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052B1 -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052B1
KR102157052B1 KR1020140035522A KR20140035522A KR102157052B1 KR 102157052 B1 KR102157052 B1 KR 102157052B1 KR 1020140035522 A KR1020140035522 A KR 1020140035522A KR 20140035522 A KR20140035522 A KR 20140035522A KR 102157052 B1 KR102157052 B1 KR 10215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content
viewing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760A (ko
Inventor
한정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4003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052B1/ko
Priority to PCT/KR2014/012873 priority patent/WO2015147421A1/en
Priority to EP14886818.5A priority patent/EP3111638A4/en
Priority to US15/128,710 priority patent/US10205973B2/en
Publication of KR2015011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방법은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실시간적인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G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의 연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텔레비전(TV) 또는 VCR(Video Tape Recorder) 등의 영상 수신 또는 재생 기기를 통해 단향방으로 이루어지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시청자의 피드백이 반영될 수 있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개편되고 있다.
대표적인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인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원하는 시간에 받아볼 수 있는 영상 서비스이다. 전형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수신 기기는 셋톱박스를 통해 이러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망을 통한 보다 강력한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IPTV(Internet Protocol TV)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수신 기기는 IPTV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의 서비스 요구 수준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VOD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들 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은 실시간 방송을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시청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VOD 서비스는 이미 공중파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된 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등을 사후적으로 컨텐츠로 준비하여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지능적으로 시청 이력을 관리하고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시청한 또는 시청할 컨텐츠들을 조회 및 시청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간 방송과 VOD와 같은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한 영상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시청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real-time broadcasting)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non-real-time video service)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방송 수신 단말에서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캡처된 이미지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컨텐츠 시청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이력 관리 서버에서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의 시청 이력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지 않았다면,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라면, 일부 시청된 부분을 표시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는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개시하고,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수신 단말;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력 관리 서버; 및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고, 연동되는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지정된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 의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이력 관리 서버가 제시된다. 상기 서버는,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컨텐츠 시청과 연관된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시청 이력 정보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시키는 사용자 이력 관리부;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력 관리부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 시청이 개시된 후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 의한 시청 중단 발생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요청시에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출원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실시간적인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중단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시청을 중단한 컨텐츠를 이어보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 중간에 시청을 시작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의 시청 여부 및 일부 시청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를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는 주문형 비디오(VOD), IPTV 제공 컨텐츠뿐만 아니라 공중파와 같은 실시간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실시간 방송이 아닌 비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는 VOD, 클라우드 스트리밍 비디오(Cloud Streaming Video), PVR(Personal Video Recoder)(네트워크-PVR(N-PVR), 클라우드 PVR 등), DVR(Digital Video Recorder)(네트워크-DVR(N-DVR), RS(remote storage)-DVR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의 예시로서 주문형 비디오(VOD),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의 예시로서 VOD 서버,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예시로서 VOD 방송 컨텐츠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은 이력 관리 서버(110), VOD 서버(120), 유/무선 통신망(130) 및 방송 수신 단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이력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 컨텐츠 시청에 이용한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 컨텐츠의 시청 여부, 컨텐츠를 시청한 시점, 컨텐츠를 시청한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사용 이력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청 이력 정보는 컨텐츠의 시청 여부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일부만이 시청되었는지 여부(예를 들어, 컨텐츠의 중간 부분까지 시청된 경우,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된 경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청 이력 정보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예를 들어, 공중파 채널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 정보뿐만 아니라 VOD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VOD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관리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VOD 서버(120)와 연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시청 이력 정보를 VOD 서버(120)와 연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이력 관리부(111) 및 시청 이력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10)의 동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VOD 서버(120)는 사용자(또는 VOD 가입자)의 방송 수신 단말(140)로 요청된 VOD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VOD 서버(120)는 실시간 방송과 VOD를 연계시킬 수 있도록 연동된 이력 관리 서버(110)로부터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레코딩 및 코딩하여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된 시청 이력 정보는 VOD 서버(120)가 방송 수신 단말(140)로 VOD 컨텐츠를 제공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VOD 서버(120)는 VOD 컨텐츠의 생성, 배포, 관리 등을 담당하는 컨텐츠 관리부(121) 및 컨텐츠와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VOD 서버(120)의 동작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유/무선 통신망(130)은 이력 관리 서버(110), VOD 서버(120) 및 방송 수신 단말(140)이 서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유/무선 통신망(130)은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TV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망(130)은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송 통신 단말(140)이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망(130)은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단말(140)이 텔레비전와 같은 영상 출력 장치로서 구현된다면 유/무선 통신망(130)은 전화선 케이블과 같은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은 공중파 방송과 같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 또는 VOD 서버(120)와 같은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방송 수신 단말(140)은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전달할 수 있는 셋톱박스 및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수신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 따라, 이러한 셋톱박스 및 영상 수신 기기는 별개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단말(140)은 특정한 구현예에 따라 IPTV, 스마트TV 또는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이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은 전술한 방송 수신 단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셀룰러폰,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이 TV로서 구현되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140)은 방송 컨텐츠 이용과 관련된 정보 입력 및 조작을 위한 원격 입력 장치(RCU: Remote Control Unit)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의 단계들을 살펴보면, 방송 수신 단말(140)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개시하며(단계 S210), 실시간 방송 시청중에 사용자는 여러 가지 이유들(예를 들어, 다른 컨텐츠를 보기 위해 채널을 전환, 외출하기 위해 TV 전원 차단 등)로 인하여 시청을 중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0)은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220).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구현예에 따라 방송 수신 단말(140)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click), 방송 수신 단말(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예를 들어, 핫키(hotkey))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종료 동작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수신 단말(140)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시청 중단시까지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시청 중단 시점(예를 들어, 방송 시작후 20분 경과 시점에서 시청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은 결정된 시청 중단 시점 및 시청 중단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명 또는 방송 프로그램 식별 코드 등)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단계 S230). 이력 관리 서버(110)는 전송받은 시청 이력 데이터를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2)에 기록하고 이러한 시청 이력 데이터를 VOD 서버(120)와 연동시킨다(단계 S240). 그 다음에 방송 수신 단말(140)은 VOD 서버(120)로 시청 중단하였던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요청한다(단계 S250). VOD 서버(12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실시간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레코딩 및 코딩하여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단말(140)로부터 시청 중단된 방송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연동된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시청 중단된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시청 중단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의 지정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VOD 서버(120)는 방송 수신 단말(140)의 요청에 응답하여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VOD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방송 수신 단말(140)은 시청 중단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다(단계 S260).
한편, 방송 수신 단말(140)에 의해 시청 중단된 방송 컨텐츠가 이후 시점에 다시 방송 수신 단말(140)에 의해 시청되기 전까지,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연동된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식별된 방송 컨텐츠로서(예를 들어, 컨텐츠의 시작 시점부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후에, 방송 수신 단말(140)에서 시청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시청된다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는 시청된 컨텐츠로서 이력 관리 서버(110)에 업데이트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VOD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은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중단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시청을 중단한 컨텐츠를 이어보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서 설명된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실시간(라이브)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다가 시청을 중단할 수 있다(플로우 1). 이 때,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방송 수신 단말(140)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예를 들어, 화면 우측 상단의 표식)을 클릭할 수 있으나(플로우 2),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시청 중단 시점 정보는 이력 관리 서버(110)로 전달되고 VOD 서버(120)와 연동된다(플로우 3). 사용자는 시청을 중단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VOD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으며(플로우 4), VOD 서버(120)는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플로우 5). 이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을 통해, 방송 수신 단말(140)의 사용자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시청 중단된 컨텐츠를 이어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은 이력 관리 서버(110), VOD 서버(120), 유/무선 통신망(130), 방송 수신 단말(140), 이미지 수집 서버(150) 및 다수의 프로그램 제공자(PP: Program Provider)(160a 내지 160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이력 관리 서버(110), VOD 서버(120), 유/무선 통신망(130) 및 방송 수신 단말(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미지 수집 서버(150)는 PP(160a 내지 160n)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캡처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수집 서버는 미리 결정된 레이트로 이미지들을 캡처하여 방송 컨텐츠의 시점별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PP(160a 내지 160n)는 방송 컨텐츠 제공자들로서 공중파 프로그램 제공자인 경우에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와 이미지 수집 서버(150)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방송 수신 단말(140)의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과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의 단계들을 살펴보면, 방송 수신 단말(140)은 방송 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할 수 있다(단계 S510). 예컨대, 사용자가 방송 수신 단말(140)에 전원을 인가했을 때 컨텐츠의 중간 부분이 방송되고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채널을 시청중에 해당 채널로 전환했을 때 컨텐츠의 중간 부분이 발송되고 있는 경우 등에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은 이러한 컨텐츠의 중간 부분부터의 시청 개시시에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단계 S520). 이러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의 캡처는 방송 수신 단말(140)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로의 전환 동작 또는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실행 동작 등에 의해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은 캡처된 이미지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며(단계 S530), 이력 관리 서버(110)는 수신된 시청 이력 데이터를 VOD 서버(120)와 연동시킬 수 있다. 이력 관리 서버(110)는 해당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150)에 저장된 이미지들과 방송 수신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캡처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한다(단계 S540). 예를 들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이력 관리 서버(110)로 전송된 캡처된 이미지와 매칭하는 이미지 수집 서버(150)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데 있어 추가적인 보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비교할 시간 구간(예컨대, 방송 수신 단말(140)에서의 이미지 캡처시의 시간을 중심으로 앞뒤로 1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구간 내에서 이미지 수집 서버(150)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들과 방송 수신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캡처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간 방송은 EPG 정보의 스케줄대로 정확하게 방송 시작 및 방송 종료 시점을 맞추기가 어렵지만(즉, 실제 방송 시점과 오차가 있지만), 이미지가 캡처된 시점(즉, 시청 개시 시점)은 EPG 스케줄에 기초하여 오차를 반영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력 관리 서버(110)는 EPG와 같은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 범위를 좁힘으로써 보다 빨리 매칭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의 시청 개시 시점이 결정되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50). 예컨대, 이러한 알림은 방송 수신 단말(140)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알림을 선택시 또는 이러한 알림 표시를 보고 방송 수신 단말(140)에서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이 입력될 때 중간부터 시청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이 중간부터 시청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VOD 서버(120)로 요청하면(단계 S560), VOD 서버(120)는 방송 수신 단말(140)로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VOD 서버(12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레코딩 및 코딩하여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140)에 의해 중간부터 시청된 방송 컨텐츠가 이후 시점에 다시 방송 수신 단말(140)에 의해 시청되기 전까지, 이력 관리 서버(110)는 중간부터 시청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연동된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식별된 방송 컨텐츠로서(예를 들어, 컨텐츠의 중간 시점부터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기록할 수 있다. 이후에, 방송 수신 단말(140)에 의해 중간부터 시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가 시청된다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는 시청된 컨텐츠로서 이력 관리 서버(110)에 업데이트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VOD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은 방송 중간에 시청을 시작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과 주문형 비디오(VOD)를 연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비스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해서 설명된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의 중간부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기 시작할 수 있다(플로우 1). 방송 수신 단말(140)은 시청 개시시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을 캡처할 수 있으며, 캡처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플로우 2). 이력 관리 서버(110)는 이미지 수집 서버(150)에 저장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캡처된 이미지들과 방송 수신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플로우 3). 그 후에,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종료시에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에 대한 알림을 표시(예컨대, 화면 좌측 상단에 알림 표시)할 수 있다(플로우 4). 사용자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면, 방송 수신 단말(140)은 VOD 서버(120)로부터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플로우 5). 이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을 통해, 방송 수신 단말(140)의 사용자는 방송 중간에 시청을 시작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해당 컨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의 단계들을 살펴보면, 시청 이력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방송 수신 단말(140)은 이력 관리 서버(110)로 시청 이력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710). 이력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112)를 조회하여 방송 수신 단말(140)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720).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었다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해당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한다(단계 S730).
단계 S720에서,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지 않았다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740).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컨텐츠가 아니라면(즉, 시청되지 않은 컨텐츠라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해당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한다(단계 750).
단계 S740에서,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라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일부 시청된 부분을 표시하는 정보(예컨대, 컨텐츠의 시작 시점부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부분을 표시 또는 컨텐츠의 중간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시청된 부분을 표시)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한다(단계 760).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의 시청 이력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컨텐츠들 각각에 대하여 전술한 단계들에 따라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들 중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예컨대, 드라마, 정기 방송 오락 프로그램 등)들이 있는지 결정하고,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들이 있는 경우에 시리즈 횟수별로 시청 완료된 컨텐츠와 시청 완료되지 않은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 중 시청 완료되지 않은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라면, 이력 관리 서버(110)는 해당 시리즈 컨텐츠에 대한 일부 시청된 부분을 표시하는 정보와 함께 시청 이력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를 VOD 서버(120)와 연동시키며, 그에 따라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통해 특정 컨텐츠를 시청 또는 일부만 시청한 경우에, 시청 이력 정보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VOD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시청 또는 일부만 시청된 이력을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VOD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 이력이 반영된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로 다양한 시청 이력 정보 및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40)의 화면(800)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방송 수신 단말(140)이 시청한 최근 이력(81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를 개시할 수 있고 또한 시리즈물인지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리즈물인 경우, 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회차별로 시청된 회차, 시청되지 않은 회차, 현재 회차, 다음 회차(예고편)와 같은 시청 이력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40)로 제공할 수 있다. 8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전체 컨텐츠 구간 중 시청된 부분을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830에 도시된 시리즈 컨텐츠 2회는 일부 시청된 컨텐츠로서 컨텐츠 시작 시점부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되었다고 표시될 수 있으며, 830에 도시된 시리즈 컨텐츠 3회는 일부 시청된 컨텐츠로서 컨텐츠의 중간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시청되었다고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8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력 관리 서버(110)는 시청 이력 정보에 더하여 컨텐츠 관련 정보로서 미리 결정된 기준(예를 들어, 최대 시청 컨텐츠, 사용자가 가장 많이 시청한 장르 등)에 의해 추천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시청 이력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를 VOD 방송 컨텐츠와 연동시킬 수 있다.
임의의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이력 관리 서버
111: 사용자 이력 관리부
112: 사용자 이력 정보 DB
120: VOD 서버
121: 컨텐츠 관리부
122: 컨텐츠 DB
130: 유/무선 통신망
140: 방송 수신 단말
150: 이미지 수집 서버
160: 프로그램 제공자

Claims (31)

  1. 실시간 방송(real-time broadcasting)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non-real-time video service)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작 부분부터 방송될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기 시작 부분에서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 부분부터 방송될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기 중간 부분부터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중간 부분부터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캡처된 이미지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컨텐츠 시청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청 중단시까지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click),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종료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레코딩 및 코딩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는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지정된 시점을 결정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연동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기록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셋톱박스와 영상 수신 기기를 구비한 장치, IPTV, 스마트TV 및 이동 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7.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수신 단말에서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하는 단계;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캡처된 이미지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 전송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됨 -;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 컨텐츠 시청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된 이미지와 매칭하는 상기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비교할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간 내에서 상기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된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의 캡처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로의 전환 동작,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실행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트리거(trigger)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레코딩 및 코딩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개시 시점부터 중간에 시청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기록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셋톱박스와 영상 수신 기기를 구비한 장치, IPTV, 스마트TV 및 이동 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14.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력 관리 서버에서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의 시청 이력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청 완료되지 않았다면,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라면, 일부 시청된 부분을 표시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시청 이력 정보는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연동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하고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면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캡처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고,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결정된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단말과 연관된 방송 컨텐츠가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라면, 시리즈 횟수별로 시청 완료된 컨테츠와 시청 완료되지 않은 컨텐츠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 중 시청 완료되지 않은 컨텐츠가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이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일부 시청된 부분을 표시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시리즈로 구성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분만 시청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의 시작 시점부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방송 컨텐츠 및 컨텐츠의 중간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점부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의 시청 요청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셋톱박스와 영상 수신 기기를 구비한 장치, IPTV, 스마트TV 및 이동 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0.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개시하고, 실시간 방송중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시청 중단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방송 수신 단말;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력 관리 서버; 및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고, 연동되는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시청 중단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지정된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 의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캡처하여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수집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하고,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전송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 표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상기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click),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입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키 또는 키조합, 채널 전환 동작,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종료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2. 삭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는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EPG 정보에 따라 비교할 구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구간 내에서 상기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전송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연동된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기록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개시 시점부터 중간에 시청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이력 관리 서버에 기록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의 캡처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의 클릭, 다른 채널로부터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채널로의 전환 동작, 방송 수신 프로그램의 실행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트리거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셋톱박스와 영상 수신 기기를 구비한 장치, IPTV, 스마트TV 및 이동 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28.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이력 관리 서버로서,
    방송 수신 단말의 방송 컨텐츠 시청과 연관된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시청 이력 정보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연동시키는 사용자 이력 관리부; 및
    상기 시청 이력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이력 관리부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 시청이 개시된 후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 의한 시청 중단 발생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시청 중단 시점 및 컨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요청시에 상기 시청 중단 시점 이후부터의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 서버와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에서 방송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중간부터 시청을 개시하고 시청 개시시의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화면 이미지를 캡처하면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캡처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시청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캡처되어 이미지 수집 서버에 저장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시청 개시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이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결정된 시청 개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이력 관리 서버.
  29. 삭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관리부는 상기 시청 중단 시점까지 시청된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이력 관리 서버.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 관리부는 상기 시청 개시 시점부터 중간에 시청된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상기 비실시간 방송 컨텐츠가 시청되기 전에 상기 시청 이력 데이터에 따라 일부분이 시청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이력 관리 서버.
KR1020140035522A 2014-03-26 2014-03-26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22A KR102157052B1 (ko) 2014-03-26 2014-03-26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CT/KR2014/012873 WO2015147421A1 (en) 2014-03-26 2014-12-26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t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EP14886818.5A EP3111638A4 (en) 2014-03-26 2014-12-26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t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US15/128,710 US10205973B2 (en) 2014-03-26 2014-12-26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real-time broadcasting with non-real-time video service using user histor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22A KR102157052B1 (ko) 2014-03-26 2014-03-26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760A KR20150111760A (ko) 2015-10-06
KR102157052B1 true KR102157052B1 (ko) 2020-09-18

Family

ID=5419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522A KR102157052B1 (ko) 2014-03-26 2014-03-26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5973B2 (ko)
EP (1) EP3111638A4 (ko)
KR (1) KR102157052B1 (ko)
WO (1) WO2015147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422B1 (ko) 2016-07-22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추천 방법
CN108924448A (zh) * 2018-07-11 2018-11-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智能控制装置及其实现方法、智能电视
US10715871B1 (en) 2019-03-27 2020-07-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rmining an end screen time for displaying an end screen user interface
US11432042B2 (en) 2019-07-31 2022-08-30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lassify all other tuning data
CN112533012B (zh) * 2020-11-25 2023-07-04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间互动信息的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21730A (ko) * 2021-02-25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4313A1 (en) * 2009-04-29 2012-05-10 Eloy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resume of video and dvr content
JP2013098742A (ja) * 2011-10-31 2013-05-20 Toshiba Corp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968B2 (en) 2002-01-24 2008-07-01 Lsi Corporation Enhanced personal video recorder including user play programming
US7369743B2 (en) 2002-01-24 2008-05-06 Lsi Logic Corporation Enhanced personal video recorder
SE530933C2 (sv) 2007-05-22 2008-10-28 Teliasonera Ab System och metod för tidsförskjuten television
US20100262986A1 (en) 2009-04-08 2010-10-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ewing history
KR101622687B1 (ko) 2010-04-12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 서비스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20036494A (ko) 2010-10-08 2012-04-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0650A (ko) 2010-12-22 2012-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동영상 서비스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4313A1 (en) * 2009-04-29 2012-05-10 Eloy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resume of video and dvr content
JP2013098742A (ja) * 2011-10-31 2013-05-20 Toshiba Corp コンテンツ出力装置、及びコンテンツ出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0168A1 (en) 2018-08-02
EP3111638A1 (en) 2017-01-04
KR20150111760A (ko) 2015-10-06
EP3111638A4 (en) 2017-11-29
WO2015147421A1 (en) 2015-10-01
US10205973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052B1 (ko)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350967B2 (en) Recording system
WO2019183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user to view an important event in a media asset presented on a first device when the user is viewing another media asset presented on a second device
US98009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content from a different source when previous content runs over
US8607272B2 (en) Near-real time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US201301740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a content dependency list
US202300094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ed supplemental content to a subset of users that are disinterested in live content
US997372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erform actions upon content items associated with multiple series subscriptions
US2014006471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ing Cached Assets
US20100098153A1 (en) System and Method to Record Encoded Video Data
US9525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media program
KR20140026727A (ko) 라이브 프로그램 다시보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055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program guides
US20200037008A1 (en) Remote Pause Buffer
US111598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programs
US20230362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embedded advertisements in downloaded content using advertisement update criteria
US20180352296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y of a user during content presentation
KR20180094993A (ko) 녹화된 미디어 자산에서 선점권을 우회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102B1 (ko) 채널 리스트에 매칭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