페이서(1130)는 이온교환막부(1120)의 외측에 구비되어 본체 케이스(1220)에 결합되며, 제1 유로와 제2 유로의 메인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스페이서(1130)는 제1 전극(1110)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1140)은 곡률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극 스페이서(1130)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전극 스페이서(11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1140)은 제1 전극(1110)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전극 커버부(1150)는 제2 전극(1140)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제4 유로를 형성하며, 제3 유로의 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제3 용액이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유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전극 커버부(11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전극(1110)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커버부(1150)는 제11 전극체와 제12 전극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 커버부와 제12 전극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커버부(1150)는 적어도 제3 용액 유출부(1336)로부터 유출되는 제3 용액이 제4 유로로 유입되는 전극용액 유입부(1154), 그리고 전극용액 유입부(1154)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한 제3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전극용액 유출부(1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온교환막부(1120)는 유입 측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제1 용액 유입부(1224)와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입과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유출 측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제1 용액 유출부(1334)와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는 제1 전극(1110)과 제2 전극(1140) 사이에서 제1 전극(1110)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되는 양이온교환막(CEM ; Cation Exchange Membrane)과 음이온교환막(AEM ; Anion Exchange Membrane)을 포함한 이온교환 막층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와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서 서로 격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온교환막부(1120)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교환막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용액과 제2 용액의 유로가 되는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온교환막부(1120)에서 이온교환막층은 음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양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액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온교환막층은 음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양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순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음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순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온교환막층은 양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양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조합을 1세트로 하며, 복수의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온교환막층은 음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양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조합을 1세트로 하여 나선(spiral)형으로 돌리면서 복수의 세트로 적층하면서 원통형 스택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용액 스페이서는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용액이 흐르는 통로인 제1 개구부의 양측벽이 가스켓 또는 접착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용액 스페이서는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용액이 흐르는 통로인 제1 개구부의 양측벽이 가스켓 또는 접착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스택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용액은 제1 개구부를 통해 원통형 스택의 원주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흐르며, 제2 용액은 제2 개구부를 통해 원통형 스택의 높이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온교환막부(1120)에서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은 가스켓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표면에 유로 패턴을 갖는 패턴형 이온교환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부(1120)는 평막형상의 이온교환막에 스페이서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방식과 패턴형 이온교환막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는 롤 형태로 감겨 적층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1개 또는 복수의 절개면(11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 개수에 따라 전극부의 수량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이 2개이면 전극부도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이 최소화되면 절단에 따른 조립 공정의 불편성 및 구조의 복잡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스택 조립의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와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서 서로 격리되어 구획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1120)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의 적층시 비 이온전도성의 아주 얇은 친수성의 다공성 필름을 이온교환막의 오염 저감층 또는 오염물질 방지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오염물질 방지층은 기공 크기가 10~50nm이고 두께가 1um 미만인 친수성이면서 기공성 지지체(Hydrophilic Porous substrate) 또는 코팅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오염물질 방지층은 음이온교환막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음이온교환막의 표면에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오염물질 방지층을 다공성 지지체로 형성함으로써 이온은 이온교환막쪽으로 확산시키고,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적층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염물질이 일부 적층되더라도 물리적 적층으로 후처리시 잘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음이온교환막의 표면 오염에 대한 방지 및 후처리 공정에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이온교환막부(1120)의 이온교환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염도차 발전부의 발전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 또는 패턴 이외에 모세관현상이 매우 잘 발생되는 구조의 지지체를 사용할 경우, 외부의 펌프 도움없이 지속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소형 파워 팩(power pack)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이온은 이온교환막쪽으로 확산시키고, 음이온성 오염물질의 적층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염물질이 적층되더라도 물리적 적층으로 후처리시 잘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는 휴지와 같은 종이, 친수성 직물, 부직포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펌프의 도움 없이도 용액 공급이 가능한 지지체를 일반 스페이서 대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충전식 원통형 스택(rechargeable stack)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적층되는 경우, 이온교환막층에서 마지막으로 제2 전극(1140)과 맞닿는 부분의 이온교환막은 제1 전극(1110)과 맞닿아 시작한 이온교환막과 동일한 이온교환막으로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교환막층은 양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음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순서로 구비된 조합으로 제1 전극(1110)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될 경우, 제1 전극(1110)과 맞닿는 이온교환막의 종류는 양이온교환막이 되며, 이 때에는 제2 전극(1140)에 맞닿는 이온교환막의 종류도 양이온교환막이 되도록 이온교환막을 적층할 수 있다. 또 다른 조합으로 음이온교환막, 제1 용액 스페이서, 양이온교환막, 제2 용액 스페이서의 순서로 구비된 조합으로 제1 전극(1110)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될 경우, 제1 전극(1110)과 맞닿는 이온교환막의 종류는 음이온교환막이 되며, 이 때에는 제2 전극(1140)에 맞닿는 이온교환막의 종류도 음이온교환막이 되도록 이온교환막을 적층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110) 및 제2 전극(1140)과 맞닿는 부분의 분리막인 차폐 분리막(shielding membrane)은 1가 이온(Na+, K+, Cl- 등) 선택성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1가 이온 선택성이 우수한 이온교환막을 사용하여 염분차 발전에 의한 전기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가 선택성이 없는 분리막을 이러한 차폐 분리막으로 사용할 경우, 차폐 분리막에 인접한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농도 용액에 다가 이온(Ca2+, Mg2+, Cl2- 등)이 다량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다가 이온의 이동이 1가 이온의 이동을 방해하며, 전극의 산화환원 반응(REDOX couple reaction, reduction-oxidation couple reaction)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극 쪽, 특히 캐소드가 되는 전극 부분에 유입된 다가 이온은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된 하이드록사이드(hydroxide, OH-)나 탄산(carbonate, CO3-)기와 반응하여 무기화합물(calcium carbonate, magnesium hydroxide 등)로 침전되어 전극 표면의 활성을 방해해서 전극의 성능을 감소시키고, 결국에는 스택의 발전 효율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1 전극(1110) 및 제2 전극(1140)과 맞닿는 부분의 차폐 분리막은 1가 선택성이 우수한 이온교환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원통형 스택의 조립 및 공급 구조를 간단히 형성하기 위해 제1 용액인 해수의 공급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본체부의 측면에서 2개의 절개면(1120a)을 갖는 이온교환막부(1120)로 제1 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체부의 외부 측면에서 이온교환막부(1120)의 절개면(1120a)으로 제1 용액을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본체부의 상부에서 제1 용액을 공급하는 방식에 비해 이온교환막부(1120)의 상부 실링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의 한 쌍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온교환막을 나선(spiral)형 적층구조로 개선한 원통형의 염도차 발전부에서 복수의 이온교환막을 따라 제1 용액 또는 제2 용액이 해당되는 유로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cross-flow)가 가능하다. 또한, 원통형 스택의 이온교환막부(1120)를 절단함에 따라 해수와 담수의 흐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온교환막부(1120)와 전극부를 분리함으로써 생성되는 전압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전압의 효율을 실험한 결과 전력량 40W, 개방회로전압(OCV ; open circuit voltage) 22V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조건으로 이온교환막은 KIER막을 사용하였으며, 이온교환막은 너비 0.3m, 길이 150m로 권취하고, 공급수(해수 0.5M, 담수 0.01M, 유량 0.01m3/hr)와 온도(20도)를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한편, 염도차 발전부를 원통형 스택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대용량을 위한 모듈화에 매우 유리할 뿐 아니라, 교체와 재생이 매우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염도차 발전부의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스택의 운전 도중 후처리가 용이하여 오염 물질의 처리가 용이하고, 사용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후처리는 물리적 방식의 공기 주입법(air sparging)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후처리는 화학적 방식의 희석된 수산화나트륨(NaOH),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산 등을 이용한 세정(CIP ; Cleaning In Plac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는 물리적 방식과 화학적 방식을 조합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의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이온교환막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용액의 흐름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와 같이 염도차 발전부를 원통형 스택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전극(2110)의 구조와 제1 용액, 제3 용액의 유로를 상이하게 형성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내부의 제1 전극(2110)을 통해 전극용액과 해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해수 공급에 따른 조립 방식을 좀 더 간단히 하면서, 이온교환막부(2120)를 절단하는 공정 및 케이스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전극 케이스 내에 제1 전극(2110)을 결합한다(S210). 그리고 전극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이온교환막부(2120)의 외주면에 접착 필름을 바르면서 유로 형성을 위한 스페이서와 함께 이온교환막부(2120)를 롤 형태로 감으며 적층한다(S220). 이온교환막부(212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2개의 절개면(2120a)을 갖는 형태로 형성한다(S230). 이온교환막부(2120)에 구비되는 2개의 절개면(2120a)을 통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가 제1 방향을 따라 이온교환막부(2120)의 일측에 유입되고 이온교환막부(2120)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타측으로 유출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2120)의 절개면(2120a)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2120)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부 마감부(2120b)와 하부 마감부를 구비하여 절개면(2120a)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마감처리한다(S240). 이어서 본체 케이스(2220)를 결합한다(S250). 이온교환막부(2120)의 외주면에 전극 스페이서(2130)를 결합한다(S260). 전극 스페이서(2130)의 외주면에 제2 전극(2140)을 결합한다(S270). 제2 전극(2140)의 외주면에 전극 커버부(2150)를 결합한다(S280). 이어서, 제1 커버(2200)와 제2 커버(2300)를 결합한다(S290). 그리고 전극 커버부(2150)를 포함하여 본체부에 해당되는 유로를 연결하여 염도차 발전부를 형성한다(S300, S31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에서 제1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전극부를 통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2120)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전극부를 통해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제2 용액은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이온교환막부(2120)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커버(2200)는 적어도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2224),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2222),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22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2300)는 적어도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2334),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2332), 그리고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23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부(2120)는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유입홈(2112fa1)과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유입과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제12 전극 분리부(2112f1)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유출홈(2112fa2)과 연결되어 제1 용액의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의 제1 전극(2110)은 전극체(2112e), 제1 전극 지지체(2112d), 유입 커버부(2120), 제2 전극 지지체(2112c), 유출 커버부(2130), 그리고 접촉부(2112g)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체(2112e)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전극체(2112e)는 유입 가이드부, 유출 가이드부, 제11 전극 분리부(2112f1), 그리고 제12 전극 분리부(2112f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드부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2112e1)을 갖고 접촉부(2112g)로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출 가이드부는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2112e2)을 갖고 접촉부(2112g)로부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제11 전극 분리부(2112f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제1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홈(2112fa1)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2 전극 분리부(2112f1)는 제11 전극 분리부(2112f1)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제1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홈(2112fa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극 지지체(2112d)는 전극체(2112e)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전극체(2112e)를 보호할 수 있다.
유입 커버부(2120)는 전극체(2112e)와 제1 전극 지지체(2112d)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용액과 제3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입 커버부(2120)는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구멍(2122)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입 커버 본체,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1 전극 분리부(2112f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유입홈(2112fa1)과 연결되는 커버 유입홀(2124a)을 갖는 제11 유입 커버 돌출부(2124), 그리고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2 전극 분리부(2112f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유입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지지체(2112c)는 전극체(2112e)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전극체(2112e)를 보호할 수 있다.
유출 커버부(2130)는 전극체(2112e)와 제2 전극 지지체(2112c) 사이에 구비되어 제1 용액과 제3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유출 커버부(2130)는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구멍(2132)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출 커버 본체,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1 전극 분리부(2112f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1 유출 커버 돌출부, 그리고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제12 전극 분리부(2112f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유출홈(2112fa2)과 연결되는 커버 유출홀(2134a)을 갖는 제12 유출 커버 돌출부(2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112g)는 전극체(2112e)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체부와 이물질 제거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체부와 이물질 제거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이온교환막부(2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이온교환막부(2120)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량에 따라 회전하며 이온교환막부(212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제거부(24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도차 발전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2400)는 회전체, 그리고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이온교환막부(2120)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동력에 반응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회전날개(2432)를 구비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 지지부(2420), 제1 회전 지지부(2420)의 외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 지지부(2410), 그리고 제1 회전 지지부(2420)와 제2 회전 지지부(2410) 사이에 복수의 회전날개(2432)를 갖고 담수 공급구멍(2430a)으로 유입되는 담수의 흐름에 연동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 가이드부(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부는 일단이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온교환막부(2120)의 청소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온교환막부(212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소부는 회전 가이드부(24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243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2434)는 청소용 솔 또는 청소용 털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온교환막부(2120)의 오염은 유입된 제2 용액의 흐름에 병목 현상이 발생되는 입구 부분에 막 오염이 가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부(2400)의 회전체 및 이에 장착된 브러쉬(2434) 구조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막 오염에 따른 이온교환막부(2120)의 청소를 위해 제2 용액의 흐름 방향을 반대로(reverse flow)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단 및 하단 모두 이물질 제거부(24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막의 장기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유기물 농도가 높은 담수 쪽에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오염물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담수의 공급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로 다시 하부에서 상부로 바꾸며 담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생기는 오염물 또는 이물질을 털어내었지만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화학적 세정방식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였다. 화학적 세정에 의해 발생되는 2차적 오염 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모되는 에너지 및 비용이 발생되었다.
이물질 제거부(2400)는 담수의 공급 유량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청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온교환막과 맞닿는 부분의 이물질 제거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부(2120)에서 담수가 공급되는 부분의 이물질 제거와 이온교환막부(2120)의 세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2400)는 담수의 공급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온교환막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부(2400)는 담수의 공급 방향을 바꾸는 것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담수가 유입되는 경로에서 이온교환막부(2120)의 오염에 의한 압력 상승은 대부분 이온교환막부(2120)의 담수 입구쪽 유로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이온교환막부(2120)의 담수 입구에서 면적이 갑자기 감소하면서 오염물이 쌓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담수가 유입되는 이온교환막부(2120)의 입구에서 쌓인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부(2400)를 구비함에 따라 담수의 흐름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바꾸며 운전할 때 이온교환막부(212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10 ; 제1 전극 1120 ; 이온교환막부
1130 ; 전극 스페이서 1140 ; 제2 전극
1150 ; 전극 커버부 1200 ; 제1 커버
1220 ; 본체 케이스 1300 ; 제2 커버
2400 ; 이물질 제거부

Claims (32)

  1. 서로 다른 염 농도를 갖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각각 유입되어 염도차 발전 전기를 생산하는 염도차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염도차 발전부는
    높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고 원주방향인 제2 방향으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3 용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전극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적층되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격리되는 이온교환막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온교환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온교환막부 사이의 공극을 실링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부를 지지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하는 제1 커버,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커버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해당되는 용액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본체부의 유입 측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상기 이온교환막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본체부의 유출 측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상기 이온교환막부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커버는
    적어도 상기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 그리고 상기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커버는
    적어도 상기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 그리고 상기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상기 유입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 그리고
    상기 유출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서,
    상기 이온교환막부는
    상기 유입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용액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입과 상기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상기 유출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용액 유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용액의 측방향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이온교환막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접착 필름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이온교환막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메인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 스페이서, 그리고
    상기 제2 전극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제4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 유로의 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상기 제3 용액이 상기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유출하도록 안내하는 전극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곡률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 스페이서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 스페이서의 외측에 구비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1 전극 지지체,
    상기 전극체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2 전극 지지체, 그리고
    상기 전극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서,
    상기 전극체는 상기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상기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을 갖고 상기 접촉부로 상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상기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을 갖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서,
    상기 전극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전극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분리부는
    제11 전극 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는 제12 전극 분리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서,
    상기 전극체는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와 상기 제12 전극 분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체와 제12 전극체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서,
    상기 전극 커버부는
    상기 제11 전극체와 상기 제12 전극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1 전극 커버부와 제12 전극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 커버부는
    상기 제3 용액이 제4 유로로 유입되는 전극용액 유입부, 그리고
    상기 전극용액 유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4 유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제3 용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전극용액 유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5. 제2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의 길이방향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1 전극 지지체,
    상기 전극체와 상기 제1 전극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3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커버부,
    상기 전극체의 길이방향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체를 보호하는 제2 전극 지지체,
    상기 전극체와 상기 제2 전극 지지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3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커버부, 그리고
    상기 전극체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용액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전극체는
    상기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유입 가이드홈과 상기 유입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멍을 갖고 상기 접촉부로 상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입흐름을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부,
    상기 원기둥형상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유출 가이드홈과 상기 유출 가이드 홈의 원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유출구멍을 갖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3 용액의 균일한 분산 유출흐름을 안내하는 유출 가이드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상기 제1 용액의 유입 흐름을 안내하는 유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제11 전극 분리부, 그리고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전극을 복수로 구분하며, 상기 제1 용액의 유출 흐름을 안내하는 유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제12 전극 분리부
    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서,
    상기 유입 커버부는
    상기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구멍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입 커버 본체,
    상기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입홈과 연결되는 커버 유입홀을 갖는 제11 유입 커버 돌출부, 그리고
    상기 유입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2 유입 커버 돌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서,
    상기 유출 커버부는
    상기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구멍을 갖는 원판형상의 유출 커버 본체,
    상기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11 유출 커버 돌출부, 그리고
    상기 유출 커버 본체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출홈과 연결되는 커버 유출홀을 갖는 제12 유출 커버 돌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서,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부를 통해 적어도 상기 이온교환막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전극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고,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방향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상기 이온교환막부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유동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도록 안내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서,
    상기 제1 커버는
    적어도 상기 제1 용액이 유입되는 제1 용액 유입부, 상기 제2 용액이 유입되는 제2 용액 유입부, 그리고 상기 제3 용액이 유입되는 제3 용액 유입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서,
    상기 제2 커버는
    적어도 상기 제1 용액이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출부, 상기 제2 용액이 유출되는 제2 용액 유출부, 그리고 상기 제3 용액이 유출되는 제3 용액 유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서,
    상기 이온교환막부는
    상기 제11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용액의 유입과 상기 제2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 저장 채널, 그리고
    상기 제12 전극 분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개구되고 상부와 하부가 밀봉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유출홈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용액의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 저장 채널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3. 제1항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이온교환막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온교환막부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량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이온교환막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4. 제23항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이온교환막부로 공급되는 용액의 유동력에 반응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 그리고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온교환막부의 청소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온교환막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5. 제24항에서,
    상기 회전체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회전 지지부,
    상기 제1 회전 지지부의 외곽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회전 지지부와 상기 제2 회전 지지부 사이에 복수의 회전날개를 갖고 상기 용액의 흐름에 연동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7. 제1항에서,
    상기 제1 용액은 고농도 염이 3.0wt% 이상인 고농도 용액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8. 제27항에서,
    상기 제2 용액은 저농도 염이 0.1wt% 이하인 저농도 용액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29. 제28항에서,
    상기 제3 용액은 상기 제1 용액을 포함하는 염도차 발전장치.
  30. 제1항에서,
    상기 이온교환막부는 롤 형태로 감겨 적층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31. 제30항에서,
    상기 양이온교환막과 상기 음이온교환막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교환막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의 유로가 되는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32. 제31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양이온교환막과 상기 음이온교환막 표면에 유로 패턴을 갖는 패턴형 이온교환막으로 형성되는 염도차 발전장치.
KR1020190058893A 2018-08-09 2019-05-20 염도차 발전장치 KR102157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893A KR102157334B1 (ko) 2019-05-20 2019-05-20 염도차 발전장치
PCT/KR2019/006194 WO2020032356A1 (ko) 2018-08-09 2019-05-23 염도차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893A KR102157334B1 (ko) 2019-05-20 2019-05-20 염도차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34B1 true KR102157334B1 (ko) 2020-09-17

Family

ID=7270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893A KR102157334B1 (ko) 2018-08-09 2019-05-20 염도차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412A (ja) * 2003-05-14 2004-12-02 Ebara Corp 有機性物質を利用する発電方法及び装置
JP2012036850A (ja) * 2010-08-09 2012-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濃度差発電装置
KR20160061894A (ko) * 2014-11-21 2016-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출력밀도를 향상시키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발전 장치
KR20180055508A (ko) * 2016-11-17 2018-05-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막 전극 일체형 미생물 전기화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수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2412A (ja) * 2003-05-14 2004-12-02 Ebara Corp 有機性物質を利用する発電方法及び装置
JP2012036850A (ja) * 2010-08-09 2012-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濃度差発電装置
KR20160061894A (ko) * 2014-11-21 2016-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출력밀도를 향상시키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발전 장치
KR20180055508A (ko) * 2016-11-17 2018-05-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막 전극 일체형 미생물 전기화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수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8090B (zh) 采用流体动力学流体分离的电去离子方法和装置
US4284492A (en) Reverse osmosis electrodialysis combined means
CA2325403C (en) Electrical deionization apparatus
KR102495991B1 (ko) 염도차 발전장치
US20080078672A1 (en) Hybrid Capacitive Deionization and Electro-Deionization (CDI-EDI) Electrochemical Cell for Fluid Purification
KR102238394B1 (ko)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EP0347016A2 (en) Electrodialysis apparatus for the chemical maintenance of electroless copper plating baths
JP2008212871A (ja) 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
KR102495282B1 (ko) 염도차 발전장치
CN104495991A (zh) 一种基于流动式电极的高效膜电容去离子阵列
KR20200008282A (ko) 원통형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US3846274A (en) Electroperistaltic ion pump
KR102157334B1 (ko) 염도차 발전장치
US9550687B2 (en) Electrodeionization module and apparatus
WO1997046491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au deionisee par une technique de deionisation electrique
KR102102941B1 (ko) 염도차 발전장치
KR101929855B1 (ko) 축전식 탈염장치 및 축전식 탈염 모듈
CN115954128A (zh) 低浓度放射性废水中快速浓缩金属离子的方法、装置
CN216918712U (zh) 一种多流道电吸附单元和卷式滤芯
KR20150003094A (ko) 흐름전극 축전식 탈염 장치
KR102596154B1 (ko) 흐름 전극용 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지식 흐름 전극 축전식 탈이온화 장치
KR101137042B1 (ko) 축전 탈 이온화 장치, 이를 이용한 축전 탈 이온화 방법 및이를 이용한 담수화 장치, 폐수 처리 장치
KR102079005B1 (ko) 일가이온 선택성 패턴을 갖는 이온 교환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장치
KR102133446B1 (ko) 염도차 발전장치
KR102685807B1 (ko) 흐름 전극용 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흐름 전극 축전식 탈이온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